KR101974003B1 -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 Google Patents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003B1
KR101974003B1 KR1020170148885A KR20170148885A KR101974003B1 KR 101974003 B1 KR101974003 B1 KR 101974003B1 KR 1020170148885 A KR1020170148885 A KR 1020170148885A KR 20170148885 A KR20170148885 A KR 20170148885A KR 101974003 B1 KR101974003 B1 KR 101974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ypass
valve
bypass pipe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황철
김용환
노영균
김정우
박범모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8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는 황산화물이 함유된 연소가스를 흡수탑에서 흡수 및 산화된 이후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연소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내부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급배관 및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리히터부를 포함하고, 리히터부는 제1 순환배관이 배열설치되고, 순환배관의 일단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1 이음배관 및 제2 이음배관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리히터와, 제2 순환배관이 배열설치되고, 순환배관의 일단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3 이음배관 및 제4 이음배관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2 이음배관과 제4 이음배관의 사이에 설치된 제3 연결배관 및 제3 이음배관과 배출배관의 사이에 설치된 제4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제2 리히터와, 제2 순환배관이 배열설치되고, 순환배관의 일단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5 이음배관 및 제6 이음배관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공급배관과 제6 이음배관의 사이에 설치된 제1 연결배관 및 제1 이음배관 및 제5 이음배관의 사이에 설치된 제2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제3 리히터와, 제1 연결배관 및 제2 연결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배관에서 공급되는 순환수가 제3 리히터를 우회하여 제1 리히터로 유출되는 제1 우회배관 및 제3 연결배관 및 제4 연결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리히터에서 공급되는 순환수가 제2 리히터를 우회하여 배출배관으로 유출되는 제2 우회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Reheater of desulfurization equipment with By-Pass Line}
본 발명은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흡수탑에서 흡수 또는 반응하여 황화합물이 제거된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재열기(Reheat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 석유, 가스 및 연소가스에서 황화합물을 제거하는 탈황설비(또는 탈황공정이라고 한다.)는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고, 특히 석탄 및 증유와 같은 황화합물이 많은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황산화물이 연소가스에 함유되어 대기오염 공해를 초래하므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화력발전용 탈황설비는 습식과 건식방법이 있고, 일반적으로는 습식인 석회-석고법이 흡수제인 석회석을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석고의 회수가 가능하고, 대량의 안정적 저장이 용이하다는 이유로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보일러에서 나오는 연소 배기가스를 전기 집진장치에 매진을 제거한 이후 유인 팬으로 승압시켜 탈황입구 댐퍼를 거쳐 열회수기로 도입하고, 열회수기에서 처리 후 배기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 배기가스 온도를 낮춤으로써 흡수탑에서 증발수량을 줄여 용수 소비량을 줄이기 위해 미처리 배기가스와 열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열매로 열을 회수시키는 냉각공정이 실시함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황산화물을 알칼리 흡수제를 이용하요 흡수 및 산화시킨다.
이후, 냉각공정을 통해 연소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황산화물을 흡수 및 산화 시킨 이후에는 재열기(Reheater)를 통해 낮아진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승시켜 연도에 진입되며, 연도에 진입되기 전에 팬을 통해 배기가스의 승압을 상승시켜 원활하게 연도에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이다.
특히, 탈황설비의 재열기는 흡수탑을 통해 황산화물을 제거한다고 하더라도 배기가스의 내부에 미세하게 보존해있고, 보존된 황산화물이 재열기의 내부를 부식시키거나 황산화물이 배관이 적층되어 원활하게 소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재열기의 내부를 세척하는 방법으로 이를 (특허문헌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탈황 설비내 가스쿨러 및 리히터의 세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열이 교환되며, 그 사이로 가스가 유동하여 가스를 재가열시키고, 각일촉에 탈착이 가능한 브라켓이 복수개 부착 고정되는 리히터 튜브와, 브라켓으로 지지되고, 하부면에 천공된 세정튜브노즐을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리히터 튜브 외부면의 오염물질을 세척 제거하며, 보조연결튜브와 튜브 피팅과 소켓으로 연결되는 세정튜브 및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세척수가 주입되는 주입구 및 주입된 세척수를 세정튜브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리히터를 세정 할 시 리히터의 가동을 중단 시킨 이후, 세정을 하게 됨에 따라 화력발전에 차질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세정을 실시할 때마다 리히터를 완전 분해 이후 세정을 실시하여 세정하는 시간 또한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968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리히터의 내부에 종과 횡으로 배열설치된 배관 사이에 우회배관을 설치하여 배관 부식으로 인한 핀홀 발생으로 배관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우회배관을 통해 인접 리히터로 우회시키기 위한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탈황설비의 재열기의 우회배관은 황산화물이 함유된 연소가스를 흡수탑에서 흡수 및 산화된 이후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연소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내부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급배관 및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리히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히터부는 제1 순환배관이 배열설치되고, 상기 순환배관의 일단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1 이음배관 및 제2 이음배관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리히터;
제2 순환배관이 배열설치되고, 상기 순환배관의 일단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3 이음배관 및 제4 이음배관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이음배관과 상기 제4 이음배관의 사이에 설치된 제3 연결배관 및 상기 제3 이음배관과 상기 배출배관의 사이에 설치된 제4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제2 리히터;
상기 제2 순환배관이 배열설치되고, 상기 순환배관의 일단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5 이음배관 및 제6 이음배관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배관과 상기 제6 이음배관의 사이에 설치된 제1 연결배관 및 상기 제1 이음배관 및 상기 제5 이음배관의 사이에 설치된 제2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제3 리히터;
상기 제1 연결배관 및 제2 연결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배관에서 공급되는 순환수가 상기 제3 리히터를 우회하여 상기 제1 리히터로 유출되는 제1 우회배관; 및
상기 제3 연결배관 및 제4 연결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리히터에서 공급되는 순환수가 상기 제2 리히터를 우회하여 상기 배출배관으로 유출되는 제2 우회배관;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있어서, 상기 공급배관과 상기 제1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1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우회배관과 상기 제6 이음배관의 사이에 제2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배관 및 상기 제3 리히터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있어서, 상기 제5 이음배관과 상기 제1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3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1 우회배관 및 상기 제5 이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우회배관과 상기 제1 이음배관의 사이에 제4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1 우회배관 및 상기 제1 이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음배관과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5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2 이음배관 및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있어서, 상기 제4 이음배관과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6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4 이음배관 및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음배관과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7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3 이음배관 및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과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8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배출배관 및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9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1 우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10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내지 제10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량계를 설치하여 순환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내지 제10 밸브에 설치된 유량계를 통해 유량이 일정 이하로 측정되면 해당 밸브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탈황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부스터 팬 및 연도의 내부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리히터 또는 제3 리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이 발생한 지점에 해당하는 밸브를 조작하여 고장이 발생한 리히터를 제외한 나머지 리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탈황공정을 나타내 보인 전체 흐름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의 순환배관 및 우회배관이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는 황산화물이 함유된 연소가스를 흡수탑(200)에서 흡수 및 산화된 이후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설치된 리히터부(100)와, 순환수가 상기 리히터부(100)에 공급되는 공급배관(103) 및 상기 리히터부(100)에 공급되는 순환수를 배출 또는 순환시키는 배출배관(105)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히터부(100)는 순환배관(101)이 배열설치되는 제1 리히터(110), 제2 리히터(120) 및 제3 리히터(13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리히터부(100)는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며, 본 발명에서는 리히터부(100)가 6층으로 적층되어 설치되며, 흡수탑(2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재열시킨다.
순환배관(101)은 물을 통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의 소재로 구비된 제1 순환배관(101a) 또는 황산화물을 통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앙코르 강(Ancor Steel)의 소재로 구비된 제2 순환배관(101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1 리히터(110)에 제1 순환배관(101a)이 구비되고, 제2 리히터(120) 및 제3 리히터(130)에 제2 순환배관(101b)이 구비되며, 제1 순환배관(101a) 및 제2 순환배관(101b)의 소재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사전에 밝혀둔다.
이러한 순환배관(101)은 제1 리히터(110) 내지 제3 리히터(130)의 내부에 배열설치되며, 공급배관(103)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수가 순환배관(101)이 구비된 제1 리히터(110) 내지 제3 리히터(130)를 통과한 이후, 배출배관(105)을 통해 배출 또는 순환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순환배관(101)은 제1 리히터(110) 내지 제3 리히터(130)의 사이에 순환될 수 있도록 이음배관(140)이 제1 리히터(110) 내지 제3 리히터(13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리히터(110)는 제1 순환배관(101a)이 배열 설치되고, 일면 예컨대 도면상 우측에 제1 순환배관(101a)과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1 이음배관(141) 및 제2 이음배관(142)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 이음배관(141) 및 제2 이음배관(142)은 배열설치된 제1 순환배관(101a)과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각각의 제1 순환배관(101a)이 제1 이음배관(141) 및 제2 이음배관(142)이 상호 순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이음배관(141) 및 제2 이음배관(142)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 제1 리히터(110)는 배열설치되는 제1 순환배관(101a)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순환배관(101)의 일면 예컨대 도면상 우측에 각각 제1 이음배관(141) 및 제2 이음배관(142)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제1 리히터(110)와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2 리히터(120)는 제2 순환배관(101b)이 배열 설치되고, 일면 예컨대 도면상 우측에 제2 순환배관(101b)과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3 이음배관(143) 및 제4 이음배관(144)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다시 말해, 제2 리히터(120)는 배열설치되는 제2 순환배관(101b)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제2 순환배관(101b)의 일면 예컨대 도면상 우측에 각각 제3 이음배관(143) 및 제4 이음배관(144)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제2 리히터(120)와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3 리히터(130)는 제2 순환배관(101b)이 배열 설치되고, 일면 예컨대 도면상 우측에 제2 순환배관(101b)과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5 이음배관(145) 및 제6 이음배관(146)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다시 말해, 제3 리히터(130)는 제2 순환배관(101b)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제2 순환배관(101b)의 일면 예컨대 도면상 우측에 각각 제5 이음배관(145) 및 제6 이음배관(146)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제1 리히터(110) 내지 제3 리히터(130)의 사이에 연결배관(150) 및 우회배관(160)이 설치된다.
연결배관(150)은 공급배관(103)으로부터 공급받은 순환수가 제1 리히터(110) 내지 제3 리히터(130)를 통해 배출배관(105)을 통해 배출 또는 순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제1 이음배관(141) 내지 제6 이음배관(146) 중 일부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연결배관(150)은 공급배관(103)과 제6 이음배관(146)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배관(151)과, 제5 이음배관(145)과 제1 이음배관(141)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배관(152)과, 제2 이음배관(142)과 제4 이음배관(144)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연결배관(153) 및 제1 이음배관(141)과 배출배관(105)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4 연결배관(154)을 포함한다.
제1 연결배관(151)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급배관(103) 및 제6 이음배관(146)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공급배관(103)에서 유입되는 순환수가 제3 리히터(130)의 내부를 순환시킨 이후, 제5 이음배관(145)을 통해 배출된다.
제2 연결배관(152)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5 이음배관(145) 및 제1 이음배관(141)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제5 이음배관(145)에서 유입되는 순환수가 제1 리히터(110)의 내부를 순환시킨 이후, 제2 이음배관(142)을 통해 배출된다.
제3 연결배관(153)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이음배관(142) 및 제4 이음배관(144)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제2 이음배관(142)에서 유입되는 순환수가 제2 리히터(120)의 내부를 순환시킨 이후, 제3 이음배관(143)을 통해 배출된다.
제4 연결배관(154)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3 이음배관(143) 및 배출배관(105)의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제3 이음배관(143)을 통해 배출된 순환수가 배출배관(105)으로 유출시켜 배출 또는 순환시킨다.
즉, 제1 연결배관(151) 내지 제4 연결배관(154)은 제1 리히터(110) 내지 제3 리히터(130)를 직렬로 배치하기 위해 사이마다 설치되며, 순환수가 공급배관(103), 제3 리히터(130), 제1 리히터(110), 제2 리히터(120), 배출배관(105)순으로 순환된다.
한편, 리히터부(100)는 제1 연결배관(151) 내지 제4 연결배관(154)의 사이에 제1 우회배관(161) 및 제2 우회배관(162)을 설치하여 제2 리히터(120) 및 제3 리히터(13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제1 우회배관(161)은 제1 연결배관(151)과 제2 연결배관(152)의 사이에 연결되는 배관으로, 공급배관(103)에서 공급되는 순환수가 제6 이음배관(146)을 우회하여 제1 이음배관(141)으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제1 우회배관(161)은 제1 연결배관(151) 및 제2 연결배관(152)의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순환수가 제3 리히터(130)를 우회하여 곧바로 제1 리히터(110)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관이다.
제2 우회배관(162)은 제3 연결배관(153)과 제4 연결배관(154)의 사이에 연결되는 배관으로, 제1 리히터(110)에서 공급되는 순환수가 제4 이음배관(144)을 우회하여 배출배관(105)으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제2 우회배관(162)은 제3 연결배관(153) 및 제4 연결배관(154)의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순환수가 제2 리히터(120)를 우회하여 곧바로 배출배관(105)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관이다.
정리하자면, 제1 우회배관(161)은 제3 리히터(130)를 우회할 수 있는 배관이고, 제2 우회배관(162)은 제2 리히터(120)를 우회할 수 있는 배관이며, 이는 제2 리히터(120) 또는 제3 리히터(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작동이 불가능 할 경우, 제1 우회배관(161) 또는 제2 우회배관(162)을 통해 순환수를 바이패스(By-Pass)시키며, 리히터부(100)의 전체를 작동중지하지 않고도 작동불능인 리히터만 작동 중지 시킨 이후,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우회배관(160)은 연결배관(150)과의 이음부분 또는 우회배관(160)의 사이에 T관(170)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리히터부(100)는 제1 연결배관(151) 내지 제4 연결배관(154) 및 제1 우회배관(161) 내지 제2 우회배관(162)에 제1 밸브(151a) 내지 제10 밸브(162a)를 설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연결배관(151)은 제1 밸브(151a) 및 제2 밸브(151b)가 설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배관(103) 및 제1 우회배관(161)의 사이에 제1 밸브(151a)가 설치되며, 제1 우회배관(161) 및 제6 이음배관(146)의 사이에 제2 밸브(151b)가 설치된다.
즉, 제1 밸브(151a)는 공급배관(103)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수를 제어함으로써 순환수가 리히터부(100)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 밸브(151b)는 공급배관(103)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수가 제3 리히터(130)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2 밸브(151b)를 조작할 경우, 공급배관(103)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수가 제1 우회배관(161)을 통해 제1 리히터(110)로 유입된다.
제2 연결배관(152)은 제3 밸브(152a) 및 제4 밸브(152b)가 설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5 이음배관(145) 및 제1 우회배관(161)의 사이에 제3 밸브(152a)가 설치되며, 제1 우회배관(161) 및 제1 이음배관(141)의 사이에 제4 밸브(152b)가 설치된다.
즉, 제3 밸브(152a)는 순환수가 제1 우회배관(161)을 통해 진입할 경우, 제5 이음배관(145)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4 밸브(152b)는 순환수가 제1 우회배관(161)을 통해 제3 리히터(130)를 우회하는 경우 및 제5 이음배관(145)에서 배출되는 순환수가 제1 리히터(11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리히터부(100)를 점검할 때 사용한다.
제3 연결배관(153)은 제5 밸브(153a) 및 제6 밸브(153b)가 설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이음배관(142) 및 제2 우회배관(162)의 사이에 제5 밸브(153a)가 설치되며, 제2 우회배관(162) 및 제4 이음배관(144)의 사이에 제6 밸브(153b)가 설치된다.
즉, 제5 밸브(153a)는 순환수가 제1 리히터(110)에서 제2 리히터(120)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리히터부(100)를 점검할 때 사용한다.
또한, 제6 밸브(153b)는 제5 밸브(153a)와 동일하게 순환수가 제1 리히터(110)에서 제2 리히터(120)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제1 리히터(110)에서 배출되는 순환수가 제2 우회배관(162)을 통해 제2 리히터(120)를 우회하여 배출배관(105)으로 유출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4 연결배관(154)은 제7 밸브(154a) 및 제8 밸브(154b)가 설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3 이음배관(143) 및 제2 우회배관(162)의 사이에 제7 밸브(154a)가 설치되며, 제2 우회배관(162) 및 배출배관(105)의 사이에 제8 밸브(154b)가 설치된다.
즉, 제7 밸브(154a)는 순환수가 제2 우회배관(162)을 통해 유출될 때 제2 리히터(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8 밸브(154b)는 순환수가 배출배관(105)으로부터 역류하는 기능과, 제2 우회배관(162) 및 배출배관(105) 사이를 폐쇄하여 리히터부(100)를 용이하게 점검 또는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우회배관(16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9 밸브(161a)는 제1 우회배관(161)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고, 제2 우회배관(16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0 밸브(162a)는 제2 우회배관(162)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즉 순환수가 제1 우회배관(161)을 통해 제3 리히터(130)를 우회하여 제1 리히터(110)로 유도하고자 할 때 제2 밸브(151b) 및 제3 밸브(152a)를 폐쇄시키고, 제9 밸브(161a)를 개방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순환수가 제2 우회배관(162)을 통해 제2 리히터(120)를 우회하여 배출배관(105)으로 유도하고자 할 때 제6 밸브(153b) 및 제7 밸브(154a)를 폐쇄시키고, 제10 밸브(162a)를 개방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서의 리히터부(100)는 제1 연결배관(151) 내지 제4 연결배관(154)에 각각 2개의 밸브가 설치되고, 제1 우회배관(161) 내지 제2 우회배관(162)에 각각 1개의 밸브가 설치됨으로써 리히터를 유동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스택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리히터부(100)는 제1 밸브(151a) 내지 제10 밸브(162a)에 각각 유량계를 설치하여 제1 밸브(151a) 내지 제10 밸브(162a)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유량계는 제1 연결배관(151) 내지 제4 연결배관(154) 및 제1 우회배관 내지 제2 우회배관(162)에서 순환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측정하고, 별도로 구성된 제어부(미도시)에서 사전에 설정된 값이 미만인 경우 밸브를 개폐하는 동작부(미도시)에 신호를 인가하여 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유량계를 통해 자동으로 폐쇄된 밸브는 관리자에게 알리는 알람수단(미도시)이 리히터부(100) 또는 제어부에 설치되며, 이 알람수단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리히터부 101 - 순환배관
101a - 제1 순환배관 101b - 제2 순환배관
103 - 공급배관 105 - 배출배관
110 - 제1 리히터 120 - 제2 리히터
130 - 제3 리히터 140 - 이음배관
141 - 제1 이음배관 142 - 제2 이음배관
143 - 제3 이음배관 144 - 제4 이음배관
145 - 제5 이음배관 146 - 제6 이음배관
150 - 연결배관 151 - 제1 연결배관
151a - 제1 밸브 151b - 제2 밸브
152 - 제2 연결배관 152a - 제3 밸브
152b - 제4 밸브 153 - 제3 연결배관
153a - 제5 밸브 153b - 제6 밸브
154 - 제4 연결배관 154a - 제7 밸브
154b - 제8 밸브 160 - 우회배관
161 - 제1 우회배관 161a - 제9 밸브
162 - 제2 우회배관 162a - 제10 밸브
170 - T관 200 - 흡수탑

Claims (13)

  1. 황산화물이 함유된 연소가스를 흡수탑에서 흡수 및 산화된 이후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연소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내부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급배관 및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리히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히터부는 제1 순환배관이 배열설치되고, 상기 순환배관의 일단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1 이음배관 및 제2 이음배관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리히터;
    제2 순환배관이 배열설치되고, 상기 순환배관의 일단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3 이음배관 및 제4 이음배관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이음배관과 상기 제4 이음배관의 사이에 설치된 제3 연결배관 및 상기 제3 이음배관과 상기 배출배관의 사이에 설치된 제4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제2 리히터;
    상기 제2 순환배관이 배열설치되고, 상기 순환배관의 일단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제5 이음배관 및 제6 이음배관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배관과 상기 제6 이음배관의 사이에 설치된 제1 연결배관 및 상기 제1 이음배관 및 상기 제5 이음배관의 사이에 설치된 제2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제3 리히터;
    상기 제1 연결배관 및 제2 연결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배관에서 공급되는 순환수가 상기 제3 리히터를 우회하여 상기 제1 리히터로 유출되는 제1 우회배관; 및
    상기 제3 연결배관 및 제4 연결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리히터에서 공급되는 순환수가 상기 제2 리히터를 우회하여 상기 배출배관으로 유출되는 제2 우회배관;
    을 포함하는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배관과 상기 제1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1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수를 제어하는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우회배관과 상기 제6 이음배관의 사이에 제2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배관 및 상기 제3 리히터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하는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 이음배관과 상기 제1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3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1 우회배관 및 상기 제5 이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하는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우회배관과 상기 제1 이음배관의 사이에 제4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1 우회배관 및 상기 제1 이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하는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음배관과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5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2 이음배관 및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하는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이음배관과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6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4 이음배관 및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하는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음배관과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7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3 이음배관 및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하는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과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8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배출배관 및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하는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9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1 우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하는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제10 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제2 우회배관의 사이에 순환되는 순환수를 제어하는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148885A 2017-11-09 2017-11-09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KR101974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85A KR101974003B1 (ko) 2017-11-09 2017-11-09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85A KR101974003B1 (ko) 2017-11-09 2017-11-09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003B1 true KR101974003B1 (ko) 2019-04-30

Family

ID=6628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85A KR101974003B1 (ko) 2017-11-09 2017-11-09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7471A (zh) * 2021-05-13 2021-07-16 云南文山铝业有限公司 一种暂时隔离氨法脱硫洗涤槽进行检修系统及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912A (ko) * 2009-06-10 2010-12-20 아이에프피 에너지스 누벨 촉매 환원 상으로부터의 배출물의 적어도 일부를 재순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솔린의 예비 재생 개질을 위한 공정
KR20130001755A (ko) * 2011-06-28 2013-01-07 이영상 바이오 가스 전처리 시스템
KR101489604B1 (ko) * 2013-11-25 2015-02-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비누수형 재가열기를 구비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및 방법, 배기 가스 처리 장치 이상 유무 검출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상 상태 경고 시스템
KR101709682B1 (ko) 2016-10-06 2017-02-23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탈황 설비내 가스 쿨러 및 리히터의 세정 장치
US20170190574A1 (en) * 2016-01-05 2017-07-06 Saudi Arabian Oil Company Claus process for sulfur recovery with intermediate water vapor removal by adsorp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2912A (ko) * 2009-06-10 2010-12-20 아이에프피 에너지스 누벨 촉매 환원 상으로부터의 배출물의 적어도 일부를 재순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솔린의 예비 재생 개질을 위한 공정
KR20130001755A (ko) * 2011-06-28 2013-01-07 이영상 바이오 가스 전처리 시스템
KR101489604B1 (ko) * 2013-11-25 2015-02-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비누수형 재가열기를 구비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및 방법, 배기 가스 처리 장치 이상 유무 검출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이상 상태 경고 시스템
US20170190574A1 (en) * 2016-01-05 2017-07-06 Saudi Arabian Oil Company Claus process for sulfur recovery with intermediate water vapor removal by adsorption
KR101709682B1 (ko) 2016-10-06 2017-02-23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탈황 설비내 가스 쿨러 및 리히터의 세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7471A (zh) * 2021-05-13 2021-07-16 云南文山铝业有限公司 一种暂时隔离氨法脱硫洗涤槽进行检修系统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9167A (en) Low temperature Nox /Sox removal apparatus
CN103225834B (zh) 锅炉烟气排污余热回收热泵供暖系统及其使用方法
CN107062957A (zh) 列管式氟塑料烟气‑烟气换热器
CN102671538A (zh) 一种基于烟气脱硫脱硝工艺优化的深度节能系统
CN103203154A (zh) 水冷管式凝水除尘器
CN106287773A (zh) 一种wggh专用余热回收系统
KR101974003B1 (ko) 우회배관이 구비된 탈황설비의 재열기
CN208553614U (zh) 一种减轻烟气阻力的烟羽治理系统
CN105351915B (zh) 一种双循环锅炉排烟余热回收加热进炉风设备及方法
JP4969149B2 (ja) 排熱回収ボイラ用のアンモニア注入装置と方法
US9714882B2 (en) Leakage inspection method of heat exchanger
CN103861402A (zh) 淋水式管式除尘器
CN205127717U (zh) 一种火电机组配套的海水脱硫系统
CN103808200B (zh) 一种控制换热器工质温度的自动调节系统
CN203990298U (zh) 一种火力发电用脱硫系统
CN205796946U (zh) 燃煤烟气湿式脱硫脱硝及除尘组合一体化装置
CN214486375U (zh) 一种ggh进烟烟道的喷淋装置
CN204730306U (zh) 一种节能的热水供应系统
CN209020900U (zh) 一种净化脱硫脱硝处理装置用清洗装置
CN109731445A (zh) 一种具有脱硫提效功能的低能耗白烟消除装置
CN209475976U (zh) 烟气拖尾治理结构
CN207527686U (zh) 一种利用蒸汽凝结水的水暖系统
JP2010281525A (ja) 排ガス熱回収システム
CN211677158U (zh) 一种脱硫池的三开一备泵浆系统
CN105889963A (zh) 一种用于湿法脱硫系统的换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