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781B1 - 계란 혼합기 - Google Patents

계란 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781B1
KR101973781B1 KR1020160164091A KR20160164091A KR101973781B1 KR 101973781 B1 KR101973781 B1 KR 101973781B1 KR 1020160164091 A KR1020160164091 A KR 1020160164091A KR 20160164091 A KR20160164091 A KR 20160164091A KR 101973781 B1 KR101973781 B1 KR 101973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rack
drive cylinder
rotary shaf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017A (ko
Inventor
이철호
하성광
Original Assignee
이철호
하성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하성광 filed Critical 이철호
Priority to KR1020160164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7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7/00008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B01F15/00538
    • B01F15/006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30Mixing the contents of individual packages or containers, e.g. by rotating tins or bottles
    • B01F29/31Mixing the contents of individual packages or containers, e.g. by rotating tins or bottles the containers being supported by driving means, e.g. by rotat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8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 B01F9/0016
    • B01F9/1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장착블럭과, 회전샤프트와, 하부안착대와, 상부안착대와, 래크 및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계란 혼합기를 제공함으로써 순간적인 계란의 회전에 의한 계란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상부안착대는 상기 계란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계란을 가압하면서 상기 계란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여 계란의 슬립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란 혼합기{mixing device for raw egg}
본 발명은 계란 혼합기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계란의 혼합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작업이 가능하며, 또한 계란과의 접촉력을 증대시켜 계란이 안치되는 부위와 계란의 회전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계란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란은 껍질의 내부에 흰자와 노른자가 구분되어 존재하고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계란의 조리시에는 상기 껍질을 파괴한 후 그 내부의 흰자와 노른자를 일괄적으로 취출하여 조리한다.
한편, 상기 계란을 이루는 흰자의 경우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별다른 섭취의 불편함이 없이 쉽게 섭취하지만, 노른자의 경우는 어린아이나 사람들 중 일부가 섭취상의 불편함(예컨대, 퍽퍽한 식감 등)으로 인해 잘 먹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즉, 노른자에는 많은 영양 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흰자만을 편식할 경우 계란이 가지는 영양 성분을 온전히 섭취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껍질을 파손하여 취출한 노른자와 흰자를 동시에 섞어서 혼합함에 따라 흰자와 노른자가 가지는 영양 성분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른자와 흰자를 섞기 위한 다양한 조리기구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해당 계란을 굽는 방식이나 삶는 방식 혹은, 찌는 방식으로 조리할 경우에는 껍질을 파손할 수가 없어서 흰자와 노른자를 혼합할 수가 없었다.
이에 최근에는 계란 껍질을 파손하지 않고도 흰자와 노른자를 혼합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혼합기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589182호, 등록특허 제10-1620561호, 공개특허 제10-2000-0008062호, 공개특허 제10-2014-013124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계란 혼합기의 경우 모터를 주 동작원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됨을 고려할 때 계란의 혼합 시간이 사실상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모터의 경우 최초 전원 인가에 따른 기동시부터 최대 회전수로 동작될 때까지의 시간 차이가 크기 때문에 계란의 혼합을 위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었으며, 더욱이 상기 계란 회전이 정지될 때까지의 시간도 길다는 것을 고려할 때 계란 하나의 혼합을 위한 작업 시간이 매우 길어서 작업 효율이 사실상 극히 낮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계란 혼합기는 회전되는 계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조가 약하기 때문에 사실상 계란의 회전시 해당 계란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물만 회전될 뿐 계란은 헛도는 등의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계란의 혼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소비자 불만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589182호 등록특허 제10-1620561호 공개특허 제10-2000-0008062호 공개특허 제10-2014-0131246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계란의 혼합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작업이 가능하며, 또한 계란과의 접촉력을 증대시켜 계란이 안치되는 부위와 계란의 회전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계란 혼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란 혼합기에 따르면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블럭; 상기 장착블럭에 세워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피니언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상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면서 그의 상면으로는 계란의 하단이 안착되는 하부안착대; 상기 하부안착대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하부안착대에 안착된 계란의 상면을 파지하는 상부안착대; 상기 회전샤프트의 피니언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면서 그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래크; 상기 래크를 강제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실린더는 제1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래크의 일단과 연결되면서 상기 래크의 정방향 이동을 위해 구동되는 정방향 구동실린더와, 제2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래크의 타단과 연결되면서 상기 래크의 역방향 이동을 위해 구동되는 역방향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방향 구동실린더 및 역방향 구동실린더는 상기 래크를 사이에 두고 나란히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안착대는 상기 계란의 상단측 일부가 수용되도록 저면이 개방된 원통 혹은, 다각형의 통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개방된 저면에는 상기 계란의 상단측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하는 고무재질의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중앙에 개구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개구공이 형성된 부위로 갈수록 점차 상부로 볼록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안착대의 상면은 에어실린더의 플런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실린더는 제1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래크의 일단과 연결되면서 상기 래크의 정방향 이동을 위해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의 하측 끝단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와 회전샤프트는 직결되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벨트나 기어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동력 전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계란 혼합기는 계란을 파괴하지 않은 상태로 노른자와 흰자의 원활한 혼합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정방향 구동실린더 및 역방향 구동실린더로써 회전샤프트를 순간적인 고속으로 동작시킴에 따라 계란의 혼합을 위한 작업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계란 혼합기는 계란이 하부안착대와 상부안착대의 가압부재에 상하단이 가압된 상태를 이룸과 더불어 에어실린더에 의한 정압을 유지하면서 파지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 그 회전시 슬립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상부안착대 및 하부안착대와 함께 정확히 회전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계란 혼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는 크게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장착블럭(200)과, 회전샤프트(300)와, 하부안착대(400)와, 상부안착대(500)와, 래크(600) 및 구동실린더(710,7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순간적인 계란(10)의 회전에 의한 계란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상부안착대(500)는 상기 계란(10)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계란(10)을 가압하면서 상기 계란(1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여 계란(10)의 슬립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의 바닥 부위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00)는 평판으로 형성되며, 통상적인 작업 테이블의 상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블럭(200)은 후술될 회전샤프트(300)의 설치를 위한 블럭으로써,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장착블럭(200)은 내부에 하측베어링(210)이 구비됨과 더불어 상면 중앙으로는 회전샤프트(300)의 하측 끝단이 관통되면서 상기 하측베어링(210)에 설치되도록 안내하는 관통공(2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샤프트(300)는 계란(10)의 회전을 위해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회전샤프트(300)는 그의 하측 끝단이 상기 장착블럭(200) 내의 하측베어링(210)에 결합되어 세워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상측으로는 보조플레이트(110)가 복수의 지지로드(12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나란히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상기 회전샤프트(30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회전샤프트(300)의 하단에는 피니언(310)이 구비되면서 상기 장착블럭(200)의 관통공(201) 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안착대(400)는 계란(10)의 하단측 부위가 안착되도록 이루어진 구성으로써, 상기 회전샤프트(300)의 상측 끝단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하부안착대(400)는 상기 계란(10)의 하단측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혹은, 다각형의 통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개방된 상면에는 상기 계란(10)의 하단측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하는 고무재질의 가압부재(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가압부재(410)는 둘레측 부위가 상기 하부안착대(400)의 내주면에 압입 고정됨과 더불어 중앙에는 개구공(411)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공(411)이 형성된 부위로 갈수록 점차 하부로 볼록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하부안착대(400)의 저면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회전샤프트(300)의 상측 끝단이 수용된 상태로 압입 고정되는 고정허브(420)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허브(420)와 회전샤프트(300)의 상측 끝단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플라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안착대(500)는 상기 하부안착대(400)에 안착된 계란(10)의 상면을 파지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하부안착대(40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로 승강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안착대(500)는 상기 계란(10)의 상단측 일부가 수용되도록 저면이 개방된 원통 혹은, 다각형의 통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개방된 저면에는 상기 계란(10)의 상단측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하는 고무재질의 가압부재(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510)는 중앙에 개구공(511)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개구공(511)이 형성된 부위로 갈수록 점차 상부로 볼록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상부안착대(500)의 상면은 에어실린더(520)의 플런저(521)가 연결되어 상기 상부안착대(500)의 가압부재(510)가 계란(10)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추가적인 하향 이동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에어실린더(520)가 제공하는 완충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510)가 계란을 과도(계란의 파손이 야기될 우려가 있을 정도의 힘)하게 가압하지 않고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안착가이드(13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안착대(500)는 상기 안착가이드(130) 내에 수용되면서 하향 이동 거리가 제한된 상태로 승강 이동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에어실린더(520)는 상기 안착가이드(130)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착가이드(130)는 도시되지 않은 승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보조플레이트(110)로부터 승강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래크(600)는 상기 회전샤프트(300)의 피니언(310)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피니언(310)을 회전시켜 회전샤프트(300)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래크(600)는 상기 장착블럭(200)을 수평하게 관통하면서 상기 장착블럭(200)의 관통공(201) 내에 위치된 피니언(310)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래크(600)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310)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실린더(710,720)는 상기 래크(600)를 강제 이동시키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실린더(710,720)가 상기 래크(600)의 정방향 이동을 위해 구동되는 정방향 구동실린더(710)와, 상기 래크(600)의 역방향 이동을 위해 구동되는 역방향 구동실린더(720)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특히, 상기 정방향 구동실린더(710)는 제1연결부재(711)에 의해 상기 래크(60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역방향 구동실린더(720)는 제2연결부재(721)에 의해 상기 래크(600)의 타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연결부재(711) 및 제2연결부재(721)와의 연결 구조는 각 구동실린더(710,720)를 래크(600)의 양단에 직결식으로 구성할 경우 이러한 각 구동실린더(710,720)와 래크(600)의 길이만큼 장비가 양측으로 커지게 되는 단점을 보완한 구조이다.
특히, 상기 정방향 구동실린더(710) 및 역방향 구동실린더(720)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크(600)를 사이에 두고 나란히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계란 혼합기의 좌우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란 혼합기를 이용하여 계란을 파괴하지 않고 노른자와 흰자를 혼합하는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최초의 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안착대(500)가 하부안착대(40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의 상태에서 상기 하부안착대(400)의 가압부재(410) 상면에 계란(10)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계란(10)은 눕힌 상태로 안착시킬 수도 있으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대적으로 뾰족한 부위가 상부를 향하도록 세운 상태로 안착시킴을 그 예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계란(10)의 안착이 완료되면 승강실린더(도시는 생략됨)를 구동시켜 안착가이드(130)를 하향 이동시키며, 이러한 안착가이드(130)의 하향 이동에 의해 상기 안착가이드(130) 내에 수용된 상부안착대(500) 및 상기 안착가이드(130)의 상면에 구비된 에어실린더(520) 역시 하향 이동된다. 이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승강실린더는 상부안착대(500)의 가압부재(510)가 계란(10)의 상면에 밀착된 후 일정 높이만큼 추가 동작된 후 그 동작이 정지되도록 설정된다.
물론, 상기한 승강실린더의 동작 설정에 의해 상부안착대(500)의 가압부재(510)가 계란(10)의 상면에 밀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가압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상기 상부안착대(500)는 에어실린더(520)의 완충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상기 추가적인 가압력은 상기 에어실린더(520)에 의해 완충되어 상기 가압부재(510)가 계란(10)의 상면을 과도하게 가압하여 파손시키는 현상은 방지되면서도 상기 계란(10)의 정확한 파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계속해서, 상기한 상부안착대(500) 및 하부안착대(400)에 의한 계란(10)의 상하 파지가 완료되면 정방향 구동실린더(710)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정방향 구동실린더(710)의 동작에 의해 래크(600)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방향 구동실린더(710)의 플런저(711)가 이동되는 방향을 향해 함께 이동되며, 이의 과정에서 맞물려있던 피니언(310)을 순간적으로 강제 회전시킴에 따라 이 피니언(310)이 결합된 회전샤프트(300)의 순간적인 강제 회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샤프트(300)의 회전에 의한 하부안착대(400)와 계란(10) 및 상부안착대(500)의 순간적인 강제 회전이 이루어지며, 이로써 상기 계란(10) 내부의 노른자와 흰자에 대한 순간적인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방향 구동실린더(710)의 동작이 완료되면 역방향 구동실린더(720)이 구동되면서 래크(600)를 후퇴 이동시키고, 이로써 상기 회전샤프트(300)의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하부안착대(400)와 계란(10) 및 상부안착대(500)의 순간적인 역방향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계란(10) 내부의 노른자와 흰자에 대한 순간적인 혼합이 재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크(60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결국, 전술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계란(10)을 파괴하지 않은 상태로 노른자와 흰자의 혼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계란 혼합기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계란 혼합기의 정방향 구동실린더(710)에 의해 회전샤프트(300)가 순간적으로 고속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단 한번의 동작으로도 계란(10)의 혼합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써 역방향 구동실린더(720)는 실질적으로 필요치않다.
물론, 상기 정방향 구동실린더(710)의 구동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래크(600)의 원위치 복귀가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이러한 래크(60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해 상기 역방향 구동실린더(720)가 필요할 수 있으나 이러한 역방향 구동실린더(720) 대신 구동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샤프트(300)의 하측 끝단에 구동모터(730)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730)의 구동에 의해 래크(600)가 원위치로 원활히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730)와 회전샤프트(300)는 벨트(740)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동력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체인이나 기어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동력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계란 혼합기는 계란(10)을 파괴하지 않은 상태로 노른자와 흰자의 원활한 혼합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정방향 구동실린더(710) 및 역방향 구동실린더(720)로써 회전샤프트(300)를 순간적인 고속으로 동작시킴에 따라 계란(10)의 혼합을 위한 작업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계란 혼합기는 계란(10)이 하부안착대(400)와 상부안착대(500)의 가압부재(410,510)에 상하단이 가압된 상태를 이룸과 더불어 에어실린더(520)에 의한 정압을 유지하면서 파지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 그 회전시 슬립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상부안착대(500) 및 하부안착대(400)와 함께 정확히 회전될 수 있게 된다.
10. 계란 100. 베이스플레이트
110. 보조플레이트 120. 지지로드
130. 안착가이드 200. 장착블럭
201. 관통공 210. 하측 베어링
300. 회전샤프트 310. 피니언
400. 하부안착대 410,510. 가압부재
411,511. 개구공 420. 고정허브
500. 상부안착대 520. 에어실린더
521. 플런저 600. 래크
710. 정방향 구동실린더 711. 제1연결부재
720. 역방향 구동실린더 721. 제2연결부재
730. 구동모터 740. 벨트

Claims (5)

  1.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블럭;
    상기 장착블럭에 세워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피니언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의 상측 끝단에 고정 설치되면서 그의 상면으로는 계란의 하단측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개방된 상면에는 상기 계란의 하단측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하도록 중앙에 개구공이 형성되면서 상기 개구공이 형성된 부위로 갈수록 점차 하부로 볼록한 구조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계란의 저면을 파지하는 하부안착대;
    상기 하부안착대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계란의 상단측 일부가 수용되도록 저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개방된 저면에는 상기 계란의 상단측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하도록 중앙에 개구공이 형성되면서 상기 개구공이 형성된 부위로 갈수록 점차 상부로 볼록한 구조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부안착대에 안착된 계란의 상면을 파지하는 상부안착대;
    상기 회전샤프트의 피니언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면서 그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래크;
    상기 래크를 강제 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안착대의 상면은 에어실린더의 플런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혼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린더는
    제1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래크의 일단과 연결되면서 상기 래크의 정방향 이동을 위해 구동되는 정방향 구동실린더와,
    제2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래크의 타단과 연결되면서 상기 래크의 역방향 이동을 위해 구동되는 역방향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방향 구동실린더 및 역방향 구동실린더는 상기 래크를 사이에 두고 나란히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혼합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실린더는 제1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래크의 일단과 연결되면서 상기 래크의 정방향 이동을 위해 구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의 하측 끝단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혼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회전샤프트는 직결되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벨트나 기어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동력 전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혼합기.
KR1020160164091A 2016-12-05 2016-12-05 계란 혼합기 KR101973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091A KR101973781B1 (ko) 2016-12-05 2016-12-05 계란 혼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091A KR101973781B1 (ko) 2016-12-05 2016-12-05 계란 혼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017A KR20180064017A (ko) 2018-06-14
KR101973781B1 true KR101973781B1 (ko) 2019-04-29

Family

ID=6262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091A KR101973781B1 (ko) 2016-12-05 2016-12-05 계란 혼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449B1 (ko) * 2020-08-31 2022-02-07 이민엽 날계란 혼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4462B2 (ja) * 1995-07-07 1998-07-09 健一 成山 卵攪拌装置
KR20000008062A (ko) 1998-07-09 2000-02-07 김정배 노른자와 흰자를 섞은 계란 및 제조방법
TW201336453A (zh) * 2013-01-03 2013-09-16 Qiao-Fu Yang 可控制速度之攪拌容器結構
KR20140131246A (ko) 2013-05-02 2014-11-12 에그놀로지 리미티드 유통 기한, 영양 품질 및 외관을 유지하기 위한 껍질내 스크램블된 에그, 이러한 에그를 제조/처리하는 방법, 및 껍질내 에그 스크램블러
KR101620561B1 (ko) 2014-02-24 2016-05-12 박정우 흰자와 노른자가 섞인 계란의 제조장치
KR101589182B1 (ko) 2015-09-10 2016-01-28 (주)이엔푸드 날계란의 믹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017A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7369B2 (en) Hand-held blender
KR101973781B1 (ko) 계란 혼합기
US9808779B2 (en) Hand-held blender
CN202821023U (zh) 烹饪搅拌装置及应用其的烹饪设备
KR20130001534U (ko) 식품 가공처리기용 받침대
US10349781B2 (en) Rotor having freewheel
US20070215735A1 (en) Food processor drive assembly
KR200485390Y1 (ko) 자동 회전 밥주걱
CN108577595B (zh) 可拆卸式搅拌机及搅拌机的抬头机构
CN110051014B (zh) 水果削皮机
KR20210073229A (ko) 믹서기용 분쇄칼날 가공장치
CN108236413A (zh) 鸡蛋混合机
CN210520836U (zh) 一种黄金鸡蛋摇蛋器
CN109548808B (zh) 一种蛋饼智能加工设备
CN210643794U (zh) 一种手持式电动打蛋机
CN210470940U (zh) 水果削皮机
JP3212812U (ja) 調理補助装置
CN108742191B (zh) 可靠耐用的可拆卸式搅拌机
KR101304232B1 (ko) 탭핑기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스 금형
KR101145738B1 (ko) 과일 꼭지부 주변의 박피용 커터
JP2005192463A (ja) 菊練り機
EP3557738B1 (en) Magnetic transmission system, with associated magnetic drive device and beverage heating device employing such
CN210493687U (zh) 手持搅拌棒式果蔬榨汁装置
CN208956991U (zh) 一种进料口防卡料食品膨化机
CN214964868U (zh) 一种省力型打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