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288B1 - 드론 이착륙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 이착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288B1
KR101973288B1 KR1020170153499A KR20170153499A KR101973288B1 KR 101973288 B1 KR101973288 B1 KR 101973288B1 KR 1020170153499 A KR1020170153499 A KR 1020170153499A KR 20170153499 A KR20170153499 A KR 20170153499A KR 101973288 B1 KR101973288 B1 KR 101973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hole
extension member
drones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호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nchoring aircraft
    • B64F1/125Mooring or ground handling devices for 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H02J7/025
    • B64C2201/066
    • B64C2201/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은, 관통홀을 구비하는 드론 및 착륙패드와 상기 착륙패드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연장부재를 구비하는 착륙대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은 드론의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홀의 일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착륙대의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착륙패드를 기준으로 상하 수직 이동 가능하여 상기 드론이 착륙하는 경우 상기 연장부재는 위로 이동되고 상기 드론이 이륙하는 경우 상기 연장부재는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 이착륙 시스템{DRONE'S TAKING OFF AND LANDING SYSTEM}
아래의 실시예들은 드론 이착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군수산업에서 시작된 드론(drone)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말하며, 최근에는 상기 드론을 이용하여 군사적,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드론 수요증가 추세로 인하여 복수의 드론을 한번에 수용하고 운반할 수 있는 착륙장치가 필요하다. 이 경우 복수의 드론들을 수용할 공간 부족에 따라 드론들 간의 충돌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드론을 수용 및 운반할 경우, 드론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이들을 안전하게 수용 및 운반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1508호(Device for Firing Weapons from an Armed Drone, 2012.03.15.)에는 드론이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드론과 착륙대 사이에 와전류(Eddy Current) 또는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속도를 조절하여 착륙대로부터 드론의 빠른 이륙과 연착륙 구현이 가능한 드론 이착륙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삭제
뿐만 아니라, 변형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존의 드론에 탈부착될 수 있는 착륙모듈 및 착륙대를 포함함으로써, 본체에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기존의 드론에 대해서도 상기 효과들을 발생시킬 수 있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은, 관통홀을 구비하는 드론 및 착륙패드와 상기 착륙패드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연장부재를 구비하는 착륙대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은 드론의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홀의 일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착륙대의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착륙패드를 기준으로 상하 수직 이동 가능하여 상기 드론이 착륙하는 경우 상기 연장부재는 위로 이동되고 상기 드론이 이륙하는 경우 상기 연장부재는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드론에 상기 관통홀은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드론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하여 상기 드론에 자기 제동(magnetic braking)이 발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통홀에는 자성체 또는 전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재에는 비철도체가 배치되며, 상기 자성체 또는 상기 전자석과 상기 비철도체 사이에서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통홀에는 비철도체가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재에는 자성체 또는 전자석이 배치되며, 상기 자성체 또는 상기 전자석과 상기 비철도체 사이에서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관통홀에는 제1 전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재에는 제2 전자석이 배치되어, 상기 제1 전자석과 상기 제2 전자석의 자기장을 제어하여 상기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은, 드론에 탈부착되고 관통홀을 구비하는 착륙모듈 및 착륙패드와 상기 착륙패드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연장부재를 구비하는 착륙대를 포함한다.
상기 착륙모듈은, 관통홀이 형성된 복수의 관통부재 및 상기 복수의 관통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드론에 탈부착될 수 있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착륙모듈이 상기 드론에 부착된 경우,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할 때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 와전류(Eddy Current) 또는 자기장이 발생하여 드론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력을 지닌 소재로 형성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부재는 나사 조임을 통하여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 또는 상기 연장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자성체 또는 전자석이 배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비철도체가 배치되어, 상기 자성체 또는 상기 전자석과 상기 비철도체 사이에서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되고, 상기 드론에 자기 제동(magnetic braking)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관통홀에는 제1 전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재에는 제2 전자석이 배치되어, 상기 제1 전자석과 상기 제2 전자석의 자기장을 제어하여 상기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은, 드론과 착륙대 사이에 와전류(Eddy Current) 또는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속도를 조절하여 착륙대로부터 드론의 빠른 이륙과 연착륙 구현할 수 있다.
삭제
뿐만 아니라, 변형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은, 기존의 드론에 탈부착될 수 있는 착륙모듈 및 착륙대를 포함함으로써, 본체에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기존의 드론에 대해서도 상기 효과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1 및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륙대를 나타낸다.
도4 및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6 내지 도8은 변형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의 착륙모듈 및 상기 착륙모듈이 부착된 드론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 및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나타내며,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착륙대를 나타낸다. 도4 및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6 내지 도8은 변형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의 착륙모듈 및 상기 착륙모듈이 부착된 드론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은, 관통홀(130)을 구비하는 드론(100) 및 착륙패드(210)와 착륙패드(21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론(100)의 관통홀(130)을 통과하는 연장부재(220)를 구비하는 착륙대(200)를 포함한다. 착륙대(200)의 연장부재(220)가 드론(100)의 관통홀(130)을 통과하는 경우 관통홀(130)과 연장부재(220) 사이에 와전류(Eddy Current) 또는 자기장이 발생하여 드론(10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100)은, 본체(110), 본체(1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추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130)은 드론(100)의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본체(11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홀의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통홀(13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홀(130)이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필요에 따라 다각형 형상의 기둥의 모습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드론(100)에 형성된 관통홀(130)은 적어도 하나이거나 복수 개일 수 있다.
드론(100)의 관통홀(130)에는 자성체(14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홀(130)의 표면에는 자성체(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 개의 자성체(140)가 관통홀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성체(140)가 관통홀(140)의 표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자성체는 전자석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착륙대(200)는, 착륙패드(210) 및 착륙패드(210)의 일면에 구비되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장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연장부재(22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론(100)의 관통홀(13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필요에 따라 다각형 형상의 기둥의 모습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연장부재(220)에는 비철도체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재(220) 자체는 비철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장부재(220)의 표면에 별도로 복수의 비철도체(230)가 배치될 수 도 있다. 상기 비철도체에는 구리, 납, 주석, 아연, 금, 백금, 수은, 은과 같은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장부재(220)는 드론(100)에 형성된 관통홀(130)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착륙대(200)의 연장부재(220)는 착륙패드(210)를 기준으로 상하 수직 이동 가능하여, 드론(100)이 착륙하는 경우 연장부재(220)는 위로 이동되고, 드론(100)이 이륙하는 경우 연장부재(220)는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4를 참조하면, 드론(100)이 착륙대(200)에 착륙을 시도하는 경우, 착륙패드(210)의 하측에 구비된 제어부재(240)에 의하여 연장부재(220)가 착륙패드(210) 위로 이동된다. 그리하여, 연장부재(220)가 드론(100)의 관통홀(130)을 통과하는 경우, 관통홀(130)과 연장부재(220) 사이에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하여 드론(100)에 자기 제동(magnetic braking)이 발생될 수 있다.
즉, 드론(100)의 관통홀(130)이 착륙대(200)의 연장부재(220)을 지나는 동안, 드론(100)의 관통홀(130)에 배치된 자성체(140)와 착륙대(200)의 연장부재(220)에 배치된 비철도체 사이에서는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완전류(Eddy Current)라 함은 교류와 같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자계 내에 놓여진 도체(導體, conductor) 중에 전자 유도에 의해 생기는 전류를 의미하며, 와전류에 의해서 생기는 힘은 자기 제동(magnetic braking) 효과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론(100)의 관통홀(130)이 착륙대(200)의 연장부재(220)을 지나는 동안 완전류(Eddy Current)에 의한 자기 제동(magnetic braking) 효과가 발생함에 따라, 드론(100)이 무전원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착륙 시 착륙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삭제
도5를 참조하면, 드론(100)이 착륙대(200)로부터 이륙을 시도하는 경우, 착륙패드(210)의 하측에 구비된 제어부재(240)에 의하여 연장부재(220)가 착륙패드(210) 아래로 이동된다. 그리하여, 드론(100)의 이륙 시 관통홀(130)과 연장부재(220) 사이에서 발생되는 와전류(Eddy Current)에 의한 이륙속도 감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동은, 드론이 이착륙 하지 않는 경우, 연장부재(220)를 착륙패드(210)의 하측에 배치시킴으로써, 연장부재(22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는 반대로, 드론(100)의 관통홀(130) 표면에 비철도체가 배치되고, 착륙대(200)의 연장부재(220)에 자성체 또는 전자석이 배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 경우에도 드론(100)의 관통홀(130)이 착륙대(200)의 연장부재(220)을 지나는 동안, 드론(100)의 관통홀(130)에 배치된 비철도체와 착륙대(200)의 연장부재(220)에 배치된 자성체 또는 전자석 사이에서는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서 생기는 힘은 자기 제동(magnetic braking)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달리, 드론(100)의 관통홀(130)에는 제1 전자석이 배치되고, 연장부재(220)에는 제2 전자석이 배치되어, 제1 전자석과 제2 전자석의 자기장을 제어하여 드론(100)의 이륙 또는 착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석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원통 모양의 철심(鐵心)에 코일을 감아서 만든 솔레노이드가 될 수 있다. 원통형으로 감은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자기장이 형성되며, 그 속에 철심을 넣으면 더 강한 자기장을 얻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고안될 수 있는 전자석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전자석들을 구동시킴으로써 드론(100)의 이륙 또는 착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드론(100)이 착륙대(200)에 착륙하는 과정에서 드론(100)의 관통홀(130)이 착륙대(200)의 연장부재(220)을 지나는 동안, 제1 전자석과 제2 전자석의 극성을 제어함으로써, 제1 전자석과 제2 전자석 사이에 인력 또는 반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드론(100)이 착륙대(200)로 착륙하는 경우 드론(100)의 착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일한 원리를 이용하여, 드론(100)이 착륙대(200)로부터 이륙하는 과정에서 제1 전자석과 제2 전자석의 극성을 제어함으로써, 제1 전자석과 제2 전자석 사이에 인력 또는 반발력을 발생시켜 드론(100)의 이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삭제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변형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은, 드론(100)에 탈부착되고 관통홀(310)을 구비하는 착륙모듈(300) 및 착륙패드와 착륙패드의 일면에 구비되어 착륙모듈(300)의 관통홀(310)을 통과하는 연장부재를 구비하는 착륙대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6의 (a)와 같이, 착륙모듈(300)은 관통홀(311)이 형성된 관통부재(310) 및 관통홀(310)에 배치된 자성체(33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자성체가 전자석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은 착륙모듈(300)은 도6의 (b)와 같이,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기존의 드론(100)의 본체(110)의 일부에 직접 탈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륙모듈(300)은 드론의 본체(110) 측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착륙모듈(300)과 드론의 본체(110)를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고리 또는 나사조임 기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7의 (a) 및 도8의 (a)와 같이, 착륙모듈(300)은, 상기 관통부재(310) 및 복수의 관통부재(310)를 연결하고 드론(100)에 탈부착될 수 있는 연결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20)는 탄성력을 지닌 소재로 형성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하여, 연결부재(320)의 길이는 드론의 본체(110)의 너비보다 길게 이완된 후 관통부재(310)가 드론의 본체(110)의 측면에 배치된 때 다시 수축됨으로써, 도7의 (b) 및 도8의 (b)와 같이, 관통부재(310)를 드론의 본체(110) 측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연결부재(320)는 나사 조임을 통하여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즉, 연결부재(320)의 길이는 기본적으로 드론의 본체(110)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고, 관통부재(310)가 드론의 본체(110)의 측면에 배치된 때 나사 조임을 통하여 연결부재(320)의 길이를 드론의 본체(110)의 너비와 대응되도록 줄임으로써, 도7의 (b) 및 도8의 (b)와 같이, 관통부재(310)를 드론의 본체(110) 측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륙모듈(300)이 드론(100)에 부착된 경우, 착륙패드의 연장부재가 착륙모듈(300)의 관통홀(310)을 통과할 때, 착륙모듈(300)의 관통홀(310)에 배치된 자성체(330)과 착륙패드의 연장부재에 배치된 비철도체 사이에서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되고, 상기 드론에 자기 제동(magnetic braking)이 발생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는 반대로, 착륙모듈(300)의 관통홀(310)에 비철도체가 배치되고, 착륙대의 연장부재에 자성체 또는 전자석이 배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뿐만 아니라, 착륙모듈(300)의 관통홀(310)에는 제1 전자석이 배치되고, 착륙패드의 연장부재에는 제2 전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착륙모듈(300)이 드론(100)에 부착된 경우, 착륙모듈(300)의 제1 전자석과 착륙패드의 제2 전자석 사이에 자기장이 발생되고, 상기 자기장을 제어하여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은, 드론과 착륙대 사이에 와전류(Eddy Current) 또는 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드론의 이륙 또는 착륙 속도를 조절하여 착륙대로부터 드론의 빠른 이륙과 연착륙 구현할 수 있다.
삭제
뿐만 아니라, 변형 실시예에 따른 드론 이착륙 시스템은, 기존의 드론에 탈부착될 수 있는 착륙모듈 및 착륙대를 포함함으로써, 본체에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기존의 드론에 대해서도 상기 효과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드론
110 : 본체
120 : 추진부
130 : 관통홀:
140 : 자성체
200 : 착륙대
210 : 착륙패드
220 : 연장부재
230 : 비철도체
240 : 제어부재
300 : 착륙모듈
310 : 관통부재
311 : 관통홀
320 : 연결부재
330 : 자성체

Claims (11)

  1. 관통홀을 구비하는 드론; 및
    착륙패드 및 상기 착륙패드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연장부재를 구비하는 착륙대;
    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드론의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홀의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착륙대의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착륙패드를 기준으로 상하 수직 이동 가능하여, 상기 드론이 착륙 또는 이륙하는 경우 상기 연장부재는 선택적으로 위 또는 아래로 이동되며,
    상기 드론이 착륙하는 경우 상기 연장부재는 위로 이동되고,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드론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하여 상기 드론에 자기 제동(magnetic braking)이 발생되며,
    상기 드론이 이륙하는 경우 상기 연장부재는 아래로 이동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서 발생되는 와전류(Eddy Current)에 의한 이륙속도 감소가 제거될 수 있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는 자성체 또는 전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재에는 비철도체가 배치되며,
    상기 자성체 또는 상기 전자석과 상기 비철도체 사이에서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는 비철도체가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재에는 자성체 또는 전자석이 배치되며,
    상기 자성체 또는 상기 전자석과 상기 비철도체 사이에서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6. 삭제
  7. 드론에 탈부착되고, 관통홀을 구비하는 착륙모듈; 및
    착륙패드 및 상기 착륙패드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연장부재를 구비하는 착륙대;
    를 포함하고,
    상기 착륙대의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착륙패드를 기준으로 상하 수직 이동 가능하여, 상기 드론이 착륙 또는 이륙하는 경우 상기 연장부재는 선택적으로 위 또는 아래로 이동되며,
    상기 착륙모듈이 상기 드론에 부착된 경우,
    상기 드론이 상기 착륙대에 착륙할 때, 상기 연장부재는 위로 이동되고,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하여 상기 드론에 자기 제동(magnetic braking)이 발생되며,
    상기 드론이 상기 착륙대로부터 이륙할 때, 상기 연장부재는 아래로 이동되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서 발생되는 와전류(Eddy Current)에 의한 이륙속도 감소가 제거될 수 있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륙모듈은,
    관통홀이 형성된 복수의 관통부재; 및
    상기 복수의 관통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드론에 탈부착될 수 있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력을 지닌 소재로 형성되어 길이가 조절되거나, 나사 조임을 통하여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또는 상기 연장부재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자성체 또는 전자석이 배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비철도체가 배치되어, 상기 자성체 또는 상기 전자석과 상기 비철도체 사이에서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되고, 상기 드론에 자기 제동(magnetic braking)이 발생되는, 드론 이착륙 시스템.

  11. 삭제
KR1020170153499A 2017-11-17 2017-11-17 드론 이착륙 시스템 KR101973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499A KR101973288B1 (ko) 2017-11-17 2017-11-17 드론 이착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499A KR101973288B1 (ko) 2017-11-17 2017-11-17 드론 이착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288B1 true KR101973288B1 (ko) 2019-04-26

Family

ID=6628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499A KR101973288B1 (ko) 2017-11-17 2017-11-17 드론 이착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933B1 (ko) 2020-09-10 2020-12-29 황건호 드론용 도킹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982A1 (en) * 2015-02-24 2016-09-01 Airogistic,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and launch
JP2016175490A (ja) * 2015-03-19 2016-10-06 セコム株式会社 離着陸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982A1 (en) * 2015-02-24 2016-09-01 Airogistic,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and launch
JP2016175490A (ja) * 2015-03-19 2016-10-06 セコム株式会社 離着陸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933B1 (ko) 2020-09-10 2020-12-29 황건호 드론용 도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204B1 (ko) 드론 착륙 시스템
EP4279395A3 (en) System and method for damping oscillations of a payload
US20190009926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take-off and land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1973288B1 (ko) 드론 이착륙 시스템
PL2375532T3 (pl) Sterowanie układami indukcyjnego przesyłania energii
WO2015108607A3 (en) Cargo airship
US9205899B2 (en) Electromagnetic marine fender
EP3256359B1 (de) Schienengebundene magnetschwebebahn
WO2017027362A8 (en) Elevator linear propulsion system with cooling device
KR101193468B1 (ko) 소음방지형 변속 솔레노이드장치
KR20190114129A (ko) 자력이착륙형 드론장치
JP2017108480A (ja)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US3229582A (en) Mechanical pulse transformer
KR102501368B1 (ko) 드론의 충전 접속 장치
CN204659974U (zh) 一种船舶的船舷侧绳梯
JPH0516897A (ja) 離着陸補助装置
RU26310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адки самолета на корабль
WO2017200963A3 (en) Cable arrangement of an energy storage system
EP3324272A3 (en) Control of contact conditions for static esf
CN205499332U (zh) 一种无人飞行器
EP3924250A4 (en) POWER TRANSMISSION AEROPOWER UNIT (JET ENGINE OR ELECTRIC) AND EQUIPMENT FOR PARACHUTES AND PARAGLIDERS
RU2348886C2 (ru) Система для запуска артиллерийского снаряд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верхпроводника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запуска
RU2233420C2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электропитанием бортовой аппаратуры управляемой ракеты и управляемая ракета в транспортно-пусковом контейнере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393330B1 (ko) 드론장치
US3698660A (en) Variable magnetic hysteresis ro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