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021B1 -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태양 전지 - Google Patents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태양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021B1
KR101973021B1 KR1020170159954A KR20170159954A KR101973021B1 KR 101973021 B1 KR101973021 B1 KR 101973021B1 KR 1020170159954 A KR1020170159954 A KR 1020170159954A KR 20170159954 A KR20170159954 A KR 20170159954A KR 101973021 B1 KR101973021 B1 KR 101973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um dot
semiconductor layer
conductive layer
lay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석
정현
정소희
소혜미
정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5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H01L31/035209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omprising a quantum structures
    • H01L31/03521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omprising a quantum structures the quantum structure being quantum do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도전층, 상기 도전층 위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양자점, 상기 도전층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태양 전지{QUANTUM DOT PHOTO DIODE AND PHOTO SENSOR AND SOLAR CEL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태양 전지에 관한 것이다.
포토 다이오드 및 포토 트랜지스터와 같은 광 센서는 실리콘 및 III-V 족 화합물 반도체 기반의 3차원 결정으로 이루어지므로 광 센서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면 휘어지지 않고 쪼개진다. 따라서, 휘어지는 전자 소자에 이러한 포토 다이오드 및 포토 트랜지스터를 적용하기 어렵다.
그러나, 0, 1, 2 차원 나노 물질 등의 저차원 나노 물질로 이루어진 전자 소자의 경우, 쉽게 휘어지고 자유롭게 형상을 변화 시킬 수 있으므로 3차원 결정에 비해 적용 가능 범위가 넓다.
저 차원 나노 물질 중에서 0차원 물질인 양자점으로만 이루어진 포토 다이오드는 수 나노미터의 크기를 가지므로 휘어지는 전자 소자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0차원 물질인 양자점으로 이루어진 포토다이오드는 양자 효율은 높지만 캐리어 운송 과정에서 캐리어가 개별의 양자점을 뛰어 넘어야 하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이 1, 2, 3차원 물질에 비해서 떨어진다.
또한, 저 차원 나노 물질 중에서 2차원 시트 물질로만 이루어진 포토 다이오드는 수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지므로 휘어지는 전자 소자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2차원 시트 물질로만 이루어진 포토 다이오드는 캐리어 운송 원리를 예측할 수 있고 제어가 가능하지만 0차원 물질인 양자점으로만 이루어진 포토 다이오드에 비해 양자효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자 효율이 높고, 안정된 캐리어 운송 특성을 가지는 플렉서블한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태양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도전층, 상기 도전층 위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양자점, 상기 도전층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층은 상기 절연층과 접촉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판은 폴리에스터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도전층,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각각은 나노 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황화납(PbS) 양자점, 황화셀레늄(PbSe) 양자점, 황화구리인듐(CuInS2) 양자점, 텔루르화 수은(HgTe) 양자점, 황화수은(HgS) 양자점, InSb, HgTe/As2S3(코어쉘구조) 양자점, PbS/As2S3(코어쉘구조) 양자점, PbSe/ As2S3(코어쉘구조) 양자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은 칼코겐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 센서는 광을 수신하는 광 섬유, 상기 광 섬유에 연결된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에 연결되며 전기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도전층, 상기 도전층 위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양자점, 상기 도전층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광 섬유와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사이에 위치하는 분광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광 섬유에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감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각각은 나노 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도전층, 상기 도전층 위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양자점, 상기 도전층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각각은 나노 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는 1차원 물질인 양자점과 2차원 물질인 도전층, 절연층,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양자 효율이 높고, 안정된 캐리어 운송 특성을 가지면서 플렉서블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스펙트럼 영역의 빛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 전지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플렉서블하고 나노미터 스케일의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초 박막 태양전지, 바이오 센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분광기 광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는 기판(10), 도전층(21), 절연층(22), 반도체층(23), 양자점(30), 소스 전극(41) 및 드레인 전극(42)을 포함한다.
기판(10)은 플렉서블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0)은 폴리에스터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실란(polysilane), 폴리실록산(polysiloxane), 폴리실라잔(polysilazane), 폴리카르보실란(polycarbosilane), 폴리아크릴레이트 (polyacrylate),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polymethyl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acrylate),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polyethylacrylate),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polyethylmetacrylate), 사이클릭 올레핀 코폴리머(COC), 사이클릭 올레핀 폴리머(COP),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이미드(PI),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타이렌(PS),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스테르설폰(PE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퍼플루오로알킬 고분자(PFA), 스타이렌아크릴나이트릴코폴리머(SA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층(21)은 기판 위에 위치하며, 박막 형상을 가지고 수 나노 미터(nm)의 두께를 가지므로 휘어질 수 있다. 도전층(21)은 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22)은 도전층(21) 위에 위치하며, 박막 형상을 가지고, 수 나노 미터(nm)의 두께를 가지므로 휘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23)은 절연층(22) 위에 위치하며, 박막 형상을 가지고, 수 나노 미터(nm)의 두께를 가지므로 휘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23)은 칼코겐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23)은 가시 광선 영역(750nm 내지 800nm)의 밴드갭(band gap)을 가진다.
도전층(21)은 절연층(22)과 접촉하고, 절연층(22)은 반도체층(23)과 접촉하여 도전층-절연층-반도체층이 순서대로 접합된 이종 접합 구조를 이룬다. 도전층(21), 절연층(22), 반도체층(23)은 2차원 물질로 이루어진 2차원 박막을 이룬다. 이러한 2차원 박막은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캐리어 터널링 현상에 의해 종래의 p-n 접합 또는 쇼트키(Schottky) 접합 구조보다 높은 전류 흐름을 가질 수 있다. 즉, 2차원 박막으로 이루어진 도전층-절연층-반도체층이 순서대로 접합된 이종 접합 구조의 포토 다이오드는 종래의 p-n 접합 다이오드에 비해 정류 작용이 개선되고 전류 흐름이 현저히 높아진다.
양자점(30)은 반도체층(23) 위에 위치하며 반도체층(23)과 접촉할 수 있다. 양자점(30)은 평면상 절연층(22) 및 도전층(21)과 중첩할 수 있다. 그리고, 양자점(30)은 절연층(22) 및 도전층(21)과 접촉하지 않는다.
양자점(30)은 황화납(PbS) 양자점, 황화셀레늄(PbSe) 양자점, 황화구리인듐(CuInS2) 양자점, 텔루르화 수은(HgTe) 양자점, 황화수은(HgS) 양자점, InSb, HgTe/As2S3(코어쉘구조) 양자점, PbS/As2S3(코어쉘구조) 양자점, PbSe/ As2S3(코어쉘구조) 양자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자점(30)은 대부분 다수 운반자가 정공인 p형 반도체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양자점(30)은 용액상에서 특정 전구체를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양자점(30)은 스핀 코팅법을 이용하여 도전층-절연층-반도체층이 순서대로 접합된 이종 접합 구조 위에 도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양자점(30)에 입사된 광은 양자점(30) 및 반도체층(23) 모두에 의해 광 전류를 생성한다. 광 전류는 절연층(22) 및 도전층(21)에서 캐리어 터널링 현상에 의해 안정적으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양자점(30)은 가시광선 영역에서부터 근적외선 영역(400nm 내지 1500nm)까지 이르는 밴드갭(band gap)을 가지므로, 가시광선 영역 내지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시 광선 영역의 밴드갭을 가지는 반도체층(23)과 가시광선 영역 내지 근적외선 영역의 밴드갭을 가지는 양자점(30)이 서로 접촉하여 결합됨으로써, 보다 넓은 스펙트럼 영역에서 고효율로 광을 흡수할 수 있다.
반도체층(23)과 양자점(30)이 서로 결합하여 함께 고효율로 광을 흡수하고, 광 전류를 생성하며, 생성된 광 전류는 도전층(21), 절연층(22), 반도체층(23)이 순서대로 접합된 이종 접합 구조를 통해 운반되므로, 캐리어 터널링에 의해 광 전류를 안정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는 1차원 물질인 양자점(30)과 2차원 물질인 도전층(21), 절연층(22), 반도체층(23)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넓은 스펙트럼 영역의 광을 흡수하여 높은 광 전류를 얻을 수 있어 안정된 캐리어 운송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양자점(30)은 1차원 물질이고, 도전층(21), 절연층(22), 반도체층(23)은 2차원 물질이므로, 쉽게 휘어질 수 있다.
소스 전극(41)은 기판(10) 위에 위치하며, 도전층(21)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42)은 반도체층(23)에 연결될 수 있다. 양자점(30)은 드레인 전극(42)과 접촉하지 않는다. 소스 전극(41) 및 드레인 전극(42)은 서로 마주보고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소스 전극(41) 및 드레인 전극(42)은 금(Au)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센서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를 포함하는 광 센서(200)는 빛을 수신하는 광 섬유(110), 광 섬유(110)에 연결된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 그리고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에 연결되며 전기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120)를 포함한다.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 도전층(21), 절연층(22), 반도체층(23), 양자점(30), 소스 전극(41) 및 드레인 전극(42)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41)은 광 섬유(110)에 연결되고, 드레인 전극(42)은 감지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는 1차원 물질인 양자점(30)과 2차원 물질인 도전층(21), 절연층(22), 반도체층(23)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양자 효율이 높고, 안정된 캐리어 운송 특성을 가지므로, 광 섬유(110)로 입사된 빛 신호를 감지부(120)에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분광기 광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분광기를 추가한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분광기 광 센서(300)는 광 섬유(110)와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 사이에 분광기(130)가 더 위치할 수 있다. 분광기(130)는 광 섬유(110)에 의해 전달된 빛 신호를 파장별로 구분시킨다. 따라서, 분광기 광 센서(300)는 광 섬유(110)로 입사된 광 신호의 스펙트럼 측정을 감지부(120)에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가 광센서에 적용되었으나, 본 발명의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가 태양 전지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400)는 제1 전극(141), 제1 전극(141)과 대향하는 제2 전극(142), 제1 전극(141)과 제2 전극(142) 사이에 위치하는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 그리고 제1 전극(141) 및 제2 전극(142)에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전극(141)과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 사이에는 제1 연결부(151)가 위치하고, 제2 전극(142)과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 사이에는 제2 연결부(152)가 위치한다.
제1 전극(141)은 제1 연결부(151)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와 연결되며, 제2 전극(142)은 제2 연결부(152)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와 연결된다.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 도전층(21), 절연층(22), 반도체층(23), 양자점(30), 소스 전극(41) 및 드레인 전극(42)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41)은 제1 연결부(151)에 연결되고, 드레인 전극(42)은 제2 연결부(152)에 연결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부(160)는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에서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다.
이러한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는 1차원 물질인 양자점(30)과 2차원 물질인 도전층(21), 절연층(22), 반도체층(23)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양자 효율이 높고, 안정된 캐리어 운송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100)에서 수광한 광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부(160)에 대량으로 신속하게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스핀 코터 20: 양자점 용액 공급 장치
30: 제2 리간드 공급 장치 40, 50: 세척 장치
100: 전극 기판 110: 실리콘 기판
120: 실리콘 산화막 131: 게이트 전극
132: 소스 전극 133: 드레인 전극
140: 양자점층 150: 원자층

Claims (15)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도전층,
    상기 도전층 위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양자점,
    상기 도전층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양자점은 평면상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는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2. 제1항에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절연층과 접촉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3. 제1항에서,
    상기 양자점은 상기 드레인 전극과 접촉하지 않는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4. 제1항에서,
    상기 기판은 폴리에스터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상인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5. 제1항에서,
    상기 도전층,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각각은 1 내지 9 나노 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6. 제1항에서,
    상기 양자점은 황화납(PbS) 양자점, 황화셀레늄(PbSe) 양자점, 황화구리인듐(CuInS2) 양자점, 텔루르화 수은(HgTe) 양자점, 황화수은(HgS) 양자점, InSb, HgTe/As2S3(코어쉘구조) 양자점, PbS/As2S3(코어쉘구조) 양자점, PbSe/ As2S3(코어쉘구조) 양자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7. 제1항에서,
    상기 도전층은 그래핀을 포함하는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8. 제1항에서,
    상기 반도체층은 칼코겐화물을 포함하는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9. 광을 수신하는 광 섬유,
    상기 광 섬유에 연결된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에 연결되며 전기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도전층,
    상기 도전층 위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양자점,
    상기 도전층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양자점은 평면상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는 광 센서.
  10. 제9항에서,
    상기 광 섬유와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사이에 위치하는 분광기를 더 포함하는 광 센서.
  11. 제9항에서,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광 섬유에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감지부에 연결되는 광 센서.
  12. 제9항에서,
    상기 도전층,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각각은 1 내지 9 나노 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광 센서.
  13.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도전층,
    상기 도전층 위에 위치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양자점,
    상기 도전층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에 연결되는 드레인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양자점은 평면상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는 태양 전지.
  14. 제13항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그리고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스 전극은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는 태양 전지.
  15. 제14항에서,
    상기 도전층, 상기 절연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각각은 1 내지 9 나노 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태양 전지.
KR1020170159954A 2017-11-28 2017-11-28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태양 전지 KR101973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54A KR101973021B1 (ko) 2017-11-28 2017-11-28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태양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54A KR101973021B1 (ko) 2017-11-28 2017-11-28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태양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021B1 true KR101973021B1 (ko) 2019-04-26

Family

ID=6628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954A KR101973021B1 (ko) 2017-11-28 2017-11-28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태양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0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147A (ko) * 2019-07-16 2021-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양자점을 이용한 광센서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광센서
KR102567236B1 (ko) * 2022-02-09 2023-08-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 게이트 효과를 이용한 이단자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3200A1 (en) * 2001-01-09 2002-08-22 Hajjar Roger A. Fiber optic signal detector with two switchable input channels
KR20090029613A (ko) * 2007-09-18 2009-03-23 최현환 나노 광 검출 소자 및 그 구동방법, 이를 구비한 이미지센서
KR20120088841A (ko) * 2004-07-01 2012-08-08 배리언 메디컬 시스템즈, 인크. 연속적인 막들을 사용하는 집적된 mis 광감성 소자
US20150318401A1 (en) * 2012-12-21 2015-11-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ertically stacked heterostructures including graphene
US20160005894A1 (en) * 2013-03-22 2016-01-07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Method of manufacturing a monolayer graphene photodetector and monolayer graphene photodetector
US20160020352A1 (en) * 2014-07-15 2016-01-21 Fundació Institut de Ciéncies Fotóniques Optoelectronic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3200A1 (en) * 2001-01-09 2002-08-22 Hajjar Roger A. Fiber optic signal detector with two switchable input channels
KR20120088841A (ko) * 2004-07-01 2012-08-08 배리언 메디컬 시스템즈, 인크. 연속적인 막들을 사용하는 집적된 mis 광감성 소자
KR20090029613A (ko) * 2007-09-18 2009-03-23 최현환 나노 광 검출 소자 및 그 구동방법, 이를 구비한 이미지센서
US20150318401A1 (en) * 2012-12-21 2015-11-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ertically stacked heterostructures including graphene
US20160005894A1 (en) * 2013-03-22 2016-01-07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Method of manufacturing a monolayer graphene photodetector and monolayer graphene photodetector
US20160020352A1 (en) * 2014-07-15 2016-01-21 Fundació Institut de Ciéncies Fotóniques Optoelectronic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ominik Kufer et al., "Hybrid 2D-0D MoS2-PbS Quantum Dot Photodetectors", Adv. Mater., Vol.27, pp.176-180* *
Hyun Jeong et al., "Metal-Insulator-Semiconductor Diode Consisting of Two-Dimensional Nanomaterials", NanoLetters, Vol.16, pp.1858-186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147A (ko) * 2019-07-16 2021-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양자점을 이용한 광센서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광센서
KR102664336B1 (ko) 2019-07-16 2024-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양자점을 이용한 광센서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광센서
KR102567236B1 (ko) * 2022-02-09 2023-08-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 게이트 효과를 이용한 이단자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n et al. A photoconductor intrinsically has no gain
JP6130456B2 (ja) 受発光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センサ装置
CN105830233B (zh) 受光发光元件模块以及使用该受光发光元件模块的传感器装置
Yuan et al. Flexible photodetectors on plastic substrates by use of printing transferred single-crystal germanium membranes
Islam et al. Atomic layer GaSe/MoS2 van der Waals heterostructure photodiodes with low noise and large dynamic range
JP4296252B2 (ja) 光検出素子
Otuonye et al. Ge nanowire photodetector with high photoconductive gain epitaxially integrated on Si substrate
Mukherjee et al. Highly responsive, polarization sensitive, self-biased single GeO2-Ge nanowire device for broadband and low power photodetectors
Cheng et al. Self-powered and broadband photodetectors based on graphene/ZnO/silicon triple junctions
KR20130048629A (ko) 도파로 일체형 그래핀 광검출기
KR101973021B1 (ko) 양자점 포토 다이오드,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태양 전지
Lin et al. Performance investigation of pin ZnO-based thin film homojunction ultraviolet photodetectors
Hartmann et al. GaAs/AlGaAs resonant tunneling diodes with a GaInNAs absorption layer for telecommunication light sensing
Tang et al. Graphene/HgTe quantum-dot photodetectors with gate-tunable infrared response
Dhar et al. High responsivity, low dark current, heterogeneously integrated thin film Si photodetectors on rigid and flexible substrates
Nguyen et al. Generation of a charge carrier gradient in a 3C-SiC/Si heterojunction with asymmetric configuration
JP2015223404A (ja) センサおよび肌情報検出方法
Holmér et al. Enhancing the nir photocurrent in single GaAs nanowires with radial pin junctions by uniaxial strain
An et al. High-sensitivity and mechanically compliant flexible ge photodetectors with a vertical p–i–n configuration
Lee et al. Photovoltaic response of transparent Schottky ultraviolet detectors based on graphene-on-ZnO hexagonal rod arrays
JP5970370B2 (ja) 受発光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センサ装置
Shin et al. Dual-surface lens with ring-shaped structures for optical tuning of GaN ultraviolet photodetectors at low temperature
Heves et al. Highly responsive, solution-based Al/PbS and Au-Ti/PbS Schottky photodiodes for SWIR detection
US20140050621A1 (en) Biosensor and biomaterial dete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15067843A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cting phot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