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880B1 - 포션팩용 고정캡 - Google Patents

포션팩용 고정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880B1
KR101972880B1 KR1020170163429A KR20170163429A KR101972880B1 KR 101972880 B1 KR101972880 B1 KR 101972880B1 KR 1020170163429 A KR1020170163429 A KR 1020170163429A KR 20170163429 A KR20170163429 A KR 20170163429A KR 101972880 B1 KR101972880 B1 KR 101972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astening
pack
unit
wa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림
Original Assignee
(주)황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황초원 filed Critical (주)황초원
Priority to KR1020170163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880B1/ko
Priority to CN201880003549.2A priority patent/CN109715522B/zh
Priority to PCT/KR2018/002568 priority patent/WO2018174429A1/ko
Priority to EP18770921.7A priority patent/EP3604171A4/en
Priority to JP2020501106A priority patent/JP7133869B2/ja
Priority to US16/496,637 priority patent/US113838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션팩용 고정캡은, 외측면에 제1 스크류가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포션팩을 생수용기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캡으로서,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그 내측면에 상기 생수용기의 입구에 형성된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2 스크류가 형성된 내삽부; 상기 내삽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3 스크류가 형성된 외삽부; 및 상기 내삽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공이 마련된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의 원주상에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션팩용 고정캡{HOLDERCAP FOR PORTION PACK}
본 발명은 물에 희석하여 마실 수 있는 커피, 허브차 등이 수용된 포션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어 물에 희석하여 마실 수 있는 커피, 허브차가 액상으로 수용된 포션팩이 알려져 있다. 통상 포션팩은 액상 농축액을 수용하여 이를 별도의 용기에 수용된 물에 희석하여 음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포션팩에 수용된 액상 농축액을 별도의 용기에 담아 물에 희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 때문에, 음용자는 포션팩에 수용된 농축액을 희석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를 마련해야 하고, 또 농축액이 흘러나와 주변이 오염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된다.
또한, 1회용 포션팩에 수용된 농축액을 음용하기 위한 적절한 물의 양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용자가 항상 적당한 물의 양을 조절하기는 어렵다. 특히, 약용 성분을 가진 허브 또는 약초는 비카페인 건강 재료로 각광받고 있는데, 이러한 허브 또는 약초를 안전하게 섭취 및 그 효능을 내기 위해서는 적절한 물의 양을 음용자가 정확하게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하기 간편하고,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생수병을 활용하여 음용가능하고, 생수용기와 체결 후 뒤집어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용자가 액상 농축액 또는 고형 티백 제품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션팩에 체결 가능하도록 고안된 고정캡을 제공하며, 유통 중에 온도변화로 인해 고정캡 상부를 밀봉하는 실링재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션팩용 고정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휴대용 음료용기를 이용하여 음료를 음용할 때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특히 허브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포션팩 내부의 액체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포션팩용 고정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는, 외측면에 제1 스크류가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체결부;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티백 또는 농축액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포션팩과,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그 내측면에 생수용기의 입구에 형성된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2 스크류가 형성된 내삽부; 상기 내삽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3 스크류가 형성된 외삽부;를 포함하는 고정캡을 포함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삽부는 상기 외삽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스크류가 형성된 외삽부의 일영역 및 상기 제2 스크류가 형성된 내삽부의 일영역이, 상기 내삽부 및 상기 외삽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수직선(V)과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중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휴대용 음료용기에서, 상기 고정캡은, 상기 내삽부의 하단에 배치된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캡은, 상기 제2 스크류가 형성된 상기 내삽부의 내측면과 이격되고 상기 생수용기의 입구 내측으로 끼워지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션팩은, 상기 수직선(V)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대하여 대칭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외측면에 제1 스크류가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티백 또는 농축액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포션팩을 생수용기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캡을 제공한다.
여기서, 고정캡은,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그 내측면에 상기 생수용기의 입구에 형성된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2 스크류가 형성된 내삽부; 상기 내삽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3 스크류가 형성된 외삽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삽부는 상기 외삽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스크류가 형성된 외삽부의 일영역 및 상기 제2 스크류가 형성된 내삽부의 일영역이, 상기 내삽부 및 상기 외삽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수직선(V)과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중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고정캡은, 상기 내삽부의 하단에 배치된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캡은, 상기 제2 스크류가 형성된 상기 내삽부의 내측면과 이격되고 상기 생수용기의 입구 내측으로 끼워지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션팩용 고정캡은, 외측면에 제1 스크류가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포션팩을 생수용기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캡으로서,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그 내측면에 상기 생수용기의 입구에 형성된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2 스크류가 형성된 내삽부; 상기 내삽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3 스크류가 형성된 외삽부; 및 상기 내삽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공이 마련된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의 원주상에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에 형성된 상기 단턱부는 각각의 곡률중심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교대로 배치된 것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직경이 2mm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내삽부의 상단 및 상기 외삽부의 상단 사이에 요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내삽부의 상단 및 상기 외삽부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일회용 생수병을 이용하여, 다양한 허브 및 약초를 희석하여 음용하기 편리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포션팩은 각종 허브 및 약초에 적절한 용량의 액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으므로, 음용자가 해당 허브 및 약초의 효능을 음용하기 적절한 양의 물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을 이용하면 포션팩을 일회용 생수용기와 체결한 후 뒤집어 배치하더라도 구조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에 수용된 티백 및 농축액을 보다 편리하게 희석하여 음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를 생수용기와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캡의 절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캡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는, 포션팩(100) 및 고정캡(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션팩(100)은, 체결부(10) 및 수용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10)는 그 외벽면에 제1 스크류(11)가 형성된 단면이 원형인 관 형상을 가지며, 후술하는 고정캡(300)를 통해 생수용기(200)와 체결된다. 그리고, 수용부(20)는 그 내부에 티백 또는 농축액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수용부(20)는 체결부(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체결부(10)로부터 연장되어 바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다. 특히, 포션팩(100)은 대량생산을 위하여 블로우 몰딩(BLOW MOLDING)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블로우 몰딩법은, 압출 도는 사출에 의해 튜브상으로 예비 성형한 후 이를 금형에 끼워서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어 부풀게 한 다음, 냉각 고화시켜 특정한 형태의 고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션팩(100)은 블로우 몰딩법에 의해 제조한 후, 체결부(10)의 외측면에 제1 스크류(11)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블로우 몰딩법에 의해 포션팩(100)을 제조하면 제품의 생산속도 및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데, 일반적인 사출 성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포션팩(100) 내면에 스크류를 형성해야 하므로 제품의 생산속도가 저하되고 생산단가가 대폭 증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300)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포션팩(100)의 체결부(10)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그 내측면에 생수용기(200)의 입구에 형성된 스크류(201)와 체결되는 제2 스크류(311)가 형성된 내삽부(310)와, 이 내삽부(3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포션팩(100)의 체결부(10)에 형성된 제1 스크류(11)와 체결되는 제3 스크류(321)가 형성된 외삽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내삽부(310)는 생수용기(200)의 입구의 외경에 끼워질 수 있는 치수의 내경을 갖는 단면이 원형인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내삽부(3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외삽부(320)는 내부에 내삽부(310)가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포션팩(100)의 체결부(10)가 끼워질 수 있는 치수의 내경을 갖도록 단면이 원형인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를 사용할 때, 도 1에서 보듯이, 먼저 포션팩(100)의 체결부(10)에 형성된 제1 스크류(11)를 고정캡(300)의 외삽부(320)에 형성된 제3 스크류(321)에 체결한다. 이때, 외삽부(320) 및 내삽부(310)는, 제3 스크류(321)가 형성된 외삽부(320)의 일영역 및 제2 스크류(311)가 형성된 내삽부(310)의 일영역이, 내삽부(310) 및 외삽부(320)의 중심을 관통하는 수직선(V)과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즉, 측면에서 바라 볼 때)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다. 특히, 외삽부(320) 및 내삽부(310) 사이에는 포션팩(100)의 체결부(10)가 삽입되어, 제1 스크류(11) 및 제3 스크류(321)의 체결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 후, 고정캡(300)의 내삽부(310)에 마련된 제2 스크류(311)를 생수용기(200)의 입구에 마련된 스크류(201)에 체결한다. 이때, 생수용기(200)의 입구 내측에는, 슬리브(340)가 끼워져서 견고하고 고정된다. 슬리브(340)는, 제2 스크류(311)가 형성된 상기 내삽부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340)에 의해, 고정캡(300) 및 생수용기(200)가 더욱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340)는 생수용기(200)의 입구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므로, 고정캡(300)을 통해 상호 체결된 포션팩(100) 및 생수용기(200)를 도 1과 같이 뒤집어서 배치할 때, 생수용기(200)에 담긴 생수(미도시)가 체결부(10)를 통해 수용부(20)로 유입되도록 안내된다.
한편, 일반적인 생수용기(200)의 입구에 형성된 스크류(201)는 오른나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삽부(310)에 형성된 제2 스크류(311)는 스크류(201)에 체결가능한 암나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포션팩(100)의 체결부(10)에 형성된 제1 스크류(11)도 오른나사로 형성될 수 있고, 외삽부(320)에 형성된 제3 스크류(321)는 제1 스크류(11)와 체결가능한 암나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스크류(311) 및 제3 스크류(321)를 모두 오른나사로 형성하면, 고정캡(300)의 외삽부(320)를 먼저 포션팩(100)에 체결한 다음, 다시 고정캡(300)의 내삽부(310)를 생수용기(200)에 체결하는 과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포션팩(100), 고정캡(300) 및 생수용기(200)를 체결한 상태에서, 포션팩(100)이 아래에 배치되도록 뒤집으면, 생수용기(200)에 수용된 생수가 체결부(10)를 거쳐 수용부(20) 내부로 유입된다. 이를 통해, 수용부(20) 내부에 배치된 티백 또는 농축액이 물과 희석된다. 이와 같이 사용할 때, 음용자는 티백 또는 농축액이 충분히 희석되도록, 도 1과 같은 상태로 상당시간 유지하게 되는데, 포션팩(100)의 바닥면(30)은 생수용기(200)가 뒤집어 배치된 상태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게 충분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0)는 그 직경(D2)이 체결부(10) 측의 직경(D1)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구(10) 측보다 수용부(20) 측에 더 많은 양의 액체가 존재하게 되어 무게중심이 수용부(20) 측에 오게 된다. 따라서, 생수용기(200)를 뒤집어 배치된 상태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20)의 직경(D2)은 체결구(10)로부터 바닥부(30)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용부(20)의 외곽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농축액이 생수용기(200) 측으로 흐르는 액체의 흐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300)을 사용하면 생수용기(200)를 뒤집어 배치된 상태가 더욱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포션팩(100)과 체결되는 외삽부(320) 및 생수용기(200)와 체결되는 내삽부(310)가 수직선(V)과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체 용기의 무게중심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생수용기(200)에 체결된 포션팩(100)을 뒤집어서 배치(즉, 포션팩(100)이 아래에 오도록 배치)하는 경우, 전체 용기의 배치상태를 균형있게 유지하기 위하여, 포션팩(100)은 수직선(V)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대하여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300)은, 내삽부(310)의 하단에 배치된 필터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330)는, 포션팩(100)에 수용된 티백 또는 농축액의 고상 물질이 생수용기(2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생수용기(200)에 수용된 이물질이 포션팩(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다만, 액상의 생수, 농축액, 또는 희석액은 필터부(330)를 경유하여 반대측으로 유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포션팩(100)의 바닥부(30)에는 서로 다른 포션팩이 서로 적층될 수 있도록 끼움홈(3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끼움홈(31)은 다른 포션팩의 체결부 상단의 외경 또는 고정캡(300)의 외삽부(320)의 외경과 대략 일치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31)을 이용하면, 고정캡(300)이 체결된 상태 또는 고정캡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의 복수의 포션팩이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휴대용 음료용기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다양한 허브 및 약초 성분에 맞추어 수용부의 용량을 선택하여 포션팩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음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포션팩(100)에 맞게 물을 부어 사용함으로써, 적절량의 물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일회용 생수용기와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음용자가 별도의 용기를 마련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만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다.
세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는, 생수병과 체결되어 마개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음료를 덜어 마시는 컵 용도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생수병과 체결된 상태에서 뒤집어 배치하는 경우, 생수병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뒤집어 배치된 전체 용기의 무게 중심이 낮게 설계되어 있어서,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네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를 구성하는 포션팩은 일반 사출 또는 압출에 의하지 않고 블로우 몰딩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공정이 더욱 간편하고 그 제조단가를 더욱 낮출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를 구성하는 포션팩 및 이에 사용되는 고정캡을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는 체결부(10) 및 수용부(20)가 마련된 포션팩(100)과, 생수용기와 체결하여 사용가능한 고정캡(300)과, 고정캡(300)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4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400)는 도 3에서 보듯이, 외삽부(320)의 상단(320a) 주변에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320b)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20) 내에는 허브, 티백, 농축액 등이 수용된 상태로 유통되므로, 수용부(20)에 담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고정캡(300) 상단을 별도의 실링재(350)로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조 과정 혹은 유통 중에 온도변화에 따라 실링재(350) 또는 고정캡(300)이 수축 및 팽창하면서 벗겨질 수 있다. 그로 인해 수용부(20)에 담긴 내용물이 유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캡(300) 상부에서 실링재(350)가 접착되는 부위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실링재(350)의 밀봉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삽부 상단(310a) 및 외삽부 상단(320a)에 각각 실링재(350)를 이중으로 접착한다. 실링재(350)가 균일하게 접착되도록, 내삽부 상단(310a) 및 외삽부 상단(320a)을 동일한 높이로 형성한다. 그리고, 내삽부 상단(310a) 및 외삽부 상단(320a) 사이에는 요홈(G)을 형성한다. 요홈(G)은 고정캡(300) 상부면의 원둘레를 따라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홈(G)을 형성하면, 온도 변화에 따른 실링재(350)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밀봉이 해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할 때, 생수용기(200) 및 포션팩(100) 사이에 액체가 유동되게 하기 위해서, 내삽부(310)의 하면에 형성된 필터부(330)에 복수의 관통공(331)이 마련된다. 이때, 생수용기(200)를 고정캡(300)에 체결하면 포션팩(100) 및 생수용기(200)가 연결된 내부 공간이 밀봉 상태가 되는데, 관통공(331)의 직경이 2mm 이상이 되어야 액체가 포션팩(100) 혹은 생수용기(200) 측으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액체의 유동량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주어진 면적에 관통공(331)의 개수를 최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서 보듯이, 복수의 관통공(331)을 육방밀집구조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복수의 관통공(331)을 육방밀집구조로 배치하면, 사용자가 포션팩(100) 내부의 음료를 음용할 때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액체가 흘러나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수용부(20)에는 허브가 수용될 수 있는데, 필터부(330)에 형성된 관통공(331)이 허브에 의해 막혀서 액체의 유동을 저해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관통공(331)의 주변에 원호형상의 단턱부(332)가 마련될 수 있다. 단턱부(332)는 관통공(331)의 둘레에 형성되는데, 대략 180도 이하의 원호 길이로 형성되며, 내삽부(310)이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턱부(332)를 형성하면, 허브가 관통공(331) 주변에 달라 붙더라도 단턱부(332)의 높이로 인해 틈새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관통공(331)이 완전히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이웃하는 복수의 관통공(331)에 각각 형성된 단턱부(332)는 각각의 곡률중심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즉, 도 4에서 보듯이, 단턱부(332)의 배향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함으로써, 이웃하는 관통공(331) 사이에 허브가 달라 붙더라도 관통공(331)들을 완전히 밀폐하지 못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외측면에 제1 스크류가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포션팩을 생수용기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캡으로서,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그 내측면에 상기 생수용기의 입구에 형성된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2 스크류가 형성된 내삽부;
    상기 내삽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3 스크류가 형성된 외삽부; 및
    상기 내삽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공이 마련된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육방밀집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공 각각의 원주상에 상기 포션팩 측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는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180도 이하의 원호길이로 형성되되 이웃하는 상기 단턱부 각각의 곡률중심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캡.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직경이 2mm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삽부의 상단 및 상기 외삽부의 상단 사이에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캡.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삽부의 상단 및 상기 외삽부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캡.
KR1020170163429A 2017-03-23 2017-11-30 포션팩용 고정캡 KR101972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29A KR101972880B1 (ko) 2017-11-30 2017-11-30 포션팩용 고정캡
CN201880003549.2A CN109715522B (zh) 2017-03-23 2018-03-05 包括定量包装及固定帽的便携式饮料容器
PCT/KR2018/002568 WO2018174429A1 (ko) 2017-03-23 2018-03-05 포션팩 및 고정캡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용기
EP18770921.7A EP3604171A4 (en) 2017-03-23 2018-03-05 PORTABLE DRINK CONTAINER INCLUDING INDIVIDUAL PACKAGING AND FIXING CAP
JP2020501106A JP7133869B2 (ja) 2017-03-23 2018-03-05 ポーションパック及び固定キャップを含む携帯用飲料容器
US16/496,637 US11383883B2 (en) 2017-03-23 2018-03-05 Portable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portion pack and fixing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29A KR101972880B1 (ko) 2017-11-30 2017-11-30 포션팩용 고정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880B1 true KR101972880B1 (ko) 2019-04-26

Family

ID=6628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429A KR101972880B1 (ko) 2017-03-23 2017-11-30 포션팩용 고정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633B1 (ko) * 2019-06-21 2020-10-23 (주)황초원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5810A (ja) * 2007-05-31 2008-12-11 Yoshino Kogyosho Co Ltd 抽出容器
JP6111205B2 (ja) * 2011-03-08 2017-04-05 シーエスピー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調合製品用の蓋・容器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5810A (ja) * 2007-05-31 2008-12-11 Yoshino Kogyosho Co Ltd 抽出容器
JP6111205B2 (ja) * 2011-03-08 2017-04-05 シーエスピー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調合製品用の蓋・容器アセンブ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633B1 (ko) * 2019-06-21 2020-10-23 (주)황초원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WO2020256451A3 (ko) * 2019-06-21 2021-04-15 (주)황초원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39600A1 (en) Multi-compartment drink bottle
US9526363B2 (en) Drinking apparatus
ES2926910T3 (es) Accesorio para un recipiente flexible
US20170055743A1 (en) Drinking Apparatus
KR101528199B1 (ko) 용기의 마개
KR101916400B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EP2653405A1 (en) Drinks bottle
US7165697B1 (en) Concentric two-compartment drinking vessel
KR101972880B1 (ko) 포션팩용 고정캡
PL195182B1 (pl) Butelka z kubkiem na napoje
KR101576977B1 (ko) 다용도 뚜껑을 갖는 다용도 물통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CN110035956A (zh) 用于饮料容器的一次性盖
KR20180041634A (ko) 보온병
JP7133869B2 (ja) ポーションパック及び固定キャップを含む携帯用飲料容器
KR101959279B1 (ko) 포션팩 및 고정캡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용기
KR101628344B1 (ko) 용기 캡
KR102169633B1 (ko)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KR20180001679U (ko) 일회용 포션팩
AU2005100079A4 (en) Improved bottle
CN206596914U (zh) 可快速降温的水杯
JP2001048244A (ja) 筒状保冷具
KR200474750Y1 (ko) 컵의 상단에 결합하여 이종의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용기
KR101590815B1 (ko) 음료 냉매 기능을 하는 나무모양 기구
RU2276048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жидко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