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633B1 -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 Google Patents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633B1
KR102169633B1 KR1020190074172A KR20190074172A KR102169633B1 KR 102169633 B1 KR102169633 B1 KR 102169633B1 KR 1020190074172 A KR1020190074172 A KR 1020190074172A KR 20190074172 A KR20190074172 A KR 20190074172A KR 102169633 B1 KR102169633 B1 KR 102169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ircular
main surface
holes
wa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림
Original Assignee
(주)황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황초원 filed Critical (주)황초원
Priority to KR1020190074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633B1/ko
Priority to PCT/KR2020/007941 priority patent/WO2020256451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션팩용 고정캡은, 외측면에 제1 스크류가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포션팩을 생수용기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캡으로서,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그 내측면에 상기 생수용기의 입구에 형성된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2 스크류가 형성된 내삽부; 및 상기 내삽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3 스크류가 형성된 외삽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삽부에는 상기 포션팩의 내측을 향하는 제1 주면 및 상기 생수용기의 내측을 향하는 제2 주면을 포함하는 필터부가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의 중심 영역에 상기 제1 주면 및 상기 제2 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원형 관통공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제1 주면 및 상기 제2 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장타원형 관통공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HOLDERCAP FOR PORTION PACK, IMPROVING FLOWABILITY}
본 발명은 물에 희석하여 마실 수 있는 커피, 허브차 등이 수용된 포션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어 물에 희석하여 마실 수 있는 커피, 허브차가 액상으로 수용된 포션팩이 알려져 있다. 통상 포션팩은 액상 농축액을 수용하여 이를 별도의 용기에 수용된 물에 희석하여 음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포션팩에 수용된 액상 농축액을 별도의 용기에 담아 물에 희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 때문에, 음용자는 포션팩에 수용된 농축액을 희석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를 마련해야 하고, 또 농축액이 흘러나와 주변이 오염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된다.
또한, 1회용 포션팩에 수용된 농축액을 음용하기 위한 적절한 물의 양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용자가 항상 적당한 물의 양을 조절하기는 어렵다. 특히, 약용 성분을 가진 허브 또는 약초는 비카페인 건강 재료로 각광받고 있는데, 이러한 허브 또는 약초를 안전하게 섭취 및 그 효능을 내기 위해서는 적절한 물의 양을 음용자가 정확하게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휴대하기 간편하고,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생수병을 활용하여 음용 가능하며, 생수용기와 체결 후 뒤집어 배치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는 휴대용 음료용기가 개발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72880호에 개시된 포션팩용 고정캡은, 휴대용 음료용기를 이용하여 음료를 음용할 때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특히 허브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포션팩 내부의 액체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포션팩용 고정캡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포션팩용 고정캡은, 밀폐된 2개의 용기(즉, 포션팩 및 생수용기) 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는 체결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고정캡에는 생수용기(또는 포션팩)에 수용된 액체가 포션팩(또는 생수용기)으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원형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용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포션팩 및 생수용기 중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유동되는 액체의 흐름성을 더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중에 유통되는 생수용기는 다양한 치수를 갖는다. 만약 생수용기에 체결되는 고정캡의 치수가 생수용기의 치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수용기를 뒤집어 배치할 때 액체가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다양한 종류의 생수용기의 치수에 맞추어 고정캡을 생산해야 한다면, 제조비용이 증가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생수병을 활용하여 음용 가능하고, 생수용기와 체결 후 뒤집어 배치하는 경우에 포션팩에 수용된 액체가 생수용기 측으로 유동되는 액체의 흐름성이 대폭 개선된, 휴대용 음료용기의 포션팩용 고정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치수의 생수용기에 체결하더라도 액체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포션팩용 고정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션팩용 고정캡은, 외측면에 제1 스크류가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포션팩을 생수용기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캡으로서,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그 내측면에 상기 생수용기의 입구에 형성된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2 스크류가 형성된 내삽부; 및 상기 내삽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3 스크류가 형성된 외삽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삽부에는 상기 포션팩의 내측을 향하는 제1 주면 및 상기 생수용기의 내측을 향하는 제2 주면을 포함하는 필터부가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의 중심 영역에 상기 제1 주면 및 상기 제2 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원형 관통공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제1 주면 및 상기 제2 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장타원형 관통공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원형 관통공은 육방밀집구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장타원형 관통공은, 각각의 장축이 상기 필터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원형 관통공 각각의 원주상에 상기 제1 주면으로부터 상기 포션팩의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는 상기 원형 관통공의 둘레에 180도 이하의 원호길이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상기 단턱부 각각의 곡률 중심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필터부의 상기 제2 주면에, 상기 복수의 원형 관통공 및 상기 복수의 장타원형 관통공을 내측에 포함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누수방지범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누수방지범프의 지름은 상기 제2 스크류의 내측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누수방지범프가 상기 제2 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제2 스크류의 나사산이 시작되는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2 스크류의 나사산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꼴 나사산의 밑변의 길이는 상기 제2 스크류의 피치 길이의 1/2 이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외측면에 제1 스크류가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포션팩과, 상기 포션팩을 생수용기에 체결하기 위한 상술한 고정캡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일회용 생수병을 이용하여, 다양한 허브 및 약초를 희석하여 음용하기 편리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포션팩은 각종 허브 및 약초에 적절한 용량의 액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으므로, 음용자가 해당 허브 및 약초의 효능을 음용하기 적절한 양의 물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을 이용하면 포션팩을 일회용 생수용기와 체결한 후 뒤집어 배치하는 경우, 포션팩(또는 생수용기)으로부터 생수용기(또는 포션팩)로 흐르는 액체의 흐름성이 대폭 향상되어, 사용자가 포션팩에 티백 및 농축액을 보다 편리하게 희석하여 음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포션팩용 고정캡은, 시중에 유통되는 다양한 치수의 생수용기에도 액체의 누수없이 공통으로 사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W-W 절개선을 따라 바라 본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는, 체결부(10) 및 수용부(20)가 마련된 포션팩(100)과, 생수용기와 체결하여 사용가능한 고정캡(300)과, 고정캡(300)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4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400)는, 도 1에서 보듯이, 외삽부(320)의 상단 주변에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320a)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포션팩(100)은, 체결부(10) 및 수용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10)는 그 외벽면에 제1 스크류(11)가 형성된 단면이 원형인 관 형상을 가지며, 고정캡(300)를 통해 생수용기(미도시)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20)는 그 내부에 티백 또는 농축액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수용부(20)는 체결부(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체결부(10)로부터 연장되어 바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다. 특히, 포션팩(100)은 대량생산을 위하여 블로우 몰딩(BLOW MOLDING)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블로우 몰딩법은, 압출 또는 사출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예비 성형한 후, 이를 금형에 끼워서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어 부풀게 한 다음, 냉각 고화시켜 특정한 형태의 고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션팩(100)은 블로우 몰딩법에 의해 제조한 후, 체결부(10)의 외측면에 제1 스크류(11)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출 성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포션팩(100) 내면에 스크류를 형성해야 하므로 제품의 생산속도가 저하되고 생산단가가 증가하지만, 상술한 블로우 몰딩법에 의해 포션팩(100)을 제조하면 제품의 생산속도를 향상시키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3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캡(300)은, 포션팩(100)의 체결부(10)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그 내측면(310a)에 생수용기(미도시)의 입구에 형성된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2 스크류(311)가 형성된 내삽부(310)와, 이 내삽부(3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포션팩(100)의 체결부(10)에 형성된 제1 스크류(11)와 체결되는 제3 스크류(321)가 형성된 외삽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내삽부(310)는 생수용기 의 입구의 외경에 끼워질 수 있는 치수의 내경을 갖는 단면이 원형인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내삽부(3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외삽부(320)는 내부에 내삽부(310)가 배치되도록 중첩되게 형성되며, 포션팩(100)의 체결부(10)가 끼워질 수 있는 치수의 내경을 갖도록 단면이 원형인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용기는, 먼저 포션팩(100)의 체결부(10)에 형성된 제1 스크류(11)를 고정캡(300)의 외삽부(320)에 형성된 제3 스크류(321)에 체결한다. 이때, 외삽부(320) 및 내삽부(310)는, 제3 스크류(321)가 형성된 외삽부(320)의 일영역 및 제2 스크류(311)가 형성된 내삽부(310)의 일영역이, 내삽부(310) 및 외삽부(320)의 중심을 관통하는 수직선(V)과 직교하는 평면 상에서 (즉, 측면에서 바라 볼 때)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다. 특히, 외삽부(320) 및 내삽부(310) 사이에는 포션팩(100)의 체결부(10)가 삽입되어, 제1 스크류(11) 및 제3 스크류(321)의 체결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내삽부(310)에는 포션팩의 내측을 향하는 제1 주면(331) 및 생수용기의 내측을 향하는 제2 주면(332)을 포함하는 필터부(330)가 마련된다. 그리고, 필터부(330)의 중심 영역에는, 제1 주면(331) 및 제2 주면(332)을 관통하는 복수의 원형 관통공(340)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액체 유동구가 마련된다. 아울러, 필터부(33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제1 주면(331) 및 제2 주면(332)을 관통하는 복수의 장타원형 관통공(350)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공기 유동구가 마련된다.
여기서, 복수의 원형 관통공(340)은, 고정캡(300)을 이용하여 생수용기 및 포션팩(100)을 체결한 상태에서, 액체가 양측으로 원활하게 유동되게 하는 액체 유동구로 기능한다. 생수용기 및 포션팩을 고정캡(300)에 체결하면, 포션팩(100) 및 생수용기가 연결된 내부 공간이 밀봉 상태가 되는데, 이때 원형 관통공(340)을 통해 액체가 포션팩(100) 혹은 생수용기 측으로 원활하게 유동된다. 아울러, 액체의 유동량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주어진 면적에 원형 관통공(340)의 개수를 최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서 보듯이, 복수의 원형 관통공(340)은 육방밀집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포션팩(100) 내부의 음료를 생수용기 측으로 유동시킬 때,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액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수용부(20)에는 허브가 수용될 수 있는데, 필터부(330)에 형성된 원형 관통공(340)이 허브에 의해 막혀서 액체의 유동을 저해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 관통공(340) 각각의 원주상에 제1 주면(331)으로부터 포션팩(100)의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341)가 마련될 수 있다. 단턱부(341)는 원형 관통공(340)의 둘레에 형성되는데, 대략 180도 이하의 원호 길이로 형성되며, 필터부(330)의 제1 주면(33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단턱부(341)를 형성하면, 허브가 원형 관통공(340) 주변에 달라 붙더라도, 단턱부(341)의 높이로 인해 틈새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원형 관통공(340)이 완전히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이웃하는 복수의 관통공(340)에 각각 형성된 단턱부(341)는 각각의 곡률중심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즉, 도 3에서 보듯이, 단턱부(341)의 배향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하면, 이웃하는 원형 관통공(340) 사이에 허브가 달라 붙더라도 원형 관통공들(340)이 완전히 밀폐되지는 않는다.
한편, 필터부(330)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장타원형 관통공(350)은 공기의 유동구로서 기능한다. 즉, 생수용기 및 포션팩이 체결된 상태에서, 포션팩(또는 생수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생수용기(또는 포션팩)로 액체가 유동될 때, 생수용기(또는 포션팩)에 포함된 공기가 장타원형 관통공(350)을 통해 포션팩(또는 생수용기)으로 유동된다. 생수용기 및 포션팩이 체결된 상태에서는 완전히 밀폐된 구조가 되는데, 액체가 유동되는 측에 포함된 공기가 반대측으로 유동되게 하여, 액체의 흐름성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예컨대, 생수용기 및 포션팩을 체결하여 밀폐된 상태에서는, 포션팩에 수용된 액체(물)가 생수용기로 원활하게 유동되기 위해서, 생수용기 내부의 공기가 포션팩 측으로 유동되어야 한다. 장타원형 관통공(350)은 액체가 유동되는 원형 관통공(340) 주변에 형성되어, 원형 관통공(340)을 통해 액체가 유동되는 동안에 그 주변을 통해 공기가 역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한다. 실험결과, 원형 관통공(340)만을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장타원형 관통공(350)을 형성한 경우에는 월등히 빠른 속도로 액체의 흐름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원형 관통공(340)만을 형성한 경우와 달리, 생수용기 내부의 공기가 장타원형 관통공(350)을 통해 포션팩으로 원활하게 유동되게 함으로써 생수용기 내부의 공기압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특히, 장타원형 관통공(350)은, 각각의 장축(351)이 필터부(330)의 중심(V)을 기준으로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 관통공(340)을 통해 액체가 유출될 때 형성되는 소용돌이의 주변을 따라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게 함으로써, 공기 및 액체의 흐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장타원형 관통공(350)의 장축(351)의 길이는 원형 관통공(340)의 지름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장타원형 관통공(350)을 통해 유동되는 단위시간당 공기의 유동량이 원형 관통공(340)을 통해 유동되는 단위시간당 액체의 유동량보다 크게 함으로써, 공기압에 의한 저항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필터부(330)의 제2 주면(332)에는 복수의 원형 관통공(340) 및 복수의 장타원형 관통공(350)을 내부에 포함하는 누수방지범프(3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누수방지범프(360)는, 필터부(330)의 중심(V)을 기준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수방지범프(360)는 다양한 치수의 생수용기에 대응하여, 생수용기의 입구 주변에 밀착되어 액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누수방지범프(360)의 지름(D1)은 제2 스크류(311)의 내측지름(D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수방지범프(360)가 제2 주면(332)으로부터 돌출된 높이(H1)는 제2 스크류(311)의 나사산이 시작되는 지점(S)의 높이(H2)보다 작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누수방지범프(360)의 높이(H1)는 1mm 이내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구의 직경이 다양한 서로 다른 생수용기에 동일한 고정캡을 체결하더라도, 누수방지범프(360)가 생수용기의 입구 상단에 밀착되어 액체가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스크류(311)의 나사산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다리꼴 나사산의 밑변의 길이(B)는 제2 스크류(311)의 피치 길이(P)의 1/2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다양한 치수의 스크류가 형성된 서로 다른 생수용기에 고정캡을 적용하더라도, 고정캡과 생수용기의 치수 공차를 극복하고 양자의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외측면에 제1 스크류가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포션팩을 생수용기에 체결하기 위한 고정캡으로서,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 내부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그 내측면에 상기 생수용기의 입구에 형성된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2 스크류가 형성된 내삽부; 및
    상기 내삽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포션팩의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스크류와 체결되는 제3 스크류가 형성된 외삽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삽부에는 상기 포션팩의 내측을 향하는 제1 주면 및 상기 생수용기의 내측을 향하는 제2 주면을 포함하는 필터부가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의 중심 영역에는 상기 제1 주면 및 상기 제2 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원형 관통공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제1 주면 및 상기 제2 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장타원형 관통공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장타원형 관통공 각각의 장축의 길이는 상기 원형 관통공의 지름보다 큰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형 관통공은 육방밀집구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타원형 관통공은, 각각의 장축이 상기 필터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형 관통공 각각의 원주상에 상기 제1 주면으로부터 상기 포션팩의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는 상기 원형 관통공의 둘레에 180도 이하의 원호길이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상기 단턱부 각각의 곡률 중심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캡.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상기 제2 주면에, 상기 복수의 원형 관통공 및 상기 복수의 장타원형 관통공을 내측에 포함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누수방지범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캡.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범프의 지름은 상기 제2 스크류의 내측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누수방지범프가 상기 제2 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상기 제2 스크류의 나사산이 시작되는 지점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캡.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류의 나사산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꼴 나사산의 밑변의 길이는 상기 제2 스크류의 피치 길이의 1/2 이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캡.
  8. 외측면에 제1 스크류가 형성된 원형 관 형상의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포션팩과,
    상기 포션팩을 생수용기에 체결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캡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용기.
KR1020190074172A 2019-06-21 2019-06-21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KR102169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172A KR102169633B1 (ko) 2019-06-21 2019-06-21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PCT/KR2020/007941 WO2020256451A2 (ko) 2019-06-21 2020-06-19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172A KR102169633B1 (ko) 2019-06-21 2019-06-21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633B1 true KR102169633B1 (ko) 2020-10-23

Family

ID=7303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172A KR102169633B1 (ko) 2019-06-21 2019-06-21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9633B1 (ko)
WO (1) WO2020256451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880B1 (ko) * 2017-11-30 2019-04-26 (주)황초원 포션팩용 고정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78Y1 (ko) * 2007-12-20 2008-08-20 (주)아이아 커뮤니케이션 생수병용 병뚜껑
EP2683621B1 (en) * 2011-03-08 2016-07-27 CSP Technologies, Inc. Cap and container assembly for a dosage product
KR200466851Y1 (ko) * 2011-10-11 2013-05-13 최덕규 복수의 수용부가 마련되는 포장용기
KR20180001679U (ko) * 2016-11-29 2018-06-07 (주)황초원 일회용 포션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880B1 (ko) * 2017-11-30 2019-04-26 (주)황초원 포션팩용 고정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6451A2 (ko) 2020-12-24
WO2020256451A3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1684B (zh) 具有多位置选择器的液体分配容器
RU2713343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выдачи жидкости с многопозиционным клапаном и трубочкой для питья
CA2835097C (en) Pressure equalization apparatus for a bottle
US20040124170A1 (en) Spill proof cap for different sized bottle openings
US8235239B2 (en) Dual chamber bott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000866A1 (en) Dual cavity sports bottle with source selecting closure
US10897981B2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straw
CN103826982A (zh)
US8684205B2 (en) Pressure equalization apparatus for a bottle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JP2004523439A (ja) 飲用カップ
WO2014011523A1 (en) Wine and liquor aerator fitment
CA2600354A1 (en) Spout fitting apparatus and container
US20150360804A1 (en) Dual compartment bottle with dual delivery systems
KR102169633B1 (ko)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US20210001360A1 (en) Probe
CN100422061C (zh) 带有管嘴组件的三角形-四面体容器及其制造方法
KR101972880B1 (ko) 포션팩용 고정캡
US9896248B2 (en) Bar bottle
CN109715522B (zh) 包括定量包装及固定帽的便携式饮料容器
US20170036804A1 (en) Beverage container
TW202030130A (zh) 吸嘴
JP7168778B2 (ja) 容器および容器を形成する方法
KR101959279B1 (ko) 포션팩 및 고정캡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용기
US20140339253A1 (en) Liquid pourer
JPS5938360Y2 (ja) ビ−ル注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