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478Y1 - 생수병용 병뚜껑 - Google Patents

생수병용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478Y1
KR200441478Y1 KR2020070020408U KR20070020408U KR200441478Y1 KR 200441478 Y1 KR200441478 Y1 KR 200441478Y1 KR 2020070020408 U KR2020070020408 U KR 2020070020408U KR 20070020408 U KR20070020408 U KR 20070020408U KR 200441478 Y1 KR200441478 Y1 KR 200441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coupling
bottle
bottled water
bott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성
이호
Original Assignee
(주)아이아 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아 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아이아 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2020070020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4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4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수병용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병목부 상단에 결합용 수나사가 구비되는 생수병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생수병용 병뚜껑에 있어서, 내주면에 상기 결합용 수나사와 맞물리는 결합용 암나사를 구비하는 결합원통부와, 내부에 음용제가 투입될 수 있는 음용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원통부 상부에 배치되는 음용제 수납부, 및 상기 결합원통부와 음용제 수납부의 경계에 위치하며,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한투과형 격벽을 포함하는 주 뚜껑; 상기 음용제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음용제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구매한 생수를 그대로 마시거나, 용이한 방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음용제를 투입하여 차나 음료수를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음료를 모두 구매할 필요없이 생수 하나로 다양한 미각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어, 비용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음용제 수납공간, 제한투과형 격벽, 커버, 부착식 커버시트, 음용제

Description

생수병용 병뚜껑{BOTTLE CAP FOR SPRING WATER BOTTLE}
도 1은 생수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PET병과 병뚜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의 커버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생수병 30: 병목부
40: 결합용 수나사 100, 100', 100": 생수병용 병뚜껑
105: 원통형 여유공간 110, 110', 110": 음용제 수납공간
115: 티백수용공간 120, 120', 120": 결합원통부
125, 125', 125": 결합용 암나사 130, 130": 음용제 수납부
130': 음용제 수납부재 133: 유동촉진용 홈
135: 커버결합용 수나사 137: 돌기
140, 140', 140": 제한투과형 격벽 145, 145', 145": 관통공
150, 150', 150": 주 뚜껑 160: 폐쇄평면부
165: 결합돌기 수용레일 170: 커버
170', 170": 부착식 커버시트 173: 개폐용 손잡이
175: 커버결합용 암나사 177: 힌지
185: 고정용 후크 200: 음용제
220: 소원통부 225: 결합돌기
230: 파지용 연장부
본 고안은 생수병용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수병에 담긴 생수를 마시다가도 기호에 따라 음료분말 또는 입차나 티백 등의 음용제를 생수와 혼합하거나 접촉하게 하여 음료수 또는 차를 만들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로 인해 수돗물이나 지하수에 대한 신뢰가 떨어짐에 따라 식수로서의 생수의 비중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 할 수 있다. 또한, 참살이로 표현될 수 있는 삶의 지향성 변화로 인해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는 측면에서 생수의 보급증가는 더욱 탄력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운전중이나 등산과 같은 레저활동 중, 또는 출퇴근이나 통학과 같은 일반적인 이동중에도 마트와 같은 곳에서 손쉽게 구매할 수 있는 생수를 휴대하는 경우가 보편화되고 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생수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PET병과 병뚜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PET병(10)과 입구(15)를 막는 병뚜껑(20)으로 포장되어 판매되는 생수는 생수만을 마실 수 있을 뿐 소비자의 다양한 미각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때로는 단순한 생수가 아니라 차를 마시고 싶을 수도 있고, 음료수를 마시고 싶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생수와는 별도 로 차나 음료수를 구매하여 휴대하거나, 불편하지만 생수병의 좁은 입구를 통해 가루형태의 음료분말이나 티백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해결해야만 했던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여러 음료를 함께 휴대하게 되면 무게 부담의 가중으로 인해 휴대를 불편하게 하는 장애요소로 작용하게 되며, 불편하더라도 좁은 입구를 통해 음료분말이나 티백을 투입하는 방식을 일단 사용할 수는 있지만 예를 들어 잎차(葉茶)와 같은 음용제를 투입하여 차를 우려먹는 것은 불가능한 등 여러 불편함을 야기하는 요소가 상존하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구매한 생수병에 담긴 생수를 기호에 따라 그대로 마시거나, 다양한 종류의 음용제를 투입하여 차나 음료수를 만들어 먹기 용이하도록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병목부 상단에 결합용 수나사가 구비되는 생수병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생수병용 병뚜껑에 있어서,
내주면에 상기 결합용 수나사와 맞물리는 결합용 암나사를 구비하는 결합원 통부와,
내부에 음용제가 투입될 수 있는 음용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원통부 상부에 배치되는 음용제 수납부, 및
상기 결합원통부와 음용제 수납부의 경계에 위치하며,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한투과형 격벽을 포함하는 주 뚜껑; 및
상기 음용제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음용제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음용제 수납부는 상기 결합원통부 보다 확장되어 내부에 상기 음용제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외주면 상단부에 커버결합용 수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결합용 수나사와 맞물리는 커버결합용 암나사를 구비하여, 나사결합방식으로 상기 음용제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용제 수납부는, 상기 제한투과형 격벽 직상부에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여유공간 및 이 원통형 여유공간 상부에서 확장되어 내부에 티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박스형으로 형성되는 티백수용공간으로 구분되는, 상기 음용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힌지를 통해 상기 음용제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음용제 수납공간을 힌지방식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음용제 수납부는 물의 소통을 돕기 위해 상기 티백수용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동촉진용 홈을 구비하여, 상기 음용제 수납공간을 이루는 상기 티백수용공간과 상기 원통형 여유공간 간의 유동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병목부 상단에 결합용 수나사가 구비되는 생수병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생수병용 병뚜껑에 있어서,
내주면에 상기 결합용 수나사와 맞물리는 결합용 암나사를 구비하는 결합원통부와, 결합원통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평면부로 이루어지는 주뚜껑;
상기 결합원통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소원통부와,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소원통부의 하단부는 막는 제한투과형 격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음용제가 투입될 수 있는 음용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소원통부의 상단부가 상기 폐쇄평면부의 저면에 밀착되어 밀폐형으로 고정되는 음용제 수납부재; 및
상기 제한투과형 격벽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관통공을 차단하는 부착식 커버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
병목부 상단에 결합용 수나사가 구비되는 생수병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생수병용 병뚜껑에 있어서,
내주면에 상기 결합용 수나사와 맞물리는 결합용 암나사를 구비하는 결합원통부와,
내부에 음용제가 투입될 수 있는 음용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원통부 상부에 배치되는 음용제 수납부, 및
상기 결합원통부와 음용제 수납부의 경계에 위치하며,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 하는 제한투과형 격벽을 포함하는 주 뚜껑; 및
상기 제한투과형 격벽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관통공을 차단하는 부착식 커버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음용제 수납부는 상기 결합원통부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식 커버시트는 부착시 주뚜껑의 결합원통부 아래까지 연장되는 파지용 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의 커버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100)은 병목부(30) 상단에 결합용 수나사(40)가 구비되는 생수병(10)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구비하는 주 뚜껑(150)과,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개폐하는 커버(17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주 뚜껑(150)은 결합원통부(120)와, 음용제 수납부(130), 및 결 합원통부(120)와 음용제 수납부(130)을 구분하는 제한투과형 격벽(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결합원통부(120)는 생수병(10)의 병목부(30) 상단에 구비되는 결합용 수나사(40)와 맞물리게 되는 결합용 암나사(125)를 내주면에 구비한다. 또한, 음용제 수납부(130)는 음용제가 투입될 수 있는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내부에 구비하며, 결합원통부(120)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말하는, 음용제(200)는 가루형태의 음료분말, 티백, 잎차 등 생수에 혼합되거나 접촉하여 음료수 또는 차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종류의 기호품들 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원통부(120)와 음용제 수납부(130)를 구분하는, 제한투과형 격벽(140)은 결합원통부(120)와 음용제 수납부(130)의 경계에 위치하며, 다수의 관통공(145)을 구비한다. 이 관통공(145)은, 본 고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100)을 생수병(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생수병(10)을 흔들 경우, 생수가 음용제 수납공간(1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되며,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음료분말과 같은 음용제(200)가 투입되는 경우, 음용제(200)가 중력에 의하거나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유입되었던 생수와 함께 생수병(10) 속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된다. 한편, 티백이나 잎차 등의 음용제(200)가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투입되는 경우에는, 생수만 관통공(145)을 통해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출입할 수 있게 되고, 차를 우려낸 이후에도 음용제(200)는 여전히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남아있게 됨에 따라, 다기를 사용하여 차를 우려내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차를 우려먹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커버(170)는 음용제 수납부(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음용제 수납 공간(110)에 음용제(200)를 투입하기 위해 개폐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100)의 주 뚜껑(150)은 결합원통부(120) 보다 확장되어 내부에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구비하고, 외주면 상단부에 커버결합용 수나사(135)를 구비하는 음용제 수납부(130)를 구비하며, 커버(170)는 커버결합용 수나사(135)와 맞물리는 커버결합용 암나사(175)를 구비하여, 나사결합방식으로 음용제 수납부(130)의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개폐하게 된다.
다른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100)의 주 뚜껑(150)에 구비되는 음용제 수납부(130)는, 제한투과형 격벽(140)의 직상부에서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여유공간(105)과, 이 원통형 여유공간(105) 상부에서 확장되어 내부에 티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박스형으로 형성되는 티백수용공간(115)을 포함하는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구비한다. 즉, 음용제 수납공간(110)은 원통형 여유공간(105)과 티백수용공간(115)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70)는 힌지(177)를 통해 음용제 수납부(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힌지방식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100)은, 모든 종류의 음용제(200)를 투입하여 음료수나 차를 만들 수 있지만, 보편적으로 유통되는 사각봉지형의 티백을 수납하기에 특히 적당하도록 구성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 뚜껑(150)의 음용제 수납부(130)는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구성하는 티백수용공간(115)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동촉진용 홈(133)을 구비한다. 이 유동촉진용 홈(133)은 음용제 수납공간(110) 내에서의 물의 소통을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구성하는 티백수용공간(115)과 원통형 여유공간(105) 간의 유동을 촉진하여, 음용제(200)와 생수의 원활한 혼합이나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커버(170)는 힌지(177) 반대측의 선단부에 고정용 후크(185)를 구비하고, 주 뚜껑(150)의 대응하는 부분에는 후크(185)와 맞물리는 돌기(137)를 구비하여, 커버(170)의 폐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용제(200)를 투입하기 위해 커버(170)를 개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커버(170)의 선단부 양측면에 구비되는 개폐용 손잡이(173)를 상방으로 가볍게 밀어올리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커버(170)를 개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100)은, 반복적으로 다수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구매한 생수의 병뚜껑을 제거한 다음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즉, 기호에 따라 생수를 먹고 싶은 경우 생수를 섭취하다가, 다른 음료수나 차를 먹고 싶은 경우, 커버(170)를 개방하여 원하는 음용제(200)를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투입한 다음, 적절히 흔들어서 생수로 조제한 음료수나 차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 종류의 음료를 모두 구매할 필요없이 생수 하나로 다양한 미각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어, 비용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 고,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100')은 병목부(30) 상단에 결합용 수나사(40)가 구비되는 생수병(10)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주 뚜껑(150')과, 내부에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구비하며 주 뚜껑(150')의 내부에 부착되는 음용제 수납부재(130'), 및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부착식 커버시트(17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주 뚜껑(150')은, 내주면에 생수병(10)의 병목부(30) 상단에 구비되는 결합용 수나사(40)와 맞물리게 되는 결합용 암나사(125')를 구비하는 결합원통부(120')와, 결합원통부(120')의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평면부(16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음용제 수납부재(130')는, 결합원통부(120')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소원통부(220)와, 다수의 관통공(145')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소원통부(220)의 하단부는 막는 제한투과형 격벽(140')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에 소원통부(220)와 제한투과형 격벽(140')으로 둘러싸여 음용제(200)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구비한다. 또한, 음용제 수납부재(130')는, 일 예로서, 소원통부(220)의 상단부에서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결합돌기(225)가 주 뚜껑(150')의 폐쇄평면부(160)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수용레일(165)에 맞물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폐쇄평면부(160)의 저면에 밀폐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음용제(200)가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투입된 상태에서 음용제 수납부 재(130')와 주 뚜껑(150') 간의 결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관통공(145')은, 이상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생수가 음용제 수납공간(1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되며,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음료분말과 같은 음용제(200)가 투입되는 경우, 음용제(200)가 중력에 의하거나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유입되었던 생수와 함께 생수병(10) 속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된다. 한편, 티백이나 잎차 등의 음용제가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투입되는 경우에는, 생수만 관통공(145')을 통해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출입할 수 있게 되고, 차를 우려낸 이후에도 음용제(200)는 여전히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남아있게 됨에 따라, 다기를 사용하여 차를 우려내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차를 우려먹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부착식 커버시트(170')는 제한투과형 격벽(140')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관통공(145')을 차단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즉,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생수를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생수만을 마실 수 있도록 하며, 투입된 음용제로 만들어진 음료수나 차를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100')을 열고 부착식 커버시트(170')를 수작업으로 제거한 다음, 다시 생수병용 병뚜껑(100')을 닫은 후 흔드는 방법으로, 생수로 조제한 음료수나 차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3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은, 독립적으로 상품화될 수도 있고, 생수의 포장단계에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독립적으로 상품화되는 경우, 생수와 별도로 구매하게 될 것이며, 기호에 따라 생수를 마시다가도 단순히 병뚜껑을 교체하는 방법을 통해 원하는 음료수나 차를 만들어 먹을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포장단계에서부터 적용된 경우, 기호에 따라 부착식 커버시트(170')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생수를 마시다가도, 부착식 커버시트(170')를 제거하여 음료수나 차를 만들어 먹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생수병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및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100")은 병목부(30) 상단에 결합용 수나사(40)가 구비되는 생수병(10)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구비하는 주 뚜껑(150")과,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개폐하는 부착식 커버시트(17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주 뚜껑(150")은 결합원통부(120")와, 음용제 수납부(130"), 및 결합원통부(120")와 음용제 수납부(130")을 구분하는 제한투과형 격벽(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결합원통부(120")는 생수병(10)의 병목부(30) 상단에 구비되는 결합용 수나사(40)와 맞물리게 되는 결합용 암나사(125")를 내주면에 구비한다. 또한, 음용제 수납부(130")는 음용제가 투입될 수 있는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내부에 구비하며, 결합원통부(120")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말하는, 음용제(200)는 가루형태의 음료분말, 티백, 잎차 등 생수에 혼합되거나 접촉하여 음료수 또는 차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종류의 기호품들 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원통부(120")와 음용제 수납부(130")를 구분하는, 제한투과형 격벽(140")은 결합원통부(120")와 음용제 수납부(130")의 경계에 위치하며, 다수의 관통공(145")을 구비한다. 이 관통공(145")은, 본 고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100")을 생수병(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생수병(10)을 흔들 경우, 생수가 음용제 수납공간(1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되며,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음료분말과 같은 음용제(200)가 투입되는 경우, 음용제(200)가 중력에 의하거나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유입되었던 생수와 함께 생수병(10) 속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된다. 한편, 티백이나 잎차 등의 음용제(200)가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투입되는 경우에는, 생수만 관통공(145")을 통해 음용제 수납공간(110")을 출입할 수 있게 되고, 차를 우려낸 이후에도 음용제(200)는 여전히 음용제 수납공간(110")에 남아있게 됨에 따라, 다기를 사용하여 차를 우려내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차를 우려먹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부착식 커버시트(170")는 제한투과형 격벽(140")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관통공(145")을 차단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부착식 커버시트(170")는 부착시 주뚜껑(150")의 결합원통부(120") 아래까지 연장되는 파지용 연장부(230)를 더 구비하여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부착식 커버시트(170")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 공간적인 제약에 의한 영향 없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부착식 커버시트(170")를 구비함으로써, 기호에 따 라 선택적으로 생수를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생수만을 마실 수 있도록 하며, 투입된 음용제로 만들어진 음료수나 차를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100")을 열고 부착식 커버시트(170")를 수작업으로 제거한 다음, 다시 생수병용 병뚜껑(100")을 닫은 후 흔드는 방법으로, 생수로 조제한 음료수나 차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4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은, 이상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으로 상품화될 수도 있고, 생수의 포장단계에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독립적으로 상품화되는 경우, 생수와 별도로 구매하게 될 것이며, 기호에 따라 생수를 마시다가도 단순히 병뚜껑을 교체하는 방법을 통해 원하는 음료수나 차를 만들어 먹을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포장단계에서부터 적용된 경우, 기호에 따라 부착식 커버시트(170")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생수를 마시다가도, 부착식 커버시트(170")를 제거하여 음료수나 차를 만들어 먹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생수병용 병뚜껑을 제공함으로써, 본 고안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구매한 생수를 그대로 마시거나, 용이한 방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음용제를 투입하여 차나 음료수를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음료를 모두 구매할 필요없이 생수 하나로 다양한 미각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어, 비용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병목부 상단에 결합용 수나사가 구비되는 생수병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생수병용 병뚜껑에 있어서,
    내주면에 상기 결합용 수나사와 맞물리는 결합용 암나사를 구비하는 결합원통부와,
    내부에 음용제가 투입될 수 있는 음용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원통부 상부에 배치되는 음용제 수납부, 및
    상기 결합원통부와 음용제 수납부의 경계에 위치하며,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한투과형 격벽을 포함하는 주 뚜껑; 및
    상기 음용제 수납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음용제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제 수납부는 상기 결합원통부 보다 확장되어 내부에 상기 음용제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외주면 상단부에 커버결합용 수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결합용 수나사와 맞물리는 커버결합용 암나사를 구비하여, 나사결합방식으로 상기 음용제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제 수납부는, 상기 제한투과형 격벽 직상부에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여유공간 및 이 원통형 여유공간 상부에서 확장되어 내부에 티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박스형으로 형성되는 티백수용공간으로 구분되는, 상기 음용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힌지를 통해 상기 음용제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음용제 수납공간을 힌지방식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제 수납부는 물의 소통을 돕기 위해 상기 티백수용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동촉진용 홈을 구비하여, 상기 음용제 수납공간을 이루는 상기 티백수용공간과 상기 원통형 여유공간 간의 유동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
  5. 병목부 상단에 결합용 수나사가 구비되는 생수병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생수병용 병뚜껑에 있어서,
    내주면에 상기 결합용 수나사와 맞물리는 결합용 암나사를 구비하는 결합원 통부와, 결합원통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평면부로 이루어지는 주뚜껑;
    상기 결합원통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소원통부와,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소원통부의 하단부는 막는 제한투과형 격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음용제가 투입될 수 있는 음용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소원통부의 상단부가 상기 폐쇄평면부의 저면에 밀착되어 밀폐형으로 고정되는 음용제 수납부재; 및
    상기 제한투과형 격벽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관통공을 차단하는 부착식 커버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
  6. 병목부 상단에 결합용 수나사가 구비되는 생수병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생수병용 병뚜껑에 있어서,
    내주면에 상기 결합용 수나사와 맞물리는 결합용 암나사를 구비하는 결합원통부와,
    내부에 음용제가 투입될 수 있는 음용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원통부 상부에 배치되는 음용제 수납부, 및
    상기 결합원통부와 음용제 수납부의 경계에 위치하며,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한투과형 격벽을 포함하는 주 뚜껑; 및
    상기 제한투과형 격벽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관통공을 차단하는 부착식 커버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제 수납부는 상기 결합원통부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식 커버시트는 부착시 주뚜껑의 결합원통부 아래까지 연장되는 파지용 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병용 병뚜껑.
KR2020070020408U 2007-12-20 2007-12-20 생수병용 병뚜껑 KR200441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408U KR200441478Y1 (ko) 2007-12-20 2007-12-20 생수병용 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408U KR200441478Y1 (ko) 2007-12-20 2007-12-20 생수병용 병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478Y1 true KR200441478Y1 (ko) 2008-08-20

Family

ID=4164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408U KR200441478Y1 (ko) 2007-12-20 2007-12-20 생수병용 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4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3361A (zh) * 2014-01-23 2014-04-16 尹忠党 复合双层开口夹芯瓶盖
WO2020256451A3 (ko) * 2019-06-21 2021-04-15 (주)황초원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CN115285514A (zh) * 2022-08-29 2022-11-04 师强 一种瓶盖和瓶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3361A (zh) * 2014-01-23 2014-04-16 尹忠党 复合双层开口夹芯瓶盖
WO2020256451A3 (ko) * 2019-06-21 2021-04-15 (주)황초원 액체 흐름성이 개선된 포션팩용 고정캡
CN115285514A (zh) * 2022-08-29 2022-11-04 师强 一种瓶盖和瓶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16819A1 (en) Bottle assembly with removable container assembly
US5651471A (en) Removable top for drinking bottles
US5328069A (en) Versatile beverage container cover
US20110024311A1 (en) Liquid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US4165814A (en) Container for potable liquid
US4244477A (en) Container for potable liquid
US10059483B2 (en) Bottle with dry storage compartment for personal effects
US10479671B2 (en) Plastic liquid container and dispensing system
KR20150074521A (ko) 뚜껑이 일체로 구비된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CA2584647A1 (en) Bottle cap
KR200441478Y1 (ko) 생수병용 병뚜껑
US20080169265A1 (en) Bottle allowing connection in series
US7896181B1 (en) Multi-functional bottle
KR101553337B1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US7562770B1 (en) Drink holder
US20070231431A1 (en) Disposable collapsible drink mixing container
US20230406603A1 (en) System to hold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US9884753B1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oler
US20230331457A1 (en) Compartmentalized Beverage Container Device
KR20150045100A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US10479543B1 (en) Container for storing, dispensing, and serving liquids
IES20180168A2 (en) Dog leash handle assembly
CA2718380A1 (en) Liquid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JPH0589260U (ja) 収納部付きキャップ
US11167972B2 (en) Plastic liquid container and dispen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