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538B1 -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538B1
KR101972538B1 KR1020180005840A KR20180005840A KR101972538B1 KR 101972538 B1 KR101972538 B1 KR 101972538B1 KR 1020180005840 A KR1020180005840 A KR 1020180005840A KR 20180005840 A KR20180005840 A KR 20180005840A KR 101972538 B1 KR101972538 B1 KR 101972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disaster
evacu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신욱
김용민
이태형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5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이 개시되며, 상기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재난 경보 서버; 및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INDOOR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본원은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건물 내에 위치한 사람들의 안전한 대피를 위하여 제공되는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진, 화재 등 안전 지역으로의 대피가 필요한 재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람들은 평소 상주하거나, 자신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건물이라 하더라도 재난 상황으로 인한 위기감, 당혹감 등의 이유로 대피 경로를 떠올리지 못해 해당 건물을 벗어나지 못하고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케이스가 다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건물 내의 위치한 사람들의 휴대 단말로 개별화 및/또는 최적화된 비상 대피로를 알려줄 수 있다면, 보다 안전하고 빠르게 해당 건물을 벗어나 안전 지역으로 대피하여, 결과적으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건물 내 재난 발생에 따라 인명의 구출 및 탈출을 돕는 대표적인 기술로는, 화재 감지기를 통한 비상 화재/지진 알림 시스템, 자동 소화 시스템, 유독 가스 방독면 기술, 내진설계 시스템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건물 내 재난 발생에 따른 사망 사고를 감소시키는 데에는 아직 보완해야 할 점이 다수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78671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 내에 위치한 사람들의 안전한 대피를 위하여 휴대 단말을 통하여 비상 대피로를 안내하기 위한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재난 경보 서버, 및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재난 경보 서버와 연계하여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실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재난 경보 서버와 연계하여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재난 경보 서버로부터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전송 받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 기록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출입 기록을 상기 재난 경보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인식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난 경보 서버는 상기 출입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인식 단말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단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인식 단말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상기 재난 경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재난 경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난 경보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한 사용자 단말의 지인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지인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실내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위치 인식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위치 인식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재난 경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재난 경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 인식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감지된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상기 재난 경보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재난 경보 서버는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도는 실내 통로 면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재난 경보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재난 경보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실내 통로 면적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밀집도를 연산하고, 상기 밀집도를 고려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의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재난 경보 서버는, 상기 실내의 평면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실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재난 판단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대피 경로 생성부,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및 상기 정보 수신부, 상기 재난 판단부, 상기 대피 경로 생성부, 및 상기 정보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실내에 설치되는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출입 기록을 수신하고, 상기 대피 경로 생성부는 상기 출입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 매칭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결정된 지인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의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재난 경보 방법은, 상기 실내의 평면도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에 설치되는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출입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지인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건물 내 재난 발생 시 휴대 단말을 통해 시각화된 최적의 비상 대피로를 사람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건물 내에 위치한 사람들의 안전하고 빠른 대피를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이 임의의 평면도로 표현한 건물 내에서 동작하는 것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이 임의의 평면도로 표현한 건물 내에서 동작하는 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경보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경보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이 임의의 평면도로 표현한 건물 내에서 동작하는 것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이하에서는 '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이라 통칭한다)(1000)은 건물 내 재난 발생 시 활용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1000)은 재난 경보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위치 인식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재난 경보 서버(100)는 실내에 설치된 센서(400)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400)는 건물 내 온도, 진동, 가스 등을 감지하여 온도 정보, 진동 정보, 대기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생성된 온도 정보, 진동 정보, 대기 정보 등을 재난 경보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400)는 복수 개가 구비되되, 건물 내에서 온도, 가스, 진동 등에 대한 감지가 불가능한 감지 사각 지대가 형성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내에서 격벽으로 둘러싸여 형성된 방 하나 당 하나의 센서(400)(예를 들어, 온도 센서, 대기 센서, 진동 센서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재난 연관 정보는 센서(400)가 감지하여 생성하는 온도 정보, 진동 정보, 대기 정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건물의 붕괴, 가스 폭발, 홍수로 인한 건물 지하 침수, 화재 발생 등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정보 전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센서(400)는 섭씨 -100도 ~ 2000도 사이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온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온도 정보를 재난 경보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센서(400)는 실내 대기 중 일산화탄소, 시안화가스, 유화수소가스, 메탄가스, 아황산가스, 암모니아가스, 산화질소가스 등 화재 질식사의 주요 원인이 되는 가스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가스의 함량 또는 비중에 기초하여 대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대기 정보를 재난 경보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400)가 감지하는 가스는 건물 내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연성 가스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센서(400)는 건물 내 설치된 지진계 또는 진동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400)는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진동에 기초하여 진동 정보(리히터 규모 1.0 ~ 10.0 범위 안에서 형성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진동 정보를 재난 경보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400)는 온도, 가스, 및 진동의 감지를 병행할 수 있고, 상기 온도 정보, 상기 대기 정보, 및 상기 진동 정보를 재난 경보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온도 정보, 상기 대기 정보, 및 상기 진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재난 경보 서버(100)가 상기 온도 정보, 상기 대기 정보, 및 상기 진동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할 경우, 상기 판단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센서(400)와 발화 지점 간의 거리가 비교적 먼 경우, 센서(400)가 감지하는 온도의 변화는 미미할 수 있으나, 센서(400)가 감지하는 대기 정보(예를 들어, 일산화탄소의 함량 및 농도)에 따라 재난 경보 서버(200)는 건물 내 화재 발생에 대한 재난 발생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건물 내 비치된 이동식 난로 등에 의해 센서(400)에 왜곡된 온도 정보가 감지될 수 있는데, 센서(400)가 대기 정보의 감지를 병행함으로써 상기 왜곡된 온도 정보에 의한 재난 경보 서버(200)의 재난 발생에 대한 오판을 방지할 수 있다.
재난 경보 서버(100)는 센서(400)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예를 들어, 온도 정보, 대기 정보, 진동 정보 등)를 수신하고,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임의의 건물에 구비된 방 A에 설치된 센서(400)가 섭씨 500도의 온도와 기준치를 상회하는 양의 일산화탄소, 시안화가스, 유화수소가스, 메탄가스를 감지하고 온도 정보 및 대기 정보를 생성하여 재난 경보 서버(100)로 송신하는 경우,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수신한 온도 정보 및 대기 정보에 기초하여 방 A에서의 화재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임의의 건물에 구비된 복수 개의 방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400)가 일제히 진동을 감지하여 리히터 규모 4.0의 진동 정보를 생성하고 재난 경보 서버(100)로 송신하는 경우,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수신한 진동 정보에 기초하여 지진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섭씨 500도의 온도와 기준치를 상회하는 양의 일산화탄소, 시안화가스, 유화수소가스, 메탄가스를 감지하고 온도 정보 및 대기 정보를 생성하여 재난 경보 서버(100)로 송신하는 경우,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수신한 온도 정보 및 대기 정보에 기초하여 방 A에서의 화재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재난 경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재난 경보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평면도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면도는 해당 건물의 층별로 도시된 평면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평면도는 20층 빌딩의 각 층별 평면도일 수 있고, 지하 층의 평면도 및 상기 빌딩 옥상의 평면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평면도는 평면도 형식으로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재난 경보 서버(100)가 수신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데에 기초가 되는 건물 내부 구조물 등의 요소가 도시된 각종 도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도는 비상탈출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탈출구 정보는 재난 시 사용자가 건물 밖으로 탈출할 수 있는 비상탈출구의 위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탈출구 정보는 화재 시 사용자가 건물 밖으로 탈출하기 위해 도달해야 하는 계단의 위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비상탈출구 정보는 상기 평면도 상에 도시된 비상탈출구 및 계단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평면도는 실내의 낙하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하물 정보는 건물 내 재난 발생 시 각 층의 천장에서 낙하할 가능성이 높은 물체에 관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낙하물 정보는 건물의 홀 또는 회랑의 천장에 구비된 샹들리에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평면도는 해당 건물을 기준으로 재난 경보 서버(100)가 대피 목표 지점으로 설정한 위치의 소정 구역까지 나타내는 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도는 조감도 양식으로 재난 경보 서버(100)에 입력 및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재난 경보 서버(100)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난 경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임의의 건물 3층 남자화장실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재난 경보 서버(100)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3층 남자화장실)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위치 정보(3층 남자화장실)에 대응하는 평면도(3층 평면도 불러오기)를 인식할 수 있다.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재난 경보 서버(100)가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일 예를 들면, 임의의 건물이 위치한 도시에서 리히터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면, 재난 경보 서버(100)는 건물 내에 설치된 센서(40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리히터 규모 5.0 지진에 상응하는 진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재난 경보 서버(100)는 3층 남자화장실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 A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3층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그 다음, 재난 경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 A의 현재 위치 정보(3층 남자화장실) 및 진동 정보(리히터 규모 5.0)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경보 서버(100)는 지진이라는 재난 특성을 고려하여 건물 외부로의 대피 경로와 건물 내부에서의 대피 경로 중 목표 지점까지의 소요 시간, 건물 내 낙하물 정보 등을 고려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재난 경보 서버(100)가 건물 외부로의 대피 경로가 건물 내부에서의 대피 경로보다 더 위험하다고 판단한다면, 재난 경보 서버(100)는 건물 내 낙하물에 의한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예를 들어, 3층 내 남자화장실 세면대 아래)할 수 있다. 아울러,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 A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위와 같은 리히터 규모 5.0의 지진 상황에서 재난 경보 서버(100)는 1층 회의실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 B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1층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그 다음, 재난 경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 B의 현재 위치 정보(1층 회의실) 및 진동 정보(리히터 규모 5.0)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경보 서버(100)는 지진이라는 재난 특성을 고려하여 건물 외부로의 대피 경로와 건물 내부에서의 대피 경로 중 목표 지점까지의 소요 시간, 건물 내 낙하물 정보 등을 고려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재난 경보 서버(100)가 건물 내부로의 대피 경로가 건물 외부에서의 대피 경로보다 더 위험하다고 판단한다면,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건물과 최단 거리에 위치한 개활지로 대피 경로를 생성(예를 들어, 상기 건물 50m 반경 안에 있는 학교 운동장)할 수 있다. 아울러,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 B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대피 경로 정보는 상기 평면도 상에 대피 경로가 오버레이되어 도시되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피 경로 정보는 상기 평면도 상에 대피 경로가 화살표로 오버레이되어 도시되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건물 1층에 화재가 발생하고, 사용자 C가 1층에 위치한 상황을 가정하면, 재난 경보 서버(100)가 생성하는 상기 대피 경로 정보는 상기 건물의 1층 평면도 상에서 비상탈출구를 향하는 화살표가 오버레이되어 도시되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는 복수의 평면도 상에 대피 경로가 오버레이되어 도시되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건물 3층에 화재가 발생하고, 사용자 D가 3층에 위치한 상황을 가정하면, 재난 경보 서버(100)가 생성하는 상기 대피 경로 정보는, 상기 건물의 3층, 2층, 및 1층의 평면도 상에서 비상탈출구 또는 계단을 향하는 화살표가 오버레이되어 도시되는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2층 이상의 층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연속적인 대피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대피 경로 정보는 상기 평면도 상에 대피 경로가 오버레이되어 도시되는 영상 정보이되, 대피 목표 지점까지의 지도 상에 대피 경로가 오버레이되어 도시되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건물에 리히터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하고, 사용자 E가 1층 출입구에 위치한 상황을 가정하면, 재난 경보 서버(100)가 생성하는 상기 대피 경로 정보는 상기 건물의 1층 평면도 상에서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향하는 화살표가 오버레이되어 도시되는 영상 정보와 사용자 E가 건물 외부로 나가 지진의 대피 목표 지점인 개활지(예를 들어, 상기 건물 50m 반경 안에 있는 학교 운동장)까지 향하는 화살표가 지도 상에 오버레이되어 도시되는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낙하물 정보를 고려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난 경보 서버(100)는 재난 상황 시 낙하할 가능성이 높은 천장의 샹들리에나 조명장치 등을 우회하는 경로로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도는 실내 통로 면적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현재 위치 정보를 재난 경보 서버(100)로 송신하고, 재난 경보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실내 통로 면적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밀집도를 연산하고, 상기 밀집도를 고려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실내 통로 면적은 평면도 상에 구획된 복도 구역의 면적, 계단 구역의 면적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현재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한 해당 건물의 층 수 및 해당 층에서의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관련 좌표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재난 경보 서버(100)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실내 통로 면적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밀집도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실내 통로 면적 상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200)의 수량을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량을 상기 실내 통로 면적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상기 밀집도를 연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도 구역 M의 면적이 20 m²이고, 재난 경보 서버(100)가 파악한 복도 구역 M의 위치한 사용자 단말의 수량이 40개(즉, 사용자 40명)라고 가정한다면,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밀집도를 2 명/ m²로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밀집도가 1 명/ m²을 초과하는 값을 가질 때, 재난 경보 서버(100)가 상기 밀집도를 고려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도록 미리 설정되었을 경우에, 재난 경보 서버(100)는 복도 구역 M으로의 경로의 가중치를 감소시켜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예를 들어, 복도 구역 M을 우회하는 경로의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재난 경보 서버(100)가 상기 밀집도를 연산하는 방식 및 상기 밀집도를 고려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재난 경보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을 보유한 사용자에게 상기 밀집도를 고려한 대피 경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재난이 발생한 건물을 탈출하려는 사람들로 북적거리는 경로를 우회하게 하여 상기 사용자의 탈출 가능성을 더 높이고, 나아가, 상기 사용자의 생존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200)은 재난 경보 서버(100)와 연계하여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실내에 설치된 센서(400)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난 경보 서버(100)로부터 상기 평면도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난 경보 서버(100)로부터 해당 건물 전 층의 평면도(지하층 및 옥상 포함), 비상탈출구 정보, 계단 위치 정보, 낙하물 정보, 해당 건물과 외부 대피 목표 지점을 도시한 지도 정보 등을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일 예를 들면, 임의의 건물 7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건물의 7층에 설치된 센서(40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발생된 화재로 인해 감지되어 생성된 온도 정보 및 대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온도 정보 및 대기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F의 위치가 6층 비상 계단일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6층 비상 계단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 F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6층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 F의 현재 위치 정보(6층 비상 계단), 상기 온도 정보, 및 대기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는 6층에서 1층까지의 평면도에 대피 경로가 화살표로 도시된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이 재난 경보 서버(100)의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가령, 재난 경보 서버(100)가 재난 상황으로 인하여 오작동하거나, 고장이 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대피 경로 정보를 제공하여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재난 경보 서버(100)와 연계하여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재난 경보 서버(100)로부터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전송 받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촌각을 다투는 재난 상황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의 전원을 켜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불러오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재난 상황이 발생한 후 최단 시간 안에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접할 수 있고, 사용자의 대피 시작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재난 상황을 자체적으로 판단하거나, 재난 경보 서버(100)로부터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수신할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구비된 플래쉬를 강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재난 상황으로 인한 건물 정전 또는 유독가스로 인한 시야 미확보 조건에서 사용자에게 광원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재난 상황을 자체적으로 판단하거나, 재난 경보 서버(100)로부터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수신할 경우, 119 안전신고센터 또는 응급의료센터에 전화 신고할 수 있다. 다만, 신고의 방식은 전화에 한정되지 않으며, SMS 문자, 인터넷 메신저 문자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1000a)이 임의의 평면도로 표현한 건물 내에서 동작하는 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한 사용자 단말(200)의 지인 사용자 단말(500)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지인 사용자 단말(5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지인 사용자 단말(500)은 사용자 단말(200)에 지인 사용자 단말(500)의 식별 번호(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가 저장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인 사용자 단말(500)은 사용자와 같은 건물에 위치하는 가족, 친지, 이웃 등이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지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지인 사용자 단말의 식별번호(예를 들어, 전화번호)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과 지인 사용자 단말(500)에 모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재난 경보 서버(100)는 지인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그 다음, 재난 경보 서버(100)는 지인 사용자 단말(5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경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지인들 중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는 지인들이 사용하는 지인 사용자 단말(500) 2대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대피 경로 정보에 오버레이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지인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가 오버레이되어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난 상황 시 가족, 친지, 이웃들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고, 재난 상황으로 인한 극도의 불안감을 다소간 해소하고, 침착하게 재난 상황에서 대피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경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지인들 중 같은 층에 위치하고 있는 지인들이 사용하는 지인 사용자 단말(500)로 향하는 지인 합류 경로 정보(190)와 상기 지인 합류 경로 정보(190)와 재난 상황에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제시하는 최적 대피 경로 정보(180)를 함께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지인 합류 경로 정보(190)와 최적 대피 경로 정보(180)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지인 합류 경로 정보(190)와 최적 대피 경로 정보(180)의 색상, 화살표 형상 등을 상이하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난 상황 시 가족, 친지, 이웃들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고, 그들의 현재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위기에 빠진 지인들과 함께 재난 상황에서 대피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감지된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재난 경보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센서부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어 건물 내 온도, 진동, 가스 등을 감지하여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예를 들어, 모바일 온도 정보, 모바일 진동 정보, 모바일 대기 정보 등)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생성된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재난 경보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난 경보 서버(100)는 센서(400) 및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재난 연관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아울러,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재난 연관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재난 연관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의 수치의 차이를 연산하고, 연산된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수신된 상기 재난 연관 정보 또는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이 있거나 신뢰도가 낮은 정보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재난 연관 정보 및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에 대하여 가중치 또는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 내의 화재 발생 요인(예를 들어, 보일러실, 난로 등)에 인접하여 설치된 센서(400)에서 측정된 재난 연관 정보에 우선순위 또는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더 높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센서(400)에 비하여 사용자 단말(200)이 사용자에게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200)의 센서부에서 측정된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에 우선순위 또는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더 높게 부여할 수 있다. 이로써, 재난 경보 서버(200)는 건물 내 고정 설치되어 정적인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400)의 온도 정보, 대기 정보, 및/또는 진동 정보와 동적인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200)의 센서부의 모바일 온도 정보, 모바일 대기 정보, 및/또는 모바일 진동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경보 서버(100)는 정적인 정보 및 동적인 정보 함께 고려하여 기존보다 신뢰성이 향상된 대피 경로 정보(250)를 생성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임의의 건물 1층 여자화장실에 설치된 센서(400)가 1층 여자화장실에 이송된 이동식 난로의 일시적인 가열에 의해 섭씨 80도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온도에 기초하여 온도 정보를 생성하고 재난 경보 서버(100)로 전송하는 경우, 재난 경보 서버(100)는 1층 여자화장실에 위치한 두 개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C 및 사용자 단말 D)의 센서부(예를 들어, 센서부 C 및 센서부 D)가 전송하는 모바일 온도 정보(예를 들어, 센서부 C: 섭씨 21도 및 센서부 D: 섭씨 20도)를 크로스 체킹함으로써, 재난 경보 서버(100)는 재난 상황 판단을 보류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상기 건물의 1층 여자화장실에 설치된 센서(400)가 고장이 난 경우, 재난 경보 서버(100)는 1층 여자화장실에 위치한 두 개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E 및 사용자 단말 F)의 센서부(예를 들어, 센서부 E 및 센서부 F)가 전송하는 모바일 온도 정보(예를 들어, 센서부 E: 섭씨 400도 및 센서부 D: 섭씨 420도)를 크로스 체킹함으로써, 재난 경보 서버(100)는 재난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는 센서부가 감지하여 생성하는 모바일 온도 정보, 모바일 대기 정보, 모바일 진동 정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건물의 붕괴, 가스 폭발, 홍수로 인한 건물 지하 침수, 화재 발생 등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정보 전반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인식 단말(300)은 실내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출입 기록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출입 기록을 재난 경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의 일련 번호, 통신 식별 부호 등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상호 비교했을 때, 개별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 고유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인식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의 출입 기록(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위치: 3층 회의실, 통신시간: 오후 12:13)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 인식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는 범위에 진입할 경우, 위치 인식 단말(300)은 해당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한 시간을 매칭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출입 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인식 단말(3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별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재난 경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출입 기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입 기록은 사용자 단말을 보유한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출입 기록을 수신한 재난 경보 서버(100)는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재난 경보 서버(100)가 GPS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사용자가 해당 건물 내 몇 층에 위치하는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과의 통신을 통해 위치 인식 단말(300)이 출입 기록을 생성하고, 상기 출입 기록에 기초하여 재난 경보 서버(100)가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면 보다 정확한 위치(예를 들어, 사용자가 몇 층에 있는지를 특정할 수 있음)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재난 경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예를 들어, 건물 4층의 방 N)에 대응하는 실내의 도면 정보(예를 들어, 해당 건물의 4층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위치 인식 단말(3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과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단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500)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임의의 건물 옥상에 설치된 위치 인식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 H(위치: 건물 옥상)로부터 식별 정보 H(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H의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 H와 연계된 출입 기록 H(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 H와 사용자 단말 H가 위치 인식 단말(300)과 통신한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출입 기록 H와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단말 식별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관리하는 지인 목록, 전화번호, SNS 친구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500)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단말 식별 정보에 상기 사용자 단말 H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면,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사용자 단말 H을 지인 사용자 단말(500)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H로 대피 경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인식 단말(3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재난 경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500)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임의의 건물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위치 인식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 G(위치: 지하 주차장)로부터 식별 정보 G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G의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 정보 G와 연계된 출입 기록 G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 G 와 사용자 단말 G가 위치 인식 단말(300)과 통신한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재난 경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경보 서버(100)는 직접 입력, 네트워크를 통한 입력에 기초하여 지인 사용자 단말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인 사용자 단말 그룹은 해당 건물에 상주하는 가구 별로 그룹핑 되거나 해당 건물에 입주해 있는 회사의 종업원들을 그룹핑 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재난 경보 서버(100)가 그룹핑을 하는 대상 및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출입 기록 G와 재난 경보 서버(100)가 그룹핑 한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들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500)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난 경보 서버(100)는 출입 기록 G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G가 포함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 그룹을 인식하고, 상기 지인 사용자 단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대피 경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피 경로 정보는 사용자 단말 G의 현재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재난 경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지인 사용자 단말의 식별 번호(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식별 번호의 지인 사용자 단말 중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지인 사용자 단말(500)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지인 단말 그룹으로 생성하고, 상기 지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지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재난 경보 서버(100)는 상기 지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상기 지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들로 향하는 지인 합류 경로 정보(190)와 최적 대피 경로 정보(180)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지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대피 경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지인 단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들로 향하는 지인 합류 경로 정보(190)와 최적 대피 경로 정보(180)를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인식 단말(300)은 실내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200)이 실내에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하여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위치 인식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재난 경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재난 경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인식 단말(3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위치 인식 단말(300)의 식별 정보는 위치 인식 단말(300)의 일련 번호, 통신 식별 부호 등 건물 내에 설치된 복수의 위치 인식 단말을 상호 비교했을 때, 개별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 고유 정보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위치 인식 단말(300)의 식별 정보는 임의의 건물에서 4층 사무실 위치 인식 단말 A, 4층 회의실 위치 인식 단말 B, 4층 엘리베이터 위치 인식 단말 C 등으로 부여될 수 있다. 가령, 해당 건물 4층 회의실에 사용자 단말 A가 진입하는 경우, 상기 위치 인식 단말 B는 상기 사용자 단말 A와 통신하여 상기 위치 인식 단말 B의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A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A가 4층 회의실에 진입하지 않는 경우에도, 위치 인식 단말 B와 통신할 수 있는 범위에 위치한 경우라면 사용자 단말 A는 위치 인식 단말 B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인식 단말 B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A는 재난 경보 서버(100)로 위치 인식 단말 B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재난 경보 서버(100)는 위치 인식 단말 B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A의 현재 위치(4층 회의실)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재난 경보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 A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실내의 도면 정보(예를 들어, 4층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난 경보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 A로부터 수신한 위치 인식 단말 B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A를 보유한 사용자 A의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 보다 정확한 위치(건물 내 사용자 A가 위치한 층 수, 예시의 경우 4층)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재난 경보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위치 인식 단말(300), 센서(400), 지인 사용자 단말(500), 및 센서부 간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2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Wi-fi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적외선 통신 등이 포함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경보 서버(이하에서 '본 재난 경보 서버'로 통칭한다)(100)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재난 경보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재난 경보 서버(100)는 건물 내 재난 발생 시 실내의 대피 경로를 제공할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재난 경보 서버(100)는 저장부(110), 정보 수신부(120), 재난 판단부(130), 대피 경로 생성부(140), 정보 송신부(150), 제어부(160), 및 단말 매칭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실내의 평면도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평면도는 해당 건물의 층별로 도시된 평면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도는 지하 층의 평면도 및 상기 빌딩 옥상의 평면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평면도는 평면도 형식으로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평면도는 비상탈출구 정보, 실내의 낙하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도는 해당 건물을 기준으로 본 재난 경보 서버(100)가 대피 목표 지점으로 설정한 위치의 소정 구역까지 나타내는 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도는 조감도 양식으로 본 재난 경보 서버에 입력 및 저장될 수 있다.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실내에 설치된 센서(400)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400)는 건물 내 온도, 진동, 가스 등을 감지하여 온도 정보, 진동 정보 대기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수신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생성된 온도 정보, 진동 정보, 대기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재난 연관 정보는 센서(400)가 감지하여 생성하는 온도 정보, 진동 정보, 대기 정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정보 수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의 센서부로부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어 건물 내 온도, 진동, 가스 등을 감지하여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예를 들어, 모바일 온도 정보, 모바일 진동 정보, 모바일 대기 정보 등)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보 수신부(120)는 센서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생성된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예를 들어, 모바일 온도 정보, 모바일 진동 정보, 모바일 대기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는 센서부가 감지하여 생성하는 모바일 온도 정보, 모바일 대기 정보, 모바일 진동 정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정보 수신부(120)는 실내에 설치되는 위치 인식 단말(300)로부터 출입 기록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피 경로 생성부(140)는 상기 출입 기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출입 기록은 사용자 단말(200)을 보유한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대피 경로 생성부(140)는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출입 기록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수신부(120)는 위치 인식 단말(300)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신부(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단말 매칭부(170)로 송신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120)는 네트워크 또는 직접 입력을 통해 상기 평면도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신부(120)는 저장부(110)로 상기 평면도를 송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장부(110)는 상기 평면도를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정보 수신부(120)는 네트워크 또는 직접 입력을 통해 업데이트된 평면도 또는 평면도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저장부(110)로 상기 업데이트된 평면도 또는 상기 평면도 업데이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10)는 상기 업데이트된 평면도를 저장하거나, 기 저장된 평면도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재난 판단부(130)는 상기 수신된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난 판단부(130)는 실내에 설치된 센서(400)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임의의 건물에 구비된 복도 구역 A에 설치된 센서(400)가 섭씨 1000도의 온도와 기준치를 상회하는 양의 일산화탄소, 시안화가스를 감지하고, 온도 정보 및 대기 정보를 생성하여 정보 수신부(120)로 송신하는 경우,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온도 정보 및 상기 대기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판단부(130)로 전송할 수 있고, 재난 판단부(130)는 상기 온도 정보 및 상기 대기 정보에 기초하여 복도 구역 A에서의 화재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임의의 건물에 구비된 복수 개의 방에 설치된 복수 개의 센서(400)가 일제히 진동을 감지하여 리히터 규모 7.0의 진동 정보를 생성하여 정보 수신부(120)로 송신하는 경우,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진동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판단부(130)로 전송할 수 있고, 재난 판단부(130)는 상기 진동 정보에 기초하여 지진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대피 경로 생성부(140)는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대피 경로 생성부(140)는 낙하물 정보를 고려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피 경로 생성부(140)는 재난 상황 시 낙하할 가능성이 높은 천장의 샹들리에나 조명장치 등을 우회하는 경로로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대피 경로 생성부(14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실내 통로 면적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밀집도를 연산하고, 상기 밀집도를 고려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대피 경로 생성부(140)는 지인 사용자 단말(5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송신부(150)는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송신부(150)는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500)로 대피 경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정보 송신부(15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한 사용자 단말(200)의 지인 사용자 단말(500)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지인 사용자 단말(5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정보 송신부(150)는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정보 수신부(120), 재난 판단부(130), 대피 경로 생성부(140), 및 정보 송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단말 매칭부(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 매칭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수신할 수 있고, 또한, 단말 매칭부(170)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500)을 결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경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경보 서버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경보 방법은 상기 실내의 평면도를 저장하는 단계(S100),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0), 상기 실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00), 상기 수신된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S100에서, 저장부(110)는 실내의 평면도를 저장할 수 있다.
S200에서, 정보 수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300에서,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실내에 설치된 센서(400)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400에서, 재난 판단부(130)는 상기 수신된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500에서, 대피 경로 생성부(140)는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600에서, 정보 송신부(150)는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경보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0)는, 실내에 설치되는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출입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에 설치되는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출입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정보 수신부(120)는 실내에 설치되는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출입 기록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출입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대피 경로 생성부(140)는 상기 출입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경보 방법은 상기 실내의 평면도를 저장하는 단계(S100),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0), 상기 실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00), 상기 수신된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500),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S600), 상기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지인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00에서, 저장부(110)는 실내의 평면도를 저장할 수 있다.
S200에서, 정보 수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300에서, 정보 수신부(120)는 상기 실내에 설치된 센서(400)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400에서, 재난 판단부(130)는 상기 수신된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500에서, 대피 경로 생성부(140)는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600에서, 정보 송신부(150)는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정보 수신부(120)는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단말 매칭부(170)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지인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정보 송신부(150)는 상기 결정된 지인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경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경보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재난 경보 서버
110: 저장부
120: 정보 수신부
130: 재난 판단부
140: 대피 경로 생성부
150: 정보 송신부
160: 제어부
170: 단말 매칭부
180: 최적 대피 경로 정보
190: 지인 합류 경로 정보
200: 사용자 단말
300: 위치 인식 단말
400: 센서
500: 지인 사용자 단말
1000: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Claims (17)

  1.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재난 경보 서버; 및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재난 경보 서버는
    재난 특성 및 목표 지점까지의 소요시간, 실내 낙하물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외부로의 대피 경로 및 건물 내부에서의 대피 경로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도에 기초하여 건물 외부로의 대피 경로 및 건물 내부에서의 대피 경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목표 지점까지의 소요시간 및 건물 내 낙하물 정보에 기초한 우회 경로를 포함하는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재난 경보 서버와 연계하여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실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재난 경보 서버와 연계하여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재난 경보 서버로부터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전송 받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강제 실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출입 기록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출입 기록을 상기 재난 경보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인식 단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재난 경보 서버는 상기 출입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하는 것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단말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단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단말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상기 재난 경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재난 경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경보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 한 사용자 단말의 지인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지인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실내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위치 인식 단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위치 인식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재난 경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재난 경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 인식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하는 것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감지된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상기 재난 경보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재난 경보 서버는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도는 실내 통로 면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재난 경보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재난 경보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실내 통로 면적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밀집도를 연산하고, 상기 밀집도를 고려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11. 실내의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재난 경보 서버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평면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실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재난 판단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대피 경로 생성부;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 및
    상기 정보 수신부, 상기 재난 판단부, 상기 대피 경로 생성부, 및 상기 정보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 경로 생성부는,
    재난 특성 및 목표 지점까지의 소요시간, 실내 낙하물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외부로의 대피 경로 및 건물 내부에서의 대피 경로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도에 기초하여 건물 외부로의 대피 경로 및 건물 내부에서의 대피 경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목표 지점까지의 소요시간 및 건물 내 낙하물 정보에 기초한 우회 경로를 포함하는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재난 경보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실내에 설치되는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출입 기록을 수신하고,
    상기 대피 경로 생성부는 상기 출입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하는 것인, 재난 경보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단말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 매칭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결정된 지인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인, 재난 경보 서버.
  14. 실내의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재난 경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평면도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내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재난 연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평면도 및 상기 재난 연관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재난 특성 및 목표 지점까지의 소요시간, 실내 낙하물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외부로의 대피 경로 및 건물 내부에서의 대피 경로의 위험도를 판단하여, 상기 위험도에 기초하여 건물 외부로의 대피 경로 및 건물 내부에서의 대피 경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목표 지점까지의 소요시간 및 건물 내 낙하물 정보에 기초한 우회 경로를 포함하는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재난 경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에 설치되는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출입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재난 경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인식 단말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출입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출입 기록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지인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지인 사용자 단말로 상기 대피 경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재난 경보 방법.
  17.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재난 경고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005840A 2018-01-17 2018-01-17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1972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840A KR101972538B1 (ko) 2018-01-17 2018-01-17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840A KR101972538B1 (ko) 2018-01-17 2018-01-17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538B1 true KR101972538B1 (ko) 2019-04-25

Family

ID=6628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840A KR101972538B1 (ko) 2018-01-17 2018-01-17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5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756B1 (ko) * 2020-03-19 2020-11-30 김용근 네트워크를 통한 시설물의 사용 인원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312310B1 (ko) * 2021-01-22 2021-10-14 유병국 화재시 피난 동선의 유도가 가능한 시스템
KR20230049225A (ko) * 2021-10-06 2023-04-13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7620A (ko) * 2013-09-04 2015-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경로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14203A (ko) * 2015-07-29 2017-02-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피경로 제공 기능을 구비한 실내 재난 통신 시스템 및 실내 재난 통신 방법
KR101766747B1 (ko) * 2015-08-27 2017-08-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대피경로 화면표시 방법
KR20170101657A (ko) * 2016-02-29 2017-09-06 팅크웨어(주) 통신 인프라와 연동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7620A (ko) * 2013-09-04 2015-03-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경로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14203A (ko) * 2015-07-29 2017-02-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피경로 제공 기능을 구비한 실내 재난 통신 시스템 및 실내 재난 통신 방법
KR101766747B1 (ko) * 2015-08-27 2017-08-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대피경로 화면표시 방법
KR20170101657A (ko) * 2016-02-29 2017-09-06 팅크웨어(주) 통신 인프라와 연동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756B1 (ko) * 2020-03-19 2020-11-30 김용근 네트워크를 통한 시설물의 사용 인원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312310B1 (ko) * 2021-01-22 2021-10-14 유병국 화재시 피난 동선의 유도가 가능한 시스템
KR20230049225A (ko) * 2021-10-06 2023-04-13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102683109B1 (ko) * 2021-10-06 2024-07-10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실내 대피경로 안내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2348B2 (en) Evacuation system
KR101972538B1 (ko)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0971623B1 (ko) 고층건물의 재난 자동 경보 및 피난 유도 장치
KR102312310B1 (ko) 화재시 피난 동선의 유도가 가능한 시스템
CA2890503C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KR101893040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917215B1 (ko) 재난 대처 안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362295B1 (ko)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KR101185405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05513232A (zh) 一种安全应急疏导方法及系统
CN111033175A (zh) 用于导航的系统和方法
JP6352622B2 (ja) 支援システム
JP2011248805A (ja) 集合住宅の移動経路報知システム
JP6246402B1 (ja) 防災支援システム
KR101919362B1 (ko) 지하철 역사의 안전 모니터링 및 피난유도 시스템
JP6227060B2 (ja) 支援システム
CN114501324A (zh) 一种火灾逃生指引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可读储存介质
CN106846680A (zh) 一种消防应急逃生路线确定方法及装置
KR101816905B1 (ko)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JP6718550B2 (ja) 支援システム
JP2003288657A (ja) 監視センサシステム
KR102618950B1 (ko)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JP6599261B2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および警備装置
KR102233045B1 (ko)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JP6843718B2 (ja) 防災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