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733B1 -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 Google Patents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733B1
KR101971733B1 KR1020170104668A KR20170104668A KR101971733B1 KR 101971733 B1 KR101971733 B1 KR 101971733B1 KR 1020170104668 A KR1020170104668 A KR 1020170104668A KR 20170104668 A KR20170104668 A KR 20170104668A KR 101971733 B1 KR101971733 B1 KR 10197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winding
knitted fabric
driving
kni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245A (ko
Inventor
권병칠
최희용
이재용
배규현
Original Assignee
금용기계 주식회사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용기계 주식회사,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금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7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는 본체부; 튜브형의 편물을 직조하는 제작부; 상기 제작부로부터 직조된 튜브형의 편물을 두 개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본체부 상에 장착되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 상기 본체부 상에 장착되며, 분리된 한 쌍의 편물을 각각 권취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 후 분리된 상태로 공급되는 한 쌍의 편물을 동시에 권취하여, 편물이 균일한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 HAVING MEANS FOR DUAL TAKE-UP}
본 발명은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서, 생산되는 모든 편물을 권취하여 공급할 수 있는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편물이란 실이 교차되지 않고 고리 형상의 편환(stitch)들이 서로 얽혀서 조직이 형성되는 포로서, 편물 또는 부직포 등 여타의 섬유제 포에 비하여 구김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다공성 조직으로 인한 흡습성, 신축성 및 착용감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편물은 경방향 또는 위방향 중 한 종류의 편사(編絲)만이 사용되므로 교차 구조의 편물에서와 같은 경사 및 위사로 편사를 구분하지 않으며, 다만 포의 편성 방향을 구분하기 위하여 편환의 가로 방향 부위를 코스(course), 세로 방향 부위를 웨일(wale)로 구분한다.
이러한 편물을 생산하는 기계를 편기라 하는데, 편기는 선단부에 후크(hook)가 형성된 편침을 개별 또는 집단 운동시킴으로써 편환을 형성하고 인접한 편환을 상호 결속하는 편성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완성되는 편물의 편성 방향에 따라 경편기와 위편기로 분류된다.
이들 중 위편기는 다시 원형편기와 평형편기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속하는 환편기는 원형편기의 일종으로서, 튜브형의 편물을 편성하게 된다. 종래의 환편기의 경우에는 환편기로부터 생산된 튜브형의 편물을 2개로 분리하고, 그 중 하나는 권취하여 원통 형태로 보관하되, 나머지 하나는 겹겹이 적층하는 형태로 보관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권취 방식에 의하면, 동일한 환편기에서 생산되었으나 권취되는 편물과 적층되는 편물 간 장력, 밀도 등과 같은 특성 차가 발생하므로, 균일한 품질의 편물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산 후 분리된 상태로 공급되는 한 쌍의 편물을 동시에 권취하여, 편물이 균일한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는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부; 튜브형의 편물을 직조하는 제작부; 상기 제작부로부터 직조된 튜브형의 편물을 두 개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본체부 상에 장착되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 상기 본체부 상에 장착되며, 분리된 한 쌍의 편물을 각각 권취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권취부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분리된 편물 중 어느 하나를 권취하는 제1 권취롤러; 상기 구동부로부터 직접적인 동력 전달 없이 분리된 편물 중 나머지 하나를 권취하는 제2 권취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제1 사이드롤러; 상기 제1 사이드롤러와 상기 제1 권취롤러를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를 포함하고, 어느 하나의 편물은 단부가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제1 사이드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권취롤러에서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최초 권취 시점의 상기 구동벨트의 장력을 제어하는 장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 제어부는, 상기 구동벨트의 내면에 밀착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벨트를 긴장 또는 이완시키는 아이들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 제어부는, 일단부에는 상기 아이들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암은 타단부에 회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과 인접하게 원호형의 안내선이 절개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부재가 상기 안내선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동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 제어부는 상기 제어암의 타단부의 회동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이드롤러와 상기 제1 권취롤러에는 상기 구동벨트가 수용되도록 둘레를 따라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벨트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브이벨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제2 사이드롤러;를 더 포함하고, 다른 하나의 편물은 단부가 상기 구동롤러, 상기 제1 사이드롤러, 상기 제2 권취롤러, 상기 제2 사이드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권취롤러 상에서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된 한 쌍의 편물을 동시에 권취함으로써, 편물이 균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는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가 제공된다.
또한, 한 쌍의 권취롤러가 서로 다른 구동 방식으로 편물을 권취함으로써, 장비를 교체하지 않고 기존 장비를 개량하여 보다 간소화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권취 전 구동벨트의 장력을 제어함으로써, 편물 권취시에 권취속도 변화로 인한 동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브이벨트 형태의 구동벨트를 사용하여 롤러 홈에 삽입함으로써 구동력이 원활이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의 다른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의 장력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5는 도 1의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의 권취 시작 전 구동벨트의 장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의 권취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의 다른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100)는 직조된 튜브형의 환편물을 두 개로 분리하여 각각을 개별 권취하는 것이 가능한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작부(110)와 본체부(120)와 분리부(130)와 구동롤러(140)와 권취부(150)와 제1 사이드롤러(160)와 구동벨트(170)와 제2 사이드롤러(180)와 장력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제작부(110)는 튜브형의 환편물을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늘과 싱커핀 등의 구조물이 액츄에이터 및 캠 구조에 의하여 제어되는 방식으로 공급되는 실을 편직하여 편물을 제작하는 형태의 구조물이다. 이러한 환편물을 제작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며, 본 발명에서는 튜브형의 환편물이 제작되는 방식이라면 편물 제작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 내지 3에서 도시된 제작부(11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추상적으로 도시된 것이며, 실제 환편기에서 편물을 제작하는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환편 제직 방법 및 구조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본체부(120)는 상술한 제작부(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편물의 권취를 위한 구조물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물이다.
상기 분리부(130)는 제작부(110)로부터 제작된 튜브형의 편물을 두 개의 평면형 편물로 분리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편물을 분리하도록 제작부(110)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롤러(140)는 동력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1 사이드롤러(160), 제2 사이드롤러(180)와 치합하여 동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터가 동력원으로 이용되며, 모터와 동축 연결되는 기어가 구동롤러(140)의 일단에 장착되는 기어와 치합하여 회전력이 전달된다. 한편, 구동롤러(140)의 타단에는 별도의 기어가 설치되어 제1 사이드롤러(160)와 제2 사이드롤러(180)와 동축 결합된 기어와 치합함으로써, 구동롤러(140)의 회전력이 제1 사이드롤러(160) 및 제2 사이드롤러(180)에 전달된다.
상기 권취부(150)는 분리된 편물을 직접적으로 권취함으로 원통형의 제품으로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권취롤러(151)와 제2 권취롤러(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권취롤러(151)는 동력원, 즉, 모터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분리된 편물 중 어느 하나를 권취하는 롤러 구조물이다. 즉, 제1 권취롤러(151)는 제1 사이드롤러(160)와 후술하는 구동벨트(17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제1 사이드롤러(160)의 회전력이 구동벨트(170)의 주행에 의하여 제1 권취롤러(151)에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한편, 제1 권취롤러(151)에는 둘레면을 따라서 수용홈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구동벨트(170)는 수용홈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주행하므로, 구동벨트(170)와 제1 권취롤러(151) 간의 접촉력이 향상되어 동력 전달 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제1 권취롤러(151)로부터 구동벨트(170)가 이탈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권취롤러(152)는 제1 권취롤러(151)에 의하여 권취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편물을 권취하기 위한 롤러이다. 제2 권취롤러(152)는 제1 권취롤러(151)와는 달리, 동력원으로부터 직접적인 동력을 전달받지 않은 상태에서 편물을 권취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 권취롤러(152)의 권취방식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권취롤러(151) 및 제2 권취롤러(152)는 회전하여 편물을 권취하는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횡단면의 형상을 원으로 한정하는 의미는 아니다.
상기 제1 사이드롤러(160)는 구동롤러(14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1 권취롤러(151)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부에 장착되는 기어가 구동롤러(140)의 단부에 장착된 기어와 서로 치합함으로써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권취롤러(151)와 마찬가지로 제1 사이드롤러(160)에는 구동벨트(170)가 장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벨트(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권취롤러(151)와 제1 사이드롤러(160)를 상호 연결하여, 제1 사이드롤러(160)의 회전력을 제1 권취롤러(151)에 전달하기 위한 벨트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벨트(170)는 동력 전달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브이벨트(V-BELT)로 구성된다. 따라서, 브이벨트로 구성되는 구동벨트(170)가 제1 권취롤러(151)와 제1 사이드롤러(160)의 수용홈에 밀착된 상태에서 주행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므로, 동력 손실율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주행중 구동벨트(170)의 이탈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사이드롤러(180)는 구동롤러(14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방다 제2 권취롤러(152)를 통한 편물의 권취력을 실질적으로 제공하는 롤러 구조물이다. 제2 사이드롤러(180)는 단부에 장착되는 기어가 구동롤러(140)의 단부에 장착된 기어와 서로 치합함으로써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구동롤러(140)를 중심으로 양측에 제1 사이드롤러(160)와 제2 사이드롤러(180)가 각각 배치되며, 제1 사이드롤러(160)와 제2 사이드롤러(180)는 단부에 기어가 장착되어 구동롤러(140) 단부에 장착된 기어와 치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사이드롤러(160)의 단부를 구동롤러(140) 측으로 가압하고, 제2 사이드롤러(180)의 단부를 구동롤러(140) 측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압축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기어 사이의 치합 관계가 긴밀히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의 장력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력제어부(190)는 구동벨트(170)의 최초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이들롤러(191)와 제어암(192)과 고정부(194)를 포함한다.
상기 아이들롤러(191)는 상술한 구동벨트(170)에 밀착하여 최초 구동 시 구동벨트(17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롤러로서, 후술하는 제어암(192)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어암(192)은 아이들롤러(191)를 지지하는 동시에 아이들롤러(191)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일단부에는 아이들롤러(19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가 본체부(120) 상에 장착된다. 제어암(192)의 타단부는 본체부(120)에 마련되는 소정의 회동축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제어암(192)의 타단부 측에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원호형의 안내선(193)이 절개되며, 본체부(120)에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121)가 안내선(193)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제어암(192)은 안내선(193) 내에 가이드부재(121)를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부(120) 상에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아이들롤러(191)의 위치를 변경하며, 안내선(193)과 가이드부재(121)가 접촉하는 형태로 제어암(192)의 회동 반경을 제한한다.
상기 고정부(194)는 제어암(192)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켜 회동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본 발명에서는 안내선(193)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부재(121)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인 것으로 설명하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 형태의 고정부(194)가 가이드부재(121)에 결합하여 제어암(192)의 단부에 밀착함으로써, 제어암(192)의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의 권취 시작 전 구동벨트의 장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물을 권취하기 전에, 구동벨트(170)의 장력을 조절한다. 먼저, 고정부(194)를 고정 해제한 상태에서 제어암(192)을 회동시켜 아이들롤러(191)를 구동벨트(170)를 가압하는 방향 또는 가압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구동벨트(170)의 장력을 조절한다. 필요한 장력 설정이 완료되면, 고정부(194)를 조작하여 제어암(192)의 위치를 고정하여 구동벨트(170)의 장력이 최초 설정된 값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도 6은 도 1의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의 권취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원에 의하여 구동롤러(140)가 회전하면 제1 사이드롤러(160) 및 제2 사이드롤러(180)가 회전한다. 이때, 제1 사이드롤러(160)와 구동벨트(170)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1 권취롤러(151)가 회전하면서 분리된 편물 중 하나를 권취하게 된다. 제1 권취롤러(151)에 의하여 권취되는 편물을 제1 편물이라 정의하면, 제1 편물은 구동롤러(140)와 제1 사이드롤러(160)를 통과하여 제1 권취롤러(151) 측으로 주행하여 권취된다.
제1 권취롤러(151)에 의하여 권취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편물을 제2 편물이라 정의하면, 제2 편물은 제1 편물과 마찬가지로 구동롤러(140)와 제1 사이드롤러(160)를 통과한다. 다만, 제1 사이드롤러(160)로부터 인출된 제2 편물은 제2 권취롤러(152)를 통과하여 제2 사이드롤러(180)를 거쳐 다시 제2 권취롤러(152) 측으로 주행하여 제2 권취롤러(152) 상에 최종 권취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2 권취롤러(152)에는 별도의 구동벨트(170)가 연결되지 않아 직접적으로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음에도, 제2 사이드롤러(180)를 통과하면서 제2 편물이 획득한 주행력과 연동하여 제2 권취롤러(152)가 회전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제2 편물을 권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 권취롤러(152)의 권취방식에 의하면, 별도의 구동벨트(170)가 필요하지 않고, 편물은 권취에 필요한 적절한 장력을 가지게 되므로 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가 불필요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상의 편물을 동시에 권취 처리할 수 있으므로, 최종 생산된 편물이 균일한 특성을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신규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 단일 권취롤러 만을 구비하고 있는 기존의 환편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 생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권취방식, 즉, 구동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동력을 제공받는 권취방식과 편물의 주행력을 이용한 권취방식을 이용함으로써 필요한 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제작부 120 : 본체부
130 : 분리부 140 : 구동롤러
150 : 권취부 151 : 제1 권취롤러
152 : 제2 권취롤러 160 : 제1 사이드롤러
170 : 구동벨트 180 : 제2 사이드롤러
190 : 장력제어부 191 : 아이들롤러
192 : 제어암 193 : 절개선
194 : 고정부

Claims (10)

  1. 본체부;
    튜브형의 편물을 직조하는 제작부;
    상기 제작부로부터 직조된 튜브형의 편물을 두 개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본체부 상에 장착되며,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
    상기 본체부 상에 장착되며, 분리된 한 쌍의 편물을 각각 권취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구동롤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분리된 편물 중 어느 하나를 권취하는 제1 권취롤러; 분리된 편물 중 나머지 하나를 권취하는 제2 권취롤러;를 포함하고,
    각각 상기 구동롤러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제1 사이드롤러 및 제2 사이드롤러; 상기 제1 사이드롤러와 상기 제1 권취롤러를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를 더 포함하고,
    어느 하나의 편물은 단부가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제1 사이드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권취롤러에서 권취되며, 다른 하나의 편물은 단부가 상기 구동롤러, 상기 제1 사이드롤러, 상기 제2 권취롤러, 상기 제2 사이드롤러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권취롤러 상에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최초 권취 시점의 상기 구동벨트의 장력을 제어하는 장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력 제어부는,
    상기 구동벨트의 내면에 밀착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벨트를 긴장 또는 이완시키는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장력 제어부는,
    일단부에는 상기 아이들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부 상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어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암은 타단부에 회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과 인접하게 원호형의 안내선이 절개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부재가 상기 안내선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동 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력 제어부는 상기 제어암의 타단부의 회동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롤러와 상기 제1 권취롤러에는 상기 구동벨트가 수용되도록 둘레를 따라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벨트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브이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10. 삭제
KR1020170104668A 2017-08-18 2017-08-18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KR101971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668A KR101971733B1 (ko) 2017-08-18 2017-08-18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668A KR101971733B1 (ko) 2017-08-18 2017-08-18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245A KR20190020245A (ko) 2019-02-28
KR101971733B1 true KR101971733B1 (ko) 2019-04-25

Family

ID=6558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668A KR101971733B1 (ko) 2017-08-18 2017-08-18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7791A (ko) 2022-02-03 2023-08-10 양진석 환편기용 편물의 오픈 겸용 권취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885A (en) 1991-09-23 1994-06-07 Vignoni S.R.L. Winding device for split knitted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621Y1 (ko) * 1986-02-11 1987-10-20 윤상혁 파일환편기의 권취장치
JPH0481987U (ko) * 1990-11-27 1992-07-16
KR930011633B1 (ko) * 1991-04-23 1993-12-16 요이찌 이나모도 환편기(丸編機)에 있어서의 편지(編地)이송용 롤에의 동력전달장치
KR960014600B1 (ko) * 1995-10-18 1996-10-16 금용기계 주식회사 환편기에 있어서 자동 편직물로울(roll)권취 및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885A (en) 1991-09-23 1994-06-07 Vignoni S.R.L. Winding device for split knitted fabric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7791A (ko) 2022-02-03 2023-08-10 양진석 환편기용 편물의 오픈 겸용 권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245A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342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bias fabrics
CN101255633A (zh) 双针经编机的主传动装置
JP2019513917A (ja) 中空形状織地を製作する円形織機および方法
KR101772994B1 (ko)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원단 제작 장치
KR101971733B1 (ko) 듀얼 권취가 가능한 환편기
US6270032B1 (en) Variable or steady yarn feeding apparatus
CN111719232B (zh) 经编机和用于经编机的织物牵拉装置
JP4492595B2 (ja) ブレイディングキャリア
CN115074909A (zh) 一种经编变速匀张力送纱装置及织造方法
TW459081B (en) Gripping breadth holders in a warp knitting machine
KR102451256B1 (ko) 원형 니팅 기계
KR101213182B1 (ko) 양말 편직기의 합연장치 및 양말 편직 시스템
RU2077621C1 (ru) Ротационная двухцилиндровая кругловязальная машина
EP1461485A1 (en) Device for the tensioning on four sides of textile materials, relative method and relative quilting/embroidering machine
KR101097061B1 (ko) 라셀 편직장치
US373960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strands, and elements thereof
US4993241A (en) Method of knitting
CN221026589U (zh) 一种用于针织圆机的收卷装置
US3302431A (en) Knitting method
KR200364081Y1 (ko) 와인더의 개량 권취장치
TW202314074A (zh) 圓形針織機用卷取裝置及該裝置中的驅動輥的控制方法
KR100562713B1 (ko) 와인더의 개량 권취장치
GB203538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knitting
CN211112497U (zh) 钩编机
KR100316961B1 (ko) 심사용 실 및 부사용 실로 이루어진 실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