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720B1 -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720B1
KR101971720B1 KR1020120085535A KR20120085535A KR101971720B1 KR 101971720 B1 KR101971720 B1 KR 101971720B1 KR 1020120085535 A KR1020120085535 A KR 1020120085535A KR 20120085535 A KR20120085535 A KR 20120085535A KR 101971720 B1 KR101971720 B1 KR 101971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analyzing
received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9500A (ko
Inventor
노해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5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720B1/ko
Priority to US14/241,310 priority patent/US20140223572A1/en
Priority to CN201380040991.XA priority patent/CN104509145B/zh
Priority to PCT/KR2013/006318 priority patent/WO2014021567A1/ko
Publication of KR2014001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한 후 다양한 관점의 통계 결과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메시지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내용 분석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대화 채널이 수립된 상태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메시지 분석 장치로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고, 상기 메시지 분석 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통계 결과를 수신하는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분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여 통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통계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분석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protection of messag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메시지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한 후 다양한 관점의 통계 결과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메시지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시청 등 다양한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의 증대를 위한 기술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하드웨어 개량 기술은 물론 소프트웨어 개량 기술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을 이용하여 통신망에 접속한 후 다수의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대화를 진행할 수 있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한 명의 사용자와 대화를 진행하는 빈도보다는 다수의 사용자와 동시에 대화를 진행하는 빈도가 더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다수의 사용자와 동시에 대화를 진행하는 경우, 상기 대화에 뒤 늦게 참여한 사용자들은 그 이전 사용자들이 어떠한 대화를 주고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대화에 참여하고 있던 사용자이더라도 과거 대화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특허문헌: KR 10-2001-0103278 A1, 2001년 11월 23일 공개 (명칭: 다중 채팅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한 후 다양한 통계 결과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대화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대화에 뒤 늦게 참여하더라도 그 이전 사용자들의 대화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는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시지 내용 분석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대화 채널이 수립된 상태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메시지 분석 장치로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고, 메시지 분석 장치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통계 결과를 수신하는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분석 요청이 수신되면,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여 통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통계 결과를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분석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시지 분석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 및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분석 요청을 수신하고, 메시지에 대한 통계 결과를 단말로 전송하는 분석 통신부; 및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분석 요청이 수신되면,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여 통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통계 결과를 단말로 전송하는 분석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분석 제어부는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단말별 메시지 입력 횟수, 총 글자 수, 인기도, 친절도, 주요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분석 항목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 제어부는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 입력 횟수를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단말별 메시지 입력 횟수에 대한 통계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분석 제어부는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총 글자 수를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단말별 입력한 글자 수에 대한 통계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분석 제어부는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에서 단말별 각각 입력한 메시지에 대한 상대방의 응답 메시지의 추출하고, 응답 메시지에 기 설정된 긍정의 단어가 포함된 개수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여 인기도에 대한 통계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분석 제어부는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에서 단말별 상대방의 입력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고, 응답 메시지에 기 설정된 긍정의 단어가 포함된 개수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여 친절도에 대한 통계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분석 제어부는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주요 키워드별로 통계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대화 채널이 수립된 상태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메시지 분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분석 요청이 입력되면,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여 통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통계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분석 항목이 선택되면, 분석 항목에 대한 통계 결과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은 메시지 분석 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 분석 장치가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메시지 분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 분석 장치가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여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 및 메시지 분석 장치가 산출된 통계 결과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의 순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때,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메시지 분석 장치가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단말별 메시지 입력 횟수, 총 글자 수, 인기도, 친절도, 주요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분석 항목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대화 채널을 수립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대화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분석 요청이 입력되면,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여 통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이 통계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의 순으로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한 후 다양한 통계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단말 사이에 송수신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사용자는 대화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단말 사이에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통계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대화에 뒤 늦게 참여한 사용자이더라도, 그 이전 사용자들의 대화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내용 분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분석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메시지 분석 항목이 단말별 메시지 입력 횟수일 경우,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메시지 분석 항목이 총 글자수일 경우,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메시지 분석 항목이 인기도일 경우,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메시지 분석 항목이 친절도일 경우,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메시지 분석 항목이 주요 키워드일 경우,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로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내용 분석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내용 분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시지 내용 분석 시스템(100)은 다수의 단말(10), 메시지 분석 장치(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메시지 내용 분석 시스템(100)은 대화 채널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단말(10) 사이의 송수신된 메시지를 다양한 분석 항목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고, 이에 따른 통계 결과를 메시지 분석을 요청한 단말로 제공하는 지원하게 된다.
이하, 메시지 내용 분석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분석에 대한 통계 결과를 메시지 분석을 요청한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화 채널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단말(10)로 메시지 분석에 대한 통계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먼저, 단말(10)은 다수의 사용자 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예컨대, 제1 단말(10a)의 사용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대화 채널이 연결된 제2 단말(10b) 및 제3 단말(10c)로 전송하고, 제2 단말(10b) 및 제3 단말(10c)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1 단말(10a)로 표시하는 과정의 전반을 지원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다수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메시지 분석 장치(20)로 상기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요청하고, 메시지 분석 장치(20)로부터 이에 대한 통계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 분석 장치(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저장하고,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분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여 통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통계 결과를 제1 단말(10a)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10) 및 메시지 분석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서의 대화 채널이란 다수의 단말(10) 사이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경로로, 예를 들어, 제1 단말(10a)이 대화를 진행하고자 하는 제2 단말(10b) 및 제3 단말(10c)을 선택하여 대화방을 생성하는 행위, 제1 단말(10a)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제2 단말(10b) 및 제3 단말(10c)로 전송하는 행위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10) 및 메시지 분석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대화 채널이 수립된 상태에서, 상기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메시지 분석 장치(20)로 메시지 분석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통계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10)이 직접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시지 분석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분석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분석 장치(20)는 분석 통신부(21), 분석 제어부(22) 및 분석 저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분석 제어부(22)는 메시지 분석 모듈(22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석 통신부(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수신하는 것으로, 예컨대, 대화 채널을 통해 연결된 제1 단말(10a), 제2 단말(10b), 제3 단말(10c)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대화 채널에 연결된 상기 제1 단말(10a), 제2 단말(10b), 제3 단말(10c)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로부터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분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대한 통계 결과를 메시지에 대한 분석 요청을 송신한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로 전송할 수도 있다.
분석 제어부(22)는 본 발명의 메시지 분석 장치(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석 제어부(22)는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로부터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고 있는 메시지에 대한 분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여 통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통계 결과를 메시지 분석을 요청한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로 전송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간에 송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대화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분석 제어부(22)는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단말별 메시지 입력 횟수, 총 글자 수, 인기도, 친절도, 주요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분석 항목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통계를 산출하고, 산출된 통계 결과를 메시지 분석을 요청한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특정 대화 채널을 통해 제1 단말(10a), 제2 단말(10b), 제3 단말(10c)이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있는 상태라 하자.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가 10개이고, 제1 단말(10a)이 5개, 제2 단말(10b)이 3개, 제3 단말(10c)이 2개의 메시지를 입력하였다면, 분석 제어부(22)는 단말별 메시지 입력 횟수를 카운팅하고, 이에 대한 통계 결과, 예컨대 가장 많은 메시지를 입력한 단말(제1 단말), 가장 적은 메시지를 입력한 단말(제3 단말)에 대한 통계 결과를 메시지 분석을 요청한 단말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예컨대 사용자 닉네임, 이름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10a), 제2 단말(10b), 제3 단말(10c)이 각각 입력한 메시지의 총 글자수를 카운팅하고, 이에 대한 통계 결과, 예컨대 가장 말이 많은 단말, 가장 말이 적은 단말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 분석을 요청한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대화 채널에 참가하고 있는 단말에 대한 인기도, 친절도 등을 평가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인기도란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기준으로 상대방의 응답 메시지에 얼마나 많은 긍정의 표현이 포함되고 있는 지에 대한 척도이며, 친절도란 상대방이 입력한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에 얼마나 많은 긍정의 표현이 포함되고 있는 지에 대한 척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응답 메시지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입력한 마지막 메시지를 기준으로 일정 기간 내 입력된 다른 사용자의 메시지가 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1 단말(10a)이 입력한 메시지에 대해 제2 단말(10b) 및 제3 단말(10c)이 일정 기간 내, 예컨대 3초 내 메시지를 입력하였다면, 3초 내 입력된 메시지가 응답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분석 제어부(22)는 이러한 응답 메시지에 긍정의 표현, 즉 기 설정된 긍정의 단어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이를 기초로 인기도 또는 친절도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단말(10a)이 입력한 메시지에 대해 제2 단말(10b)이 입력한 응답 메시지가 "좋아요!"이고, 제3 단말(10c)이 입력한 응답 메시지가 "싫어요!"이라 한다.
또한, 기 설정된 긍정의 단어가 "좋아요"일 경우, 제1 단말(10a)이 입력한 메시지에 대해 제2 단말(10b)이 입력한 메시지에 긍정의 단어가 1회 포함되어 있고, 제3 단말(10c)이 입력한 메시지에 긍정의 단어가 0회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1 단말(10a)이 입력한 메시지에 대한 상대방의 응답 메시지 중 긍정의 단어는 총 1회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단말(10a)의 인기도는 1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단말(10b)이 입력한 메시지에 대해 제1 단말(10a) 및 제3 단말(10b)의 응답 메시지에 기 설정된 긍정의 단어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여, 제1 단말(10a)이 3회의 긍정의 단어를 입력하였고, 제3 단말(10c)이 1회의 긍정의 단어를 입력하였다면, 제2 단말(10b)의 인기도는 4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긍정의 단어가 포함된 개수에 따라 인기도를 산출하고, 이에 대한 통계 결과, 예컨대 인기가 가장 좋은 사용자, 인기가 가장 없는 사용자 등의 통계 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통계 결과를 메시지 분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친절도는 상대방이 입력한 메시지를 기준으로 내가 얼마나 많은 긍정의 표현을 입력 하였는지에 대한 척도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방이 입력한 메시지, 예컨대 제1 단말(10a) 및 제2 단말(10b)이 입력한 메시지에 대해 제3 단말(10c)이 입력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긍정의 단어를 카운팅하고, 인기도와 마찬가지로 친절도를 산출하여 메시지 분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분석 제어부(22)는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주요 키워드 등의 정보를 분석할 수도 있다. 즉,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각각 파싱하여,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를 카운팅하여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분석 제어부(22)를 통해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대화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는 현재 대화 채널의 분위기, 대화 채널을 주도하고 있는 사용자, 주요 대화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대화 채널에 뒤 늦게 참여한 사용자이더라도 메시지 분석 장치(20)로 메시지 분석을 요청한 후 메시지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현재 대화 채널의 상황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분석 제어부(22)는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메시지를 분석하는 메시지 분석 모듈(22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석 저장부(23)는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영구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으로, 분석 제어부(22)에 의해 분석된 결과, 분석 항목 등 메시지 분석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분석 장치(20)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메시지 분석 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메시지 내용 분석 시스템(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의 단말(10)과 메시지 분석 장치(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대화 채널이 수립된 상태에서, 상기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메시지 분석 장치(20)로 메시지 분석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통계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10)이 직접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은 통신부(11), 제어부(12), 입력부(13), 저장부(14), 표시부(15) 및 음원 출력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15)는 메시지 분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5a)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통신부(11)는 통신망(30)을 통해 대화 채널이 수립된 단말 사이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예컨대, 제1 단말(10a)의 사용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를 대화 채널이 수립된 상대방 단말, 예컨대 제2 단말(10b) 및 제3 단말(10c)로 전송하고, 제2 단말(10b) 또는 제3 단말(10c)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분석 요청을 메시지 분석 장치(20)로 전송하고, 메시지 분석 장치(20)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통계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통신부(11)는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단말(10)의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12)는 사용자로부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분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메시지 분석 장치(20)로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 분석 장치(20)로부터 메시지 분석에 대한 통계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단말(10)의 제어부(12)가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후술할 표시부(15)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a)를 이용하여 메시지 분석 요청을 입력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5a)를 통해 기 설정된 분석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슬(15a)를 통해 선택된 분석 항목을 기준으로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상기 표시부(1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5a)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게 된다.
메시지 분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나머지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입력부(13)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2)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3)는 상대방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및 메시지 분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게 된다. 이 외에도 메시지 내용 분석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의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3)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3)는 후술할 표시부(15)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 또는 음성 입력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저장부(14)는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및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의 제어부(12)가 직접 메시지 내용 분석을 수행하는 경우, 메시지 내용 분석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단말(1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며, 데이터 영역은 단말(1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및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5)는 단말(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컨대, 메시지 입력을 위한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등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5)는 메시지 분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5a)를 제공하며, 다양한 분석 항목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5a)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표시부(1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원 출력부(16)는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메시지 표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메시지 분석 장치(20) 및 단말(10)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각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 각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메시지 분석 장치(20)가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다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의 요청에 따라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메시지 분석을 요청한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단말이 직접 메시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a), 제2 단말(10b), 제3 단말(10c)은 하나의 대화 채널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있는 상태로, 제1 단말(10a)의 사용자 이름이 A, 제2 단말(10b)의 사용자 이름이 B, 제3 단말(10c)의 사용자 이름이 C라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단말(10a)의 사용자가 메시지 분석 장치(20)로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내용 분석을 요청한 상태라 가정한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메시지 분석 장치(20)가 하나 이상의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수신하고, 상기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로부터 메시지 분석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S101).
이후, 메시지 분석 장치(20)는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메시지를 분석하게 된다(S103). 여기서 기 설정된 분석 항목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별 메시지 단말별 메시지 입력 횟수, 총 글자 수, 인기도, 친절도, 주요 키워드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메시지 분석 장치(20)는 현재까지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를 상기의 기 설정된 분석 항목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게 된다.
이후, 분석된 결과에 따라 다양한 통계 결과를 산출하고, 통계 결과를 메시지 내용 분석을 요청한 단말, 예컨대 제1 단말(10a)로 전송하게 된다(S105).
S103 단계에 대해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메시지 분석 항목이 단말별 메시지 입력 횟수일 경우의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메시지 분석 항목이 단말별 메시지 입력 횟수일 경우,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메시지 분석 항목이 단말별 메시지 입력 횟수일 경우, 먼저, 메시지 분석 장치(20)는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단말별로 추출하고, 단말별 메시지 입력 횟수를 카운팅하게 된다(S201).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a)인 A는 현재까지 총 3번의 메시지를 입력하였으며, 제2 단말(10b)인 B는 총 1번의 메시지를, 제3 단말(10c)인 C는 총 1번의 메시지를 입력하였다면, 메시지 분석 장치(20)는 단말별 메시지 입력 횟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S203), 통계를 산출하게 된다.
예컨대 가장 많은 메시지를 입력한 사용자(A), 가장 적은 메시지를 입력한 사용자(B, C)에 대한 통계를 산출하여 메시지 분석을 요청한 단말, 제1 단말(10a)인 사용자 A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메시지 분석 항목이 총 글자수일 경우에서의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메시지 분석 항목이 총 글자수일 경우,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메시지 분석 장치(20)는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단말별로 추출하고, 단말별 입력한 메시지의 총 글자수를 카운팅하게 된다(S301). 예컨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a)인 A는 3회의 메시지를 통해 총 26개의 글자를 입력하였고, 제2 단말(10b)인 B는 1회의 메시지를 통해 총 37개의 글자를 입력하였으며, 제3 단말(10c)인 C는 1회의 메시지를 통해 총 9개의 글자를 입력하였다면, 단말별로 각각 입력한 메시지의 총 글자수를 카운팅하고, 총 글자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S303), 이에 대한 통계를 산출하게 된다.
예컨대 가장 말을 많이 한 사용자(B), 가장 말을 적게 한 사용자(C)에 대한 통계를 산출하여, 제1 단말(10a)인 사용자 A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메시지 분석 항목이 인기도일 경우에서의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메시지 분석 항목이 인기도일 경우,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메시지 분석 장치(20)는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에서 단말별 각각 입력한 메시지에 대한 상대방의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게 된다(S401).
여기서, 응답 메시지는 대화 채널에 연결된 어느 하나의 단말이 마지막으로 입력한 메시지에 대한 일정 기간 내 입력된 상대방 단말의 메시지로, 여기서 일정 기간은 1초, 3초 또는 특정 단말이 입력한 메시지에 대한 상대방의 첫 번째 메시지를 응답 메시지로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a)인 A가 입력한 마지막 메시지("수학 60점 이예요!") 이후의 제2 단말(10b)인 B가 입력한 응답 메시지("우리 아들 장하구나. 잘했다 아들. 참 잘했어. 그것보렴 아들. 노력하면 얼마든지 할 수 있지 않니.?"), 제3 단말(10c)인 C가 입력한 응답 메시지("에이, 겨우 그거 가지고!")를 추출하게 된다.
이후, 추출된 응답 메시지에서 긍정의 단어 개수를 카운팅하게 된다(S403).
예를 들어, 제1 단말(10a)인 A가 현재까지 입력한 메시지에 대한 인기도를 산출하고자 할 경우, 제1 단말(10a)인 A의 입력 메시지에 대한 제2 단말(10b)인 B의 응답 메시지, 제3 단말(10c)인 C의 응답 메시지를 산출하고, 산출된 응답 메시지에서 긍정의 단어 개수를 카운팅하게 된다.
여기서, 긍정의 단어는 메시지 분석 장치(20)의 설정 또는 메시지 분석을 요청한 단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예에서, 기 설정된 긍정의 단어는 "장하다, 잘한다"라 가정한다.
이후, 메시지 분석 장치(20)는 제1 단말(10a)의 입력 메시지에 대한 제2 단말(10b) 및 제3 단말(10c)의 응답 메시지에서 기 설정된 긍정의 단어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긍정의 단어 개수에 따라 인기도를 산출하게 된다(S405).
예컨대, 제2 단말(10b)의 긍정의 단어의 개수는 총 3개이고, 제3 단말(10c)의 긍정의 단어 개수는 0개이면, 제1 단말(10a)의 입력 메시지에 대한 총 긍정의 단어 개수는 3개가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단말(10b)의 입력 메시지에 대한 제1 단말(10a)과 제3 단말(10c)의 응답 메시지의 포함된 총 긍정의 단어 개수를 카운팅하고, 제3 단말(10c)의 입력 메시지에 대한 제1 단말(10a)과 제2 단말(10c)의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총 긍정의 단어 개수를 카운팅한 후, 각각의 단말별 총 긍정의 단어 개수를 비교하여, 인기도를 산출하고(S405), 산출된 인기도를 기준으로 정렬하게 된다(S407).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1 단말(10a)의 입력 메시지에 대한 인기도가 가장 많은 것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임계 값을 설정하여, 긍정의 단어 개수가 5개 이상을 인기도 상 등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하, 메시지 분석 항목이 친절도일 경우에서의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메시지 분석 항목이 친절도일 경우,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친절도란 상대방이 입력한 메시지에 대해 얼마나 많은 긍정의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였는지에 대한 척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 도 1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대방의 입력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게 된다(S501).
예컨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의 입력 메시지, 즉 제1 단말(10a)인 A의 입력 메시지에 대한 제2 단말(10b)인 B의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응답 메시지에서 긍정의 단어 개수를 카운팅한 후(S503), 카운팅된 긍정의 단어 개수에 따라 친절도를 산출하게 된다(S505). 이후 친절도를 기준으로 정렬하고, 제1 단말(10a)로 가장 친절한 사용자(B), 가장 친절하지 않은 사용자(C)와 같이 다양한 통계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메시지 분석 항목이 주요 키워드일 경우에서의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메시지 분석 항목이 주요 키워드일 경우,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메시지 분석 장치(20)는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에서 키워드를 추출한다(S601). 여기서 키워드는 단어가 될 수 있으며,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파싱하여,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를 카운팅하게 된다.
여기서 메시지를 기초로 파싱하는 과정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 추출된 단어의 개수를 단어별로 카운팅하고(S603), 개수를 기준으로 정렬하게 된다(S605).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예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키워드는 "아들"이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에서 가장 많은 등장하는 키워드를 분석함에 따라, 상기 대화 채널에 뒤 늦게 참가하더라도, 개략적으로 현재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어떠한 이야기(아들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지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메시지 분석 장치(20)를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대화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는 현재 대화 채널의 분위기, 대화 채널을 주도하고 있는 사용자, 주요 대화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메시지 내용 분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번호 43은 현재까지 하나의 대화 채널을 통해 단말간 송수신된 메시지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열한 메시지 표시창이며, 일련번호 41은 현재의 대화 채널의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분석을 메시지 분석 장치(20)로 요청하게 위한 입력을 지원하는 메시지 분석하기 버튼이며, 일련번호 42는 메시지 입력을 지원하는 메시지 입력하기 버튼이다.
여기서, 메시지 분석하기 버튼(41)을 눌러 입력하게 되면,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입력 횟수 보기(44), 총 글자수 보기(45), 인기도 보기(46), 친절도 보기(47), 주요 키워드 보기(48)와 같이 기 설정된 분석 항목이 표시되며, 이 중에서 사용자가 특정 분석 항목을 선택하게 되면, 이에 대한 통계 결과를 메시지 표시창(43)을 통해 표시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 사이에 송수신된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일목요연하게 제공하고, 이를 통해 현재까지의 대화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화에 뒤 늦게 참여한 사용자이더라도 그 이전 사용자들의 대화 내용, 분위기 등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석 항목을 메시지 입력 횟수, 총 글자수, 인기도, 친절도,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관점에서 하나의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나의 대화 채널뿐 아니라, 하나의 단말이 참여하고 있는 다양한 대화 채널에서의 해당 단말이 입력한 메시지를 취합한 후 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해당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 및 메시지 분석 장치(2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 예컨대, 메시지 내용 분석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한 주제, 즉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의 특정 일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메시지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한 후 다양한 관점의 통계 결과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메시지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다수의 단말 사이에 송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대화에 뒤 늦게 참가한 사용자이더라도 다른 사용자들이 주고받은 메시지 내용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이를 통해 메시지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a: 제1 단말 10b: 제2 단말 10c: 제3 단말
11; 통신부 12: 제어부 13: 입력부
14: 저장부 15: 표시부 16: 음원 출력부
20: 메시지 분석 장치 21: 분석 통신부 22: 분석 제어부
23: 분석 저장부 30: 통신망
100: 메시지 내용 분석 시스템

Claims (1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대화 채널이 수립된 상태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메시지 분석 장치로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내용 분석을 요청하고, 상기 메시지 분석 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 내용 분석 결과를 수신하는 단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내용에 대한 분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분석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내용 분석 시스템.
  2.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내용에 대한 분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분석 통신부; 및
    상기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분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여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산출하고, 산출된 분석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분석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분석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를 단말별 메시지 입력 횟수, 총 글자 수, 인기도, 친절도, 주요 키워드 중 어느 하나의 분석 항목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통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분석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대화 채널이 수립된 상태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메시지 분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내용에 대한 분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메시지 내용을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하고,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삭제
  11. 메시지 분석 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분석 장치가 상기 대화 채널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메시지 분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분석 장치가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현재까지 송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하고,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분석 장치가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12. 삭제
  13. 사용자 단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대화 채널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대방 단말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화 채널을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 내용에 대한 분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메시지 내용을 기 설정된 분석 항목에 따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메시지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14. 삭제
KR1020120085535A 2012-07-31 2012-08-06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97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535A KR101971720B1 (ko) 2012-08-06 2012-08-06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4/241,310 US20140223572A1 (en) 2012-07-31 2013-07-15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CN201380040991.XA CN104509145B (zh) 2012-07-31 2013-07-15 消息服务提供方法及用于该消息服务提供方法的装置和系统
PCT/KR2013/006318 WO2014021567A1 (ko) 2012-07-31 2013-07-15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535A KR101971720B1 (ko) 2012-08-06 2012-08-06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500A KR20140019500A (ko) 2014-02-17
KR101971720B1 true KR101971720B1 (ko) 2019-04-24

Family

ID=5026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535A KR101971720B1 (ko) 2012-07-31 2012-08-06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896B1 (ko) 2015-01-22 2016-06-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KR20160134564A (ko) * 2015-05-13 201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감성을 분석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363974B1 (ko) 2018-01-12 2022-02-16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메시징 서비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상황 감지 및 사용자 상황에 기반한 메시징 서비스와의 인터랙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9553A1 (en) 2007-07-10 2009-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gging private sections in text, audio, and video medi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278A (ko) 2000-05-09 2001-11-23 김도영 다중 채팅 방법
KR20090001855A (ko) * 2007-05-29 2009-01-09 주식회사 플러그인티 무선 인스턴트 메시지 대화와 사용자 위치정보를 이용한검색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20004156A (ko) * 2010-07-06 2012-01-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시지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9553A1 (en) 2007-07-10 2009-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gging private sections in text, audio, and video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500A (ko) 201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5740B2 (en) Advertisement push system, apparatus, and method
WO2017050068A1 (zh) 交互系统、方法、客户端及后台服务器
US9336268B1 (en) Relativistic sentiment analyzer
US20210266631A1 (en) Live streaming interactive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EP2867849B1 (en) Performance analysis for combining remote audience responses
WO2018153207A1 (zh) 数据处理方法、服务器、终端及系统
WO2016110182A1 (zh) 匹配表情图像的方法、装置及终端
CN110096679A (zh) 在电子表格中显示多个作者的在场
KR20150108096A (ko) 메신저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0719890B1 (en) Machine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clustering
EP3866410B1 (en) Message display method, apparatus, and device
JP6910300B2 (ja) チャット履歴記録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チャット履歴記録を表示するための装置
CN108885739A (zh) 智能个人助理作为联系人
US10535344B2 (en) Conversational system user experience
KR20140107736A (ko) 음성 메시지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06481A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WO2023024970A1 (zh) 信息处理方法、相关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971720B1 (ko) 메시지 내용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11868767A (zh) 基于用户洞察来驱动上下文感知的用户协作
CN113596555A (zh) 视频播放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40120982A (ko) 메시지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EP2838225A1 (en) Message based conversation function execu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40122801A (ko) 메시지 서비스에서의 비밀 메시지 전송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212072B1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추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20220311717A1 (en) Multi-dimensional/multi-actor conversational 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