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543B1 -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543B1
KR101971543B1 KR1020190028922A KR20190028922A KR101971543B1 KR 101971543 B1 KR101971543 B1 KR 101971543B1 KR 1020190028922 A KR1020190028922 A KR 1020190028922A KR 20190028922 A KR20190028922 A KR 20190028922A KR 101971543 B1 KR101971543 B1 KR 101971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racket
hole
slo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566A (ko
Inventor
박준성
김진욱
김선직
천명길
Original Assignee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5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차량용 드라이브 샤프트는 하프 샤프트, 상기 하프 샤프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프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인터미디어트 샤프트, 그리고 상기 인터미디어트 샤프트에 결합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을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베어링에 구면 접촉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인터미디어트 샤프트를 감싸는 이너링, 상기 브라켓부에 안착되고 상기 브라켓부에 접하는 외주면이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아우터링, 그리고 상기 이너링 및 상기 아우터링 사이에 개재되는 볼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부는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에 접하는 내주면이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체결공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베어링의 삽입을 위한 슬롯이 더 형성된다. 상기 슬롯은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경 및 상기 베어링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슬롯은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경 및 상기 베어링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Drive shaf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브라켓 어셈블리의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는 하프 샤프트와 하프 샤프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하프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인터미디어트 샤프트로 구성된다.
이때, 하프 샤프트와 인터미디어트 샤프트 사이에는 차체에 고정되어 인터미디어트 샤프트를 지지하는 고정부가 구비된다.
고정부는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100) 및 브라켓(100)의 내측에 배치되어 내측으로 인터미디어트 샤프트가 관통하는 베어링(200)으로 구성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브라켓(100)은 내측에 베어링(200)이 안착되도록 내부가 관통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에는 내측으로 삽입된 베어링의 전면을 지지하는 단턱(110)이 형성된다.
한편, 베어링(200)은 브라켓(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브라켓(100)의 내주면에 접하는 외륜, 관통된 내측으로 인터미디어트 샤프트가 삽입되어 인터미디어트 샤프트의 둘레를 감싸는 내륜 및 외륜과 내륜 사이에 배치되는 볼로 구성된다.
따라서 베어링(200)이 브라켓(100)에 결합될 경우, 베어링(200)의 외주면은 브라켓(100)의 내주면에 접하고, 베어링(200)의 전면은 브라켓(100)의 전방에 돌출된 단턱부(110)에 지지된다. 이때, 브라켓(100)의 후방에는 브라켓(100)에 결합되어 베어링(200)의 후면에 접하여 베어링(200)을 지지하는 리테이너 링(120)이 체결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베어링(200)의 내측으로 인터미디어트 샤프트가 삽입될 때, 베어링(200)의 외륜과 베어링(200)의 내륜이 서로 뒤틀려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의 내주면, 단턱부(110) 및 리테이너 링(120)에 지지되어 브라켓(100)의 내측에 고정된 외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볼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베어링(200)의 내륜은 내측으로 인터미디어트 샤프트가 결합될 때, 미세하게 회동되어 틀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외륜 및 내륜 사이에 배치된 볼의 접촉지점이 변경되고, 인터미디어트 샤프트가 회전될 경우, 변경된 볼의 접촉지점에서는 마모가 발생되어 베어링(200)의 수명저하는 물론 성능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공보 20-0120234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브라켓과 베어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베어링이 브라켓에 설치된 상태에서 틸트(tilt)가 가능하도록 하여 베어링의 축방향을 구속함은 물론, 볼의 접촉지점을 항시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켜 인터미디어트 샤프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라이브 샤프트는 하프 샤프트, 상기 하프 샤프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프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인터미디어트 샤프트, 그리고 상기 인터미디어트 샤프트에 결합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을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베어링에 구면 접촉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인터미디어트 샤프트를 감싸는 이너링, 상기 브라켓부에 안착되고 상기 브라켓부에 접하는 외주면이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아우터링, 그리고 상기 이너링 및 상기 아우터링 사이에 개재되는 볼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부는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에 접하는 내주면이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체결공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베어링의 삽입을 위한 슬롯이 더 형성된다. 상기 슬롯은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경 및 상기 베어링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슬롯은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경 및 상기 베어링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구면 접촉되는 상기 브라켓부 및 상기 베어링의 각 접촉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이 형성된 부위는 라운드 또는 모따기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드라이브 샤프트는 상기 인터미디어트 샤프트가 삽입되는 상기 베어링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부의 전방 입구를 폐쇄시키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켓부와 베어링이 서로 구면으로 접촉하여 베어링이 틸트 가능한 구조로 브라켓부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인터미디어트 샤프트와 베어링 간의 조립 또는 주행 중 부품의 유동으로 인하여 베어링의 이너링에 비틀림이 발생될 경우에도 베어링의 아우터링이 베어링의 이너링과 함께 틸트되어 볼의 접촉지점을 항시 동일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볼의 마모를 방지하여 베어링의 수명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어링의 외주면 및 베어링이 안착되는 브라켓부의 내주면을 서로 대응되는 구면으로 형성하고, 브라켓부에 베어링이 관통공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어 삽입된 후 회전되는 슬롯을 형성함으로써, 브라켓부와 베어링 간의 조립이 용이하고, 브라켓부에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없이 자체구조만으로 베어링의 이탈을 예방함은 물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의 브라켓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의 베어링 및 브라켓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의 브라켓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의 브라켓부 및 베어링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의 브라켓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의 베어링 및 브라켓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의 브라켓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의 브라켓부 및 베어링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1)(이하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1)'라 함)는 하프 샤프트(10) 및 하프 샤프트(10)의 일 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하프 샤프트(10)와 함께 회전되는 인터미디어트 샤프트(20), 그리고 차체에 고정되어 인터미디어트 샤프트(20)를 지지하는 브라켓 어셈블리(30)를 포함한다.
브라켓 어셈블리(30)는 인터미디어트 샤프트(20)에 결합되는 베어링(31) 및 베어링(31)을 내측에 수용하고, 베어링(31)에 구면 접촉되는 브라켓부(33)를 포함한다.
먼저, 베어링(3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부(33)의 내측에 배치되어 인터미디어트 샤프트(20)를 감싸는 이너링(311), 브라켓부(33)에 안착되어 외주면이 브라켓부(33)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아우터링(313), 그리고 이너링(311)과 아우터링(313) 사이에 개재되는 볼(3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브라켓부(33)의 내주면에 접하는 아우터링의 외주면(313a)은 단면에서 바라본 정면 및 측면의 외형이 동일한 원호를 갖는 구(sphere)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브라켓부(33)는 안착부(331) 및 체결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안착부(331)는 내측에 관통공(3311)이 형성되고, 베어링(31), 즉 아우터링의 외주면(313a)에 접하는 내주면은 아우터링의 외주면(313a)에 대응되는 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면 접촉되는 브라켓부(33) 및 베어링(31)의 각 접촉면(브라켓부(33)의 내주면 및 베어링(31)의 외주면)은 서로 대응되는 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31)은 브라켓부(33)와 구면 접촉되어 틸트(회동) 가능한 구조로 브라켓부(33)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333)는 안착부(33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브라켓부(33)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50)가 삽입되는 체결공(333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부(333)는 관형상으로 형성된 안착부(33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설치될 부위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부(333)는 대칭 또는 비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공(333a)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차체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안착부(331)는 베어링(31)의 삽입이 더 용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안착부(331)에는 베어링(31)의 삽입을 위한 슬롯(33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롯(3313)은 베어링(31)이 관통공(3311)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브라켓부(33)의 안착부(331)에 형성된 것으로, 관통공(3311)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베어링(31)의 외경(D) 및 상기 베어링(31)의 폭(w)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롯(3313)은 도 4와 같이 브라켓부(33)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관통공(331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되되, 베어링(31)이 삽입 가능하도록 베어링(31)의 폭(w) 및 베어링(31)의 외경(D)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아울러, 슬롯(3313)은 정면 및 측면이 모두 원호형상을 갖는 베어링(31)과는 달리, 정면은 호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면은 직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31)이 슬롯(3313)을 통하여 브라켓부(33)의 중심부로 삽입된 후, 회전을 통해 브라켓부(33)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슬롯(3313)이 형성된 부위는 라운드 또는 모따기 처리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롯(3313)이 형성된 브라켓부(33)의 축 방향 측 모서리 부위, 즉 안착부(331)의 축 방향 측 모서리 부위는 베어링(31)이 더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도 5의 (a)와 같이 경사지게 모따기 처리되거나, 도 5의 (b)와 같이 둥글게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1)는 지지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부재(40)는 인터미디어트 샤프트(20)가 삽입되는 베어링(31)의 전방에 배치되어 부라켓부의 전방 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지지부재(40)는 인터미디어트 샤프트(20)가 베어링(31)에 결합되기 전, 인터미디어트 샤프트(20)의 일 측으로 압입되어 베어링(31)의 전방에 배치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단부를 통하여 브라켓부(33)의 전방 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부재(40)는 내부가 관통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인터미디어트 샤프트(20)에 압입될 경우 탄성변형되어 인터미디어트 샤프트(2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가압부 및 가압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어링(31)이 안착되는 관통공(3311)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덮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베어링(31)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1)의 브라켓 어셈블리(30)의 조립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1)의 브라켓 어셈블리(3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1)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준비된 브라켓부(33)의 전방에 베어링(31)의 중심축이 관통공(3311)의 중심축과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베어링(31)을 배치시킨다.
다음으로, 베어링(31)을 슬롯(3313)을 통하여 브라켓부(33)의 내측으로 삽입하되, 베어링(31)의 중심축과 관통공(3311)의 중심축이 서로 교차되도록 베어링(31)을 관통공(3311)의 중앙부에 배치시킨다.
마지막으로, 관통공(3311)의 중앙부에 배치된 베어링(31)을 90도 회전하여 베어링(31)을 브라켓부(33)에 안착시킨다.
이때, 축방향을 따라 직선형태로 형성되는 슬롯(3313)과는 달리, 베어링(31)이 안착되는 안착부의 내주면(331a)은 베어링(31)의 외형과 동일한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90도 회전된 베어링(31)의 둘레를 감쌈과 동시에, 베어링(31)을 지지하여 베어링(31)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313)은 구 형상의 관통공(3311)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베어링(31)은 슬롯(3313)을 완전히 통과하여 구 형상의 관통공(3311)에 위치된 후 90도 회전되어 브라켓부(33)에 안착될 수 있다.
베어링(31)의 삽입 및 회전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롯(3313)은 도 2와 같은 장착된 상태의 베어링(31)이 90도 회전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베어링(3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된 상태에서 90도 회전된 상태로 슬롯(3313)으로 삽입된다. 베어링(31)을 슬롯(3313)을 따라 이동하여 구 형상의 관통공(3311)의 중심까지 삽입한 후 90도 회전시킴으로써 도 2에 도시된 장착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통공(3311) 및 베어링(31)의 외면이 각각 구면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베어링(31)이 회전이 일어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켓부(33)와 베어링(31)이 서로 구면으로 접촉하여 베어링(31)이 틸트 가능한 구조로 브라켓부(33)의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인터미디어트 샤프트(20)와 베어링(31) 간의 조립 또는 주행 중 부품의 유동으로 인하여 베어링(31)의 이너링(311)에 비틀림이 발생될 경우에도 베어링(31)의 아우터링(313)이 베어링(31)의 이너링(311)과 함께 틸트되어 볼(315)의 접촉지점을 항시 동일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볼(315)의 마모를 방지하여 베어링(31)의 수명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어링(31)의 외주면 및 베어링(31)이 안착되는 브라켓부(33)의 내주면을 서로 대응되는 구면으로 형성하고, 브라켓부(33)에 베어링(31)이 관통공(3311)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어 삽입된 후 회전되는 슬롯(3313)을 형성함으로써, 브라켓부(33)와 베어링(31) 간의 조립이 용이하고, 브라켓부(33)에 베어링(3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없이 자체구조만으로 베어링(31)의 이탈을 예방함은 물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10. 하프 샤프트
20. 인터미디어트 샤프트
30. 브라켓 어셈블리
31. 베어링
311. 이너링
313. 아우터링
313a. 아우터링의 외주면
315. 볼
33. 브라켓부
331. 안착부
331a. 안착부의 내주면
3311. 관통공
3313. 슬롯
333. 체결부
333a. 체결공
40. 지지부재
50. 체결부재
D. 베어링의 외경
w. 베어링의 폭

Claims (4)

  1. 하프 샤프트,
    상기 하프 샤프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프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인터미디어트 샤프트, 그리고
    상기 인터미디어트 샤프트에 결합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을 내측에 수용하고 상기 베어링에 구면 접촉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인터미디어트 샤프트를 감싸는 이너링, 상기 브라켓부에 안착되고 상기 브라켓부에 접하는 외주면이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아우터링, 그리고 상기 이너링 및 상기 아우터링 사이에 개재되는 볼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부는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에 접하는 내주면이 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그리고 상기 안착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체결공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베어링의 삽입을 위한 슬롯이 더 형성되며,
    상기 슬롯은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경 및 상기 베어링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슬롯은 상기 관통공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경 및 상기 베어링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2. 제1항에서,
    구면 접촉되는 상기 브라켓부 및 상기 베어링의 각 접촉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3. 제1항에서,
    상기 슬롯이 형성된 부위는 라운드 또는 모따기 처리되는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4. 제1항에서,
    상기 인터미디어트 샤프트가 삽입되는 상기 베어링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부의 전방 입구를 폐쇄시키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KR1020190028922A 2019-03-13 2019-03-13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KR101971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22A KR101971543B1 (ko) 2019-03-13 2019-03-13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22A KR101971543B1 (ko) 2019-03-13 2019-03-13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838A Division KR20170022614A (ko) 2015-08-21 2015-08-21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566A KR20190029566A (ko) 2019-03-20
KR101971543B1 true KR101971543B1 (ko) 2019-04-23

Family

ID=6603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922A KR101971543B1 (ko) 2019-03-13 2019-03-13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5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456A (ja) 2000-03-17 2001-09-26 Koyo Seiko Co Ltd ドライブシャフト支持軸受装置
JP2001280342A (ja) 2000-03-30 2001-10-10 Nok Vibracoustic Kk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JP2006090551A (ja) 2004-09-22 2006-04-06 Minebea Co Ltd 球面軸受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9191900A (ja) 2008-02-13 2009-08-27 Ntn Corp 樹脂プーリ付き軸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5420A (ja) * 1986-08-12 1988-02-26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タ−ボコンパウンド機関
KR0120234Y1 (ko) 1993-10-15 1998-07-15 전성원 자동차의 드라이브 샤프트의 부트 장착구조
JP3691183B2 (ja) * 1996-11-27 2005-08-31 内山工業株式会社 ベアリングシール
KR200160708Y1 (en) * 1996-12-10 1999-11-15 Hyundai Motor Co Ltd Front bearing outer r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456A (ja) 2000-03-17 2001-09-26 Koyo Seiko Co Ltd ドライブシャフト支持軸受装置
JP2001280342A (ja) 2000-03-30 2001-10-10 Nok Vibracoustic Kk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JP2006090551A (ja) 2004-09-22 2006-04-06 Minebea Co Ltd 球面軸受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9191900A (ja) 2008-02-13 2009-08-27 Ntn Corp 樹脂プーリ付き軸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566A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1307B2 (ja) サスペンションジョイントおよびベアリング
US6042294A (en) Ball joint having rotational and axial movement
US9925838B2 (en) Ball joint assembly for a control arm
US20150308490A1 (en) Ball joi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080030B (zh) 轴承单元—轮毂凸缘的组装过程
KR20010078231A (ko) 유니버설 조인트
GB2343917A (en) Ball joint having two-piece bearing and spring
CN106089985B (zh) 轴承单元—轮毂凸缘的组装过程
EP1706656B1 (en) Universal joint washer baffle
US5176457A (en) Anchoring a double row angular anti-friction bearings
KR101971543B1 (ko)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KR102543646B1 (ko) 휠베어링 조립체
US6129634A (en) Thrust washer for universal joint
KR101120658B1 (ko) 유니버셜 조인트
US8770846B2 (en) Zero radial play idler arm bracket bearing
KR20170022614A (ko)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CN100535462C (zh) 中心轴承组件
US8746985B2 (en) Rolling bearing device for wheel
KR20220039294A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KR20070012619A (ko) 두 축 단부를 상호 센터링하기 위한 볼 죠인트 베어링
US20060159375A1 (en) Inverted ball joint
JP2007177830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及びそれを装着した中空プロペラシャフト
US6238094B1 (en) Wiper system
KR20220039295A (ko) 차량용 스트럿 베어링 어셈블리
US20240068508A1 (en) Socket joint and pressure cup for a socket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