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631B1 -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설비 상태 추적 기반의 공정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설비 상태 추적 기반의 공정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0631B1 KR101970631B1 KR1020170091258A KR20170091258A KR101970631B1 KR 101970631 B1 KR101970631 B1 KR 101970631B1 KR 1020170091258 A KR1020170091258 A KR 1020170091258A KR 20170091258 A KR20170091258 A KR 20170091258A KR 101970631 B1 KR101970631 B1 KR 1019706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building
- user terminal
- facility
- oper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class [H]*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21 radial arter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95 specific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설비 검지 장치를 통해 작업자의 위치를 건물 배치도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작업자의 신체 상태 정보와 상기 위치에서의 설비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제공하고, 작업자에 위험경보 및 업무 지시를 음성 및 영상 통화로 수행 가능한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각 건물의 각 층에 부착된 복수개의 비콘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산출하여 건물 배치도에 표시함으로서, 작업자들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작업자가 휴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검지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와 설비 정보를 관리자 모니터에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작업자나 설비의 위험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각 건물의 각 층에 부착된 복수개의 비콘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산출하여 건물 배치도에 표시함으로서, 작업자들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작업자가 휴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검지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와 설비 정보를 관리자 모니터에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작업자나 설비의 위험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설비 상태 추적 기반의 공정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설비 검지 장치를 통해 작업자의 위치를 건물 배치도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설비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작업자에 대한 위험경보 및 업무 지시를 음성 및 영상 통화로 수행 가능한 공정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전 관리 관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위험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시스템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안전 관리 관제 시스템은 위험 상황이 발생할 시에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특정버튼을 누름으로써 위험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충격이 발생하거나 휴대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이탈될 경우에 자동으로 위험신호를 발생시켜 주게 되며, 이에 해당 발생된 위험신호를 구난 조직에 통보하여 출동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이러한 안전 관리 관제 시스템은 지속적인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출동 시에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된 이동경로를 이탈할 경우에도 위험신호를 발생시켜 위급한 상황 시에 자동으로 출동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구난 조직에 위험 상황을 신고한 후에 출동 중임을 사용자에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착하게 위험 상황에 대처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6922호(2009.02.18 공개)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의 이동 한계구간을 설정하여 이탈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경고하는 위난관리 시스템의 위난발생 예측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79735호(2011.10.28 등록)는 건물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각각 식별 가능한 감지ID들을 내장하며, 화재로 인한 연기, 연기이동 방향 및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위급상황시 대피 가능한 최단 거리 산출과 이를 유도하는 안내등을 제어하는 지능형 방향유도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575983호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반의 제철(강) 공장에서 작업자의 안전 관리를 지능적으로 통합 관제하도록 한 안전 관리 지능형 통합 관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6922호(2009.02.18 공개)와 한국등록특허 제10-1079735호(2011.10.28 등록)는 개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위험 상황이 실제 발생한 경우에만 사용자가 직접 통보하는 방식이므로, 위험 상황을 미연에 예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 상황이 아닌 경우라도 설비 상태라든지 작업 방식을 원격으로 확인하고 지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575983호에는 RFID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나, 작업자들이 리더 장치에 근접하여야 위치가 인식되므로, 수많은 리더 장치를 작업 공간에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리더기와 송수신이 불가능한 수M 이상의 거리에서는 작업자의 위치 인식이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앞에서 언급한 선행기술들은 건물 내부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고, 근무 중의 작업자 신체 상태나 설비 정보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작업자에 위험경보 및 업무 지시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위치나 설비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작업자에게 위험경보나 업무 지시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 작업자의 위치를 건물 배치도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에서의 설비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작업자가 측정한 설비 및 공간 정보를 건물 배치도면의 설비 및 공간에 시간에 따라 표시함으로서 설비 및 공간의 안전관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상에서 본 발명은
안전관리 어플이 실행되며, 작업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 ;
상기 작업자기 휴대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 설비 정보를 측정하여 송신하는 검지 장치 ;
작업자가 근무하는 건물 실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비콘 ;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검지장치로부터 작업자의 건물 내 위치 정보, 설비 정보, 영상정보를 수신 받아 저장하고, 작업자의 위치 및 설비 정보를 건물 배치도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 ;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받은 작업자의 건물 배치도상 위치 정보, 설비정보 및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작업자와의 음성 및 영상통화로 작업자에 대한 위험 경보 및 업무 지시를 수행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공정안전관리 시스템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각 건물의 각 층에 부착된 복수개의 비콘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산출하여 건물 배치도에 표시함으로서, 작업자들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작업자가 휴대하는 검지장치를 통해 설비 정보를 관리자 모니터에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작업자나 설비의 위험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안전관리 어플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과 모니터링부에 제공되는 작업자의 건물 배치도상 위치 정보, 설비 정보 및 영상 정보를 통해 작업자에게 위험 경보를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와(에게) 일상적인 업무 내용이나 작업 정보를 서로 공유하거나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작업자가 측정한 설비 및 공간 정보를 건물 배치도면의 설비 및 공간을 기준으로 시간에 따라 표시함으로서 설비 및 공간의 안전관리 상태를 시간에 따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위치값을 산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설비가 위치하는 건물의 3층 평면도의 예시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과 도 7은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8은 구획된 건물 배치도면을 보여준다.
도 9는 설비를 중심으로 구획된 건물 배치도면을 보여준다.
도 10은 구획된 특정 공간 영역이나 설비 영역의 CO농도를 시간에 따라 표시한 것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위치값을 산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설비가 위치하는 건물의 3층 평면도의 예시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과 도 7은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8은 구획된 건물 배치도면을 보여준다.
도 9는 설비를 중심으로 구획된 건물 배치도면을 보여준다.
도 10은 구획된 특정 공간 영역이나 설비 영역의 CO농도를 시간에 따라 표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고, 도 2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위치값을 산출하는 모식도이고, 도 3은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와 도 6은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공정 안전관리 시스템은 전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검지장치(30), 비콘(40), 관리서버(50) 및 모니터링부(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정 안전관리 시스템은 작업자가 휴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실내 위치값을 산출한다. 블루투스 비콘은 건물 내에서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가 수십cm에서 수십 m 정도 범위까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신호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에 반해, NFC나 RFID는 일반적으로 한정된 수십cm 이내에서만 이용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블루투스 방식은 NFC나 RFID처럼 리더기에 가까이 가져가서 태그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비콘(40)은 통상의 비콘 서비스를 위해서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때, 비콘 신호는 비콘(40)에 할당된 식별 번호 혹은 위치 정보 등과 같은 비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콘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10)이 비콘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준이 된다. 예를 들면, 도 2를 참고하면, 건물 A동 2층 건물 내부에 6개의 비콘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비콘은 고유의 식별번호와 위치정보를 갖는다.
즉, 사용자 단말(10)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서 비콘 식별번호가 비콘 1~6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면, 비콘 1~6의 위치정보(A동 2층)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A동 2층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이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서 비콘 식별번호가 비콘 7~14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면, 비콘 7~14의 위치정보(B동 3층)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B동 3층임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도 1과 같이, 사용자 단말(10), 웨어러블 디바이스(20)와 검지장치(30) 및 관리서버는 통신망(복수의 무선 AP를 이용한 무선 LAN이나 3G, 와이파이)을 통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안전관리 어플이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스마트폰,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멀티 통신 장비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은 비콘 신호의 송수신 및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13),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12)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모듈(11), 입력모듈(14), 출력모듈(15), 위치측정 모듈(16) 및 신체상태 측정 모듈(17)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관리서버에서 제공한 안전관리 어플을 다운받을 수 있다. 상기 비콘(40)에 할당된 식별 번호 혹은 위치 정보 등은 상기 어플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13)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1)은 건물 내에 부착된 복수개의 비콘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프로세서(12)는 위치측정 모듈(15)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비콘 신호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 건물의 층, 층에서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위치값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산출한다. 상기 위치측정 모듈은 상기 프로세스(12)에서 처리되는 위치측정 프로그램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콘(40)에 할당된 식별 번호 혹은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 말의 건물과 건물에서의 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2)는 공지된 3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각 층에서의 작업자(즉, 사용자 단말) 위치(x, y)를 산출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로세서(12)는 상기 통신모듈(11)에 소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비콘 신호세기를 읽고, 신호세기가 가장 큰 3개의 비콘과의 거리를 각각 산출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2)는 수신신호세기(RSSI, rec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이용하여 각 비콘과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과 같이 Friis의 공식을 이용할 수 있다.
수학식 1에서 L은 사용자 단말과 비콘과의 측정 거리이고, λ는 전파의 파장이고 d는 두 지점과의 거리이다.
도 2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2)는 신호세기가 가장 높은 3개 비콘과의 거리 d1, d2, d3를 각각 구하고, 주어진 비콘 2(0,10), 비콘 3(0,20), 비콘 4(10, 20) 좌표값과 3각 측량법을 이용하여 작업자 A의 좌표(x, y)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는 동일한 방법으로 모든 건물 내의 작업자의 위치값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는 작업자의 위치값을 주기적으로(예를 들면, 1분 간격)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는 주기적으로 산출되는 작업자의 위치값들 중에서 소장 시간 동안 측정된 값들의 평균값과의 오차 범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 해당 위치값을 제거할 수 있다.
입력모듈(14)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모듈(14)은 출력모듈(15)과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신체상태 측정 모듈(17)은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상기 프로세스(12)에서 처리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프로세서(12)는 사용자 단말에 내장된 심박수 측정 센서를 통해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2)는 사용자 단말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갑작스런 위치변화(쓰러짐, 추락 등)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비로서, 작업자의 신체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는 신체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50)로 전송할 수 도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에서 측정하는 신체 상태 정보는 심박수나 맥동 등일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는 시계나 밴드 형태의 몸체부, 심박 내지 맥동 센서, 송수신부,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심박 센서는 상기 몸체부에서 사용자의 요골동맥과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심박동수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10)이나 관리서버(5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어, 센서부에서 측정된 작업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처리하여 송수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단말(10) 각각의 메모리(13)에는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번호(예를 들면, 맥 어드레스)가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12)는 고유 식별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신체 상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12)는 사용자 단말에 지정된 고유 식별번호(식별 아이디), 사용자 위치값, 신체 상태 정보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12)는 심박센서에서 측정된 값의 패턴과 자일로 센서 패턴 변동값을 동시에 고려하여 보다 신뢰성 있게 작업자의 신체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는 하나의 특정 사용자 단말과 하나의 특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식별번호를 통일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리서버에 사용자 단말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고유 식별번호는 그대로 유지한 채, 그 하위단의 메이저(major)의 식별번호를 하나로 통일시킬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시간과 신체 상태 정보를 수신 받으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의 저장부 하부 카테고리에 상기 신체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검지장치(30)는 상기 작업자기 휴대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 설비 정보를 측정하여 송신하는 장치이다.
상기 검지장치(30)는 센서부, 저장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가스농도, 온도 및 습도 중 어느 하나의 설비 정보를 측정한다. 상기 검지장치에서 측정 가능한 가스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검지장치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산소, 수소, 가연성 가스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는 측정된 설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는 상기 관리서버(5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는 측정된 설비정보가 기준 범위 이내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설비정보, 측정 시간 및 상기 검지장치의 식별아이디를 소정 시간 주기로 상기 관리서버에 통신부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하나의 특정 사용자 단말과 하나의 특정 검지장치의 고유 식별번호를 통일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리서버에 사용자 단말과 검지장치의 하드웨어 고유 식별번호는 그대로 유지한 채, 그 하위단의 메이저(major)의 식별번호를 하나로 통일시킬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검지장치로부터 측정시간과 설비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검지장치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의 인덱스 하단에 상기 설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검지장치에 동일한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관리서버에 저장함으로서 위치 측정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검지장치의 경우도 위치값을 특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관리서버는 제 1 사용자 단말, 제 1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제 1 검지장치에 공통의 식별번호 A, 제 2 사용자 단말, 제 2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제 2 검지장치에 공통의 식별번호 B를 부여하여 해당 위치값, 설비정보, 신체상태 정보를 각 식별번호 하위 저장소에 보내어 저장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관리서버(50)는 통신부(51), 제어부(52) 및 저장부(53)을 포함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10)과 상기 검지 장치(30)로부터 작업자의 건물 내 위치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설비 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신 받아 저장하고, 작업자의 위치, 신체 상태 및 설비 정보를 건물 배치도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번호, 시간, 위치값)과 (식별번호, 시간, 신체 상태값(심박수))를 주기적으로 수신받고, 상기 검지장치로부터 (식별번호, 시간, 설비 정보(가스 농도))를 주기적으로 수신받아 상기 저장부(53)에 저장하고, 작업자의 건물 배치도상 위치 정보, 신체 상태 정보, 설비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한다.
도 6과 도 7은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6은 발전소의 plant 전체 3D 이미지, 등록된 작업자 리스트, 작업자별 정보(전화번호 등), 심박수, 가스농도, plant 전체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7은 전체 PLANT 중 HRSG (건물 이름임)의 3D 이미지, HRSG 건물에 위치하는 작업자 리스트, 작업자별 정보(전화번호 등), 심박수, 가스농도, HRSG 건물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상기 제어부(52)는 위치 표시 모듈(54)을 이용하여 각 작업자의 위치값을 건물 배치도면(평면도) 상에 마킹한다. 상기 위치 표시 모듈(54)은 상기 제어부(52)에서 처리되는 위치 표시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면, 상기 위치 표시 모듈은 저장부로부터 (식별번호, 시간, 위치값)을 불러오는 단계, 식별번호를 통해 등록된 작업자의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위치값을 통해 건물(예를 들면, HRSG), 건물층을 확인하고 및 해당층에 대한 평면도를 불러오는 단계 및 상기 평면도에 위치값(X, Y 좌표값)에 매칭되는 지점을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해당 건물이 클릭되고, 상기 건물에 작업자가 있으면, 작업자의 정보(전화번호 등), 심박수, 작업자가 측정한 가스농도를 상기 저장부(53)에서 불러와 상기 모니터링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2)는 신체 상태 정보와 설비 정보 변화를 시간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설비 정보 표시 모듈(55)을 이용하여 설비 정보를 건물 배치도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비 정보 표시 모듈(55)은 상기 제어부(52)에서 처리되는 설비 표시 프로그램이다.
상기 설비 정보 표시 모듈(55)은 건물 배치도면을 복수개(2~n)로 구획하는 단계, 구획된 복 수개 영역에 대한 구획 좌표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구획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위치값, 상기 위치값에 대응되는 설비 정보를 불러와 구획 좌표 범위를 나타내는 하위 저장소에 시간에 따라 분류 저장하는 단계 및 구획된 영역에 해당하는 설비 정보를 시간에 따라 건물 배치도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8은 구획된 건물 배치도면을 보여준다. 도 9는 설비를 중심으로 구획된 건물 배치도면을 보여준다. 도 10은 구획된 특정 공간 영역이나 설비 영역의 CO농도를 시간에 따라 표시한 것이다.
도 8과 같이, 상기 설비 정보 표시 모듈(55)은 건물 배치도면을 도 8과 같이 24개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설비 정보 표시 모듈(55)은 구획된 24개 영역에 대한 구획 좌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영역의 좌표(x, y)는 (0~3.3, 0~2.5), b영역의 좌표는 (3.3초과~6.7이하, 0~2.5), c영역의 좌표는 (6.7초과~10, 0~2.5)로 할당될 수 있다.
관리서버의 저장부(DB)에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 위치(시간), 사용자 신체 상태(시간), 설비정보(시간)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비 정보 표시 모듈(55)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구획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위치값, 상기 위치값에 대응되는 설비 정보를 불러와 구획 좌표 범위를 나타내는 하위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구획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위치값과 상기 위치값에 대응되는 설비정보를 상기 저장소로부터 불러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a 영역에 포함되는 위치값(시간)을 가지는 모든 사용자(ID)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 하위 저장소에 저장된 설비정보를 읽는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설비정보 측정 시간이 상기 위치값 측정 시간과 동일하거나 시간 오차 범위가 수분 이내인 데이터의 경우에 측정시간과 설비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불러온 측정시간과 설비정보를 구획 좌표 범위를 나타내는 하위 저장소(A/2/a, A/2/b로 표시되는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는 건물 공간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구획하고, 구획 영역별로 설비 정보(예를 들면, 가스 누출여부, 일산화탄소 농도, 산소농도)를 건물 배치도면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구획된 영역별로 설비 정보를 시간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모니터링부에서 도 8의 건물 배치도면 상의 a 영역이 클릭되면, 도 10과 같이 CO 농도를 시간에 따라 표시하여 모니터링부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어부는 도 9와 같이, 상기 설비 정보 표시 모듈(55)을 이용하여 설비를 중심으로 가스 농도 등의 설비 정보를 건물 배치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건물 배치도면에 표시된 설비들의 좌표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설비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위치값, 상기 위치값에 대응되는 설비 정보를 불러와 설비 좌표 범위를 나타내는 하위 저장소에 시간에 따라 분류 저장하고, 설비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설비 정보를 시 건물 배치도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설비 정보 표시 모듈(55)은 건물 배치도면을 설비를 중심으로 도 9와 같이 분할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탱크나 연소기, 배관과 이의 인접 영역을 수개로 분할하여 설비 좌표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탱크(연소기)의 경우에는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TKa, TKb, TKc, TKd로 표시할 수 있다. TKa의 좌표 범위(x, y)는 (0~3, 2~4), TKb의 좌표 범위(x, y)는 (3초과~6, 2~4), TKc의 좌표 범위는 (0~3, 4초과~6), TKd의 좌표 범위는 (3초과~6, 4초과~6)로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관도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설비 좌표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비 정보 표시 모듈(55)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설비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위치값, 상기 위치값에 대응되는 설비 정보를 불러와 설비 좌표 범위를 나타내는 하위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TKa(0~3, 2~4) 영역에 포함되는 위치값(시간)을 가지는 모든 사용자(ID)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 하위 저장소에 저장된 설비정보를 읽는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설비 정보 측정 시간이 상기 위치값 측정 시간과 동일하거나 시간 오차 범위가 수분 이내인 데이터의 경우에 측정시간과 설비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불러온 측정시간과 설비정보를 구획 좌표 범위를 나타내는 하위 저장소(예를 들면, TKa, TKb로 표시되는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는 건물 공간을 설비 영역 중심으로 분할하여 구획하고, 구획 영역별로 설비 정보(예를 들면, 가스 누출여부, 일산화탄소 농도, 산소농도)를 건물 배치도면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구획된 설비 영역별로 설비 정보를 시간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모니터링부에서 도 9의 건물 배치도면 상의 TKa 영역이 클릭되면, 도 10과 같이 CO 농도를 시간에 따라 표시하여 모니터링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 안전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작업자가 휴대하여 측정한 설비 정보(예를 들면, 가스 농도, 온도)를 설비 중심으로 재배열하여 이를 시계열적으로 표시함으로서 해당 설비의 안전 상태 변화나 위험도 변화를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 안전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작업자가 휴대하여 측정한 설비 정보(예를 들면, 가스 농도, 온도)를 이용하여 설비 안전도나 설비 부근의 작업 환경을 보다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신체 상태 정보와 가스 농도값이 기준범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범위를 초과하거나 해당 범위 미만인 경우 위험 경보를 모니터링부(6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60)는 작업자의 사용자 단말과 실시간 음성 및 영상통화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가능하다. 즉, 관리자는 상기 모니터링부(60)를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가스 농도 등 설비 정보나 신체 상태 등에 대한 위험 경보를 보낼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 받아 실시간으로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상기 모니터링부(60)를 통해 작업장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작업자에게 구체적인 작업 지시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단순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 및 개시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양한 변경, 수정 및 변형예가 가능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Claims (7)
- 안전관리 어플이 실행되며, 작업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 ;
상기 작업자가 휴대하고, 소정 시간 간격으로 설비 정보를 측정하여 송신하는 검지 장치 ;
작업자가 근무하는 건물 실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비콘 ;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검지장치로부터 작업자의 건물 내 위치 정보(위치좌표) 및 설비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작업자의 위치 및 설비 정보를 건물 배치도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관리서버 ; 및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받은 작업자의 건물 배치도상 위치 정보, 설비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작업자와의 음성 또는 영상통화로 작업자에 대한 위험 경보 및 업무 지시를 수행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지장치는 가스농도, 온도 및 습도 중 어느 하나의 설비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설비정보, 측정 시간 및 해당 검지장치의 식별아이디를 소정 시간 주기로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복수 개의 비콘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 건물의 층, 층에서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소정시간 간격으로 산출하고, 측정된 사용자 위치정보, 측정시간 및 해당 사용자 단말의 식별아이디를 소정 시간 주기로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작업자별로 휴대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검지장치는 동일한 식별아이디를 가지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검지장치로부터 작업자의 위치정보, 설비정보, 측정시간 및 식별 아이디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DB ; 및 상기 식별 아이디별로 위치정보와 설비정보를 시간에 따라 재정렬하여 상기 DB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부는 건물 배치도면을 복수 개로 구획한 구획 좌표 범위를 설정하거나 건물 배치도면에 표시된 설비들의 좌표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구획 좌표 범위나 설비 좌표 범위에 속하는 위치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설비 정보와 측정시간을 상기 DB에서 불러오고, 불러온 설비 정보와 측정시간을 구획 좌표 범위 또는 설비 좌표 범위를 나타내는 하위 저장소에 저장하고, 각 구획 좌표 범위나 설비 좌표 범위에 해당하는 설비 정보를 시간에 따라 건물 배치도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안전관리 시스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비콘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
복수개의 비콘 신호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 건물의 층, 층에서의 좌표값을 포함하는 위치값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실행된 어플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정 주기 또는 작업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설비의 이미지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에 지정된 식별 아이디, 사용자 위치값, 신체상태 정보, 이미지 사진이나 영상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안전관리 시스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설비정보를 위치 좌표에 대응되는 건물 배치도면 상에 마킹하여 상기 설비 정보를 상기 모니터링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안전관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1258A KR101970631B1 (ko) | 2017-07-19 | 2017-07-19 |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설비 상태 추적 기반의 공정 안전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1258A KR101970631B1 (ko) | 2017-07-19 | 2017-07-19 |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설비 상태 추적 기반의 공정 안전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9481A KR20190009481A (ko) | 2019-01-29 |
KR101970631B1 true KR101970631B1 (ko) | 2019-04-19 |
Family
ID=6532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1258A KR101970631B1 (ko) | 2017-07-19 | 2017-07-19 |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설비 상태 추적 기반의 공정 안전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063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3257B1 (ko) * | 2021-09-29 | 2022-06-27 | 주식회사 휴랜 | 범용성과 확장성을 갖는 건설현장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3939B1 (ko) * | 2019-02-20 | 2021-09-17 | 김태엽 | 위험 대응 기능을 갖는 휴대용 블랙박스의 대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CN110058196B (zh) * | 2019-05-21 | 2024-06-14 | 巴斯夫新材料有限公司 | 一种用于化工厂中的位置监测系统 |
KR102295308B1 (ko) * | 2019-08-13 | 2021-08-30 | 비앤피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신체 착용형 안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고 방지 제어방법 |
KR102123008B1 (ko) * | 2019-08-26 | 2020-06-15 | 전찬희 | 복합환경 측정을 이용한 지능형 웨어러블 위험 상태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
KR102438284B1 (ko) * | 2020-11-19 | 2022-08-30 | 강해일 |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한 긴급 상황 경고 시스템 |
KR102286948B1 (ko) * | 2021-01-12 | 2021-08-06 | 신태묵 | 수배전반 또는 가스 누출 위험 구역을 포함한 위험 구역에 설치되는 음성 알림 장치 |
CN114205562B (zh) * | 2021-12-16 | 2023-12-12 |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绍兴供电公司 | 智能终端及其工作方法 |
KR102455049B1 (ko) * | 2022-06-24 | 2022-10-13 | 문철원 | 무선 통신 기반 작업자 상태 파악 시스템 |
KR102545637B1 (ko) * | 2022-06-30 | 2023-06-21 | 주식회사우경정보기술 |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작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CN117974057A (zh) * | 2024-02-02 | 2024-05-03 | 北京中讯四方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微波组件生产线的智能管理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1352B1 (ko) * | 2013-06-10 | 2015-03-11 |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101680151B1 (ko) * | 2014-12-11 | 2016-11-28 | 유기석 | 비콘을 이용한 실내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KR102478783B1 (ko) * | 2015-12-02 | 2022-12-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탐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
2017
- 2017-07-19 KR KR1020170091258A patent/KR10197063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3257B1 (ko) * | 2021-09-29 | 2022-06-27 | 주식회사 휴랜 | 범용성과 확장성을 갖는 건설현장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9481A (ko) | 2019-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0631B1 (ko) |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설비 상태 추적 기반의 공정 안전 관리 시스템 | |
KR101965158B1 (ko) |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 |
US9619986B2 (en) | Intelligent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control system, server, and method | |
US8618931B2 (en) | Position-monitoring device for persons in a tunnel system | |
KR102405377B1 (ko) | 관찰 기반 이벤트 추적 | |
KR101755533B1 (ko) | 사물인터넷 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 |
KR101774872B1 (ko) | 작업자 안전감시 시스템 | |
KR20180090933A (ko) | 지능형 가스 누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5260955B2 (ja) | 異常検知支援システム | |
US1181003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low-energy wireless applications using networked wearable sensors | |
JP7530473B2 (ja) | 被災状況把握システム | |
JP2007150435A (ja) | 通信システム | |
KR101783003B1 (ko) | 안전 밴드를 활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
JP7507937B2 (ja) | 携帯情報端末 | |
WO2017160812A1 (en) | System and interfaces for managing workplace events | |
JP6517547B2 (ja) |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位置監視システム | |
US11341833B2 (en) | Industrial plant monitoring system | |
JP2016110277A (ja) | 作業支援システム、設定装置、設定方法及び設定プログラム | |
JP6955902B2 (ja) | 発信機の保守点検支援システム | |
JP6697243B2 (ja) |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業務支援システム、及び遠隔装置 | |
JP2016110276A (ja) | 端末装置、作業支援システム、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 |
JP7492374B2 (ja) | 位置情報システム | |
US20230298452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aggregated gas detection | |
JP7072459B2 (ja) | 位置管理システム及び位置管理方法 | |
KR20240126509A (ko) |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