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498B1 -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498B1
KR101970498B1 KR1020150134867A KR20150134867A KR101970498B1 KR 101970498 B1 KR101970498 B1 KR 101970498B1 KR 1020150134867 A KR1020150134867 A KR 1020150134867A KR 20150134867 A KR20150134867 A KR 20150134867A KR 101970498 B1 KR101970498 B1 KR 101970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ethylene
block copolymer
olefin block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193A (ko
Inventor
송강현
김희준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50134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498B1/ko
Priority to PCT/KR2016/010545 priority patent/WO2017052201A1/ko
Publication of KR2017003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2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carbon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Abstract

향상된 충격 흡수 성능을 가지면서도, 경량화 특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는 섬유 강화 복합재로서,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적 특성 및 충격 특성을 향상시키고 경량화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서 섬유와 수지를 혼합하는 형태의 복합재를 제조하게 되는데, 이 때 섬유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충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재료의 비중이 높아져 경량화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강도 및 강성의 향상을 위해 탈크(Talc), 탄산칼슘, 미카(Mica), 규회석(Wollastonite) 등의 무기 재료를 첨가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다만, 이 경우 재료 원가를 감소시키는 장점을 얻을 수 있으나, 복합재의 비중이 높아지고 표면 물성이 악화되며, 제조 과정에서 무기물의 분산 및 분배가 어렵고, 흐름성 및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자동차 및 건축자재와 같은 외부환경에 많이 도출되어 있는 산업 분야의 경우에는 높은 수준의 인성을 가진 복합재를 많이 필요로 한다. 특히 외부 충격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백빔, 시트백, 언더커버와 같은 자동차 외장부품은 더욱 그러하다. 이 때, 외부의 충격에 대한 저항 정도가 복합재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자 부품에 사용될 수 있는 필수 기준 요소이며, 복합재의 이러한 물성에 영향을 끼치는 가장 중요한 두 요소가 바로 강도와 신율(늘어나는 정도)이다. 이러한 강도와 신율은 서로 상반된 개념으로, 강도가 높아 딱딱하면 부러지기 쉬우므로 신율이 낮고, 상대적으로 신율은 높은 무른 복합재는 충격 흡수 성능은 우수하나 그 강도가 높지 못하다. 따라서 강도와 신율이 모두 우수한 복합재를 만들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각종 산업 분야에서 경량의 복합재에 대한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충격 흡수 성능 및 경량 효과가 모두 우수한 섬유 강화 복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의 충격 흡수 성능 및 경량 효과의 향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제조 비용 및 공정 효율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을 갖는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향상된 충격 흡수 성능을 가지면서도, 경량화 특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는 섬유 강화 복합재로서,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고효율 및 저비용으로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 및 경량 효과를 구현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압출기에 열가소성 수지 및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2 압출기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섬유를 투입하고, 상기 섬유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압착함으로써 섬유 강화 복합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향상된 충격 흡수 성능을 가지면서도, 경량화 특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고효율 및 저비용으로,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 및 우수한 경량 효과를 나타내는 섬유 강화 복합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를 제공한다.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충격 흡수 성능을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상온 및 저온에서의 충격 흡수 성능이 모두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의 우수한 강도와 경량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블록(block) 공중합체의 일종으로, 에틸렌 블록 및 α-올레핀 블록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블록(block) 타입의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α-올레핀이 분지형으로 포함된 타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비하여 분지화도(degree of branch)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화학적 구조에 기인하여 유리전이온도가 -60℃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60℃ 내지 약 -65℃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짐으로써 인장 특성 및 충격 흡수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이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5중량% 내지 약 30중량%의 α-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가 약 15중량% 미만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저온 충격 흡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약 30중량% 초과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섬유 강화 복합재의 강도 및 강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α-올레핀'은 프로필렌, 부텐, 펜텐, 헥센, 프로펜, 옥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옥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약 100℃ 내지 약 150℃의 용융 피크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융 피크 온도는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가 약 150℃ 초과의 용융 피크 온도를 갖는 경우에는 상온 상태에서 취성이 증가하여, 충격 흡수 성능이 크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인장 신장률이 약 1000%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1000% 내지 약 5000%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의 인장 신장률이 약 1000% 미만인 경우에는,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강화 복합재의 신율 및 충격 방지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물성들을 가짐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및 섬유와 혼합하여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 시에 우수한 상용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에 향상된 충격 흡수 성능 및 인장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수지,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릴렌설파이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와 함게 섬유 강화 복합재의 충격 강도 및 인장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경량 효과 및 강도 향상 효과를 동시에 확보하기 위하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는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단면의 직경이 약 10㎛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섬유가 상기 범위의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복합재 내에 높은 함량으로 함유되어 두께 대비 우수한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경량 특성을 확보하기 유리하며, 제조 과정의 가공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열가소성 수지를 약 40중량% 내지 약 70중량%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50중량% 내지 약 6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제조 과정에서 상기 섬유가 고르게 함침될 수 있고,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가 일정 수준 이상의 지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약 5중량% 내지 약 15중량%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8중량% 내지 약 12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잘 혼합될 수 있고, 상온 및 저온에서 모두 요구되는 수준의 충격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상기 섬유를 약 20중량% 내지 약 50중량%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20중량% 내지 약 3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가 요구되는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경량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섬유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조 과정에서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 내에 섬유를 균일하게 함침시키기 어려우며,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의 표면 물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우수한 경량 특성과 함께 향상된 충격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의 낙구충격강도는 약 5J/㎜ 내지 약 10J/㎜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6J/㎜ 내지 약 10J/㎜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7J/㎜ 내지 약 10J/㎜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약 20℃ 내지 약 30℃의 상온 및 약 -40℃ 내지 약 -20℃의 저온에서 낙구충격강도가 모두 상기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방법은 제1 압출기에 열가소성 수지 및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2 압출기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섬유를 투입하고, 상기 섬유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압착함으로써 섬유 강화 복합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방법은 LFT-D (Long Fiber Thermoplastic-Direct) 공법을 이용하여 섬유 강화 복합재를 제조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압출기로 구성된 LFT-D 압출기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제1 압출기에 열가소성 수지 및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및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이외에 상용화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안료, 분산제, 핵제, 가공윤활제, 커플링제, 착색제, 핵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용화제 및 열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및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후속하여 투입되는 섬유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결합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안정제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이 많은 자동차 외장 소재 등으로 사용 시에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방법은 제2 압출기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섬유를 투입하고, 상기 섬유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섬유는 로빙(roving)으로부터 연속 섬유 형태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섬유가 연속 섬유로 투입됨으로써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 내에서 우수한 강도 향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섬유는 연속 섬유 및 펠릿(pellet) 형태의 비연속 섬유를 혼합하여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펠릿 형태의 비연속 섬유는 연속 섬유와 달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열가소성 수지에 함침되어 열가소성 수지가 표면에 도포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함량의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재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섬유가 연속 섬유 및 펠릿 형태의 비연속 섬유를 혼합하여 사용되는 경우,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 내의 섬유의 함량을 높게 조절하기 용이하고, 동시에 우수한 분산성을 확보하여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의 전체적인 강도 및 강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제1 압출기에 투입될 때 펠릿(pellet) 형상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펠릿 형상의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입자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수mm 지름의 막대 모양으로 압출하고, 지름보다 조금 긴 치수로 절단된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가 펠릿(pellet) 형상으로 투입됨으로써 원료로서의 취급이 용이하고, 열가소성 수지 및 섬유와 잘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방법은 제1 및 제2 압출기로 구성된 LFT-D 압출기를 사용하는데, 상기 펠릿 형상으로 투입되는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잘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압출기의 전단 효과가 커지는 것이 유리하므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제1 압출기에 우선적으로 투입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가 제1 압출기에 우선적으로 투입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 내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상온 및 저온에서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방법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및 섬유가 혼합 및 압출되어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는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며, 구체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압착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압착은 최종 제품의 요구되는 형상에 따라 적절한 압력으로 압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 강화 복합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범위의 낙구충격강도 및 비중을 나타내는 것으로 우수한 충격 흡수 성능 및 우수한 경량 특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자동차용 외장 소재 또는 건축 자재 등의 용도로 사용되기 적합한 우수한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3
하기 표 1의 물성을 갖는 펠릿 형상의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 수지; 열안정제; 및 상용화제를 제1 압출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를 제2 압출기에 투입하고, 로빙(roving)으로부터 연속 섬유 형태의 유리 섬유를 상기 제2 압출기에 투입하였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상기 유리 섬유에 함침시킴으로써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압착하여 섬유 강화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구분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유리전이온도[℃] -65
DSC 용융피크 온도[℃] 속도 10℃/min 118
인장 신장률[%] ASTM D790 >1000
결정화도[%] 13
밀도[g/㎤] 0.870
용융지수[g/10min] (2.16kg @ 190℃) ASTM D1238 0.5
비교예 1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 강화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3 및 상기 비교예 1의 각 성분의 함량은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각 성분의 함량은 중량%로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 수지 66 61 56 51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 5 10 15
유리 섬유 30 30 30 30
열안정제 1 1 1 1
상용화제 3 3 3 3
Total 100 100 100 100
<평가>
실험예 1: 낙구충격강도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섬유 강화 복합재에 대하여 직경이 100㎜이고, 두께가 3㎜인 원형 형상의 시편을 제작하여, 낙구충격강도 측정 방법(ASTM D3763)에 따라 25℃의 상온 및 -35℃의 저온에서 낙구충격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실험예 2: 비중의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섬유 강화 복합재에 대하여 비중 측정 방법(ASTM D792)에 따라 비중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낙구충격강도[J/mm] 비중
25℃ -35℃
실시예 1 6.29 6.35 1.24
실시예 2 7.18 7.32 1.24
실시예 3 6.92 7.15 1.24
비교예 1 6.24 6.25 1.24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할 때, 상기 실시예 1-3은 상기 표 1에 기재된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에 비하여 상온 및 저온에서 모두 충격 흡수 성능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3의 결과들을 비교할 때,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가 일정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 수지와 혼합되어 상-분리 상태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향상된 충격 흡수 성능을 구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6)

  1. 열가소성 수지, 섬유 및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60℃ 내지 -65℃이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100℃ 내지 150℃의 용융피크온도를 갖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인장 신장률이 1000% 이상인
    섬유 강화 복합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15중량% 내지 30중량%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α-올레핀은 프로필렌, 부텐, 펜텐, 헥센, 프로펜, 옥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수지,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릴렌설파이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단면의 평균 직경이 10㎛ 내지 20㎛인
    섬유 강화 복합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40중량% 내지 70중량%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5중량% 내지 15중량%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를 20중량% 내지 50중량% 포함하는
    섬유 강화 복합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의 낙구충격강도는 5J/㎜ 내지 10J/㎜인
    섬유 강화 복합재.
  14. 제1 압출기에 열가소성 수지 및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2 압출기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섬유를 투입하고, 상기 섬유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함침시켜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섬유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압착함으로써 섬유 강화 복합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60℃ 내지 -65℃이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100℃ 내지 150℃의 용융피크온도를 갖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인장 신장률이 1000% 이상인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제1 압출기에 펠릿(pellet) 형상으로 투입되는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로빙(roving)으로부터 연속 섬유 형태로 투입되는
    섬유 강화 복합재 제조방법.
KR1020150134867A 2015-09-23 2015-09-23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0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867A KR101970498B1 (ko) 2015-09-23 2015-09-23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6/010545 WO2017052201A1 (ko) 2015-09-23 2016-09-21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867A KR101970498B1 (ko) 2015-09-23 2015-09-23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193A KR20170036193A (ko) 2017-04-03
KR101970498B1 true KR101970498B1 (ko) 2019-04-22

Family

ID=5838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867A KR101970498B1 (ko) 2015-09-23 2015-09-23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0498B1 (ko)
WO (1) WO20170522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662B1 (ko) * 1991-12-24 1995-07-14 주식회사럭키 우수한 도장성을 가진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960021434A (ko) * 1994-12-22 1996-07-18 유현식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873708B2 (ja) * 2001-10-26 2007-01-24 住友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JP2005041953A (ja) * 2003-07-25 2005-02-17 Chisso Corp 繊維含有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成形体の製造方法
KR100857185B1 (ko) * 2006-12-28 2008-09-05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20110076341A (ko) * 2009-12-29 2011-07-06 현대이피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복합수지 조성물
US20130072626A1 (en) * 2010-06-08 2013-03-21 Buo Chen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Tape as a Strength Member for Wire and Cable
US9062146B2 (en) * 2011-01-20 2015-06-23 Lg Chem, Ltd. Olefin block copolymer
KR20130011774A (ko) * 2011-07-22 2013-01-30 (주)삼박 섬유 강화 복합재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프리프레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193A (ko) 2017-04-03
WO2017052201A1 (ko)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15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26742B1 (ko) 성형성이 우수한 탄소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775201B1 (ko) 장섬유 보강 플라스틱 복합재 및 장섬유 보강 플라스틱 복합재의 제조 방법
EP2976381B1 (en) Bamboo fibers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ions
KR20150056577A (ko) 고충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102338700B1 (ko) 장섬유 강화 폴리아릴렌설피드 수지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2077B1 (ko)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조성물
KR101481218B1 (ko) 압출-사출 일체 성형공법을 이용한 직접 유리 장섬유 강화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5465698B2 (ja) 長繊維強化複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1325584B1 (ko) 열가소성 장섬유 강화 플라스틱용 열가소성 수지 복합체 조성물
JP5255541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KR101970498B1 (ko)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1956B1 (ko) 자동차 부품용 복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자동차 부품
KR101425975B1 (ko) 자동차 외장재 제조용 고분자 수지 블렌드 조성물, 자동차 외장재용 수지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9663B1 (ko) 장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지 성형품
KR101509144B1 (ko) 어상자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794393B1 (ko) 섬유 강화 플라스틱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충격성능이 향상된 섬유 강화 복합재
US8754152B2 (en) Efficient polymer composites based on natural wool
KR102298955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의 사출 성형방법
KR101952621B1 (ko)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2197B1 (ko) 함침성이 우수한 연속섬유 보강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69047A (ko) 발포 블로우 성형용 폴리올레핀 복합재 수지 조성물
KR101951205B1 (ko) 섬유 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3602B1 (ko) 섬유 강화 복합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3207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