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157B1 - 화면 출력 제어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화면 출력 제어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157B1
KR101970157B1 KR1020120104795A KR20120104795A KR101970157B1 KR 101970157 B1 KR101970157 B1 KR 101970157B1 KR 1020120104795 A KR1020120104795 A KR 1020120104795A KR 20120104795 A KR20120104795 A KR 20120104795A KR 101970157 B1 KR101970157 B1 KR 101970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output device
buffer
window
scree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4013A (ko
Inventor
이광림
이상진
임수찬
하이츨러 카르스텐
한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022,702 priority Critical patent/US9449575B2/en
Publication of KR2014003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 출력 제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연결되어 단말기에서 구동된 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 장치, 상기 화면 출력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한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해 할당된 버퍼에 상기 화면을 기입하여 상기 화면 출력 장치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화면 출력 제어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outputting screen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의 화면 출력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표시부 및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화면 출력 장치로의 정보 출력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 많은 산업 및 생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 해당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이용하면서 해당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을 통하여 컨텐츠 소비를 수행하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외부 장치 연결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소스를 다른 화면 출력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컨대 종래 휴대 단말기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이를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및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화면 출력 장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화면 출력 기능은 단순히 휴대 단말기에 출력되는 정보를 화면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기능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단순히 크게 본다는 의미를 제외하고 별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술한 화면 출력 장치로의 화면 출력 기능이 큰 인기를 끌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휴대 단말기와 화면 출력 장치의 연결 기능은 여전히 큰 메리트를 가지기 때문에, 상술한 기능에 대한 다채로운 기술 개발 등을 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발전이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의 데스크톱 모드를 지원하고 이 과정에서 단말기 및 단말기에 연결되는 화면 출력 장치로의 정보 출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연결되어 단말기에서 구동된 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 장치, 상기 화면 출력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한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해 할당된 버퍼에 상기 화면을 기입하여 상기 화면 출력 장치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에 화면 출력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한 윈도우 버퍼를 할당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렌더링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에 출력할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들을 상기 윈도우 버퍼에 기입하는 과정, 상기 윈도우 버퍼에 기입된 정보를 화면 버퍼에 복사하는 과정, 상기 화면 버퍼에 복사된 정보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표시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에 화면 출력 장치가 연결되는 과정, 상기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렌더링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에 출력할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들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버퍼의 일정 영역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화면 버퍼에 상기 렌더링된 윈도우를 직접 기입하는 과정, 상기 화면 버퍼에 기입된 정보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표시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면 출력 장치 연결을 지원하는 외부 장치 연결부, 상기 화면 출력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한 윈도우 버퍼를 할당하고,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렌더링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에 출력할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들을 상기 윈도우 버퍼에 기입한 후 상기 윈도우 버퍼에 기입된 정보를 화면 버퍼에 복사하며, 상기 화면 버퍼에 복사된 정보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표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면 출력 장치 연결을 지원하는 외부 장치 연결부, 상기 외부 장치 연결부에 상기 화면 출력 장치가 연결되면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렌더링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에 출력할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들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버퍼의 일정 영역을 획득하고, 상기 화면 버퍼에 상기 렌더링된 윈도우를 직접 기입한 후 상기 화면 버퍼에 기입된 정보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표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순히 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화면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정보 입력과 처리를 보다 자유롭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사용성 증대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술한 화면 출력 제어 과정에서 효율적인 정보 출력의 제어를 통하여 시스템의 사용 효율 및 메모리 사용 효율을 개선하고 그에 따른 화면 출력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말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화면 버퍼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화면별 윈도우 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화면 출력 장치용 화면 버퍼 삭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직접 렌더링 방식 검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직접 렌더링 윈도우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어플리케이션 버퍼 교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직접 렌더링 윈도우 해제 검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직접 렌더링 윈도우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윈도우는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 레이어에 해당하는 것으로, 예컨대 인디케이터 영역을 위한 윈도우, 숏컷 아이콘들이 배치된 영역을 위한 윈도우, 메뉴 아이콘들이 배치된 영역을 위한 윈도우 등이 각각 화면 레이어 형태의 윈도우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어플리케이션 지원부는 어플리케이션 운용에 따라 상술한 각각의 윈도우들에 해당하는 화면 레이어를 렌더링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면은 상술한 윈도우들이 서로 겹쳐지는 형태 또는 일정 위치를 가지며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윈도우 버퍼는 상술한 윈도우들이 기입되는 버퍼가 될 수 있다. 윈도우 버퍼에 기입된 윈도우들은 전체 화면 버퍼 또는 화면 버퍼에 복사될 수 있다. 전체 화면 버퍼 또는 화면 버퍼에 복사된 화면 정보는 단말기의 표시부 또는 화면 출력 장치의 표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체 화면 버퍼 및 화면 버퍼는 표시부 및 화면 출력 장치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각각의 영역이 구분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고 윈도우들이 렌더링되면 윈도우들로 구성된 화면 정보 출력을 위한 윈도우 버퍼의 할당 및 화면 버퍼의 할당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를 위한 버퍼의 할당과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한 버퍼의 할당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해 할당된 버퍼에는 화면 출력 장치에 출력된 화면 정보들이 기입되고, 이 화면 정보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데스크톱 모드에서 단말기의 표시부를 위해 할당된 버퍼에 기입되는 화면 정보들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윈도우 버퍼를 할당 받고 어플리케이션의 렌더링에 따른 윈도우들의 버퍼 기입 및 합성 윈도우의 출력 형태와, 윈도우 버퍼 및 합성 윈도우 관리자의 개입 없이 어플리케이션이 렌더링한 윈도우들을 화면 버퍼에 직접 기입하여 출력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출력 형태에 대하여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시스템은 단말기의 표시부 및 화면 출력 장치 각각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운용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시스템(10)은 단말기(100) 및 화면 출력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시스템(10)은 단말기(100)에서 표시부(140) 및 화면 출력 장치(200)의 표시 영역(240)에 출력할 화면을 각각 구성하여 제공하되, 표시부(140) 및 표시 영역(240)에서 갱신되어야 할 화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표시부(140) 및 표시 영역(240)의 화면 출력을 지원하는 윈도우 버퍼 및 전체 화면 버퍼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시스템(10)은 표시부(140) 및 표시 영역(240)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갱신해야 할 화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나머지 장치와 관련된 윈도우 버퍼 및 전체 화면 버퍼 영역을 잠금하거나 제거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정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표시부(140) 및 표시부(140)에 다양한 정보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마련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른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 이벤트나 통신 기능 이벤트 발생에 따라 표시부(140) 화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출력 장치(200)의 접속을 지원하며, 화면 출력 장치(200)로 출력할 화면 정보를 구성하여 화면 출력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단말기(100)와 화면 출력 장치(200)는 HDMI 케이블 등을 통하여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USB, UART 방식 등의 유선 방식으로 화면 출력 장치(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화면 출력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나 UWB 통신 방식 등을 기반으로 무선 연결 될 수 있으며, 설계되는 통신 모듈의 형태에 따라 Wi-Fi 방식으로 무선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와 화면 출력 장치(200)의 연결은 특정 통신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말기(100)에서 화면 출력 장치(200)를 위해 구성된 화면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과, 화면 정보 제공 및 갱신 과정에서 버퍼의 선택적 제어를 수행하는 특징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단말기(100)의 화면 출력 장치(200)에 특화된 화면 정보의 구성과, 화면 정보 제공 및 갱신을 위한 버퍼의 선택적 제어의 구성에 대하여 후술하는 단말기(100)의 구성과 단말기(100) 운용 방법 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화면 출력 장치(200)는 모니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단말기(100)에서 구성된 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화면 출력 장치(200)는 단말기(100) 연결 시 화면 출력 장치 정보를 단말기(100)에 제공함으로써 단말기(100)가 화면 출력 장치(200)에 특화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출력 장치 정보는 화면 출력 장치(200)의 화면 크기 정보, 지원되는 해상도 정보, 정보 출력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출력 장치(200)는 단말기(100)로부터 특화된 화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 영역(240)에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화면 출력 장치(200)는 단말기(100)의 데스크톱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단말기(100)의 화면 정보 갱신에 따라 갱신된 정보를 표시 영역(240)에 출력할 수도 있으며, 단말기(100)의 화면 정보 갱신 잠금에 따라 별도 정보 갱신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HDMI 케이블은 단말기(100)와 화면 출력 장치(20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화면 출력 장치(200)의 화면 출력 장치 정보를 단말기(100)에 제공하며, 단말기(100)의 화면 정보를 화면 출력 장치(200)에 전달하는 통신 선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HDMI 케이블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유선 케이블의 형태로 대체되거나 무선 방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추가로 HDMI 케이블은 전원 공급부를 별도 마련함으로써 단말기(100)와 화면 출력 장치(200) 간의 화면 정보 제공 시 필요한 전원을 충당할 수 있다. 즉 HDMI 케이블은 단말기(100)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별도 마련된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정보 전달을 지원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단말기(100) 충전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HDMI 케이블 일측에 별도의 코드 케이블이 마련될 수 있으며, 코드 케이블은 콘센트 등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 역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 시스템(10)의 구성 중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40), 저장부(150), 외부 장치 연결부(17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외부 장치 연결부(170)를 통하여 화면 출력 장치(200)의 연결을 지원한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HDMI 케이블을 기반으로 화면 출력 장치(200)가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외부 장치 연결부(170)를 HDMI 인터페이스 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표시부(140)에 출력될 화면 정보들을 구성하다가 화면 출력 장치(200)가 연결되고 데스크톱 모드가 선택되면 데스크톱 모드 지원을 위한 별도 화면 정보 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별도 구성된 화면 정보를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 과정에서 제공되는 화면 출력 장치(200)용 화면 정보는 단말기(100)의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화면 정보와는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화면으로서 화면 출력 장치(200)의 장치 특성에 맞는 적절한 화면 제공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화면과는 별도로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되는 화면 정보를 토대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되는 화면 정보들의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외부 서버 장치 접속을 수행하고, 해당 서버 장치로부터 서버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서버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웹 페이지 등이 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장치 접속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페이지 등이 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수신된 서버 페이지를 표시부(140)에 출력하지 않고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 연결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음성 통화 기능, 영상 통화 기능, 메시지 서비스 기능, 채팅 서비스 기능 및 데이터 서비스 기능 등 다양한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한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각각의 통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고 해당 통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으로 설계되는 경우 제공되는 구성으로부터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면 출력 장치(200)와 단말기(100) 간에 무선 연결 방식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경우 통신부(110)가 이를 지원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화면 출력 장치(200)에는 통신부(110)와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의 배치 및 운용 지원부가 더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키 버튼이나, 사이드 키, 홈 키 등으로 마련되어 단말기(100)의 다양한 위치 예를 들면 단말기의 베젤이나 전면 또는 후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표시부(14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과 표시 패널의 터치 맵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 예를 들면 데스크톱 모드 선택 신호, 화면 출력 장치(200) 제어를 위한 가상 키패드 호출을 위한 신호, 호출된 가상 키패드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화면 출력 장치(200)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 표시부(140)에 출력된 화면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로 입력부(120)는 지원 형태에 따라 외부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마우스 및 키보드 등이 단말기(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우스 및 키보드는 입력부(120)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마우스 및 키보드 연결을 위한 USB 커넥터 또는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유무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방식을 지원하고, 마우스 및 키보드는 USB 커넥터 및 블루투스 모듈에 연결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마우스 및 키보드 등으로부터 생성되는 신호를 단말기(100)의 표시부(140)에 적용하거나 데스크톱 모드 선택 시 화면 출력 장치(200)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화면 출력 장치(200)가 외부 장치 연결부(170)를 통하여 접속되어 화면 출력 장치 정보를 단말기(100)에 제공하고, 단말기(100)가 화면 출력 장치 정보 수신에 따라 자동으로 데스크톱 모드 수행을 위한 전환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경우 상술한 데스크톱 모드 선택 신호 생성은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0)는 방송 수신 화면, 파일 검색 화면, 파일 재생 화면, 통신 서비스 연결 화면 등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부(140)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화면 출력 장치(200)가 연결된 상태에서 화면 출력 장치(200)와 독립적인 화면을 출력하거나 화면 출력 장치(200) 제어를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화면은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갱신 잠금 설정이 수행되어 별도 화면 정보 갱신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화면 출력 장치(200)와 독립적으로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화면 정보 갱신을 수행할 수 도 있다. 화면 정보 갱신은 표시부(140)에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기능의 수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는 윈도우 버퍼 및 전체 화면 버퍼에 각각 기입되거나 윈도우 버퍼를 거치지 않고 전체 화면 버퍼에 기입되어 표시부(14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예를 들면 단말기 운용에 필요한 운용체제,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프로그램, 이동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이동통신 지원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151)들 예컨대 웹 브라우저, 문서 작성기, 갤러리, 동영상 재생기 등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어플리케이션(151)들은 사용자 지정을 위하여 특정 메뉴 항목 등으로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들이 특정 메뉴 항목을 지정하는 입력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151)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화면이 표시부(140) 및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151)들은 표시부(140) 및 화면 출력 장치(200)에 각각 출력될 수 있는 형태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151)들은 단말기(100)의 표시부(140)에 출력될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루틴들 및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될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151)들은 단말기(100)의 표시부(140)에 출력될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루틴들만을 포함하며, 저장부(150)에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될 화면으로 변환할 수 있는 다른 루틴들 예컨대 합성 윈도우 관리자가 마련될 수 있다. 추가로 어플리케이션(151)은 출력 설정에 따라 디폴트로 단말기(100)의 표시부(140)에 출력되거나 화면 출력 장치(200) 연결 시 화면 출력 장치(200)로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의 기능 운용에 필요한 전원의 공급과 분배 및 신호의 전달과 처리를 지원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외부 장치 연결부(170)에 화면 출력 장치(200)가 연결되는 경우 화면 출력 장치(200)가 제공하는 화면 출력 장치 정보를 기반으로 연결된 화면 출력 장치의 종류와 화면 출력 장치(200)에 제공할 화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화면 출력 장치(200)에 제공할 화면의 크기, 화면의 해상도, 화면 출력에 이용할 주파수 특성 등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화면 출력 장치(200)에 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버퍼의 할당과 갱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크게 윈도우 버퍼와 전체 화면 버퍼를 운용하는 구성과 윈도우 버퍼를 사용하지 않고 전체 화면 버퍼만을 이용하여 화면 출력 장치(200) 및 표시부(140)에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 운영 지원부(165), 윈도우 버퍼(167) 및 전체 화면 버퍼(16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 버퍼(167) 및 전체 화면 버퍼(169)는 저장부(150)의 구성에 배치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제어부(160)의 구성에 배치한 것이다. 이러한 윈도우 버퍼(167) 및 전체 화면 버퍼(169)는 제어부(160)에 별도로 마련된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전체 화면 버퍼(169)는 표시부(140)에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별도의 프레임 버퍼에 해당할 수도 있다. 즉 윈도우 버퍼(167)와 전체 화면 버퍼(169)를 제어부(160) 구성으로 배치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윈도우 버퍼(167) 및 전체 화면 버퍼(169)는 프레임 버퍼로서 또는 특정 버퍼로서 별도 마련되거나 제어부(160) 구성으로서 배치되는 메모리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151)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151)에 해당하는 화면을 렌더링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151)들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각각의 어플리케이션(151)들에 해당하는 아이콘이나 메뉴 항목들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는 사용자가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151)을 저장부(150)에서 호출하여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는 해당 어플리케이션(151) 운용을 위한 제어키 맵을 확인하고 해당 제어키 맵을 입력부(120)에 매핑하거나 표시부(140)에 가상 터치맵으로서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151)을 구성하는 다양한 화면 정보들을 리스트로 구성하여 운용할 수 있다. 즉 예컨대 화면 정보가 인디케이터 영역, 배경 화면 영역, 실행 화면 영역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는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화면 정보를 운영 지원부(165)를 통하여 윈도우 버퍼(167)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는 화면 렌더링에 따른 윈도우 버퍼(167)를 획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는 특정 어플리케이션(151) 활성화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151)이 몇 개의 화면 레이어들로 구성되는지 화면 리스트를 구성하고 이를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에 제공할 수 있다.
윈도우 버퍼(167)는 어플리케이션(151) 활성화에 따라 출력해야 할 화면들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윈도우 버퍼(167)는 하나의 화면이 복수개의 화면 레이어들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화면 레이어들에 대응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각각의 윈도우 버퍼(167)들은 화면 레이어들에 대응하는 화면 정보가 기입될 수 있다. 윈도우 버퍼(167)들에 기입된 정보들은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 제어에 따라 전체 화면 버퍼(169)에 기입될 수 있다.
전체 화면 버퍼(169)는 윈도우 버퍼(167)들에 기입된 정보들을 표시부(140) 및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버퍼이다. 이러한 전체 화면 버퍼(169)는 화면 출력 장치(200)가 단말기(100)에 접속되는 경우 표시부(140)와 화면 출력 장치(200)에 화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화면 출력 장치(200)가 단말기(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표시부(140)에 화면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전체 화면 버퍼(169)는 출력될 화면 정보에 따라 새롭게 할당되거나 반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화면 버퍼(169)는 설계 방식에 따라 표시부(140) 및 화면 출력 장치(200) 중 어느 하나만의 갱신 지원을 위하여 일정 영역이 잠금 설정될 수 있다.
운영 지원부(165)는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가 특정 어플리케이션(151) 활성화 수행 시 화면 렌더링에 따라 윈도우 버퍼(167)를 획득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윈도우 버퍼(167)에 상술한 화면 정보들을 기입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윈도우 버퍼(167)에 할당되는 화면 정보는 상술한 다양한 영역들에 해당하는 화면 레이어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지원부(165)는 윈도우 버퍼(167) 할당과 함께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에 윈도우 버퍼(167)의 할당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지원부(165)는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의 제어에 따라 전체 화면 버퍼(169)의 그래픽 업데이트를 지원할 수 있다.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는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151)을 활성화하고 그에 대응하여 윈도우 버퍼(167)가 할당되면, 화면 레이어들 정보에 대한 화면 리스트를 기준으로 윈도우 합성을 지원한다. 예컨대 2개의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경우, 제1 어플리케이션 운용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되도록 설정되거나 요청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활성화에 따른 윈도우 버퍼(167)들의 합성을 수행하고 화면 출력이 표시부(140)에서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는 제2 어플리케이션 운용 화면이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되도록 설정되거나 요청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활성화에 따른 윈도우 버퍼(167)들의 합성을 수행하고 화면 출력이 화면 출력 장치(200)에서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는 윈도우 버퍼(167)에 저장된 화면 레이어들에 해당하는 정보들을 전체 화면 버퍼(169)의 각 영역들 즉 표시부(140)에 출력될 영역과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될 영역에 갱신하도록 지원한 후, 전체 화면 버퍼(169)에 기입된 화면 정보들을 표시부(140) 및 화면 출력 장치(200)에 각각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는 입력 이벤트에 따라 화면 정보들의 변경이나 교체, 표시부(140)와 화면 출력 장치(200) 간의 화면 정보 전환 등을 지원할 수도 있다.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는 화면 출력 장치(200)의 연결 해제가 발생하는 경우 화면 출력 장치(200)를 위해 생성된 윈도우 버퍼(167) 및 전체 화면 버퍼(169)의 일정 영역들을 회수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는 윈도우 버퍼(167) 운용을 통하여 화면 레이어들 간의 윈도우 겹침 등을 수행함으로써, 복수개의 화면 레이더들에 대한 알파 블랜딩, 윈도우 애니메이션 이펙트와 같은 비주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제어부(160)는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가 어플리케이션(151) 운용에 따라 특정 화면을 렌더링(Rendering)하면 운영 지원부(165)가 윈도우 버퍼(167)에 그래픽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이와 함께 운영 지원부(165)는 윈도우 갱신 이벤트를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에 제공하고,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는 윈도우 합성 렌더링을 수행하여 운영 시스템(10)에 제공한다. 그러면 운영 시스템(10)은 그래픽 업데이트를 전체 화면 버퍼(169)에 적용하여 윈도우 버퍼(167)는 버퍼 복사를 전체 화면 버퍼(169)에 적용한다. 이후 전체 화면 버퍼(169)는 저장된 화면 정보들을 각 영역에 대응하는 각각의 표시부(140) 및 화면 출력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화면 출력 장치(200)가 단말기(100)에 연결되면 화면 출력 장치용 버퍼를 할당하고 윈도우를 합성하여 처리하도록 지원하며, 화면 출력 장치(200)가 연결 해제되었을 때 화면 출력 장치용 버퍼를 삭제하도록 지원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 운영 지원부(165) 및 전체 화면 버퍼(169)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는 도 3에서 설명한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사용자 호출 또는 사전 정의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151) 활성화에 따른 화면 렌더링을 지원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는 특정 화면 제어를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면 렌더링을 다시 수행할 것을 운영 지원부(165)에 안내할 수 있다.
운영 지원부(165)는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가 렌더링에 대한 안내를 수행하면, 윈도우 스택 변경 이벤트를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는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 및 윈도우 버퍼(167)의 운용 없이 직접 렌더링 윈도우를 검출하고 검출된 윈도우를 이용하여 렌더링한 화면 정보를 전체 화면 버퍼(169)에 직접 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는 제1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및 운용에 따라 렌더링한 화면 정보가 발생하면 제1 어플리케이션 운용 화면을 사전 정의된 전체 화면 버퍼(169)의 일정 영역에 기입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는 화면 출력 장치(200)로 렌더링한 화면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또는 요청된 제2 어플리케이션 운용이 발생하면 해당 화면 정보를 전체 화면 버퍼(169)의 일정 영역 중 화면 출력 장치(200)와 관련된 영역에 기입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를 위한 시스템과 단말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를 위한 화면 버퍼의 생성과 이용 및 반환 등을 통하여 화면 출력 제어 방법에 대하여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출력 장치(200)를 위한 화면 버퍼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화면 출력 장치(200)의 연결 및 화면 출력 제어를 확장 화면 출력 방식 또는 데스크톱 모드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은 먼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가 공급된 전원을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공급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또는 통신 이벤트 발생 등에 따라 501 단계에서 윈도우/시스템 이벤트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503 단계에서 화면 출력 장치(200)의 연결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화면 출력 장치(200)와 단말기(100)의 외부 장치 연결부(170)를 잇는 HDMI 케이블을 이용하거나 특정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의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단말기(100) 및 화면 출력 장치(200)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면 출력 장치(200) 연결 이벤트가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501 단계로 복귀하여 단말기(100)의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 연결부(170)는 화면 출력 장치(200) 접속을 인식하기 위한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503 단계에서 화면 출력 장치(200) 연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60)는 505 단계로 분기하여 화면 출력 장치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접속된 화면 출력 장치(200)로부터 화면 출력 장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화면 출력 장치 정보를 저장부(150) 등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507 단계로 분기하여 화면 출력 방식 설정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출력 방식 설정 조사는 화면 출력 장치(200)의 화면 출력 장치 정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화면 출력 장치 정보를 확인하여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할 화면의 크기나, 해상도, 위치, 주파수 정보 등을 조사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60)는 509 단계로 분기하여 데스크톱 모드인 확장 화면 출력 방식 설정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확장 화면 출력 방식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513 단계로 분기하여 화면 출력 장치용 미러 출력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화면 출력 장치용 미러 출력 설정은 단말기(100)의 표시부(140)에 출력된 화면을 그래도 복사하여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하는 기능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 화면 출력 장치(200)의 표시 영역(240)에 맞도록 미러 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509 단계에서 확장 화면 출력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511 단계로 분기하여 연결된 화면 출력 장치용 화면 버퍼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60)는 515 단계에서 연결된 화면 출력 장치 정보를 화면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출력 장치용 화면 버퍼는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할 화면 정보들을 기입하는 윈도우 버퍼 및 전체 화면 버퍼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특히 화면 출력 장치용 화면 버퍼는 설계되는 화면 정보 출력 방식에 따라 윈도우 버퍼(167) 및 전체 화면 버퍼(169)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전체 화면 버퍼(169)의 일정 영역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화면별 윈도우 합성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을 위해 제어부(160)의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는 각 화면 레이어들에 대응하는 윈도들의 보이기, 숨기기, 기하 변경, 스택 변경, 컨텐츠 갱신 등을 지원하기 위한 윈도우 이벤트 처리를 아래와 같이 지원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601 단계에서 단말기(100) 운용과 관련된 윈도우 및 시스템 이벤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스케줄 정보나 사용자 요청 및 기타 발생되는 이벤트에 다라 수행하면서 표시부(140) 갱신을 위한 윈도우 이벤트 처리 및 단말기(100) 운용과 관련된 시스템 이벤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0)는 603 단계에서 화면 갱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화면 갱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605 단계로 분기하여 화면 갱신과 관련된 윈도우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화면 갱신과 관련된 윈도우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601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윈도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607 단계에서 윈도우 이벤트 발생에 따라 화면 갱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화면 갱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60)는 601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607 단계에서 화면 갱신이 필요한 경우 609 단계로 분기하여 화면 리스트의 첫 번째 화면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611 단계로 분기하여 윈도우 기하(위치와 크기)와 화면 기하가 교차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윈도우 기하와 화면 기하가 교차하는 경우 613 단계로 분기하여 화면 갱신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윈도우 버퍼(167)에 기입된 정보를 해당 화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화면 갱신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615 단계로 분기하여 다음 화면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다음 화면 정보가 존재하면 617 단계로 분기하여 다음 화면 정보 입력을 수행한 후 611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전체 화면 정보 입력 및 화면 갱신 설정이 완료되면 615 단계에서 619 단계로 분기하고 직접 렌더링 방식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렌더링 방식 검사 부분은 각각의 화면 기하 값과 일치하는 윈도우들을 검출하여 윈도우 합성 단계를 제외시키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직접 렌더링 방식이 설정된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에서 전체 화면 버퍼(169)를 직접 갱신하므로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에서는 해당 화면에 대해 잠금 설정을 한다.
한편 603 단계에서 화면 갱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60)는 621 단계로 분기하여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가 관리하는 화면 리스트의 첫 번째 화면 정보 입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623 단계에서 화면 갱신 잠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 갱신 잠금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60)는 625 단계로 분기하여 화면 갱신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화면 갱신 설정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627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화면에 포함된 윈도우에 대해서 윈도우 합성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화면 갱신 잠금이 설정되어 있거나 화면 갱신 설정을 위한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625 단계 및 627 단계를 스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629 단계로 분기하여 다음 화면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다음 화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다음 화면 정보 입력을 631 단계에서 수행하고 이후 623 단계에서부터 화면 갱신 설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629 단계에서 다음 화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601 단계로 복귀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은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화면 레이어들에 대응하는 윈도우들에 대하여 윈도우 변경이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화면 갱신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화면을 구성하는 윈도우들의 갱신 또는 및 윈도우 합성을 수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화면 갱신이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은 단말기(100)의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화면과 화면 출력 장치(200)에 출력되는 화면들에 대하여 각각의 화면 갱신 이벤트 및 윈도우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각 화면들에 대한 갱신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화면 갱신이 요구되지 않는 화면 정보에 대해서는 해당 화면에 대한 갱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표시부(140) 및 화면 출력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 갱신만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화면 갱신 시 필요한 영역의 화면 정보만을 갱신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화면 출력 장치용 화면 버퍼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은 제어부(160)가 701 단계에서 윈도우 및 시스템 이벤트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인디케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윈도우에 대한 이벤트 발생이 있을 경우 해당 인디케이터 영역에 대한 이벤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수신 신호 세기 변동이 발생하거나 망 접속이 해제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그에 따른 윈도우 영역의 화면 정보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703 단계에서 화면 출력 장치(200) 연결 해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해제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701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활성화되는 또는 입력 이벤트에 따라 제어를 요청한 어플리케이션(151)의 특성에 따라 화면 정보 갱신을 표시부(140) 및 화면 출력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703 단계에서 화면 출력 장치(200) 연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705 단계로 분기하여 화면 출력 방식 설정을 조사한다. 즉 제어부(160)는 화면 버퍼 반환을 위하여 그리고 화면 출력 장치(200)의 화면 정보 출력을 위하여 제공된 기능들의 종료를 위하여 화면 출력 방식 설정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707 단계로 분기하여 확장 화면 출력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확장 화면 출력 방식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미러 출력 설정이 있는 경우 711 단계로 분기하여 화면 출력 장치(200) 연결 해제에 따라 화면 출력 장치용 미러 출력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확장 화면 출력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709 단계로 분기하여 화면 출력 장치용 화면 버퍼를 삭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화면 출력 장치(200)를 위해 할당된 윈도우 버퍼(167) 및 전체 화면 버퍼(169)의 일정 영역을 각각 반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윈도우 버퍼(167) 및 전체 화면 버퍼(169)를 단말기(100)의 표시부(140)에 대응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713 단계에서 연결 해제된 화면 출력 장치(200) 정보를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에 등록된 화면 리스트에서 제거하도록 지원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직접 렌더링 방식 검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직접 렌더링 방식 지원을 위하여 제어부(160)는 801 단계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유사하게 윈도우 및 시스템 이벤트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803 단계에서 윈도우 이벤트에 대한 화면 갱신 처리를 수행하도록 준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805 단계에서 이벤트 처리 효율성을 위하여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가 운용하는 이벤트 큐가 비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 큐가 비어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60)는 801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큐가 비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807 단계로 분기하여 화면 리스트의 첫 번째 화면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809 단계에서 윈도우 합성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윈도우 합성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811 단계로 분기하여 최상위 윈도우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813 단계에서 최상위 윈도우가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최상위 윈도우가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인 경우 제어부(160)는 815 단계로 분기하여 윈도우 기하(크기와 위치)와 화면 기하(크기와 위치)가 교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 기하와 화면 기하가 교차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817 단계로 분기하여 윈도우 기하와 화면 기하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819 단계에서 화면에 표시된 윈도우가 불투명 윈도우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화면에 표시된 윈도우가 불투명 윈도우인 경우 821 단계에서 윈도우 합성을 통해 화면에 출력되는 윈도우인지 확인하며, 윈도우 합성을 통해 출력되는 윈도우인 경우 823 단계에서 해당 화면에 직접 렌더링 윈도우 지정을 수행하고 화면 갱신 잠금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825 단계에서 다음 화면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다음 화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801 단계로 복귀하며, 다음 화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827 단계에서 다음 화면 정보 입력을 수행함과 아울러 809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809 단계에서 윈도우 합성 방식이 아닌 경우 829 단계로 분기하여 직접 렌더링 윈도우 해제 검사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직접 렌더링 윈도우 해제 검사는 해당 화면이 직접 렌더링 방식으로 동작하고 있을 경우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813 단계에서 최상위 윈도우가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가 아닌 경우 831 단계로 분기하여 다음 스택 윈도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존재하는 경우 835 단계로 분기하여 다음 스택 윈도우 정보 입력 수행 후 813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직접 렌더링 윈도우 해제를 위한 요청 수신 시, 윈도우 버퍼를 할당하고, 앞서 설명한 윈도우 버퍼 기반의 화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직접 렌더링 윈도우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를 위한 직접 렌더링 윈도우 설정은 먼저 901 단계에서 제어부(160)가 윈도우 버퍼(167) redirection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903 단계에서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의 윈도우 버퍼(167) 자원 삭제를 수행하고, 905 단계에서 해당 화면에 대한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의 윈도우 합성 모드를 해제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907 단계에서 화면 갱신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에서 어플리케이션(151)이 활성화되는 경우 윈도우 버퍼(167)를 할당하지 않고 윈도우 버퍼(167) redirection 해제를 수행함으로써,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의 윈도우 버퍼(167) 자원 삭제를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의 윈도우 합성 모드 해제를 수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가 전체 화면 버퍼(169) 중 어플리케이션(151) 활성화에 따라 획득해야 할 일부 영역을 획득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가 전체 화면 버퍼(169)의 일부 영역에 대한 화면 갱신을 수행하게 됨으로,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에서 화면 갱신에 대한 잠금 설정을 수행하여 화면 갱신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의 버퍼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의 버퍼 운용은 먼저, 제어부(160)가 1001 단계에서 윈도우 및 시스템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면서 표시부(140) 및 화면 출력 장치(200)에 대한 화면 정보 출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1003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의 어플리케이션 버퍼 획득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버퍼 획득은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가 활성화한 어플리케이션(151) 운용에 따른 화면 정보를 직접 기입할 수 있도록 획득되는 전체 화면 버퍼(169) 중 해당 어플리케이션(151)에 대응하는 일부 영역이 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어플리케이션(151) 운용을 위한 버퍼가 획득되면 1005 단계에서 획득된 버퍼가 이전 버퍼가 다른지 여부를 확인하고 다른 경우 1007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이전 버퍼를 삭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동일한 경우 제어부(160)는 1007 단계를 스킵하도록 지원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1009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151) 운용에 따라 출력할 화면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고 1011 단계에서 렌더링된 정보를 버퍼에 갱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가 어플리케이션(151) 수행을 하기 전에 시스템으로부터 버퍼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윈도우 redirection 설정 유무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지원부(161)가 윈도우 버퍼를 획득하도록 지원하거나 전체 화면 버퍼(169) 중 일부 영역을 획득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렌더링한 결과물을 윈도우 합성 과정을 통해 출력하도록 하거나 전체 화면 버퍼(169)의 일부 영역에 직접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직접 렌더링 윈도우 해제 검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직접 렌더링 윈도우 해제 검사는 먼저 1101 단계에서 최상위 윈도우 정보 입력이 수행되면, 제어부(160)는 1103 단계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인 경우 1105 단계에서 윈도우 기하와 화면 기하 교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 기하와 화면 기하가 교차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1107 단계에서 윈도우 기하와 화면 기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되는 경우 1109 단계에서 입력된 윈도우가 불투명 윈도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1109 단계에서 입력된 윈도우가 불투명 윈도우인 경우 1111 단계에서 윈도우 합성을 통해 화면에 출력되는 윈도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윈도우 합성을 통해 화면에 출력되는 윈도우인 경우 제어부(160)는 1113 단계에서 기존의 직접 렌더링 윈도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기존 직접 렌더링 윈도우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1115 단계에서 직접 렌더링 방식을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1107 단계 내지 1113 단계에서 윈도우 기하와 화면 기하가 일치되지 않거나, 불투명 윈도우가 아니거나, 윈도우 합성을 수행하지 않거나, 기존의 직접 렌더링 윈도우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1117 단계에서 직접 렌더링 윈도우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1103 단계에서 입력된 윈도우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가 아닌 경우이거나 1105 단계에서와 같이 윈도우 기하와 화면 기하가 교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1109 단계에서 다음 스택 윈도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1117 단계로 분기하여 직접 렌더링 윈도우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1119 단계에서 다음 스택 윈도우가 존재하는 경우 1121 단계에서 다음 스택 윈도우 정보 입력 후 1103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중 직접 렌더링 윈도우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직접 렌더링 윈도우 해제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1201 단계에서 윈도우 버퍼 redirection 설정을 수행하고, 1203 단계에서 윈도우 버퍼(167)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1205 단계에서 화면 버퍼 컨텐츠를 윈도우 버퍼(167)에 복사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1207 단계에서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의 윈도우 합성 모드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1209 단계에서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의 윈도우 버퍼(167) 자원을 생성하고 1211 단계에서 화면 갱신 잠금 해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직접 렌더링 윈도우 해제를 수행하면서 합성 윈도우 관리자(163)에 의한 윈도우 합성 기반의 화면 정보 처리가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들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들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통신모듈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외부 장치 연결부 200 : 화면 출력 장치
240 : 표시 영역

Claims (21)

  1. 단말기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에 상기 표시부와 구분되는 별도의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 출력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감지하는 과정;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한 윈도우 버퍼를 할당하는 과정;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연결을 감지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상기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화면 버퍼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잠금 설정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렌더링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에 출력할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들을 상기 윈도우 버퍼에 기입하는 과정;
    상기 윈도우 버퍼에 기입된 윈도우들을 합성하여 상기 화면 버퍼에 복사하는 과정;
    상기 화면 버퍼에 복사된 정보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상기 표시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하는 과정은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해 할당된 상기 화면 버퍼의 일정 영역에 상기 윈도우 버퍼에 기입된 정보를 기입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렌더링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할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들을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를 위해 할당된 윈도우 버퍼에 기입하는 과정;
    상기 화면 버퍼의 영역 중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를 위해 할당된 영역에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를 위해 할당된 윈도우 버퍼에 기입된 정보를 복사하는 과정;
    상기 화면 버퍼에 복사된 정보 중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를 위해 할당된 영역에 기입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연결이 해제되는 과정;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해 할당된 윈도우 버퍼 및 상기 화면 버퍼 영역을 반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화면 출력을 위해 등록된 항목을 화면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
  6. 단말기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화면 출력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감지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렌더링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에 출력할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들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버퍼의 일정 영역을 획득하는 과정;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연결을 감지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 및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상기 화면 버퍼의 상기 일정 영역을 잠금 설정하는 과정;
    상기 화면 버퍼에 상기 렌더링된 윈도우를 직접 기입하는 과정;
    상기 화면 버퍼에 기입된 정보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표시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렌더링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할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들의 출력을 위한 화면 버퍼의 일정 영역을 할당하는 과정;
    상기 화면 버퍼의 영역 중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를 위해 할당된 영역에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할 윈도우들을 기입하는 과정;
    상기 화면 버퍼에 기입된 정보 중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를 위해 할당된 영역에 기입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버퍼 직접 기입 동작 해제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 및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표시 영역을 위한 윈도우 버퍼를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연결이 해제되는 과정;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해 할당된 상기 화면 버퍼 영역을 반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화면 출력을 위해 등록된 항목을 화면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방법.
  11.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표시부;
    윈도우 버퍼;
    화면 버퍼;
    상기 표시부와 구분되는 별도의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 출력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외부 장치 연결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출력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감지하고,
    상기 화면 출력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한 윈도우 버퍼를 할당하고,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연결을 감지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상기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화면 버퍼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잠금 설정하고,
    상기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렌더링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에 출력할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들을 상기 윈도우 버퍼에 기입한 후 상기 윈도우 버퍼에 기입된 윈도우들을 합성하여 화면 버퍼에 복사하며,
    상기 화면 버퍼에 복사된 정보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표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해 할당된 상기 화면 버퍼의 일정 영역에 상기 윈도우 버퍼에 기입된 정보를 기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출력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렌더링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할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들을 상기 표시부를 위해 할당된 윈도우 버퍼에 기입하고, 상기 화면 버퍼의 영역 중 상기 표시부를 위해 할당된 영역에 상기 표시부를 위해 할당된 윈도우 버퍼에 기입된 정보를 복사하며, 상기 화면 버퍼에 복사된 정보 중 상기 표시부를 위해 할당된 영역에 기입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출력 장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해 할당된 윈도우 버퍼 및 상기 화면 버퍼 영역을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출력 장치 연결 시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화면 출력을 위한 항목을 화면 리스트에 등록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화면 출력 장치 연결 해제 시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화면 출력을 위해 등록된 항목을 화면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6.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표시부;
    화면 버퍼;
    상기 표시부와 구분되는 별도의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 출력 장치와의 연결을 지원하는 외부 장치 연결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 연결부에 상기 화면 출력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감지하고,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렌더링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에 출력할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들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버퍼의 일정 영역을 획득하고,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연결을 감지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외부 장치 연결부의 상기 표시 영역에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상기 화면 버퍼의 상기 일정 영역을 잠금 설정하고, 상기 화면 버퍼에 상기 렌더링된 윈도우를 직접 기입한 후 상기 화면 버퍼에 기입된 정보를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표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출력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렌더링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할 화면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들의 출력을 위한 화면 버퍼의 일정 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화면 버퍼의 영역 중 상기 표시부를 위해 할당된 영역에 상기 표시부에 출력할 윈도우들을 기입한 후 상기 화면 버퍼에 기입된 정보 중 상기 표시부를 위해 할당된 영역에 기입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 버퍼 직접 기입 동작 해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표시 영역을 위한 윈도우 버퍼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해 할당된 상기 화면 버퍼 영역을 반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출력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화면 출력을 위한 항목을 화면 리스트에 등록하고,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화면 출력을 위해 등록된 항목을 화면 리스트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를 지원하는 단말기.
  21. 단말기에 연결되어 단말기에서 구동된 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 장치;
    상기 화면 출력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감지하고,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연결을 감지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 및 상기 화면 출력 장치의 표시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화면 버퍼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잠금 설정하고,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한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화면 출력 장치를 위해 할당된 버퍼의 일정 영역에 상기 화면을 기입하여 상기 화면 출력 장치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출력 제어 시스템.
KR1020120104795A 2012-09-10 2012-09-20 화면 출력 제어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970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22,702 US9449575B2 (en) 2012-09-10 2013-09-10 Screen out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98969P 2012-09-10 2012-09-10
US201261698895P 2012-09-10 2012-09-10
US61/698,895 2012-09-10
US61/698,969 2012-09-10
US201261700107P 2012-09-12 2012-09-12
US201261700125P 2012-09-12 2012-09-12
US61/700,125 2012-09-12
US61/700,107 2012-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013A KR20140034013A (ko) 2014-03-19
KR101970157B1 true KR101970157B1 (ko) 2019-04-18

Family

ID=5064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795A KR101970157B1 (ko) 2012-09-10 2012-09-20 화면 출력 제어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1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8471A1 (en) * 2003-12-18 2005-08-04 Paquette Michael J. Composite graphics rendered using multiple frame buffers
US20090309808A1 (en) * 2008-06-17 2009-12-17 Swingler Michael A Providing a coherent user interface across multiple output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8471A1 (en) * 2003-12-18 2005-08-04 Paquette Michael J. Composite graphics rendered using multiple frame buffers
US20090309808A1 (en) * 2008-06-17 2009-12-17 Swingler Michael A Providing a coherent user interface across multiple output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013A (ko)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7149B2 (en) Method of dividing screen areas and mobile terminal employing the same
US11778430B2 (en) Layers in messaging applications
US11722860B2 (en) Messaging system interacting with dynamic extension app
US20150309704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object
KR102052424B1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112639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US9449575B2 (en) Screen out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2043049B1 (ko) 앱 운용 방법 및 앱 운용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앱 출력 장치
KR102251834B1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EP241041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rganizing a menu screen therein
US2014014992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U2014288039A1 (en) Remote operation of applications using received data
KR20100124440A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131863A (ko) 단말 장치 및 그의 관련 창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KR20130064458A (ko)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97415A (ko) 안드로이드 플랫폼상에서의 멀티윈도우 구동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구비한 터치 디바이스
KR101325840B1 (ko) 싱크 장치를 관리하는 방법, 이를 위한 소스 장치 및 무선랜 시스템
WO2006009001A1 (ja) ガイダンス表示装置
CN111324398B (zh) 最近内容的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40123818A (ko)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225818B2 (en) Mobile terminal
KR101970157B1 (ko) 화면 출력 제어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0007128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파일 목록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5152965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489423A (zh) 图片显示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