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833B1 - 작업화용 덧신 - Google Patents

작업화용 덧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833B1
KR101969833B1 KR1020170173342A KR20170173342A KR101969833B1 KR 101969833 B1 KR101969833 B1 KR 101969833B1 KR 1020170173342 A KR1020170173342 A KR 1020170173342A KR 20170173342 A KR20170173342 A KR 20170173342A KR 101969833 B1 KR101969833 B1 KR 10196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frame
sole
workpiec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다휘
Original Assignee
이다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다휘 filed Critical 이다휘
Priority to KR102017017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8Devices for holding overshoes in posi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화용 덧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화의 밑창보다 큰 개구면이 형성되는 테두리구조의 밑창프레임; 작업화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밑창프레임을 작업화의 밑면 또는 측면에 위치시키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를 작업화의 일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밑창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면을 마감하는 신축재질의 부직포;를 포함하여 작업화 위에 덧신는 일반적인 덧신 구조와 달리 작업화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방식으로 덧신의 착용 및 해제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그 착용 및 해제가 용이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작업화용 덧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화용 덧신{overshoes}
본 발명은 작업화용 덧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화를 신은 상태에서 그 착용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작업화용 덧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균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병원이나 실험실 또는 청결이 유지되어야 하는 공간에서는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이물질에 의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또는 반도체 제조업체에 설치된 무진, 무균실에서는 분진 및 미세입자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신발 위에 위생커버나 덧신을 신는 경우가 있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위생커버 및 덧신이 일회용으로 재작되어 반복 사용이 어려우며, 또한 그 착용 및 해제가 복잡하고 번거로워 상기 장소들로 출입할 때마다 편치 않은 자세로 위생커버 또는 덧신의 착용 및 해제를 위한 행위를 반복적으로 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912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작업화 위에 덧신는 일반적인 덧신 구조와 달리 작업화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방식으로 덧신의 착용 및 해제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그 착용 및 해제가 용이한 작업화용 덧신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화용 덧신은 작업화의 밑창보다 큰 개구면이 형성되는 테두리구조의 밑창프레임; 작업화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밑창프레임을 작업화의 밑면 또는 측면에 위치시키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를 작업화의 일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밑창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면을 마감하는 신축재질의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동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작업화의 측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성되며 상기 밑창프레임이 일정 각도만큼 왕복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작업화에 고정되되, 상기 힌지부는 작업화의 밑창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작동부에는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밑창프레임의 회전을 제어하는 조작레버; 및 상기 밑창프레임을 작업화의 측면에 위치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더 포함되어, 상기 밑창프레임은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평상시에는 작업화의 측면에 위치하다가, 상기 조작레버를 당기면 상기 밑창프레임이 회전하여 작업화의 밑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밑창프레임의 왕복회전각도는 270°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는 상기 밑창프레임에 교체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화용 덧신은 작업화 위에 덧신는 일반적인 덧신 구조와 달리 작업화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방식으로 덧신의 착용 및 해제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그 착용 및 해제가 용이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화용 덧신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작동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밑창프레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화용 덧신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작동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밑창프레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화용 덧신은 작업화의 바닥면을 보호하거나 반대로 작업화의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질 또는 오염물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 공간에 입장 또는 입실 시, 작업화(1)를 착용한 상태로 작업화(1)의 바닥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작업화(1) 위에 덧신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작업화라 한정하여 작성되나, 상기 작업화(1)로써 각종 신발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다른 작업화용 덧신은 밑창프레임(10), 작동부(20), 고정부재(30) 및 부직포(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밑창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화(1)의 밑창보다 큰 개구면(11)이 형성되는 테두리 구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개구면(11)의 사이즈는 작업화(1)의 테두리가 상기 개구면(11)을 특별한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이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밑창프레임(10)의 사이즈는 신발규격에 맞춰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밑창프레임(10)은 개구면(11)이 형성되는 테두리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일 실시 예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프레임(10)은 양단이 연결되며 신발의 밑창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의 와이어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작동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화(1)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부(20)에 밑창프레임(1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작동부(20)는 상기 밑창프레임(10)을 정방향 및 영방향 회전시켜 도 3a에서와 같이 밑창프레임(10)을 작업화(1)의 측면에 위치시키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프레임(10)을 작업화(1)의 밑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20)를 상기 작업화(1)의 일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인 것으로, 작동부(20)를 작업화(1)의 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 다양한 고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부직포(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창프레임(10)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면(11)을 마감하도록 구성되어 도 3b에서와 같이 작업화(1)의 바닥면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직포(40)는 일회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밑창프레임(10)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그 교체가 용이하여 잦은 교체가 가능하고 그에 따른 청결유지 및 작업화(1) 보호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작동부(20)에 대해 보다 구체적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작동부(20)는 하우징(210) 및 힌지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 먼저 상기 하우징(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에 의해 작업화(1)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220)는 상기 하우징(210)에 내재되는 것으로 상기 밑창프레임(10)이 일정 각도만큼 왕복회전가능한 구조로 상기 힌지부(2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밑창프레임(10)은 작업화(1)의 측면에 위치된 상태인 수직상태(도 3a참조)에서부터 밑창프레임(10)이 작업화(1)의 밑면에 위치된 상태인 수평상태(도 3b참조)까지 270°만큼의 왕복회전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즉, 도면에서 나타낸 밑창프레임(10)의 왕복회전각도θ는 270°전후로 형성됨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210)이 상기 작업화(1)에 고정되되, 상기 힌지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화(1)의 밑창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시킴이 바람직한 바, 이는 밑창프레임(10)이 작업화(1)의 밑면에 위치된 상태인 수평상태(도 3b참조)에서는 밑창프레임(10)이 작업화(1)의 바닥면을 통과한 상태 즉, 밑창프레임(10)은 도 3b에서와 같이 작업화(1)의 바닥면 보다 높은 위치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40)가 신축재질로 마련되는 바, 도 3a에서와 같이 부직포(40)가 어느 정도 수축되어 처짐이 제어된 상태로 유지되었다가, 상기와 같이 밑창프레임(10)이 작업화(1)의 밑면에서 수평상태로 배치될 때에 도 3b에서와 같이 밑창프레임(10)은 작업화(1)의 바닥면을 통과한 상태로 작업화(1)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하고 신축성의 부직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하여 작업화(1)의 바닥면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힌지부(220)의 높이) 만큼 차단막을 형성시켜, 작업화(1)의 보호 및 작업화(1)로부터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작업화(1)의 바닥면에 보다 견고한 밀착구조를 그 작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부(20)에는 조작레버(230) 및 탄성체(240)가 더 포함될 수 있는 바, 상기 조작레버(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220)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조작레버(23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밑창프레임(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240)는 상기 밑창프레임(10)을 작업화(1)의 측면에 위치시키는 탄성력이 제공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탄성체(240)에 의해 상기 밑창프레임(10)이 작업화(1)의 측면에서 수직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조작레버(230)를 당기게 되면 상기 밑창프레임(10)은 시계방향으로 270°회전하여 작업화(1)의 밑창에 부직포(40)가 자동으로 착용될 수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밑창프레임(10)은 별도의 장착수단을 통해 고정수단 과 결합되어 작업화(1)의 밑창에 부직포(40)가 착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 해제시에는 별도의 장착수단을 해제시킴으로써 탄성체(240)에 의해 밑창프레임(10)은 자동으로 수직상태 즉, 작업화(1)의 측면으로 복귀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상기 밑창프레임(10)의 일 실시 예로써, 상기 힌지부(220)에 결합되는 부위에 힌지부(220)를 향해 'ㄷ'자형으로 돌출되는 'ㄷ'자 절곡부(12)를 마련함으로써 밑창프레임(10)의 회전반경이 증가되어 작업화(1)의 바닥면에 밑창프레임(10)의 장착 및 해제시 작업화(1)와의 간섭을 제어하여 보다 원활한 작동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화용 덧신을 작업화(1)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화(1)의 바닥면을 보호하거나 반대로 작업화(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질 또는 오염물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 공간에 입장 또는 입실 시 용이하게 작업화(1) 외측에 덧신을 착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특정 공간으로의 반복적인 입실과 퇴실 시에도 그 장착 및 해제가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작업화 10 : 밑창프레임
11 : 개구면 20 : 작동부
30 : 고정부 40 : 부직포
210 : 하우징 220 : 힌지부
230 : 조작레버 240 : 탄성체

Claims (6)

  1. 작업화의 밑창보다 큰 개구면이 형성되는 테두리구조의 밑창프레임;
    작업화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밑창프레임을 작업화의 밑면 또는 측면에 위치시키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를 작업화의 일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밑창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면을 마감하는 신축재질의 부직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화용 덧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작업화의 측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성되며 상기 밑창프레임이 일정 각도만큼 왕복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힌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화용 덧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작업화에 고정되되, 상기 힌지부는 작업화의 밑창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화용 덧신.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에는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밑창프레임의 회전을 제어하는 조작레버; 및
    상기 밑창프레임을 작업화의 측면에 위치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더 포함되어,
    상기 밑창프레임은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평상시에는 작업화의 측면에 위치하다가, 상기 조작레버를 당기면 상기 밑창프레임이 회전하여 작업화의 밑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화용 덧신.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프레임의 왕복회전각도는 270°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화용 덧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상기 밑창프레임에 교체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화용 덧신.
KR1020170173342A 2017-12-15 2017-12-15 작업화용 덧신 KR10196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342A KR101969833B1 (ko) 2017-12-15 2017-12-15 작업화용 덧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342A KR101969833B1 (ko) 2017-12-15 2017-12-15 작업화용 덧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833B1 true KR101969833B1 (ko) 2019-04-17

Family

ID=6628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342A KR101969833B1 (ko) 2017-12-15 2017-12-15 작업화용 덧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8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20Y1 (ko) * 2001-03-14 2001-10-0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바닥공사용 덧신
KR200299127Y1 (ko) 2002-09-04 2002-12-31 세안기술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층을 포함하는 덧신
JP2004329548A (ja) * 2003-05-07 2004-11-25 Akiyoshi Takagi 履物、履物の中敷及び靴下
US20050066543A1 (en) * 2003-09-25 2005-03-31 Rosen Glenn M. Shoe co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220Y1 (ko) * 2001-03-14 2001-10-0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바닥공사용 덧신
KR200299127Y1 (ko) 2002-09-04 2002-12-31 세안기술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층을 포함하는 덧신
JP2004329548A (ja) * 2003-05-07 2004-11-25 Akiyoshi Takagi 履物、履物の中敷及び靴下
US20050066543A1 (en) * 2003-09-25 2005-03-31 Rosen Glenn M. Shoe c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54695A1 (en) Isolation Garment and Foot Ware
JP2019514567A (ja) セルフレーシング室内保護装置
KR101969833B1 (ko) 작업화용 덧신
KR100466040B1 (ko) 신발 자동 세척장치
KR101093153B1 (ko) 덧신
JP2018094221A (ja) 靴底洗浄装置とその装置を用いた靴底洗浄方法
KR200313416Y1 (ko) 레이스의 착탈이 가능한 침대커버
JP2005305063A (ja) 外反母趾治療用中敷および履物
JP2011160943A (ja) 通気防塵のマッサージ中敷
KR200450567Y1 (ko) 통풍구조를 가지는 지압덧신
KR200343136Y1 (ko) 신발용 보관기구
JP4673736B2 (ja) シャンプーボール装置
JP6892537B1 (ja) 外に置く履物収納ケース
KR102072018B1 (ko) 청정실용 덧신 자동 착용기
JPH077764Y2 (ja) 外反母趾治療装置付き履物
KR102210214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신발
KR20110023346A (ko) 신발의 물튀김 방지장치
CN216363859U (zh) 足部用具以及具有病毒防护外罩的鞋
KR200200076Y1 (ko) 위생포가 내장된 실내외 겸용 신발
KR200388094Y1 (ko) 휴대용 구두약 케이스
JP3226580U (ja) スリッパ
KR200294914Y1 (ko) 덧신
KR101164445B1 (ko) 덧신 자동 착화 장치
KR200371513Y1 (ko) 신발용 바닥커버
JP2022024637A (ja) 掃除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