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776B1 - 츄러스 필링기 - Google Patents

츄러스 필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776B1
KR101969776B1 KR1020170005265A KR20170005265A KR101969776B1 KR 101969776 B1 KR101969776 B1 KR 101969776B1 KR 1020170005265 A KR1020170005265 A KR 1020170005265A KR 20170005265 A KR20170005265 A KR 20170005265A KR 101969776 B1 KR101969776 B1 KR 101969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base
lever
pisto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138A (ko
Inventor
소상우
Original Assignee
소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상우 filed Critical 소상우
Priority to KR102017000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7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3Applying co-extrusion, i.e. extruding two or more plastic substances simultaneously, e.g.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supplied to the extrude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6Apparatus for filling pieces of dough such as doughnuts
    • A21C9/061Making continuous filled tubular products, e.g. with subsequent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60Deep-fried products, e.g. doughnu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츄러스 필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츄러스 필링기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작동 레버와; 필링 소스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필링 소스를 상기 작동 레버의 작동과 연동되는 피스톤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된 필링 소스를 토출하는 토출부; 및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 압력을 감소하는 압력 감소 유닛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츄러스 필링기{CHURROS FILLER}
본 발명은 츄러스 필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하고 미려하면서도 분해 조립과 청소가 용이하고 위생적인 츄러스 필링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츄러스(churros)는 밀가루 반죽을 긴 막대 모양으로 만들어 기름에 튀겨낸 스페인 전통 요리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번화가나 놀이동산 등에서 간식용으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수제 츄러스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이는 기존의 냉동 츄러스와 달리 스페인 정통 방식으로 익반죽을 해서 주문과 동시에 기름에 튀기는 과정을 거친 후, 각자의 취향에 따라 시나몬, 코코넛, 단호박, 새우, 오곡 등의 각종 파우더를 시즈닝(seasoning)하여 먹는다.
또한 소위 츄러스 필링기를 이용하여 츄러스의 내부에 잼, 밀키스위트, 크림치즈, 블루베리, 아몬드초코, 딸기 등의 다양한 소스(이하 필링 소스라 한다.)를 선택적으로 주입하여 색다른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츄러스 필링기는 분해 조립이 어려워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부분이 존재함에 따라 위생적이지 못하고, 또한 부식과 견고성에 문제가 있으며, 필링 소스의 주입에 힘이 들고, 더구나 주입량을 조절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5760호(2007.06.28. 등록)“반죽 분할 성형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356657호(2014.01.22. 등록)“내부에 내용물이 삽입된 츄러스 제조방법 및 츄러스 성형장치” 한국실용신안공보 제20-0476286호(2015.02.06. 등록)“츄러스 성형 변환장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73376호(2015.11.25. 등록)“추러스용 반죽 압출장치”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서스(sus) 재질로 견고하고 미려하면서도 분해 조립과 청소가 용이하고 위생적인 츄러스 필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적은 힘으로도 필링 소스를 주입할 수 있고, 또한 정량 주입이 가능한 츄러스 필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츄러스 필링기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작동 레버와; 필링 소스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필링 소스를 상기 작동 레버의 작동과 연동되는 피스톤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된 필링 소스를 토출하는 토출노즐부; 및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 압력을 감소하는 압력 감소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서스 재질로 인하여 견고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크게 베이스부와, 레버부와, 압축부 및 토출노즐부로 구성되어 분해 조립이 간편하므로 청소가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감소부재로서 작용하도록 압축부내에 삽입된 압력감소 부싱으로 인하여 작은 힘으로도 피스톤이 슬라이딩될 수 있되도록 작동 레버를 작동할 수 있고, 또한 레버의 작동 스트로크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링 소스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츄러스 필링기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츄러스 필링기의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츄러스 필링기의 작동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베이스부와 도 3 작동 레버가 힌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베이스부와 작동 레버의 힌지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2 베이스부에 압축부 및 토출노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 압축부 및 토출노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 압축부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작동 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 압축부와 호퍼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츄러스 필링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2는 도 11 츄러스 필링기의 필링 소스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항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츄러스 필링기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츄러스 필링기(1)는 베이스부(100)와, 작동 레버(200)와, 필링 소스를 압축하는 압축부(300)와, 압축된 필링 소스를 토출하는 토출노즐부(400)와, 필링 소스가 투입되는 호퍼(500)를 포함하며, 견고함과 부식 등의 위생을 고려하여, 모두 서스 재질, 특히 304 스테인레스로 구성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한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수직으로 부착된 중공의 원통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 지지부(140)에는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142)과, 상부에 형성된 삽입공(144) 및 상단부의 양측에 형성된 안착홈(146)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평탄한 형상으로, 베이스부(100)의 고정을 위해 나사 구멍(12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츄러스 필링기의 작동 레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2의 베이스부와 도 3 작동 레버가 힌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베이스부와 작동 레버의 힌지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도 4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츄러스 필링기(1)의 베이스부(100)에는 작동 레버(200)가 힌지 결합되어 소정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
작동 레버(200)는 베이스부(100)의 관통공(142)에 삽입되어 힌지축으로 작용하는 힌지축부(220)와, 힌지축부(220)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레버부(240)와, 레버부(240)의 회동에 따라 압축부(300)의 피스톤 로드(344)(도 1)를 전후진하도록 레버부(24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 결합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부(220)는 베이스부(100)의 관통공(142)에 삽입 결합되는 중공부재(212)와, 중공부재(21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재(214)와, 결합부재(21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부재(214)에 결합되는 한쌍의 나사부재(216)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부(240)는 중공부재(212)의 각 단부와 나사부재(216)사이에 결합부재(214)의 외부에 감합되도록 개재되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 부재(242)(244)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부재(242)(244)는 일단이 힌지축으로서 결합되지만, 힌지 부재(242)는 바의 형상이고, 힌지 부재(244)는 대략 V자 형상으로 상방으로 분기되는 제 1 분기부(246)와 제 2 분기부(24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분기부(246)에는 베이스부(100)의 원통 지지부(140)의 측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측면에서 돌출되어 내측으로 절곡되는 토출양 조절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분기부(248)의 일단에는 레버로서 작동하도록 분기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250)가 형성될 수 있고, 회동 작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연장부(250)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252)에 레버 손잡이(254)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에 있어서, 연장부(250)는 상방향으로 연장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작동 레버(200)의 작동에 간섭하지 않은 적당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 2 분기부(248)의 일단에서 분기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는 작동 레버(200)의 회동 스트로크의 시작을 위한 스톱퍼(25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톱퍼(256)가 베이스부(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접하게 되면, 작동 레버(200)의 제 2 분기부(248)와 원통 지지부(140)가 서로 나란하게 수직이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의 위치를 작동 레버(200)의 작동 준비 위치라 할 수 있다.
피스톤 결합부(260)는 힌지 부재(242)의 타단과 힌지 부재(244)의 제 1 분기부(246)의 타단에 각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262)와 결합부재(262)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64)가 포함할 수 있고, 결합부재(262)와 연결부재(264)는 “ㄷ”자 형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264)에는 압축부(300)와의 연동 작동을 위한 삽입홈(266)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삽입홈(266)은 하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6는 도 2 베이스부에 압축부 및 토출노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도 6 압축부 및 토출노즐부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 8은 도 7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이고, 도 9는 도 6 압축부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작동 레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츄러스 필링기(1)의 압축부(300)는 베이스부(100)에 결합되는 중공 본체(320) 및 작동 레버(200)의 작동에 따라, 중공 본체(320)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필링 소스를 압축하는 피스톤(34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 본체(320)는 십자가 형상으로 중공의 수평부(310)와, 상부는 수평부(310)에 연통되고, 하부는 베이스부(100)의 원통 지지부(140) 상부의 삽입공(144)에 삽입되는 수직부(330)로 이루어진다. 수직부(330) 상부에는 호퍼(500)가 결합되는 삽입공(332)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 본체(320)내에는 필링 소스의 압축 시, 그 압력을 감소하도록 압력감소부재(360)가 피스톤(340)의 전방에 삽입될 수 있다.
압력감소부재(360)는 수평부(3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수평부(310)의 단면적이 작아져서 보다 적은 힘으로 작동 레버(200)를 작동시켜도 피스톤(340)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음으로 내부의 필링 소스를 압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감소부재(360)는 수평부(3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부싱이며 그 일단에 수평부(310)를 폐쇄하도록 림(362)이 형성될 수 있고, 림(362)의 내측에 수지링(364)이 감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수평부(310)의 일단 외부에는 토출노즐부(400)의 결합을 위해 나사(312)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 본체(320) 내부의 수직부(330)의 상부는 수평부(310)와 연통되며, 연통되는 부분에는 수지링(도시하지 않음)이 감합된 플라스틱 수지 재질의 밀봉부재(322)가 축설될 수 있다.
수직부(330)의 하부에는 원통 지지부(140) 상단부의 양측에 형성된 안착홈(146)에 삽입되는 돌기부(338)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338)를 안착홈(146)에 맞추어 삽입시킬 수 있음에 따라 압축부(300)의 중공 본체(320)를 베이스부(100)의 원통 지지부(14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수평부(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340)은 내부의 필링 소스를 압축하는 플라스틱 수지 재질의 봉형상 피스톤 헤드(342)와, 피스톤 헤드(342)에 대향하는 피스톤 로드(344)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344)의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작동 레버(200)의 작동과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피스톤 결합부(260)의 연결부재(264)에 형성된 삽입홈(266)내에 삽입 체결되는 삽입축(348)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츄러스 필링기(1)의 조립 시, 연결부재(264)를 일 방향으로 회동하여 연결부재(264)와 피스톤 로드(344)를 결합하고, 분해 시, 연결부재(264)를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여 연결부재(264)의 삽입홈(266)으로부터 피스톤 로드(344)의 삽입축(348)을 해제시킴에 따라 연결부재(264)와 피스톤 로드(344)의 결합을 분해할 수 있다.
준비 위치에 위치된 작동 레버(200)를 당겨서 토출 위치로 회동하게 되면, 연결부재(264)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결부재(264)와 결합된 피스톤 로드(344)는 중공 본체(320)의 수평부(310)내에 삽입되도록 이동된다. 이와 반대로 작동하면, 피스톤 로드(344)는 중공 본체(320)의 수평부(31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동된다.
피스톤 헤드(342)는 피스톤 로드(344)에 인접한 일부는 필링 소스를 압착할 수 있도록 수평부(310)의 내부에 밀착되며, 타부는 수평부(310)내에서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도록 수평부(310) 내벽과의 사이에 유격을 가지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고, 밀착된 부분에는 복수개의 수지링(346)이 감합될 수 있다.
수평부(310) 일단 외부에 형성된 나사(312)에 결합되는 토출노즐부(400)는 압축부(300) 중공 본체(320)의 수평부(310)에 결합되는 제 1 나사부(420)와, 압축된 필링 소스가 토출되는 토출노즐(440)과, 제 1 나사부(420)와 토출노즐(440)를 결합하도록 제 1 나사부(420)에 결합되는 제 2 나사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나사부(420)는 일측 내부에 수평부(310)의 나사(312)에 결합되도록 나사(422)가 형성되고, 타측 외부에 제 2 나사부(460)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424)가 형성되며, 나사(422)(424)의 사이에 밸브구(4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나사(422)와 밸브구(426)의 사이에 소스 투입부(480)가 형성될 수 있고, 소스 투입부(480)는 밸브구(426)로부터 내부 나사(422)를 향하여 내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나사부(460)는 내부 일측에 제 1 나사부(420) 타측 외부에 형성된 나사(424)와 나사결합되는 나사(462)가 형성되고, 이에 대향하여 토출노즐(440)이 삽입되는 삽입공(464)가 형성되며, 토출노즐(440)에는 삽입공(464)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442)가 일체로 형성되어, 토출노즐(440)이 제 2 나사부(46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노즐부(400)에는 일정량의 필링 소스를 토출하는 정량토출 유닛(4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량토출 유닛(490)은 밸브구(426)를 개폐하도록 소스 투입부(480)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밸브(492)와, 밸브구(42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밸브(492)에 부착되는 탄성부재, 예컨대 스프링(49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494)과 토출 노즐(440)의 플랜지(442)의 사이에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와셔 부재(496)가 개재될 수 있다.
작동 레버(200)를 당기게 되면, 연결부재(264)의 삽입홈(266)에 피스톤 로드(344)의 삽입축(348)이 삽입 체결되어 있으므로, 피스톤 로드(344)는 슬라이딩 전진하게 되어 중공 본체(320) 내의 필링 소스를 압축하게 되고, 압출된 필링 소스는 소스 투입부(480)로 투입되어 충진된다. 피스톤 로드(344)가 더욱 슬라이딩 전진하게 되면, 피스톤(340)의 슬라이딩 스트로크에 대응하도록 소스 투입부(480)에 충진된 일정량의 필링 소스는 스프링(494)에 가압되어 밸브구(426)를 폐쇄하고 있던 밸브(492)를 밀어 밸브구(426)를 개방하면서 토출되어 토출노즐(440)을 통해 츄러스를 필링한다.
도 10은 도 6 압축부와 호퍼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필링 소스가 충진되는 호퍼(500)는 하부에 압축부(300) 중공 본체(320)의 수직부(330) 상부의 삽입공(332)에 삽입되는 결합관(510)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는 뚜껑(520)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호퍼(500)에 충진된 필링 소스는 결합관(510)과 중공 본체(320)의 수직부(330)을 통해 수평부(310) 내에 충진될 수 있다. 결합관(510)의 둘레에는 복수개의 수지링(512)이 부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츄러스 필링기의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작동 레버(200)는 스톱퍼(238)가 베이스부(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작동 레버(200)의 제 2 분기부(248)와 원통 지지부(140)가 서로 나란하게 수직이 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피스톤 로드(344)는 중공 본체(320)의 수평부(3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피스톤 결합부(260) 연결부재(264)의 삽입홈(266)에 피스톤 로드(344)의 삽입축(348)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작동 레버(200)의 준비 위치 및 상태에서, 호퍼(500)내에 주입된 필링 소스는 피스톤 로드(344)가 중공 본체(320)의 수평부(310)의 외측으로 노출되기 위해 피스톤(340)이 수평부(310)에서 슬라이딩 후진하면, 호퍼(500)로부터 그 결합관(510)과 중공 본체(320)의 수직부(330)을 통해 수평부(310) 내에 충진될 수 있다.
이어, 도 11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 및 상태로 작동 레버(200)가 당겨지면, 힌지 부재(242)(244)의 회동과 동시에, 피스톤 결합부(260)의 결합부재(262)와 피스톤 로드(344)가 화살표의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수평부(330)내에 충진되어 있던 필링 소스는 피스톤 헤드(342)의 전진과 동시에 압축되어 수평부(330)의 일단에 결합된 토출노즐부(400)의 소스 투입부(480)로 투입되어 충진된다.
작동 레버(200)가 더 당겨져서, 피스톤 로드(344)가 더욱 슬라이딩 전진하게 되면, 피스톤(340)의 슬라이딩 스트로크에 대응하도록 소스 투입부(480)에 충진된 일정량의 필링 소스는 스프링(494)에 가압되어 밸브구(426)를 폐쇄하고 있던 밸브(492)를 밀어 밸브구(426)를 개방하면서 토출되어 토출노블(440)을 통해 츄러스를 필링한다. 토출노즐(440)를 통해 필링 소스의 토출이 완료되면, 밸브(492)는 스프링(494)의 탄성에 의해 밸브구(426)를 다시 폐쇄하게 된다.
도 12는 도 11 츄러스 필링기의 필링 소스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토출량 조절부(270)는 힌지 부재(244)의 제 1 분기부(246)에는 베이스부(100)의 원통 지지부(140)의 측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측면에서 돌출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양 조절부(270)에는 나사공(272)이 형성되고, 이 나사공(272)에 소정 길이의 나사형성부(274)를 가지는 회전 손잡이부(276)가 좌우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회전 손잡이부(276)를 우측,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베이스부(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20) 상에 수직으로 부착된 중공의 원통 지지부(140) 쪽으로 나사형성부(274)를 회전하여 전진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원통 지지부(140)와 이격된 길이가 짧아지게 됨에 따라, 작동 레버(200)의 회동 스트로크 각도가 작아지는 동시에, 피스톤(340)의 슬라이딩 스트로크 역시 짧아지므로, 토출노즐부(400)를 통해 필링되는 필링 소스의 주입량이 적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회전 손잡이부(27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통 지지부(140)로부터 멀어지도록 나사형성부(274)를 회전하여 후퇴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원통 지지부(140)와 이격된 길이가 길어지게 됨에 따라, 작동 레버(200)의 회동 스트로크 각도가 커지는 동시에, 피스톤(340)의 슬라이딩 스트로크 역시 길어지므로, 토출노즐부(400)를 통해 필링되는 필링 소스의 주입량이 커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츄러스 필링기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서스 재질로 인하여 견고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크게 베이스부와, 레버부와, 압축부 및 토출노즐부로 구성되어 분해와 조립이 간편하고 청소가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부내에 삽입된 압력감쇄 부싱으로 인하여 작은 힘으로도 작동 레버를 작동할 수 있고, 또한 작동 레버의 작동 스트로크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필링 소스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므로,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베이스부 120 : 베이스 플레이트
140 : 원통 지지부 142 : 관통공
144 : 삽입공 146 : 안착홈
200 : 작동 레버 220 : 힌지축부
212 : 중공부재 214 : 결합부재
240 : 레버부 242, 244 : 힌지부재
246 : 제 1 분기부 248 : 제 2 분기부
250 : 연장부 252 : 절곡부
254 : 레버 손잡이 256 : 스톱퍼
270 : 토출량 조절부 272 : 나사공
274 : 나사형성부 276 : 회전 손잡이부
260 : 피스톤 결합부 262 : 결합부재
264 : 연결부재 266 : 삽입홈
300 : 압축부 320 : 중공 본체
310 : 수평부 312 : 나사부
322 : 밀봉부재 330 : 수직부
332 : 삽입공 338 : 돌기부
340 : 피스톤 342 : 피스톤 헤드
344 : 피스톤 로드 348 : 삽입축
360 : 압력감소부재 400 : 토출노즐부
420 : 제 1 나사부 422,424,462 : 나사
440 : 토출노즐 460 : 제 2 나사부
480 : 소스 투입부 490 : 정량토출 유닛
492 : 밸브 494 : 스프링
500 : 호퍼 510 : 결합관
512 : 수지링

Claims (23)

  1. 츄러스 필링기에 있어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작동 레버와;
    필링 소스가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필링 소스를 상기 작동 레버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중공 본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된 필링 소스를 토출하는 토출노즐부; 및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 압력을 감소하는 압력감소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중공 본체는 중공의 수평부와, 상부는 상기 수평부에 연통되고, 하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원통 지지부에 삽입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 상부에 상기 호퍼가 결합되고,
    상기 압력감소유닛은 상기 수평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피스톤의 전방에 삽입되는 압력감소부재이며, 상기 압력감소부재의 일단에 상기 수평부를 폐쇄하도록 림이 형성되고, 상기 림의 내측에 수지링이 감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츄러스 필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평탄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부착된 중공의 원통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원통 지지부는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부에 형성된 삽입공및 상단부의 양측에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는 츄러스 필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되어 힌지축으로 작용하는 힌지축부와, 상기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상기 압축부내에서 전후진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레버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 결합부를 포함하는 츄러스 필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 결합되는 중공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한쌍의 나사 부재를 포함하는 츄러스 필링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힌지 부재 중 어느 하나는 바의 형상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분기되는 제 1 분기부와 제 2 분기부를 가지는 츄러스 필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기부에는 상기 분기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서 회동 작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 부착된 레버 손잡이를 포함하는 츄러스 필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필링 소스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토출양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츄러스 필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부는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에 좌우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소정 길이의 나사형성부를 가지는 회전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츄러스 필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손잡이부를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베이스부의 원통 지지부 쪽으로 상기 나사형성부가 회전하여 상기 원통 지지부와 이격된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원통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나사형성부가 회전하여 상기 원통 지지부와 이격된 길이가 커지는 츄러스 필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에는 작동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돌출 형성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츄러스 필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가 상기 베이스부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하게 되면, 상기 작동 레버는 작동 준비 위치에 위치되는 츄러스 필링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결합부는 회동에 따라 상기 압축부의 피스톤과 탈착가능한 삽입홈을 포함하는 츄러스 필링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노즐부는 상기 압축부의 상기 중공 본체의 수평부에 형성된 나사에 결합되는 츄러스 필링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하부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원통 지지부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되는 츄러스 필링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노즐부는 상기 압축부와 결합되는 제 1 나사부와, 필링 소스가 토출되는 토출노즐과, 상기 제 1 나사부와 토출노즐을 결합하도록 상기 제 1 나사부에 결합되는 제 2 나사부를 포함하는 츄러스 필링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노즐부는 정량토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츄러스 필링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사부는 상기 압축부와 결합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나사와 상기 제 2 나사부와 결합되도록 외부에 형성된 나사와, 상기 나사들사이에 형성된 밸브구를 포함하는 츄러스 필링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와 밸브구의 사이에 형성된 소스 투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스 투입부는 상기 밸브구로부터 내부 나사를 향하여 내경이 확대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츄러스 필링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토출 유닛은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밸브와, 상기 밸브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밸브에 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츄러스 필링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피스톤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필링 소스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필링 소스를 상기 토출노즐을 통해 토출하는 츄러스 필링기.
KR1020170005265A 2017-01-12 2017-01-12 츄러스 필링기 KR101969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265A KR101969776B1 (ko) 2017-01-12 2017-01-12 츄러스 필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265A KR101969776B1 (ko) 2017-01-12 2017-01-12 츄러스 필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38A KR20180083138A (ko) 2018-07-20
KR101969776B1 true KR101969776B1 (ko) 2019-04-17

Family

ID=6310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265A KR101969776B1 (ko) 2017-01-12 2017-01-12 츄러스 필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4632A (zh) * 2022-04-30 2022-07-29 鸭鸭股份公司 一种羽绒服羽绒填充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914B2 (ja) * 1991-03-11 2000-04-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ディスク用対物レンズ
KR101356657B1 (ko) 2012-08-08 2014-02-03 (주)제이제이푸드 내부에 내용물이 삽입된 츄러스 제조방법 및 츄러스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3914Y2 (ko) * 1985-05-29 1991-07-18
JP3033914U (ja) * 1996-07-23 1997-02-07 利男 安達 流動性物質充填機
DE102006010312A1 (de) * 2006-03-07 2007-09-20 Krauss-Maffei Kunststofftechnik Gmbh Verwendung eines Spritzgießcompounders für die Herstellung von Nahrungsmitteln oder Nahrungsmittelhalbzeugen
KR100735760B1 (ko) 2006-07-12 2007-07-06 허만 반죽 분할 성형 장치
KR200476286Y1 (ko) 2014-07-30 2015-02-16 이준호 츄러스 성형 변환장치
KR101573376B1 (ko) 2015-05-15 2015-12-03 강보라 추로스용 반죽 압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3914B2 (ja) * 1991-03-11 2000-04-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ディスク用対物レンズ
KR101356657B1 (ko) 2012-08-08 2014-02-03 (주)제이제이푸드 내부에 내용물이 삽입된 츄러스 제조방법 및 츄러스 성형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유튜브 게시물 - Churros filler machine(2014.07.3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38A (ko)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0484C2 (ru) Дозатор для жидких и пастообразных продуктов с дозирующим насосом с малым мертвым объемом
US9555428B2 (en) Device for dispensing fluids or mixtures
US6268000B1 (en) Pastry dough or cake decorating device
HUE025916T2 (en) foam pump
JPH03212360A (ja) 半液体物質分与器を作動させるプシュボタン
KR101969776B1 (ko) 츄러스 필링기
DE10032976A1 (de) Austragvorrichtung für Medien
WO1996002178A1 (de) Gerät zur bildung von seifenschaum und dessen verwendung
WO1996004991A1 (fr) Pipette pour distribuer des volumes successifs de liquide
EP1727747A1 (en) Dispenser with sealed dispensing valve unit
PT89610B (pt) Administrador proprio para fornecer produtos pastosos em quantidades doseadas
US20060049212A1 (en) Food metering and dispensing device
EP3322649B1 (de) Ausgabeeinrichtung für einen fluidspender
FR2693174A1 (fr)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istributeur et doseur de produit.
WO1989007244A1 (fr) Distributeur-doseur de fluides, notamment de medicaments fluides contenus dans des recipients
US3260419A (en) Dispenser with plunger and diffusor outlet
EP1061807B1 (fr) Appareil pour la distribution de quantites predeterminees de produits liquides et/ou pateux
US7922042B2 (en) Tilting flap pump
US20130206012A1 (en) Percolation Device
US6948423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nfectionery
EP1948532B1 (fr) Tete d'ac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pour pompe
FR3081201A3 (fr) Vanne de commutation par pression et de regulation de la temperature par rotation, et ensemble de pomme de douche utilisant cette meme vanne
KR20200051964A (ko) 청소가 용이한 착즙기
FR3073365A1 (fr) Systeme d'injection et d'etalage de pate a cuire, pate a crepes et machine de preparation de crepes associees
US20150098850A1 (en) Food dispenser and method for portioning and dispensing free-flowing f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