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355B1 -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355B1
KR101969355B1 KR1020120124211A KR20120124211A KR101969355B1 KR 101969355 B1 KR101969355 B1 KR 101969355B1 KR 1020120124211 A KR1020120124211 A KR 1020120124211A KR 20120124211 A KR20120124211 A KR 20120124211A KR 101969355 B1 KR101969355 B1 KR 101969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ridge
pattern
graphene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890A (ko
Inventor
문진산
정명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4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3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그래핀을 포함하며, 제 1 브리지에 의하여 제 1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제 1 전극 패턴, 및 상기 제 1 브리지의 양측에 제 2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고, 그래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더미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 공간적으로 겹치고 제 2 브리지에 의하여 제 2 방향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제 2 전극 패턴, 및 상기 제 2 브리지의 양측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2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브리지와 제 2 브리지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Touch screen device using graphene}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소 원자들로 구성된 물질로는 풀러렌(fulleren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흑연(Graphite) 등이 존재한다. 이 중에서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2 차원 평면상으로 원자 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특히, 그래핀은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인 특성이 매우 안정적이고 뛰어날 뿐 아니라 우수한 전도성 물질로서 실리콘보다 매우 빠르게 전자를 이동시키며 구리보다도 매우 큰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데, 이는 2004년 흑연으로부터 그래핀을 분리하는 방법이 발견되면서 실험을 통하여 증명되었으며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이 되고 있다.
이러한 그래핀은 대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인 안정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뛰어난 도전성의 성질을 가지므로, 전자 회로의 기초 소재로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그래핀은 일반적으로 주어진 두께의 그래핀의 결정 방향성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택 방향으로의 전기적 특성을 발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쉽게 소자를 디자인할 수 있다. 따라서 그래핀은 탄소계 전기 또는 전자기 소자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그래핀을 이용하여 저 저항의 터치 스크린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 1 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그래핀을 포함하며, 제 1 브리지에 의하여 제 1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제 1 전극 패턴, 및 상기 제 1 브리지의 양측에 제 2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1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고, 그래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더미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 공간적으로 겹치고 제 2 브리지에 의하여 제 2 방향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제 2 전극 패턴, 및 상기 제 2 브리지의 양측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 2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브리지와 제 2 브리지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더미 패턴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 공간적으로 겹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 패턴과 제 1 더미 패턴, 상기 제 2 전극 패턴과 제 2 더미 패턴은 각각 단일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브리지 및 제 2 브리지는, 각각 상기 제 1 전극 패턴 및 제 2 전극 패턴과 동일층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제 1 브리지 및 제 2 브리지는 금속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전극 패턴, 제 2 전극 패턴, 제 1 더미 패턴 및 제 2 더미 패턴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제 2 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열되며 그래핀을 포함하는 제 1 단위 패턴, 및 상기 제 1 단위 패턴을 제 1 방향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브리지를 포함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단위 패턴과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그래핀을 포함하는 제 2 단위 패턴, 및 상기 제 1 브리지 상에서 상기 제 2 단위 패턴을 제 2 방향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브리지를 포함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브리지와 제 2 브리지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위 패턴은, 상기 제 1 브리지와 연결된 제 1 전극 패턴; 및 상기 제 1 브리지와 연결되지 않은 제 1 더미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단위 패턴은, 상기 제 2 브리지와 연결된 제 2 전극 패턴; 및 상기 제 2 브리지와 연결되지 않은 제 2 더미 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브리지 및 제 2 브리지는, 각각 상기 제 1 단위 패턴 및 제 2 단위 패턴과 동일층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제 1 브리지 및 제 2 브리지는 금속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위 패턴 및 제 2 단위 패턴은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터치 스크린 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통상 150 Ω/sq 이하의 단위 면적당 저항을 가지는 그래핀이 필요하고, 이러한 저항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구조는 2층의 그래핀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래핀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패턴과 더미 패턴이 결합되어 2층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터치 스크린 구조를 이용하면 저 저항의 투명 전극을 구현할 수 있고, 공정 수가 대폭 축소되며, 비용 또한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즉, 한 층의 x 전극 및 한 층의 y 전극을 이용하여 총 2층 구조를 가지는 저 저항 투명 전극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투명도를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1은 터치 스크린 장치의 제 1 전극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2는 터치 스크린 장치의 제 2 전극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3은 기판 상에 제 1 전극이 배열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4는 제 1 전극 상에 제 2 전극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 A' 선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6은 터치 스크린 장치의 제 1 전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7은 터치 스크린 장치의 제 2 전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8은 기판 상에 제 1 전극이 배열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9는 제 1 전극 상에 제 2 전극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터치 스크린 장치의 제 1 전극(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고, 도 2는 터치 스크린 장치의 제 2 전극(200)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100)은, 그래핀으로 형성되고 평면 상에 서로 겹치지 않도록 다수의 열로 배열되는 제 1 단위 패턴(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단위 패턴(130)은 정사각형 형상 또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예를 들어,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정사각형 등을 포함)을 가지며, 제 1 브리지(140)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 패턴(110)과, 제 1 브리지(140)의 양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제 1 더미 패턴(120)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두 개의 제 1 브리지(140)에 의하여 연결되는 세 개의 제 1 전극 패턴(110)과, 이 제 1 브리지(140) 양측에 위치하는 네 개의 제 1 더미 패턴(120)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 1 전극 패턴(110)과 제 1 더미 패턴(120)을 포함하는 제 1 단위 패턴(130)은 터치 스크린 장치를 이루는 기판(300; 도 3 참고) 상에서 더 확장되어 분포된다.
이와 같이, 기판 상에 확장되어 분포된다면, 제 1 단위 패턴(130)을 이루는 도 1의 가로 방향의 열 중에서 번갈아 제 1 전극 패턴(110)과 제 1 더미 패턴(120)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브리지(140)는 제 1 전극 패턴(110)과 일체를 이루도록 그래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그래핀을 이용하여 제 1 전극 패턴(110) 들을 제 1 브리지(140)에 의하여 연결되는 형상으로 제작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제 1 전극 패턴(110)과 제 1 더미 패턴(120)은 한 층의 그래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더미 패턴(120)은, 이 제 1 전극(100)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 패턴(230; 도 2 참고)과 겹쳐져서 두 겹의 전극 패턴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사항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는 제 2 전극(20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 2 전극(200)은 그래핀으로 형성되고 평면 상에 서로 겹치지 않도록 다수의 열로 배열되는 제 2 단위 패턴(2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단위 패턴(230)은, 위에서 설명한 제 1 전극(100)과 같이,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제 2 브리지(240)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 패턴(210)과, 제 2 브리지(240)의 양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제 2 더미 패턴(220)을 포함한다.
제 1 전극(100)과 마찬가지로, 제 2 전극 패턴(210)과 제 2 더미 패턴(220)을 포함하는 제 2 단위 패턴(230)은 터치 스크린 장치를 이루는 기판(300; 도 3 참고) 상에서 더 확장되어 분포된다.
또한, 제 2 브리지(240)는 제 2 전극 패턴(210)과 일체를 이루도록 그래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그래핀을 이용하여 제 2 전극 패턴(210) 들을 제 2 브리지(240)에 의하여 연결되는 형상으로 제작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제 2 전극 패턴(210)과 제 2 더미 패턴(220)은 한 층의 그래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은 제 1 전극(100)과 동일한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전극(100)의 제 1 전극 패턴(110)이 x 방향으로 연결되어 x 전극을 이룬다면, 제 2 전극(200)의 제 2 전극 패턴(210)은 x 방향에 수직인 y 방향으로 연결되어 y 전극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 1 전극(100)과 제 2 전극(200)은 도 3 및 도 4와 같은 상태로 서로 결합된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기판(300)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100)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 1 브리지(140)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부(400)가 위치한다.
기판(300)은,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TAC(triacetyl cellulose), 및 PC(poly carbonate)와 같은 재료가 이용될 수 있고, 그 외에, 투명한 필름 형태의 부재라면 어느 것이나 이용될 수 있다.
절연부(400)는 제 1 전극 패턴(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브리지(140)가 제 2 전극 패턴(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 브리지(24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절연부(400)는 제 1 브리지(140)보다 폭이 넓으며, 제 1 전극(100)과 제 2 전극(200)의 결합 시의 정렬 공차를 고려한다면, 그 길이도 제 1 브리지(140)보다 긴 것이 유리하다.
이렇게 제 1 전극(100) 및 절연부(400)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100)의 제 1 더미 패턴(120)과 제 2 전극(200)의 제 2 전극 패턴(210)이 정렬되도록 제 2 전극(200)을 위치시킨다.
이때, 제 2 전극(200)의 제 2 더미 패턴(220)은 제 1 전극(100)의 제 1 전극 패턴(110) 상에 정렬되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전극(100)과 제 2 전극(200)은 전체적으로 두 층의 그래핀을 포함하는 구조를 이룬다. 즉, 제 1 전극 패턴(110)은 제 2 더미 패턴(220)과 접촉하여 2층 구조를 이루고, 제 2 전극 패턴(210)은 제 1 더미 패턴(120)과 접촉하여 2층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5는 도 4의 A - A' 선 단면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100)은 2층 구조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A - A' 선의 방향이 x 방향이라고 할 때, 이 x 방향을 따른 단면의 형상으로부터, 제 1 전극 패턴(110)은 제 2 더미 패턴(220)과 합하여 2층 구조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1 브리지(140)와 제 2 브리지(240) 사이에는 절연부(400)가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터치 스크린 장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구조를 이루기 위하여 통상 150 Ω/sq 이하의 단위 면적당 저항을 가지는 그래핀이 필요하고, 이러한 저항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구조는 2층의 그래핀으로 구현할 수 있다.
만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극 패턴(110, 210)과 더미 패턴(120, 220)이 결합되는 구조가 아니라면, 2층 구조의 터치 스크린을 구현하기 위하여 총 4장의 그래핀이 필요하며, 이를 각각 패턴화하여 합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사항은 공정 수 및 비용의 측면에서 불리하다.
그러나, 그래핀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패턴(110, 210)과 더미 패턴(120, 220)이 결합되어 2층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터치 스크린 구조를 이용하면 저 저항의 투명 전극을 구현할 수 있고, 공정 수가 대폭 축소되며, 비용 또한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즉, 한 층의 x 전극 및 한 층의 y 전극을 이용하여 총 2층 구조를 가지는 저 저항 투명 전극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투명도를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제 2실시예>
도 6은 터치 스크린 장치의 제 1 전극(10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고, 도 7은 터치 스크린 장치의 제 2 전극(20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100)은, 그래핀으로 형성되고 평면 상에 서로 겹치지 않도록 다수의 열로 배열되는 제 1 단위 패턴(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단위 패턴(130)은 정사각형 형상 또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예를 들어,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정사각형 등을 포함)을 가지며, 제 1 브리지(150)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 패턴(110)과, 제 1 브리지(150)의 양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제 1 더미 패턴(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브리지(150)는 금속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물질은 Ni, Co, Fe, Pt, Au, Al, Cr, Cu, Mg, Mn, Mo, Rh, Si, Ta, Ti, W, U, V, Zr 등의 금속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의 단일층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합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브리지(150)를 이루는 금속은 그래핀을 형성하는 촉매 금속 층의 일부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그래핀은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Ni, Co, Fe, Pt, Au, Al, Cr, Cu, Mg, Mn, Mo, Rh, Si, Ta, Ti, W, U, V, Zr 등의 촉매 금속 층 상에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촉매 금속 층을 모두 제거하지 않고 그 일부를 제 1 브리지(150)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제 1 브리지(140)에 비하여 저항이 더 낮을 수 있으므로, 보다 낮은 저항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두 개의 제 1 브리지(150)에 의하여 연결되는 세 개의 제 1 전극 패턴(110)과, 이 제 1 브리지(150) 양측에 위치하는 네 개의 제 1 더미 패턴(120)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 1 전극 패턴(110)과 제 1 더미 패턴(120)을 포함하는 제 1 단위 패턴(130)은 터치 스크린 장치를 이루는 기판(300; 도 8 참고) 상에서 더 확장되어 분포될 수 있다.
그 외에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제 1 실시예의 사항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 2 전극(200)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 2 전극(200)은 그래핀으로 형성되고 평면 상에 서로 겹치지 않도록 다수의 열로 배열되는 제 2 단위 패턴(2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단위 패턴(230)은, 위에서 설명한 제 1 전극(100)과 같이,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제 2 브리지(250)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 패턴(210)과, 제 2 브리지(250)의 양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제 2 더미 패턴(220)을 포함한다.
제 1 전극(100)과 마찬가지로, 제 2 전극 패턴(210)과 제 2 더미 패턴(220)을 포함하는 제 2 단위 패턴(230)은 터치 스크린 장치를 이루는 기판(300; 도 8 참고) 상에서 더 확장되어 분포된다.
또한, 제 2 브리지(250)는, 제 1 브리지(150)와 마찬가지로, 금속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물질은 Ni, Co, Fe, Pt, Au, Al, Cr, Cu, Mg, Mn, Mo, Rh, Si, Ta, Ti, W, U, V, Zr 등의 금속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의 단일층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합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예의 제 2 브리지(240)에 비하여 저항이 더 낮을 수 있으므로, 보다 낮은 저항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은 제 1 브리지(150)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제 1 전극(100)의 제 1 전극 패턴(110)이 x 방향으로 연결되어 x 전극을 이룬다면, 제 2 전극(200)의 제 2 전극 패턴(210)은 x 방향에 수직인 y 방향으로 연결되어 y 전극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 1 전극(100)과 제 2 전극(200)은 도 8 및 도 9와 같은 상태로 서로 결합된다. 먼저, 도 8에서와 같이, 기판(300)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100)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 1 브리지(150)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부(410)가 위치한다.
기판(300)은,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TAC(triacetyl cellulose), 및 PC(poly carbonate)와 같은 재료가 이용될 수 있고, 그 외에, 투명한 필름 형태의 부재라면 어느 것이나 이용될 수 있다.
절연부(410)는 제 1 전극 패턴(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브리지(150)가 제 2 전극 패턴(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 2 브리지(25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절연부(410)는 제 1 브리지(150)보다 폭이 넓으며, 제 1 전극(100)과 제 2 전극(200)의 결합 시의 정렬 공차를 고려한다면, 그 길이도 제 1 브리지(150)보다 긴 것이 유리하다.
이렇게 제 1 전극(100) 및 절연부(400)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100)의 제 1 더미 패턴(120)과 제 2 전극(200)의 제 2 전극 패턴(210)이 정렬되도록 제 2 전극(200)을 위치시킨다.
이때, 제 2 전극(200)의 제 2 더미 패턴(220)은 제 1 전극(100)의 제 1 전극 패턴(110) 상에 정렬되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전극(100)과 제 2 전극(200)은 전체적으로 두 층의 그래핀을 포함하는 구조를 이룬다. 즉, 제 1 전극 패턴(110)은 제 2 더미 패턴(220)과 접촉하여 2층 구조를 이루고, 제 2 전극 패턴(210)은 제 1 더미 패턴(120)과 접촉하여 2층 구조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제 1 실시예의 사항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결합한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제 1 전극 110: 제 1 전극 패턴
120: 제 1 더미 패턴 130: 제 1 단위 패턴
140, 150: 제 1 브리지 200: 제 2 전극
210: 제 2 전극 패턴 220: 제 2 더미 패턴
230: 제 2 단위 패턴 240, 250: 제 2 브리지
300: 기판 400, 410: 절연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열되며 그래핀을 포함하는 제 1 단위 패턴, 및 상기 제 1 단위 패턴을 제 1 방향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브리지를 포함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단위 패턴과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그래핀을 포함하는 제 2 단위 패턴, 및 상기 제 1 브리지 상에서 상기 제 2 단위 패턴을 제 2 방향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브리지를 포함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브리지와 제 2 브리지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브리지 및 상기 제 2 브리지는 상기 그래핀을 형성하는데 이용된 촉매 금속 층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패턴은,
    상기 제 1 브리지와 연결된 제 1 전극 패턴; 및
    상기 제 1 브리지와 연결되지 않은 제 1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위 패턴은,
    상기 제 2 브리지와 연결된 제 2 전극 패턴; 및
    상기 제 2 브리지와 연결되지 않은 제 2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리지 및 제 2 브리지는, 각각 상기 제 1 단위 패턴 및 제 2 단위 패턴과 동일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을 형성하는데 이용된 촉매 금속 층을 모두 제거되지 않고 그 일부가 상기 제 1 브리지 및 상기 제 2 브리지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패턴 및 제 2 단위 패턴은 정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KR1020120124211A 2012-11-05 2012-11-05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KR101969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211A KR101969355B1 (ko) 2012-11-05 2012-11-05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211A KR101969355B1 (ko) 2012-11-05 2012-11-05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890A KR20140057890A (ko) 2014-05-14
KR101969355B1 true KR101969355B1 (ko) 2019-04-16

Family

ID=5088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211A KR101969355B1 (ko) 2012-11-05 2012-11-05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211B1 (ko) * 2016-06-21 202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111158516B (zh) * 2019-12-04 2021-06-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基板以及触控屏
CN114253427B (zh) * 2020-09-21 2023-1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结构及触控显示面板、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987A (ko) * 2008-07-11 2010-01-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93677B1 (ko) * 2011-01-18 2017-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550481B1 (ko) * 2011-03-30 2015-09-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패턴 시인성이 개선된 터치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890A (ko)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8391B2 (en) Thin film transistor
KR101357585B1 (ko) 터치패널의 전극 패턴 및 그 제조 방법
TWI444862B (zh) Face and touch switch
CN104834398B (zh) 触摸面板以及制造触摸面板的方法
JP2013127792A (ja) タッチパネルの電極パタ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9791982B2 (en) Touch screen panel having compensation patterns
TW201232358A (en) Touch screen panel
JP2010039537A (ja) タッチパネル
TWI626567B (zh)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JP6177072B2 (ja)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969355B1 (ko) 그래핀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JP2013073475A5 (ko)
CN109643189A (zh) 印刷布线
CN205665664U (zh) 触摸窗
JP2011022659A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
US9904425B2 (en) Meandering interconnect on a deformable substrate
WO2016002461A1 (ja) 入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05692B1 (ko) 터치 패널용 면상 부재 제조 방법
CN104656967A (zh) 触控板
KR102173133B1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5709674B2 (ja) 折り曲げ可能な透明導電層
JP2013016313A (ja) 折り曲げ可能な透明導電層
TWI511256B (zh) Electrode structure for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037429B2 (ja) タッチパネル装置
CN111857414A (zh) 电容触控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