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550B1 -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550B1
KR101968550B1 KR1020180043768A KR20180043768A KR101968550B1 KR 101968550 B1 KR101968550 B1 KR 101968550B1 KR 1020180043768 A KR1020180043768 A KR 1020180043768A KR 20180043768 A KR20180043768 A KR 20180043768A KR 101968550 B1 KR101968550 B1 KR 101968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fixing
groove
fix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동광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시스템 filed Critical (주)동광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43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거치대는 지지부 및 거치부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어 설치(조립) 시간이 현저히 감소되어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특히 상기 거치부에는 ABS,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유동고정체가 형성되어 실외기의 브라켓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유동고정체는 제조사(제조업체)별 또는 제품 규격별 상이한 실외기의 고정 위치를 유동적으로 고정이 가능하여(원하는 위치에 고정가능) 가변 호환성에 의해 종전 대비 월등한 장착성과 작업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실외기가 고정된 유동고정체는 거치부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기 때문에, 실외기가 협소한 공간에 비치되어 A/S 작업이 어려울 경우에도 브라켓에 고정된 실외기의 체결구를 풀지 않아도 손쉽게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Cradle for conditioner outdoor unit}
본 발명은 에어컨의 실외기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골조 형상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치대는 지지부 및 거치부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어 설치(조립) 시간이 현저히 감소되어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특히 상기 거치부에는 ABS,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유동고정체가 형성되어 실외기의 브라켓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유동고정체는 제조사(제조업체)별 또는 제품 규격별 상이한 실외기의 고정 위치에 유동적인 장착 고정이 가능하여 가변 호환성에 의해 종전 대비 월등한 장착성과 작업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외기가 고정된 유동고정체는 거치부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기 때문에, 실외기가 협소한 공간에 비치되어 A/S 작업이 어려울 경우에도 브라켓에 고정된 실외기의 체결구(ex 볼트 및 너트)를 풀지 않아도 손쉽게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개선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디셔너는, 냉동사이클에 따라, 차가운 바람을 발생하는 실내기와 더운 바람을 발생하는 실외기로 구분되고, 이 실외기는 바닥 또는 옥상에 그대로 두어 설치하기도 하나, 이는 바닥에 설치할 경우, 더운 바람에 의해 보행자의
불쾌함을 유발하고, 또, 옥상에 설치할 경우, 실내기와의 거리가 멀어 효율이 떨어지고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외기를 거치하기 위한 받침대를 구성하여, 난간 또는 베란다에 실외기를 설치하는데, 통상, 받침대는 단순히 프레임을 짜서 용접하거나, 또는 배수공을 형성한 바닥과, 이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프레임을 조립하여, 측면을 형성하고, 각 끝단에 ‘ㄷ’자 형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난간 또는 프레임에 설치하는 받침대가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받침대는 주로 다수의 앵글을 통해 제작되었지만, 조립시간이 오래걸려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096호(등록일: 2005.07.20.)에는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를 거치해 두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지지고무가 형성된 하부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측면프레임 및 엘형프레임이 순차적으로 끼움·고정된 받침대가 구성되어‘ㄷ’자 형상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난간에 설치하고, 그 받침대에 실외기가 수용됨에 따라,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저하되며, 분해, 조립과 포장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용 받침대라는 명칭의 선행문헌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문헌의 받침대 역시 설치작업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작업진행이 느려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거치대는 지지부 및 거치부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어 조립시간의 현저한 감소를 도모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고, 특히 상기 거치부에는 ABS,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유동고정체가 형성되어 실외기의 브라켓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되 유동고정체는 제조사 또는 제품 규격별로 각기 다른 실외기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하여 가변 호환성에 의해 종전 대비 월등한 장착성과 작업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가 고정된 유동고정체는 거치부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 비치된 실외기의 A/S 작업이 용이한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되 외측에 제1고정홈(111) 및 제2고정홈(112)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되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정구(121) 및 상향 만곡된 이탈방지구(122)가 형성되어 제1고정홈(111) 및 제2고정홈(112)에 결합 고정되는 거치부(120)가 형성되는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하면에 가이드(211)가 구비되는 슬라이드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210)는 일측이 개방된 조절장홈(220)이 형성되되 상기 조절장홈의 하측에는 조절장홈 보다 직경이 넓은 고정공간(230)이 형성되는 유동고정체(200)로; 이루어져 조절장홈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별도의 나사체결구(F)에 의해 실외기가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거치부(120)는 상면에 보강용 오목홈(11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용 오목홈 일측에는 배수공(114)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사체결구(F)의 체결부(F1)는 조절장홈(220)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나사체결구(F)의 머리부(F2)는 고정공간(230)에 내입되어 너트 체결 시 머리부(F2)의 상면이 조절장홈(220) 하면에 밀착함으로써 실외기(실외기의 브라켓)를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컨의 실외기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골조 형상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치대는 지지부 및 거치부가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어 설치(조립) 시간이 현저히 감소되어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특히 상기 거치부에는 ABS,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유동고정체가 형성되어 실외기의 브라켓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유동고정체는 제조사(제조업체)별 또는 제품 규격별 상이한 실외기의 고정 위치를 유동적으로 고정이 가능하여(원하는 위치에 고정가능) 가변 호환성에 의해 종전 대비 월등한 장착성과 작업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가 고정된 유동고정체는 거치부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 비치된 실외기를 브라켓에서 분해하지 않아도 A/S 작업을 손쉽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가 분해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측면을 나타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다수의 유동고정체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고정체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실외기가 고정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브라켓에 제1토션스프링 및 제2토션스프링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0) 및 유동고정체(200)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에, 상기 거치대(100)는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되 외측에 제1고정홈(111) 및 제2고정홈(112)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되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정구(121) 및 상향 만곡된 이탈방지구(122)가 형성되어 제1고정홈(111) 및 제2고정홈(112)에 결합 고정되는 거치부(12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지지부(110) 및 거치부(120)가 결합될 때, 상향 만곡된 형상의 이탈방지구(122)가 먼저 제2고정홈(112)에 끝까지 끼워진 이후에 고정구(121)가 제1고정홈(111)에 끼워져야 하고, 상기 이탈방지구(122)의 길이로 인해 제2고정홈(112)에서 이탈하기 어려워 외부의 충격에도 분해되지 않지만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고정구(121) 및 이탈방지구(122)를 쉽게 제1고정홈(111) 및 제2고정홈(112)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의 소정 간격이라 함은 거치부(120) 양측에 결합되는 정도의 간격을 말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지지부(110)는 양측 하부에 지지다리(L)가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다리(L)를 보강할 수 있도록 지면과 닿는 바닥면(L1)이 여러겹으로 포개져 실외기의 무게를 견디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다리(L)의 바닥면(L1) 상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통공 하면에는 높이조절볼트가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거치대(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110) 양측에는 제1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거치부(120) 상에는 제2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부(110) 및 거치부(120)가 결합되었을 시 제1체결홈 및 제2체결홈은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별도의 근각볼트(B)를 삽입하고 근각볼트(B)의 하부를 별도의 너트로 체결하여 지지부 및 거치부가 유동하지 않도록 2차적인 고정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거치부(120) 상면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보강용 오목홈(113)이 형성되어 있어서 실외기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용 오목홈(113) 일측에는 배수공(114)이 형성되어 보강용 오목홈(113)에 물이 고이지 않고 배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고정체(200)는 거치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하면에 가이드(211)가 구비되는 슬라이드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210)는 일측이 개방된 조절장홈(220)이 형성되되 상기 조절장홈의 하측에는 조절장홈 보다 직경이 넓은 고정공간(230)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조절장홈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별도의 나사체결구(F)에 의해 실외기가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더욱 자세히 말하면, 상기 나사체결구(F) 중 나사산이 구비된 체결부(F1)는 조절장홈(220)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나사체결구(F)의 머리부(F2)는 고정공간(230)에 내입되어 너트 체결 시 머리부(F2)의 상면(조절장홈의 하면과 마주하는 면)이 조절장홈(220) 하면에 견고하게 밀착함으로써 실외기(실외기의 브라켓)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나사체결구(F)는 조절장홈(220)을 따라 유동이 가능하여 실외기의 브라켓(300)이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인 바, 다시 말해 실외기가 거치대(100)에 고정될 때 유동고정체(200)에 의해 거치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고, 조절장홈(220) 내측에서 유동할 수 있는 나사체결구(F)에 의해 거치부(120) 길이방향의 수직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여 실외기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거치대(100)에 고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상기 유동고정체(200)는 ABS,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동고정체(200) 및 브라켓(300) 사이에는 고무로 이루어진 진동방지부(R)가 구비되되 나사체결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진동방지부는 두께가 10t로 이루어지며, 외형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진동방지부(R)는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210)는 거치부(120)와 맞닿는 하면에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슬립방지부(212)가 형성되어 거치부(120) 상면에서 슬라이드부(210)가 작업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라켓(300)은 실외기가 고정되는 고정체(3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310)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절곡되는 형상의 지지체(320)가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체(310) 및 지지체(320)는 길이 방향 단부에 제1토션스프링(S1)의 양단이 내입 고정됨으로써 실외기에서 진동이 발생해도 고정체(310)가 미세하게 상하로 흔들림으로 인해 진동이 거치대(100)나 유동고정체(200)로 전해지지 않아 나사체결구(F)가 진동으로 인해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체(320)에서 고정체(310)가 실외기의 진동에 의해 상하로 유동(미세하게)할 때 고정체(310)의 하측을 보강할 수 있도록 제2토션스프링(S2)의 양단이 고정체(310) 및 지지체(320)에 내입되어 절곡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브라켓(300)은 고정체(310) 및 지지체(320)로 나누어지되 상기 고정체(310) 및 지지체(320) 사이에는 제1토션스프링(S1)이 구비되어 고정체(310)가 직선방향을 유지하는 것('一'자)을 기본상태로 할 수 있도록 힌지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제1토션스프링에 의해 기본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체(310)를 보강할 수 있도록 제2토션스프링(S2)이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 제1토션스프링(S1)이 'ㄱ'자로 구비되어 있다면, 제2토션스프링(S2)은 'ㄴ'자로 구비되되 고정체(310) 및 지지체(320)에 내입되는 양단은 절곡된 상태로 내입고정되어 실외기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제1토션스프리(S1) 및 제2토션스프링(S2)는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거치대 110 ... 지지부
111 ... 제1고정홈 112 ... 제2고정홈
113 ... 보강용 오목홈 114 ... 배수공
120 ... 거치부 121 ... 고정구
122 ... 이탈방지구 200 ... 유동고정체
210 ... 슬라이드부 211 ... 가이드
212 ... 슬립방지부 220 ... 조절장홈
230 ... 고정공간 300 ... 브라켓
310 ... 고정체 320 ... 지지체
B ... 근각볼트 F ... 나사체결구
F1 ... 체결부 F2 ... 머리부
R ... 진동방지부 S1 ... 제1토션스프링
S2 ... 제2토션스프링

Claims (3)

  1.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되 외측에 제1고정홈(111) 및 제2고정홈(112)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11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되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정구(121) 및 상향 만곡된 이탈방지구(122)가 형성되어 제1고정홈(111) 및 제2고정홈(112)에 결합 고정되는 거치부(120)가 형성되는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하면에 가이드(211)가 구비되는 슬라이드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210)는 일측이 개방된 조절장홈(220)이 형성되되 상기 조절장홈의 하측에는 조절장홈 보다 직경이 넓은 고정공간(230)이 형성되는 유동고정체(200)로; 이루어져 조절장홈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별도의 나사체결구(F)에 의해 실외기가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거치부(120)는 상면에 보강용 오목홈(11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용 오목홈 일측에는 배수공(114)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나사체결구(F)의 체결부(F1)는 조절장홈(220)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나사체결구(F)의 머리부(F2)는 고정공간(230)에 내입되어 너트 체결 시 머리부(F2)의 상면이 조절장홈(220) 하면에 밀착함으로써 실외기와 고정되는 브라켓(300)과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브라켓(300)은 실외기가 고정되는 고정체(310) 및 상기 고정체(310)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절곡되는 형상의 지지체(3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체(310) 및 지지체(320)는 각각 길이 방향 단부에 제1토션스프링(S1)의 양단이 내입되어 국문 'ㄱ'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체(320)에서 고정체(310)가 실외기의 진동에 의해 상하로 유동할 때 고정체(310)의 하측을 보강할 수 있도록 제2토션스프링(S2)의 양단이 고정체(310) 및 지지체(320)에 내입되어 국문 'ㄴ'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KR1020180043768A 2018-04-16 2018-04-16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 KR101968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68A KR101968550B1 (ko) 2018-04-16 2018-04-16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68A KR101968550B1 (ko) 2018-04-16 2018-04-16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550B1 true KR101968550B1 (ko) 2019-04-12

Family

ID=6616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768A KR101968550B1 (ko) 2018-04-16 2018-04-16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2037A (zh) * 2019-05-08 2020-11-1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马鞍式窗机的辅助安装装置及安装方法
CN114110812A (zh) * 2021-11-17 2022-03-01 金国达科技(湖南)有限公司 一种分体式风冷冷水中央空调机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9954A (ja) * 2004-04-07 2005-10-27 Daikin Ind Ltd エアコン用置き台
JP2009168286A (ja) * 2008-01-11 2009-07-30 Daikin Ind Ltd エアコン置台
KR101580274B1 (ko) * 2015-09-04 2015-12-24 안중원 무볼트 조립식 선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9954A (ja) * 2004-04-07 2005-10-27 Daikin Ind Ltd エアコン用置き台
JP2009168286A (ja) * 2008-01-11 2009-07-30 Daikin Ind Ltd エアコン置台
KR101580274B1 (ko) * 2015-09-04 2015-12-24 안중원 무볼트 조립식 선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2037A (zh) * 2019-05-08 2020-11-1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马鞍式窗机的辅助安装装置及安装方法
CN111912037B (zh) * 2019-05-08 2024-05-0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马鞍式窗机的辅助安装装置及安装方法
CN114110812A (zh) * 2021-11-17 2022-03-01 金国达科技(湖南)有限公司 一种分体式风冷冷水中央空调机组
CN114110812B (zh) * 2021-11-17 2023-09-19 金国达科技(湖南)有限公司 一种分体式风冷冷水中央空调机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754B2 (en) Adjustable hanger bar assembly with bendable portion
US7654495B2 (en) Hanger assembly
US20180023842A1 (en) Universal air conditioning support bracket
KR101968550B1 (ko) 에어컨 실외기 거치대
US20040149881A1 (en)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KR101305332B1 (ko) 실외기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실외기
KR100926329B1 (ko) 배관용 행거 클램프
JP4668748B2 (ja) エアコン室外機用壁面取付型屋根、その取付方法及びこの取付方法に用いられる取付補助部材
KR101988447B1 (ko) 스프링 탄지력을 이용한 조명등 설치 고정구
JP2008292062A (ja) 圧縮機配管の冷媒容器固定装置
KR10169772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행거
CN215260133U (zh) 安装支架和空气调节设备组件
CN210566679U (zh) 中央空调管道吊码件
KR20140114607A (ko) 창틀용 지지대
KR200477827Y1 (ko)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KR200397481Y1 (ko) 난간용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KR200452039Y1 (ko) 배관 트레이용 받침대
KR200492727Y1 (ko) 에어컨 실외기용 차양장치
CN207094985U (zh) 一种室外冷风机支架
KR100883957B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CN220852580U (zh) 安装支架和空调器
KR102025331B1 (ko) 실외기 설치용 유동방지 지그
KR102048472B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용 프레임 구조체
CN205655465U (zh) 中央空调集成一体化的风机盘管安装结构
KR20160004142A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