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060B1 -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060B1
KR101968060B1 KR1020187021492A KR20187021492A KR101968060B1 KR 101968060 B1 KR101968060 B1 KR 101968060B1 KR 1020187021492 A KR1020187021492 A KR 1020187021492A KR 20187021492 A KR20187021492 A KR 20187021492A KR 101968060 B1 KR101968060 B1 KR 10196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ld rolling
duplex stainless
stainless steel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615A (ko
Inventor
에리크 ?베리
다니엘 스베드베리
Original Assignee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filed Critical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80098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3/00Tube-rolling not restricted to methods provided for in only one of groups B21B17/00, B21B19/00, B21B21/00, e.g. combined processes planetary tube rolling, auxiliary arrangements, e.g. lubricating, special tube blanks, continuous casting combined with tub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08Making wire, bars,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08Making wire, bars, tubes
    • B21C23/085Making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2Hardening articles or materials formed by forging or rolling, with no further heating beyond that required for the form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21D8/1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21D9/085Cooling or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2Making non-ferrous alloys by me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8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10Cross-sectional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3/02Rolling special iron alloys, e.g. stainless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a) 상기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잉곳 또는 연속적으로 캐스팅된 빌렛을 제조하는 단계; b) 튜브 내로 단계 a) 로부터 얻어진 상기 잉곳 또는 상기 빌렛을 열간 사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튜브의 최종 치수로 단계 b) 로부터 얻어진 상기 튜브를 냉간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냉간 압연된 상기 튜브의 외부 치수 (D) 및 벽 두께 (t) 는 각각 50-250 mm 및 5-25 mm 이고,
상기 냉간 압연하는 단계 동안, R 및 Q 는 다음의 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되고:
Figure 112018073494516-pct00011

여기서, - Rp0.2target 은 타겟팅된 항복 강도이고 800-1100 MPa 이고, - Q = (W0 - W1)x(OD0-W0)/W0((OD0-W0)-(OD1-W1)) (2)
- 여기서, W1 은 냉간 압연 전에 튜브 벽 두께이고, W0 는 냉간 압연 후에 튜브 벽 두께이고, OD1 는 냉간 압연 전에 튜브의 외부 치수이고, OD0 는 냉간 압연 후에 튜브의 외부 치수이고, - R 은 냉간 압하율이고 다음과 같이 규정되고,
Figure 112018073494516-pct00012

여기서 A1 는 냉간 압연 전에 튜브 단면적이고 A0 는 냉간 압연 후에 튜브 단면적이고, - Z=65 이고, 여기서, 0<Q<3.6 이다.

Description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
본 개시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후에 규정된 조성을 갖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들은 실질적인 기계적 부하를 받을 뿐만 아니라 부식 매체들을 거치는 다양한 적용예들에서 사용된다. 그러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들의 제조 중에, 상이한 프로세스 파라미터들은 원하는 항복 강도를 갖는 강 튜브를 얻도록 정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재료의 최종 항복 강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밝혀진 프로세스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다: 열간 변형의 정도, 냉간 변형의 정도 및 열간 사출된 튜브가 그 최종 치수들로 냉간 압연되는 프로세스 중에 튜브 치수와 튜브 벽 사이의 압하율의 비. 이들 프로세스 파라미터들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특정한 조성 및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의 원하는 항복 강도에 관해 설정되야 한다.
지금까지, 종래 기술 분야는 프로세스 파라미터 값들을 발견하도록 광범위한 시험들을 수행하는 것에 의존하여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들의 타겟 항복 강도를 달성시킨다. 그러한 시험들은 노동 집약적이고 비용이 많이든다. 따라서, 항복 강도에 중요한 프로세스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보다 비용 효과적인 프로세스가 요구된다.
EP 2 388 341 은 특정한 화학적 조성을 갖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최종 냉간 압연하는 단계에서 면적의 압하율의 관점에서 작업 비 (%) 는 주어진 식에 의해 튜브의 사전 결정된 타켓팅된 항복 강도에 대해 결정되고, 상기 식은 또한 작업 비와 타겟팅된 항복 강도 사이의 관계에서 소정 합금 원소들의 영향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제조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의 타겟팅된 항복 강도를 달성하도록 이후에 규정된 바와 같은 Q-값 및 이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냉간 압하율 R 을 설정함으로써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체 제조 효율을 개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이로써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은 (중량 % 로),
C 0-0.3;
Cr 22-26;
Cu 0-0.5;
Mn 0-1.2;
Mo 3.0-4.0,
N 0-0.35;
Ni 5.0-7.0;
Si 0.2-0.8;
잔부 Fe 및 불가피 불순물들을 갖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잉곳 또는 연속적으로 캐스팅된 빌렛을 제조하는 단계;
b) 튜브 내로 단계 a) 로부터 얻어진 상기 잉곳 또는 상기 빌렛을 열간 사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튜브의 최종 치수로 단계 b) 로부터 얻어진 상기 튜브를 냉간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냉간 압연된 상기 튜브의 외부 치수 (D) 및 벽 두께 (t) 는 각각 50-250 mm 및 5-25 mm 이고,
상기 냉간 압연하는 단계 동안, R 및 Q 는 다음의 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되고:
Figure 112018073494516-pct00001
여기서,
- Rp0.2target 은 타겟팅된 항복 강도이고 800-1100 MPa 이고,
- Q = (W0 - W1)x(OD0-W0)/W0((OD0-W0)-(OD1-W1)) (2)
여기서, W1 은 냉간 압연 전에 튜브 벽 두께이고, W0 는 냉간 압연 후에 튜브 벽 두께이고, OD1 는 냉간 압연 전에 튜브의 외부 치수이고, OD0 는 냉간 압연 후에 튜브의 외부 치수이고,
- R 은 냉간 압하율이고 다음과 같이 규정되고,
Figure 112018073494516-pct00002
- 여기서 A1 는 냉간 압연 전에 튜브 단면적이고 A0 는 냉간 압연 후에 튜브 단면적이고,
- Z=65 이고, (단, Z 는 상기 식 (1) 의 오류의 편차를 의미한다.)
여기서, 0<Q<3.6 이다.
식 (1) 에 의해 제공된 관계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조성, 즉 원소들 C, Cr, Mo 및 N 의 함량 및 튜브의 타겟팅된 항복 강도에 기초하여 얻어진 R 및 Q 에 대한 프로세스 파라미터 값들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타겟팅된 항복 강도는 800-1100 MPa, 예를 들면 900 - 1100 MPa 의 범위이다.
식 (1) 은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
Figure 112018073494516-pct00003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Z=50 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Z=20 이다. 추가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Z=0 이다.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조성 및 제조될 튜브의 타겟 항복 강도에 기초하여, R 및 Q 의 값들은 R 및 Q 에 대한 그들의 값들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반복적 연산 절차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그에 대해 등식 (1) 이 만족된다.
냉간 압하율 R 은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Figure 112018073494516-pct00004
여기서 A1 은 냉간 변형 전의 튜브 단면적이고 A0 는 냉간 변형 후의 튜브 단면적이다.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조성에 대해, 다음은 그 안에서 개별적인 합금 원소들에 관해 기재된다:
탄소, C 는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원소이고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원소이다. 그러나, 너무 높은 함량의 탄소가 사용된다면, 탄소는 탄화물들로서 침전될 것이고 따라서 부식 저항을 감소시킨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전에 그리고 이후에 개시된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탄소 함량은 0 내지 0.3 wt%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탄소 함량은 0.008 내지 0.03 wt%, 예를 들면 0.008 내지 0.2 wt% 이다.
크롬, Cr 은 이전에 또는 이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부식 저항성, 특히 공식에 강력한 영향을 준다. Cr 은 항복 강도를 개선시키고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변형 시에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의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변형을 방해한다. 그러나, 증가된 함량의 Cr 은 원치않는 안정적인 크롬 질화물 및 시그마 상의 형성 및 보다 빠른 시그마 상의 생성을 가져온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전에 그리고 이후에 개시된 프로세스에 사용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크롬 함량은 22 내지 26 wt%, 예를 들면 23 내지 25 wt% 이다.
구리, Cu 는 부식 저항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Cu 는 이전에 또는 이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에 의도적으로 첨가되거나 또는 강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스크랩된 제품에서 이미 존재하고, 그 안에서 유지되도록 허용된다. 너무 높은 레벨의 Cu 는 열간 가공성 및 인성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그러한 이유들로 회피되어야 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전에 그리고 이후에 개시된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구리 함량은 0-0.5 wt%, 예를 들면 0-0.2 wt%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리 함량은 0.1-0.2 wt% 이다.
망간, Mn 은 이전에 또는 이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에 변형 경화 효과를 준다. Mn 은 또한 강에 존재하는 황과 함께 망간 황화물을 형성함으로써, 열간 가공성을 개선한다고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너무 높은 레벨들에서, Mn 은 부식 저항성 및 열간 가공성 양쪽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경향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전에 그리고 이후에 개시된 프로세스에 사용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망간 함량은 0 내지 1.2 wt%, 예를 들면 0 내지 1.0wt%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망간 함량은 0.35 내지 1.0 wt%, 예를 들면 0.40 내지 0.9 wt% 이다.
몰리브덴, Mo 는 이전에 또는 이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부식 저항성에 강한 영향을 주고 피팅 저항성 당량, PRE 에 큰 영향을 준다. Mo 는 또한 항복 강도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원치않는 시그마-상들이 안정적으로 되고 그 발생이 추가로 촉진되는 온도를 증가시킨다. 부가적으로, Mo 는 페라이트-안정화 효과를 준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전에 그리고 이후에 개시된 프로세스에 사용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몰리브텐 함량은 3.0 내지 4.0 wt% 이다.
니켈, Ni 은 일반적인 부식에 대한 저항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 Ni 는 또한 강한 오스테나이트-안정화 효과를 준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전에 그리고 이후에 개시된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니켈 함량은 5.0 내지 7.0 wt%, 예를 들면 5.5 내지 6.5 wt% 이다.
질소, N 은 이전에 또는 이후에 규정된 바와 같이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부식 저항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또한 변형 경화에 기여한다. 그것은 공식 저항성 당량 PRE (PRE=Cr+3.3Mo+16N) 에 강한 영향을 주고 또한 강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효과를 주고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소성 변형 시에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부터 마르텐사이트 조직으로의 변형을 방해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전에 또는 이후에 개시된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질소 함량은 0 내지 0.35 wt% 이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N 은 0.1 wt% 이상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너무 높은 레벨들에서, N 은 크롬 질화물들을 촉진하는 경향이 있는 데, 이는 전성 및 부식 저항성에서의 그들의 부정적인 효과로 인해 회피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N 의 함량은 따라서 0.35 wt% 이하, 예를 들면 0.1 내지 0.35 wt% 이다.
규소, Si 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에 종종 존재하는 데, 왜냐하면 그것은 그 제조에서 보다 빠른 환원을 위해 첨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너무 높은 레벨들의 Si 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보다 나중의 열 처리들 또는 용접과 관련하여 금속간 화합물들의 침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한 침전들은 부식 저항성 및 가공성 양쪽에 부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전에 또는 이후에 개시된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규소 함량은 0.2 내지 0.8 wt%, 예를 들면 0.2 내지 0.8 wt%, 예를 들면 0.3 내지 0.6 wt% 이다.
인, P 는 이전에 또는 이후에 개시된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스테인레스 강에서 불순물로서 존재할 수 있고, 너무 높은 레벨로 존재한다면 강의 가공성을 열화시킬 것이고, 따라서, P≤0.04 wt% 이다.
황, S 는 이전에 또는 이후에 개시된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스테인레스 강의 불순물로서 존재할 수 있고 너무 높은 레벨로 존재한다면 강의 가공성을 열화시킬 것이고, 따라서, S≤0.03 wt% 이다.
산소, O 는 이전에 또는 이후에 개시된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스테인레스 강의 불순물로서 존재할 수 있고, O≤0.010 wt% 이다.
선택적으로 작은 양들의 다른 합금 원소들은 예를 들면 기계 가공성 또는 열간 작업 특성들, 예를 들면 열간 전성을 개선하도록 이전에 또는 이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에 첨가될 수 있다. 그러한 원소들의 예는 REM, Ca, Co, Ti, Nb, W, Sn, Ta, Mg, B, Pb 및 Ce 이지만 그것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이들 원소들의 양은 최대 0.5 wt%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전에 또는 이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은 또한 프로세스 중에 첨가될 수 있는 작은 양의 다른 합금 원소들, 예를 들면 Ca (≤0.01 wt%), Mg (≤0.01 wt%), 및 희토류 금속들 REM (≤0.2 wt%) 을 포함할 수 있다.
"최대" 또는 "보다 작거나 또는 동등한" 이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에, 또 다른 수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범위의 하한이 0 wt% 이라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이전에 또는 이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원소들의 잔부는 철 (Fe) 및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불순물들이다.
불순물들의 예들은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원재료 또는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레스 강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부가적인 합금 원소들에서 불순물들로서 일반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완전히 회피될 수 없는 원소들 및 화합물들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은 이전에 또는 이후에 개시된 범위에서 이전에 또는 이후에 개시된 합금 원소들로 이루어진다 ,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전에 또는 이후에 규정된 바와 같은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은 30-70 vol.% 오스테나이트 및 30-70 vol.%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전에 또는 이후에 개시된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은 다음의 조성 (중량 % 로) 을 갖는다:
C 0.008-0.03;
Cr 22-26;
Cu 0.1-0.2;
Mn 0.35-1.0;
Mo 3.0-4.0;
N 0.1-0.35;
Ni 5.0-7.0;
Si 0.2-0.7;
잔부 Fe 및 불가피 불순물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0<Q<1 이면, 이때 25*Q<R<40*Q+20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1≤Q≤2 이면, 이때 25*Q≤R≤60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2<Q<3.6 이면, 이때 50<R<60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냉간 압연하는 단계에 대해, R 및 Q 는 다음의 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Figure 112018073494516-pct00005
따라서, 식 (1) 이 사용되고, 여기서 Z=0 이다.
본 개시는 비제한적인 예들에 의해 추가로 예시된다:
예들
상이한 화학적 조성의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강 용융물들은 전기 아크로에서 제조되었다. AOD 로는 탈탄 및 탈황 처리가 행해지도록 사용되었다. 용융물들은 이때 잉곳들 (110 mm 초과의 외부 치수를 갖는 튜브들의 제조를 위해) 로 또는 연속적인 캐스팅에 의해 빌렛들 (110 mm 미만의 치수를 갖는 튜브들의 제조를 위해) 로 캐스팅되었다. 상이한 용융물들의 캐스팅된 스테인레스 강은 화학적 조성에 대해 분석되었다. 결과들은 표 1 에 제공된다.
표 1 - 상이한 용융물들의 화학적 조성
Figure 112018073494516-pct00006
제조된 잉곳들 또는 빌렛들은 복수의 튜브들 내로 사출되는 열 변형 프로세스를 거쳤다. 이들 튜브들은 냉간 변형을 거쳤고 그들의 각각의 최종 치수들로 필거 밀에서 냉간 압연되었다. 표 1 에 제공된 테스트 넘버의 각각에 대해, 튜브들의 10-40 은 따라서 동일한 R 및 Q 를 사용하여 제조되었고 (따라서 입하 (ingoing) 외부 치수 및 입하 벽 두께는) 이와 관련하여 타겟 항복 강도를 취하도록 결정되어서 이전에 제공된 등식 1 이 만족되었다. 냉간 압연은 하나의 냉간 압연하는 단계에서 수행되었다.
각각의 튜브에 대해, 항복 강도는 ISO 6892 에 따른 두개의 테스트 샘플들에 대해 측정되었고, 따라서 각각의 테스트 넘버에 대해 복수의 항복 강도 측정들을 행하였다. 각각의 테스트 넘버에 대해, 평균 항복 강도는 상기 측정을 기초로 연산되었다. 평균 항복 강도는 이전에 제공된 등식 1 에 의해 연산된 타겟 항복 강도와 비교되었다. 결과들은 표 2 에 제공된다. 보다 정확하게, 타겟 항복 강도가 결정되었고 그에 기초하여 그리고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조성에 기초하여, Q 및 R 은 등식 (1) 에 의해 결정되었고, 이때 튜브들은 이전에 그리고 이후에 제공된 시사에 따라 제조되었고 항복 강도는 이전에 개시된 방식으로 측정되었다 타겟팅된 항복 강도로부터의 개별적인 측정들의 편차가 또한 등록되었다. 편차들은 타겟팅된 항복 강도로부터 +/- 65 MPa 미만이었다.
표 2 - 연산들의 결과
Figure 112018073494516-pct00007
"출하 (outgoing) 외부 치수" 는 냉간 압연 후에 튜브 치수이고 "출하 벽 두께" 는 냉간 압연 후에 튜브 벽 두께이다.
따라서 등식 (1) 은 선택된 타겟 항복 강도 및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화학적 조성에 기초하여 R 및 Q 를 세팅하기 위한 우수한 공구라는 것으로 결론지어질 수 있다. 사전 결정된 최종 외부 치수 및 사전 결정된 최종 벽 두께를 갖고, 사전 결정된 기하학적 형상, 특히 단면적의 빌렛으로부터 출하되는 특정한 튜브에 대해, 등식 (1) 의 사용은 당업자가 실험의 필요 없이 냉간 압하율 및 Q-값 뿐만 아니라 적절한 열간 압하율을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반복적 연산은 등식 (1) 을 충족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등식 (1) 이 만족된다면 그리고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이 이전에 규정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다면, 바로 동일한 잉곳 또는 빌렛으로부터의 개별적인 튜브 샘플들의 항복 강도는 타겟팅된 항복 값으로부터 대략 +/- 65 MPa 초과로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Claims (9)

  1.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은 (중량 % 로),
    C 0-0.3;
    Cr 22-26;
    Cu 0-0.5;
    Mn 0-1.2;
    Mo 3.0-4.0;
    N 0-0.35;
    Ni 5.0-7.0;
    Si 0.2-0.8;
    잔부 Fe 및 불가피 불순물들을 갖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의 잉곳 또는 연속적으로 캐스팅된 빌렛을 제조하는 단계;
    b) 튜브 내로 단계 a) 로부터 얻어진 상기 잉곳 또는 상기 빌렛을 열간 사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튜브의 최종 치수로 단계 b) 로부터 얻어진 상기 튜브를 냉간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냉간 압연된 상기 튜브의 외부 치수 (D) 및 벽 두께 (t) 는 각각 50-250 mm 및 5-25 mm 이고,
    상기 냉간 압연하는 단계 동안, R 및 Q 는 다음의 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되고:
    Figure 112018125877014-pct00008


    여기서,
    - Rp0.2target 은 타겟팅된 항복 강도이고 800-1100 MPa 이고,
    - Q = (W0 - W1)x(OD0-W0)/W0((OD0-W0)-(OD1-W1)) (2)
    여기서, W1 은 냉간 압연 전에 튜브 벽 두께이고, W0 는 냉간 압연 후에 튜브 벽 두께이고, OD1 는 냉간 압연 전에 튜브의 외부 치수이고, OD0 는 냉간 압연 후에 튜브의 외부 치수이고,
    - R 은 냉간 압하율이고 다음과 같이 규정되고:
    Figure 112018125877014-pct00009

    - 여기서 A1 는 냉간 압연 전에 튜브 단면적이고 A0 는 냉간 압연 후에 튜브 단면적이고,
    - Z=65 이고, (단, Z 는 상기 식 (1) 의 오류의 편차를 의미한다.)
    여기서, 0<Q<3.6 인,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0<Q<1 이면, 이때 25*Q<R<40*Q+20 인,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1≤Q≤2 이면, 이때 25*Q≤R≤60 인,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2<Q<3.6 이면, 이때 50<R<60 인,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은 30-70 vol.% 오스테나이트 및 30-70 vol.%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은 (중량 % 로),
    C 0.008-0.03;
    Cr 22-26;
    Cu 0.1-0.2;
    Mn 0.35-1.0;
    Mo 3.0-4.0;
    N 0.1-0.35;
    Ni 5.0-7.0;
    Si 0.2-0.7;
    잔부 Fe 및 불가피 불순물들을 갖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50 인,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20 인,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압연하는 단계 동안, R 및 Q 은 다음의 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되는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Figure 112018086626584-pct00010
KR1020187021492A 2015-12-30 2016-12-28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68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203149 2015-12-30
EP15203149.8 2015-12-30
PCT/EP2016/082739 WO2017114847A1 (en) 2015-12-30 2016-12-28 A process of producing a duplex stainless steel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615A KR20180098615A (ko) 2018-09-04
KR101968060B1 true KR101968060B1 (ko) 2019-04-10

Family

ID=5507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492A KR101968060B1 (ko) 2015-12-30 2016-12-28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04114B2 (ko)
EP (1) EP3397406B1 (ko)
JP (1) JP6550543B2 (ko)
KR (1) KR101968060B1 (ko)
CN (1) CN108472701B (ko)
ES (1) ES2890331T3 (ko)
WO (1) WO20171148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0352A1 (en) * 2018-10-17 2020-04-22 AB Sandvik Materials Technology Method of producing tube of duplex stainless steel
CN111230406A (zh) * 2018-11-28 2020-06-05 无锡市新峰管业有限公司 一种海洋环境下双相不锈钢管及其加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0671A (ja) * 2007-11-29 2014-03-06 Ati Properties Inc オーステナイト系のリーンステンレス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14715D1 (de) * 1996-10-29 2001-09-27 Tubacex Sa Austenitisch-ferritischer stahl des superduplextyps für die verwendung nahtloser röhren
EP2682494B1 (en) * 2004-06-30 2019-11-06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Fe-Ni alloy pipe stock
JP5211841B2 (ja) * 2007-07-20 2013-06-1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管の製造方法
JP5217277B2 (ja) * 2007-07-20 2013-06-1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高合金管の製造方法
CN102056686B (zh) * 2008-06-13 2012-10-24 住友金属工业株式会社 高合金无缝管的制造方法
JP4462452B1 (ja) * 2008-12-18 2010-05-1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合金管の製造方法
CN102282273B (zh) * 2009-01-19 2013-05-08 新日铁住金株式会社 双相不锈钢钢管的制造方法
RU2552805C2 (ru) * 2011-03-24 2015-06-10 Ниппон Стил Энд Сумитомо Метал Корпорейшн Труба из аустенитного сплав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ES2543046T3 (es) * 2012-01-18 2015-08-14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leación austenítica
KR101356946B1 (ko) * 2012-03-27 2014-01-29 주식회사 포스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WO2014034522A1 (ja) * 2012-08-31 2014-03-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962836A (zh) 2015-06-05 2015-10-07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耐腐蚀铁基奥氏体油井管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0671A (ja) * 2007-11-29 2014-03-06 Ati Properties Inc オーステナイト系のリーンステンレス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0569A1 (en) 2019-01-10
KR20180098615A (ko) 2018-09-04
ES2890331T3 (es) 2022-01-18
EP3397406A1 (en) 2018-11-07
US10704114B2 (en) 2020-07-07
CN108472701A (zh) 2018-08-31
JP6550543B2 (ja) 2019-07-24
CN108472701B (zh) 2020-02-18
JP2019505680A (ja) 2019-02-28
EP3397406B1 (en) 2021-07-07
WO2017114847A1 (en)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3851B2 (en) Method for producing two-phase stainless steel pipe
KR101322575B1 (ko)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RU2593567C2 (ru) Высокопрочная стальная полоса с высокой ударной вязкостью и пределом текучести 700 мпа и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US20180066344A1 (en) Wire rod for use in bolts that has excellent acid pickling properties and resistance to delayed fracture after quenching and tempering, and bolt
KR20170133435A (ko)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의 튜브의 제조 방법
KR102583353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튜브의 제조 방법
TW201538750A (zh) 雙相不銹鋼
KR101968060B1 (ko) 듀플렉스 스테인레스 강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
CN111057963A (zh) 生产双相不锈钢管的方法
JP2009228051A (ja) 非調質鋼材の製造方法
TW201608040A (zh) 雙相不銹鋼
US10968504B2 (en) Austenitic stainless alloy
US10329645B2 (en) Steel for carburizing or carbonitriding use
CN112154219B (zh) 新奥氏体合金
JP7333327B2 (ja) 新しい二相ステンレス鋼
KR102263556B1 (ko) 2 상 스테인리스 강 스트립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21267A (ko) 열간 압연 봉선재, 부품 및 열간 압연 봉선재의 제조 방법
KR102463015B1 (ko)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US20230287549A1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improved deep draw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