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510B1 - 분리막의 세정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막의 세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510B1
KR101967510B1 KR1020160109913A KR20160109913A KR101967510B1 KR 101967510 B1 KR101967510 B1 KR 101967510B1 KR 1020160109913 A KR1020160109913 A KR 1020160109913A KR 20160109913 A KR20160109913 A KR 20160109913A KR 101967510 B1 KR101967510 B1 KR 101967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aeruginosa
attenuation constant
water
pseudomonas aeruginos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196A (ko
Inventor
이상중
윤태광
김재환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9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5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6Supply, recovery or discharge mechanisms of was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70Control mean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or a computer
    • B01D2313/701Control mean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or a computer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01D2321/162Use of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H가 4.5 이하인 세정액을 이용하여 분리막을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분리막의 세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막의 세정 방법{METHOD FOR CLEANING MEMBRANE}
본 발명은 분리막 세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농균에 의해 발생하는 체외고분자 물질(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분리막 세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게 질병을 야기하는 박테리아로 토양, 수중, 인체 등에서 쉽게 관찰되고 있다. 녹농균은 소독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번식률이 높기에 특히 의학분야에서 감염으로 인해 관심이 많은 미생물이다. 녹농균은 대부분의 물에 존재하고 있고, 최근 막여과 분야에서 바이오필름(Biofilm)의 형성으로 막 오염을 야기시키고, 여과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균으로 판단되고 있다.
녹농균이 생성하는 바이오필름(Biofilm)은 일반적인 화학세정으로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종래에는 미생물들의 제거를 위해 막을 침지시키거나, 관내에 세정액을 넣어 살균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다른 미생물과는 달리 녹농균은 막의 표면에 붙어 체외고분자 물질(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침지나 관내 세정으로는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녹농균에 의해 발생하는 EPS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세정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14-004581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녹농균에 의해 발생하는 EPS층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분리막 세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H 및 접촉시간에 따른 녹농균의 감쇠 상수를 이용하여 세정액의 pH 및/또는 접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세정 조건으로 세정을 실시함으로써, 세정 효과를 극대화하고, 분리막의 운전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분리막 세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정 전후의 녹농균의 개수를 측정하여 세정 효율을 평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정 조건을 재설정함으로써, 세정 효과를 극대화하고, 분리막의 운전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분리막 세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pH가 4.5 이하인 세정액을 이용하여 분리막을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분리막의 세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분리막은 중공사막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세정액은 상기 중공사막의 중공 내로 유입된 후, 중공사막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정은,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되는 녹농균의 감쇠 상수(K)를 이용하여 결정된 세정액의 pH 또는 세정액의 접촉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식 (1): 감쇠 상수(K) = |Kns - Ks|
상기 식 (1)에서, 상기 Kns는 pH를 4.5 이하로 조절한 멸균처리되지 않은 처리수의 시간(hour)에 따른 녹농균의 개수 변화율이며, 상기 Ks는 pH를 4.5 이하로 조절한 멸균처리된 처리수의 시간(hour)에 따른 녹농균의 개수 변화율임.
구체적으로는, 상기 세정액의 pH 또는 세정액의 접촉시간은 감쇠상수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이 되는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의 세정 방법은, 필요에 따라, 상기 세정하는 단계 이후에, 세정 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와 세정 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를 비교하여 세정 효율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 결과, 상기 세정 효율이 50% 이하인 경우에 세정액의 pH 또는 세정액의 접촉 시간을 재설정하여 세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처리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물로부터 샘플수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샘플수의 pH를 4.5 이하로 조절하여 녹농균의 감쇠상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감쇠상수를 이용하여 세정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세정을 실시하는 단계; 및 세정 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와 세정 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를 비교하여 세정 효율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분리막의 세정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감쇠상수를 계산하는 단계 이후에 감쇠상수가 기설정된 범위 내인지 판단하고, 감쇠상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pH 조건을 재설정하여, 감쇠상수를 다시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 효율을 평가하는 단계 이후에 세정 효율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감쇠상수를 다시 계산하여 세정 조건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방법은, 짧은 시간 내에 녹농균을 제거할 수 있는 4.5 이하인 세정액을 사용하여 세정을 실시함으로써, 녹농균에 의한 EPS층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방법은 pH 및 접촉시간에 따른 녹농균의 감쇠 상수를 이용하여 세정액의 pH 및/또는 접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세정 조건으로 세정을 실시함으로써, 세정 효과를 극대화하고, 분리막의 운전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방법은, 세정 전후의 녹농균의 개수를 측정하여 세정 효율을 평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정 조건을 재설정함으로써, 세정 효과를 극대화하고, 분리막의 운전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세정 방법의 일 구체예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수처리용 분리막에 있어서, 녹농균에 의해 발생하는 EPS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세정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세정액의 pH를 4.5 이하로 조정하여 분리막을 세정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수처리용 분리막의 세정 방법은 pH가 4.5 이하인 세정액을 이용하여 분리막을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녹농균은 pH 4.5 이하의 조건에서 짧은 시간
하기 표 1은 하수 방류수를 샘플링하여 황산을 이용하여 pH를 4.5로 조정한 샘플 I과 pH를 조절하지 않은 샘플 II에서 시간에 따른 녹농균 수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샘플 II의 pH는 7.6이었다.
0분(개수) 5분 10분
샘플 I 281 59 21.5
샘플 II 271 258 286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pH가 4.5로 조절된 샘플 I의 경우, 5분 경과 후 약 79%에 달하는 녹농균 제거 효율을 나타냈으며, 10분 경과 후에는 녹농균 제거 효율이 약 92%에 달했다. 이에 비해, pH를 조절하지 않은 샘플 II의 경우, 5분 경과 후의 녹농균 제거 효율이 5%에 불과하였으며, 10분 경과 후에는 오히려 녹농균의 수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분리막 세정 시에 pH 4.5 이하인 세정액을 이용하여 세정을 실시할 경우, 처리수 내의 녹농균의 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분리막에 녹농균에 의해 EPS 층이 생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있다.
본 발명의 세정방법이 적용되는 수처리용 분리막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수치리용 분리막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처리용 분리막은 정삼투막, 역삼투막, 나노여과막, 한외여과막, 정밀여과막 등일 수 있다.
다만, 세정되는 분리막이 중공사막인 경우에는, 상기 세정액이 중공사막이 중공 내로 유입된 후, 중공사막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세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세정을 실시할 경우, 추가 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세정액의 요구량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막 내부에서 외부로 세정하는 방식으로 세정을 실시할 경우, 외부 세정의 경우에 비해 막 표면에 부착된 녹농균의 제거가 쉽기 때문에 짧은 시간의 접촉만으로도 녹농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정은,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되는 녹농균의 감쇠 상수(K)를 이용하여 결정된 세정액의 pH 또는 세정액의 접촉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식 (1): 감쇠 상수(K) = |Kns - Ks|
상기 식 (1)에서, 상기 Kns는 pH를 4.5 이하로 조절한 멸균처리되지 않은 처리수의 시간(hour)에 따른 녹농균의 개수 변화율이며, 상기 Ks는 pH를 4.5 이하로 조절한 멸균처리된 처리수의 시간(hour)에 따른 녹농균의 개수 변화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감쇠상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먼저, 대상이 되는 처리수를 채취하여 2개의 샘플을 만든 후, 하나의 샘플에 대해서는 멸균처리를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샘플은 멸균처리하지 않는다. 그런 다음, 상기 두 개의 샘플에 산성 용액을 투입하여 pH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pH는 4.5 이하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pH가 조절된 두 개의 샘플을 방치하고, 소정의 시간 간격, 예를 들면 0분, 5분, 10분, 30분, 60분이 경과한 후에 샘플 내의 물을 채취하여 녹농균 개수를 측정한다. 그런 다음, 각각의 샘플에서 측정된 값을 기초로 특정 pH에서의 시간(hour)에 따른 녹농균의 개수의 변화율(즉, 감쇠상수)을 계산하여 Kns와 Ks 값을 얻고, 그 차이로 감쇠 상수 K를 계산한다. 이때, Kns는 멸균되지 않은 샘플(비멸균 샘플)의 특정 pH에서의 녹농균의 감쇠 상수이며, Ks는 멸균처리된 샘플(멸균 샘플)의 특정 pH에서의 녹농균의 감쇠상수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비멸균 샘플의 녹농균의 감쇠상수에서 멸균 샘플의 녹농균 감쇠상수를 뺀 값으로 감쇠상수를 보정함으로써, 녹농균의 개수 측정 시에 실험 도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감쇠상수 K값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pH 조건이나 접촉 시간 등이 녹농균 제거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므로, pH 조건이나 접촉시간을 재설정한 후, 감쇠 상수 값을 다시 계산하여, 적절한 pH 및/또는 접촉시간을 찾아낸다. 또한, 상기 K값이 지나치게 높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pH가 너무 낮게 설정된 것으로 볼 수 있고, 이 경우, 분리막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도 pH 조건을 재설정한 후, 감쇠 상수 값을 다시 계산하여, 적절한 pH 및/또는 접촉시간을 찾아낸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의 pH 또는 세정액의 접촉시간은 감쇠상수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이 되는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식(1)에 따른 녹농균의 감쇠상수를 이용하여 세정액의 pH 및 접촉시간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분리막의 손상 없이 녹농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의 세정 방법은, 필요에 따라, 상기 세정하는 단계 이후에, 세정 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와 세정 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를 비교하여 세정 효율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세정 효율은 {(세정 전 처리수의 녹농균 수 - 세정 후 처리수의 녹농균 수)/(세정 전 처리수의 녹농균 수)}×100으로 계산될 수 있다.
종래에는 통상 막간차압 (trans-membrane pressure, TMP) 변화로 분리막의 세정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TMP 변화로는 녹농균에 의한 EPS층 세정 효과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다. TMP 변화는 유기물, 무기물, 기타 미생물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변동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세정 전, 후의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의 수를 비교하여 EPS층 세정 효율을 평가하였다. 세정 전 후의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가 큰 변화가 없다면 세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세정 조건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평가 결과, 상기 세정 효율이 50% 이하인 경우에 세정액의 pH 또는 세정액의 접촉 시간을 재설정하여 세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재설정되는 세정액의 pH 및 세정액의 접촉시간은 상기 식 (1)에 의해 계산되는 녹농균의 감쇠 상수(K)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방법의 일 구체예를 보여주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의 세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물로부터 샘플수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샘플수의 pH를 4.5 이하로 조절하여 녹농균의 감쇠상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감쇠상수를 이용하여 세정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세정을 실시하는 단계; 및 세정 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와 세정 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를 비교하여 세정 효율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쇠상수는 상기 식(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녹농균의 감쇠 상수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감쇠 상수가 계산되면, 계산된 감쇠상수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인지 확인한다. 만일 감쇠상수 값이 기설정된 범위가 아닌 경우에는 기설정된 범위, 예를 들면, 감쇠 상수가 10 이상이 될 때까지 pH 조건을 변경하여 감쇠상수를 다시 계산한다. 감쇠상수 값이 기설정된 범위인 경우에는 계산된 감쇠상수를 기초로 세정 조건, 즉, 세정액의 pH 및 접촉 시간 등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결정된 조건으로 분리막의 세정을 실시한다. 세정이 완료되면, 세정 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와 세정 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를 비교하여 세정 효율을 평가한다. 세정 효율의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세정 효율 평가 결과, 세정 효율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기설정된 세정 조건으로 세정을 실시한다. 그러나, 세정효율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감쇠상수 계산 단계로 돌아가 세정 조건을 재설정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산 세정 조건을 산출하기 위해 처리수의 물을 채취하여 2개의 샘플을 만든 후, 하나는 멸균처리하고, 나머지 하나는 멸균처리를 수행하지 않았다. 그런 다음 상기 2개의 샘플의 pH를 4.5로 조정하고, shaker에서 100rpm에서 반응시켜 시간에 따른 녹농균 개수를 측정하여 상기 식 (1)에 따라 감쇠상수를 계산하였다. 시간에 따른 녹농균의 개수 및 감쇠상수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0분 5분 10분 감쇠상수(K)
비멸균 샘플 281 59 21.5 15.42
멸균 샘플 0 0 0
상기 감쇠상수를 이용하여 pH 4.5, 접촉시간 5분 세정 조건 하에서 분리막 세정을 실시하였다.
상기 세정 실시 후 세정 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와 세정 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를 비교하여 세정 효율을 평가하였다. 세정 효율은 약 72%였다.
비교예
샘플의 pH를 5로 조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간에 따른 녹농균의 개수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 5의 조건에서는 비멸균샘플 내의 녹농균 개체수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감쇠상수를 얻을 수 없었다.
0분 5분 10분 감쇠상수
비멸균 샘플 331 340 352 -
멸균샘플 0 0 0

Claims (9)

  1. pH가 4.5 이하인 세정액을 이용하여 분리막을 세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분리막의 세정 방법으로,
    상기 세정은, 하기 식 (1)에 의해 계산되는 녹농균의 감쇠 상수(K)를 이용하여 결정된 세정액의 pH 또는 세정액의 접촉시간으로 수행되고,
    상기 세정액의 pH 또는 세정액의 접촉시간은 감쇠상수가 10 이상이 되는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인 수처리용 분리막의 세정 방법:
    식 (1): 감쇠 상수(K) = |Kns - Ks|
    상기 식 (1)에서, 상기 Kns는 pH를 4.5 이하로 조절한 멸균처리되지 않은 처리수의 시간(hour)에 따른 녹농균의 개수 변화율이며, 상기 Ks는 pH를 4.5 이하로 조절한 멸균처리된 처리수의 시간(hour)에 따른 녹농균의 개수 변화율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이 중공사막이며,
    상기 세정액은 상기 중공사막의 중공 내로 유입된 후, 중공사막 외부로 배출되는 것인 수처리용 분리막의 세정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하는 단계 이후에,
    세정 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와 세정 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를 비교하여 세정 효율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용 분리막의 세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효율 평가 결과 세정 효율이 50% 이하인 경우에 세정액의 pH 또는 세정액의 접촉 시간을 재설정하여 세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용 분리막의 세정 방법.
  7. 처리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물로부터 샘플수를 채취하는 단계;
    상기 샘플수의 pH를 4.5 이하로 조절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녹농균의 감쇠상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감쇠상수를 이용하여 상기 감쇠상수가 10 이상이 되는 범위에서 세정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세정조건으로 세정을 실시하는 단계; 및
    세정 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와 세정 후 처리수에서 검출된 녹농균 수를 비교하여 세정 효율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분리막의 세정 방법:
    식 (1): 감쇠 상수(K) = |Kns - Ks|
    상기 식 (1)에서, 상기 Kns는 pH를 4.5 이하로 조절한 멸균처리되지 않은 처리수의 시간(hour)에 따른 녹농균의 개수 변화율이며, 상기 Ks는 pH를 4.5 이하로 조절한 멸균처리된 처리수의 시간(hour)에 따른 녹농균의 개수 변화율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상수를 계산하는 단계 이후에 감쇠상수가 기설정된 범위 내인지 판단하고, 감쇠상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pH 조건을 재설정하여, 감쇠상수를 다시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용 분리막의 세정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효율을 평가하는 단계 이후에 세정 효율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감쇠상수를 다시 계산하여 세정 조건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용 분리막의 세정방법.
KR1020160109913A 2016-08-29 2016-08-29 분리막의 세정 방법 KR101967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913A KR101967510B1 (ko) 2016-08-29 2016-08-29 분리막의 세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913A KR101967510B1 (ko) 2016-08-29 2016-08-29 분리막의 세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196A KR20180024196A (ko) 2018-03-08
KR101967510B1 true KR101967510B1 (ko) 2019-04-09

Family

ID=6172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913A KR101967510B1 (ko) 2016-08-29 2016-08-29 분리막의 세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5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4361A (ja) * 2013-12-27 2015-07-06 星光Pmc株式会社 バイオフィルム除去剤およびバイオフィルムの除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858B1 (ko) * 2008-10-16 2011-01-28 그린엔텍 주식회사 분리막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모듈 세정방법
KR101649918B1 (ko) * 2014-05-28 2016-08-24 주식회사 에스이씨 막 세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4361A (ja) * 2013-12-27 2015-07-06 星光Pmc株式会社 バイオフィルム除去剤およびバイオフィルムの除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196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ura et al. Surface water biopolymer fractionation for fouling mitigation in low-pressure membranes
Lowe et al. Application of ultrafiltration membranes for removal of humic acid from drinking water
Kimura et al. Microfiltration of different surface waters with/without coagulation: Clear correlations between membrane fouling and hydrophilic biopolymers
WO2013094428A1 (ja) 逆浸透処理装置および逆浸透処理装置の洗浄方法
Piasecka et al. Study of biofilms on PVDF membranes after chemical cleaning by sodium hypochlorite
SA516371234B1 (ar) طريقة لمعالجة المياه
ATE497830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von flüssigkeiten
JP2009165949A (ja) 抗菌性分離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抗菌性分離膜の製造装置
da Conceição et al. Removal of excess fluoride from groundwater using natural coagulant Moringa oleifera Lam and microfiltration
He et al. Impacts of aging and chemical cleaning on the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ultrafiltration membranes in potable water treatment
WO2004094001A3 (en) Supplemental ozone treatment for ensuring the sterility of instrument cleaning systems
Fähnrich et al. Membrane processes for water reuse in the food industry
Murray et al. Fouling in hollow fiber membrane microfilters used for household water treatment
KR101967510B1 (ko) 분리막의 세정 방법
JP2018114473A (ja) 水処理システム
EP3983116A1 (en) Filtration membrane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CN108348147A (zh) 用于监测与医疗装置的清洁度相关的流体特性的方法和设备
EP1709978A1 (de) Reinigung und Desinfektion chirurgischer und medizinischer Instrumente und Apparate
AU2012324220B2 (en) Fresh water generation system
KR101427797B1 (ko) 수처리용 여과막의 유지세정 방법 및 그 수처리 시스템
JP4631287B2 (ja) 透過膜の洗浄方法
DK0954296T3 (da) Anvendelse af bronopol til behandling af sygdomme hos fisk
Nugraha et al. Water Purification Technology Implementation Design
KR101621835B1 (ko) 인산함유수로부터 인산을 회수하는 방법 및 인산 회수 장치
JP4475568B2 (ja) 電気式脱塩水製造装置内の菌発生抑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