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876B1 -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876B1
KR101966876B1 KR1020170048425A KR20170048425A KR101966876B1 KR 101966876 B1 KR101966876 B1 KR 101966876B1 KR 1020170048425 A KR1020170048425 A KR 1020170048425A KR 20170048425 A KR20170048425 A KR 20170048425A KR 101966876 B1 KR101966876 B1 KR 101966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utlet
fluid
diameter
pop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927A (ko
Inventor
이중엽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48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876B1/ko
Priority to PCT/KR2017/009676 priority patent/WO2018190475A1/ko
Priority to US16/491,665 priority patent/US11002378B2/en
Publication of KR20180115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servo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5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for seat valves, i.e. poppe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3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electrically-controlled pilot valves
    • F15B13/0435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electrically-controlled pilot valves the pilot valves being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05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1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s of the valve element
    • F15B2211/411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s of the valve element the positions being discre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2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428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actuated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인렛부(IL); 상기 인렛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아웃렛부(OL); 및 상기 아웃렛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유체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부(100,110);로 이루어지는 밸브로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출구에서의 유체 흐름 방향으로 진퇴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고, 일단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포핏(130)을 갖고, 타단에는 파일롯 가스의 가압을 받는 피스톤(120)을 갖는 로드(110); 상기 로드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로드의 진퇴를 안내하는 가이드(140)와 상기 파일롯 가스가 유입되는 가압공간(S1,S2)을 갖는 몸체(100); 및 상기 가압공간으로 파일롯 가스를 공급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S);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되, 상기 아웃렛부에서 상기 포핏과 접하는 시트(170)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140)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유량계수 특성을 갖는 래치식 초박형 개폐밸브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를 볼밸브 등과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개폐가능한 유량이 대량이면서도 밸브 자체의 부피는 작은 박형 구조인 장점이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구성 부품으로서 스프링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밸브의 전체적인 무게가 가볍고 숏 스템으로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밸브{VALVE}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볼 밸브나 글러브 밸브 대비 무게와 형상면에서 우수하고 작동 특성이 우수한 박형 사이즈의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압력을 밀폐 또는 개방하기 위해 밸브가 사용되며, 밸브의 종류로는 볼밸브, 글러브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등등 다양하다. 이중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의 압력을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의 힘으로 밀폐하게 되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인가시켜 자성체로 이루어진 밸브를 탄성체보다 강한 힘으로 당겨서 압력을 개방하게 된다.
위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인가해야 하기 때문에, 전원의 사용이 극히 제약적인 인공위성이나 유도무기 또는 발사체 등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며, 전원을 계속적으로 인가 하였을 때 솔레노이드의 발열 문제로 인해 주변 장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솔레노이드 래치밸브가 공시된 바 있다. 영구자석을 이용하는 솔레노이드 래치밸브(이하 래치밸브)는 영구자석의 극성을 이용하여 밸브의 밀폐 또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영구자석의 자속을 상쇄시킬 수 있을 만큼의 전류를 순간적으로 코일에 흐르게 하여 밸브의 밀폐 또는 개방을 제어하게 된다. 위 래치밸브는 영구자석의 자속을 이용하여 밸브의 밀폐 또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계속적인 전원 인가가 필요치 않아 전원 공급이 제한적인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코일의 발열 문제도 해결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래치밸브는 영구자석의 자속을 이용하는 구조 특성상 밸브의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없기 때문에 고압 대유량의 유체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스트로크란 밸브가 밀폐 또는 개방하기 위해 이동되는 거리를 말하는데 고압 대유량의 유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밸브의 유로를 크게 해야 하는데, 유로가 커지면 밸브의 밀폐를 유지하려는 힘이 커짐과 동시에 큰 스트로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으로 고압 대유량의 유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래치밸브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가 큰 힘을 발생하기 위해 크기가 커져야 하며 커진 크기만큼 무게도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영구자석을 밸브에 직접 사용하는 래치밸브는 소형위성과 같이 유량이 적고, 저압의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고압 및 대유량의 유체를 사용하는 대형 위성이나, 유도무기 또는 발사체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볼밸브와 글러브밸브도 있으나, 볼밸브의 경우 유량계수가 큰 반면 밸브 작동시 마찰력이 커서 구동토크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도 1에서는 종래의 볼밸브를 도시하고 있는데, 볼밸브의 바디(10)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10)의 내부에는 한 쌍의 시트링(20)이 밀착되도록 삽입되는바, 이때 상기 한 쌍의 시트링(20)은 합체되어 그 합체된 시트링(20)의 내주면이 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트링(20)의 재질은 테프론 등 소프트한 소재와 폴리에텔에텔 케톤(polyetherether ketone, PEEP), 메탈시트(metal seat) 등 사용조건에 맞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합체된 시트링(20)의 내주면에는 볼(30)이 작동가능토록 안치되며, 상기 볼(30)에는 이송관(미도시)의 구경(口徑)과 같은 안지름을 갖는 통공(3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볼(30)의 회전에 의하여 볼(30)에 형성된 통공(35)이 이송관 내의 유체 흐름을 개방하거나 또는 상기 볼(30)이 이송관 내의 유체 흐름을 차단한다.
그런데, 이러한 볼밸브의 경우 다른 타입의 밸브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량계수가 크나, 볼밸브의 특성상 밸브 작동 시 마찰력이 크게 발생하며 이에 구동을 위한 큰 토크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압력차가 크게 작용하는 파이프 시스템에서 볼밸브에 작용하는 힘이 크고, 마찰력이 상당하기 때문에 그만큼 액추에이터의 사이즈가 커지고 밸브의 무게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글러브 밸브(Right Angle Valve)의 경우에는 유량계수가 볼밸브에 비해 작지만, 구동 시 마찰력이 작아 구동토크가 작게 작용하지만, 특성상 볼밸브에 비해 유량계수가 작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발사체나 항공기 및 자동차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대유량 특성을 가지면서도 박형 구조를 갖는 개폐밸브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유량 특성을 가지면서도 부피가 작은 박형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은 발사체나 항공기 또는 자동차 등에서 밸브 오작동이 발생하여 별도의 동력 전달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밸브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유량계수 특성을 갖는 래치식 초박형 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인렛부(IL); 상기 인렛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아웃렛부(OL); 및 상기 아웃렛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유체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부(100,110);로 이루어지는 밸브로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출구에서의 유체 흐름 방향으로 진퇴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고, 일단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포핏(130)을 갖고, 타단에는 파일롯 가스의 가압을 받는 피스톤(120)을 갖는 로드(110); 상기 로드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로드의 진퇴를 안내하는 가이드(140)와 상기 파일롯 가스가 유입되는 가압공간(S1,S2)을 갖는 몸체(100); 및 상기 가압공간으로 파일롯 가스를 공급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S);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되, 상기 아웃렛부에서 상기 포핏과 접하는 시트(170)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140)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핏의 횡단면에는, 상기 시트 직경 만큼의 지름을 갖는 제1원의 면적에서 상기 가이드 내경 만큼의 지름을 갖는 제2원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만큼 도넛 형태의 가압면(P)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면에 작용하는 유입구의 유체 압력과 배출구의 유체 압력의 차에 의해 상기 포핏이 상기 시트를 가압하여 밀폐하게 된다.
상기 시트 직경과 가이드 내경은 "0.88 < (가이드 내경)/(시트 직경) < 0.96" 의 비율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압공간(S1,S2)은 상기 피스톤에 의해 제1가압공간과 제2가압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파일롯에서 상기 제1 및 제2가압공간으로 파일롯 가스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내주면에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링형상으로 중심을 향해 돌출된 마찰부(105)가 구비되고, 상기 마찰부에는 오링(106)이 구비된다.
상기 포핏에 작용하는 유체의 유동력(flow force)은 상기 마찰부가 상기 로드에 작용하는 마찰력 보다 크게 구비되어, 밸브 오작동시 상기 파일롯 압력이 모두 제거된 상태에서도 상기 유동력에 의해 밸브 닫힘이 방지되는 것이 좋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발사체나 항공기 등에서 밸브 오작동이 발생하여 동력 전달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를 볼밸브 등과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개폐가능한 유량이 대량이면서도 밸브 자체의 부피는 작은 박형 구조인 장점이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구성 부품으로서 스프링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밸브의 전체적인 무게가 가볍고 숏 스템으로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볼 밸브의 구조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의 중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의 초기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의 개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모습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의 닫힘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의 시트와 포핏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에서 시트와 가이드 내경 차이로 인한 가압면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개폐밸브의 중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개폐밸브의 초기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개폐밸브의 개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개폐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모습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개폐밸브의 닫힘 상태 단면도이다.
도 2를 보면, 본 발명의 초박형 개폐밸브는 유체가 유입되는 인렛부(IL)와 유체가 배출되는 아웃렛부(OL)와 인렛부에서 유입된 유체 흐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동작을 하는 개폐부(100,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렛부(IL) 내부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렛부(OL) 내부에는 인렛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되 유체는 방향을 전환하여 배출되는 구조이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는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아웃렛부의 길이방향으로, 즉 상기 인렛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유체흐름을 개폐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개폐부(100,110)는 상기 아웃렛부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배출구에서의 유체 흐름 방향으로 진퇴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로드(110)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110)의 일단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포핏(130)을 갖고, 상기 로드의 타단에는 파일롯 가스의 가압을 받는 피스톤(120)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진퇴동작을 하는 포핏(130)을 내부에 수용하여 진퇴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140)와 파일롯 가스가 유입되는 가압공간(S1,S2)을 갖는다. 상기 가압공간은 몸체(100)에서 피스톤(120)을 수용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공간(S1,S2)은 상기 피스톤에 의해 제1가압공간(S1)과 제2가압공간(S2)으로 분리된다. 제1가압공간은 밸브 밀폐동작에서 파일롯 가스가 유입되는 곳으로 이곳의 파일롯 가스가 피스톤을 일측으로 가압하여 포핏이 상기 배출구를 막아서 유체 흐름을 폐쇄하게 된다. 제2가압공간은 밸브 개방동작에서 파일롯 가스가 유입되는 곳으로 이곳의 파일롯 가스가 피스톤을 타측으로 가압하여 포핏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여 유체 흐름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파일롯에서 상기 제1 및 제2가압공간으로 파일롯 가스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채널(C1,C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는 상기 가압공간으로 파일롯 가스를 공급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S)와 파일롯(150)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는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렇게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으면서도 N.C(normal close)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컴팩트한 밸브 구조를 갖는 점이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인데 이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밸브는 상기 몸체(100)의 내주면에는 상기 로드의 가운데부분에서 상기 로드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링형상으로 중심을 향해 돌출된 마찰부(105)가 구비되고, 상기 마찰부에는 로드에 구비되는 오링(106)과 접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밸브가 동작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폐밸브는 상기 오링(106)과 상기 마찰부(105) 사이의 마찰력에 의한 N.C(normal close) 상태로서 중립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초기 밸브 상태에서는 전단 압력이 포핏(130)에 압력을 가하여 기밀상태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태는 개폐밸브 전단 압력이 미압인 경우 해당하며(도 3의 화살표와 크기를 비교하면 미압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미압이 포핏(130)을 가압해주는 구조이므로, 초기 기밀 상태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개폐밸브의 상태는 밸브 중립 상태로서, 파일롯 가스 입력 전 상태이며, 구동용 솔레노이드 밸브(S)가 OFF 상태이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시트(seat 170)의 직경이 가이드(140) 내경 대비 크거나 같기 때문에 힘 평형상, 전단 압력에 의해 기밀이 최초로 유지된다.
상기 시트(170)의 직경과 상기 가이드(140)의 내경과 관계에 대해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의 시트와 포핏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에서 시트와 가이드 내경 차이로 인한 가압면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7을 보면, 상기 시트(170)의 반경을 R1으로 표기하고, 상기 가이드(140)의 반경을 R2로 표기하고 있으며, R1가 R2 보다 조금 더 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렛부의 유입구에는 밸브를 통과하려는 유체(대기압 보다 높은 압력)가 존재하며, 아웃렛부의 배출구에는 대기압 상태의 공기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도 7에서 R1=R2 인 경우라면,
상기 포핏(130)에 가해지는 힘과 상기 시트(170)에 가해지는 힘이 상쇄되고, 상기 포핏에는 유체의 압력으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별도의 기밀 유지를 위한 스프링이 존재하여야 한다. 즉, 스프링의 힘이 포핏을 시트쪽으로 가압하여야 기밀이 유지될 수 있고, 만약, 스프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입구에서 출구로 누설이 발생된다. 그런데, 이렇게 스프링을 별도로 구비해야 한다면 밸브의 무게가 증가하고, 동시에 밸브가 롱 스템으로 되어 부피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도 7에서 R1>R2 인 경우라면,
상기 시트(170)의 직경에서 상기 가이드 내경을 제외한 면적만큼의 가압면(P)이 발생한다. 즉, 도넛 모양 면적의 가압면(P)에 압력이 작용하여 기밀이 유지된다. 이때 가압면에 작용하는 압력은 유입구의 유체의 압력에서 유출구의 대기압과 차이에 해당하는 압력이며, 이 압력이 상기 포핏을 시트쪽으로 가압하여 밸브는 밀폐 상태가 된다. 도 8을 보면, R1과 R2의 차이 만큼에 해당하는 도넛 모양의 면압이 포핏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R1>R2 인 경우라면, 밸브에 별도의 스프링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해당 도넛 모양 면적의 면압만큼으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밸브에서 엑츄에이터가 적은 힘으로도 포핏을 개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가압면의 크기는 어느 정도로 제한될 필요는 있다. 즉, 시트 직경을 가이드 내경 보다 적절한 크기로 형성하여 밸브 입구측 유체의 압력이 가압면을 가압하면서도 액추에이터의 힘으로 충분히 포핏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액추에이터가 가볍고 컴팩트하게 형성하고, 스프링이 없으므로 전체 무게가 가볍고, 숏 스템으로 할 수 있다.
도 7에서 R1>>R2 인 경우라면,
상기 포핏 직경에서 시트 직경을 제외한 모든 면적에서 힘이 가해지고 그 만큼의 면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매우 강한 면압이 작용하게 된다. 즉, 밸브 입구측 압력과 큰 면압으로 인해, 그 만큼의 액추에이터에 큰 힘이 필요하므로 피스톤의 직경이 커지고 동시에 액추에이터의 압력을 증가시켜야만 포핏을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액추에이터의 사이즈 및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에서는 R1>R2 인 경우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시트의 직경과 가이드의 내경의 적절한 비율을 찾기 위해서 실험을 한 결과, 0.88 < (가이드 내경)/(시트 직경) < 0.96의 경우가 가장 바람직한 비율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밸브의 유입구에 20 bar, 40 bar ~ 220 bar 등의 유체압을 강제로 적용하고, 시트의 직경과 가이드의 내경에 변화를 주면서, 밸브 열림 시 액추에이터에 인가된 압력을 조사한 결과, 가이드의 내경은 시트 직경의 88%에서 96%에서 바람직한 작동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시트 직경과 가이드 내경은 0.88 < (가이드 내경)/(시트 직경) < 0.96 로 하는 것이 좋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의 초기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의 초기 상태는 파일롯 가스(도면의 파란색)가 상기 몸체(100) 내부의 제1가압공간(S1)으로 유입되어 상기 피스톤(120)을 가압하여 포핏이 시트에 밀착되도록 하여 밀폐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구동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OFF 상태이다. 도 3의 초기 상태에서는 밸브 전단 즉 밸브의 유입구에 유체가 고압(굵은 화살표)을 형성하더라도, 파일롯 가스가 제1가압공간에 유입되어 파일롯 가스의 압력이 피스톤을 가압함에 따라 힘평형 측면에서 포핏(130)에 가해지는 힘이 큰 관계로 밸브가 닫힌 상태가 더 견고히 유지되고 따라서 배출구측으로 유체의 누설이 없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개폐밸브의 개방상태 단면도이다. 본 개폐밸브의 개방 상태에서는 파일롯 가스가 상기 제2가압공간(S2)에 유입되어 피스톤을 밸브 개방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파란색)이며, 구동용 솔레노이드 밸브(S)는 ON 상태이다. 즉, 구동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ON이 되어 피스톤 상부(제1가압공간)에 가해진 파일롯 가스의 압력은 제거되고, 피스톤 하부(제2가압공간)에 파일롯 가스의 압력이 가압된다. 이때 피스톤(120)과 연결된 포핏(130)이 완전 개방되고 이어서 유동이 형성되어 그림에서 상측의 유입구로 들어온 유체가 밸브를 통과하여 그림상 좌측 배출구로 배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개폐밸브는 시트(170)의 직경이 가이드(140)의 내경을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절한 비율로 형성함으로써, 힘평형상 피스톤에 작은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개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개폐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모습이다. 이 상태는 구동용 솔레노이드 밸브(S)가 작동 불능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어떤 이유로 작동이 불능이어서 상기 파일롯(120)을 가압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때, 상기 포핏(130)에 작용하는 유동력(Flow Force)은 상기 몸체의 마찰부(105)와 상기 로드(110)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크게 설계하여 밸브가 개방 상태에서 스스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어떤 이유로 시스템에 오작동이 생겨서 파일롯 가스 압력이 모두 제거되더라도 개방된 밸브는 유동력에 의해 닫히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발사체나 항공기 또는 자동차 등에서 전력계통 등의 오작동으로 파일롯 가스 압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가스 압력이 모두 제거된 상태에서도 밸브 개방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밸브의 닫힘 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의 상태는 파일롯 가스(파란색)가 피스톤(120)의 상부(제1가압공간)에 유입되어 피스톤을 밀폐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이며, 구동용 솔레노이드 밸브(S)는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변하고, 피스톤(120) 하부(제2가압공간)에 가해진 파일롯 가스의 압력이 제거되고, 피스톤 상부에 파일롯 압력(파란색)을 입력하여 밸브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위에서 설명한 구조 및 작동 원리에 따라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스프링이 없는 최적화 구조 및 초박형 형상이 가능하다. 즉, 스프링이 없는 관계로 초박형 구조(short stem)가 가능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폐밸브의 경우 스프링을 장착하여 N.C 또는 N.O로 위치하나,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개폐밸브의 경우 전단압력 힘 평형에 의한 포핏이 위치하는 구조로 스프링이 필요 없게 된다.
2. 시트 직경을 가이드 내경 대비 적절한 정도로 크게 함으로써, 초기 상태 기밀를 유지할 수 있다. 시트 직경과 가이드 내경의 비율을 조율함으로써, 파일롯에 의해 밸브 개방 시 안정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되며, 이것은 볼밸브의 경우에 밸브 전단에 압력 존재 시 구동을 위한 토크가 크게 필요한 점에 비해 유리한 효과이다.
3. 유입구에서 배출구로 이르는 메인 유로에 일정한 압력 존재 시 파일롯 가스를 제거하더라도 포핏이 개방(밸브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서 시스템에 오작동이 생겨서 파일롯 가스 압력이 모두 제거되더라도 개방된 밸브는 유동력에 의해 닫히지 않게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밸브는 항공기나 발사체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차량 경량화 추세에 비추의 자동차 연료계통분야에서 초박형 밸브의 필요성이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밸브는 자동차 연료계통에서 사용 가능할 것이다.
100 : 몸체, 110 : 로드
120 : 피스톤, 130 : 포핏
140 : 가이드, 150 : 파일롯
170 : 시트
S1, S2 : 가압공간, P : 가압면

Claims (9)

  1.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인렛부; 상기 인렛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아웃렛부; 및 상기 아웃렛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유체흐름을 개폐하는 개폐부;로 이루어지는 밸브로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출구에서의 유체 흐름 방향으로 진퇴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고, 일단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포핏을 갖고, 타단에는 파일롯 가스의 가압을 받는 피스톤을 갖는 로드(110);
    상기 로드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포핏의 진퇴를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파일롯 가스가 유입되는 가압공간을 갖는 몸체(100); 및
    상기 가압공간으로 파일롯 가스를 공급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되, 상기 아웃렛부에서 상기 포핏과 접하는 시트의 직경과 상기 가이드의 내경은 아래 식1과 같은 범위를 만족하며,
    식1 : 0.88 < (가이드 내경)/(시트 직경) < 0.96
    상기 포핏의 횡단면에는, 상기 시트 직경을 지름으로 하는 제1원의 면적에서 상기 가이드 내경을 지름으로 하는 제2원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만큼 도넛 형태의 가압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면에 작용하는 유입구의 유체 압력과 배출구의 유체 압력의 차에 의해 상기 포핏이 상기 시트를 가압하며,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링형상으로 중심을 향해 돌출된 마찰부가 구비되고, 상기 마찰부와 접하는 상기 로드 부위에는 오링이 구비되고,
    상기 포핏에 작용하는 유체의 유동력(flow force)은 상기 마찰부가 상기 로드에 작용하는 마찰력 보다 크게 구비되어, 밸브 오작동으로 상기 파일롯 가스의 압력이 모두 제거된 상태에서도 상기 유동력에 의해 밸브 닫힘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공간은 상기 피스톤에 의해 제1가압공간과 제2가압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가압공간으로 파일롯 가스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밸브.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48425A 2017-04-14 2017-04-14 밸브 KR101966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25A KR101966876B1 (ko) 2017-04-14 2017-04-14 밸브
PCT/KR2017/009676 WO2018190475A1 (ko) 2017-04-14 2017-09-05 밸브, 이를 포함하는 항공기, 발사체 및 자동차
US16/491,665 US11002378B2 (en) 2017-04-14 2017-09-05 Valve, aircraft, launch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25A KR101966876B1 (ko) 2017-04-14 2017-04-14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27A KR20180115927A (ko) 2018-10-24
KR101966876B1 true KR101966876B1 (ko) 2019-04-08

Family

ID=6379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425A KR101966876B1 (ko) 2017-04-14 2017-04-14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02378B2 (ko)
KR (1) KR101966876B1 (ko)
WO (1) WO2018190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6479B (zh) * 2019-08-28 2020-12-18 西安航天动力研究所 一种大流量三级先导式电磁阀
CN113404620B (zh) * 2021-06-30 2024-02-20 北京星际荣耀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先导式控制阀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8912A (en) * 1923-12-13 1925-05-26 Borden Co Valves including conduits for liquids
GB941421A (en) * 1959-06-29 1963-11-13 Apv Co Ltd Improvements in fluid-flow control valves
US3286979A (en) * 1963-09-16 1966-11-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lve structure
US3273579A (en) * 1965-07-06 1966-09-20 Koculyn George Hydraulic mechanism including pilot control responsive to atmospheric conditions
US4161187A (en) * 1978-01-03 1979-07-17 Bauer David N Erosion resistant control valve
JP2002286162A (ja) * 2001-03-23 2002-10-03 Megatorr Corp 広帯域可変コンダクタンスバルブ
KR100782900B1 (ko) * 2005-05-13 2007-12-06 이성수 볼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밸브 개폐시스템
JP2007016977A (ja) * 2005-07-11 2007-01-25 Smc Corp パイロット式2ポート弁
CN201696385U (zh) * 2009-11-20 2011-01-05 Abb技术股份有限公司 控阀装置
KR101147815B1 (ko) * 2010-09-06 2012-05-23 (재)경기대진테크노파크 실린더 작동식 밀폐형 안전밸브
EP2816265A1 (en) * 2013-06-18 2014-12-24 Egmo Ltd. Valve sealing assembly
KR102270597B1 (ko) * 2014-04-02 2021-06-29 배트 홀딩 아게 진공밸브
KR101525442B1 (ko) * 2014-05-27 2015-06-03 주식회사 유연 수평구조의 파일럿밸브가 구비되는 증기 감압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475A1 (ko) 2018-10-18
US11002378B2 (en) 2021-05-11
US20200003326A1 (en) 2020-01-02
KR20180115927A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7661B2 (en) Boom control valve
USRE46081E1 (en) Solenoid gas valve
US8286937B2 (en) Tubular valve device
KR101955038B1 (ko) 제어 밸브
EP2492559B1 (en) Solenoid valve
US20070170382A1 (en) Pneumatic pinch valve
EP1217274A2 (en) Poppet-type solenoid valve
EP2115336B1 (en) Solenoid valve having a two piece moving valve element
US7334770B2 (en) Solenoid isolation valve
CA2891590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actuator thrust requirements in a control valve
KR101966876B1 (ko) 밸브
US9404513B2 (en) Servo valve
JP6317255B2 (ja) 複数の流体流動制御部材を有する流体弁
EP0999486B1 (en) Pilot operated flow regulating valve
KR101020808B1 (ko) 전자 밸브 일체형 팽창 밸브
US20070102048A1 (en) Block coaxial valve for use in compressed air systems
JPH11287354A (ja) パイロット作動の三方向切換電磁弁
CA2570523C (en) Valve device
US6676108B1 (en) Control valve
US9360027B2 (en) Proportional control valve
US8627849B2 (en) Valve having two opposing self-sealing poppets
US8651139B2 (en) Valve
US20180355993A1 (en) Hydraulic valve configuration for nh vbs with a nl solenoid
JP4049909B2 (ja) パイロット作動流量調整弁
JP2004011680A (ja) 三方切換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