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829B1 - 3d 프린터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3d 프린터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829B1
KR101966829B1 KR1020180133616A KR20180133616A KR101966829B1 KR 101966829 B1 KR101966829 B1 KR 101966829B1 KR 1020180133616 A KR1020180133616 A KR 1020180133616A KR 20180133616 A KR20180133616 A KR 20180133616A KR 101966829 B1 KR101966829 B1 KR 101966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temperature
unit
heating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용호
전종화
유상욱
장창권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딜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딜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딜라이트
Priority to KR1020180133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Housings, e.g. machin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64Arrangements for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프린터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트리지 히터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레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히팅 장치를 수조 내부에 넣어 레진을 직접 가열하는 레진 온도 유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수조에 수용된 레진을 히팅 장치가 직접 가열하기 때문에 레진의 온도를 빠르게 올릴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가 더 설치되어 레진이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레진의 온도에 따라 히팅 장치의 On/Off가 자동으로 제어되어 레진의 온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프린터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Resin temperature maintenance device of 3D printer}
본 발명은 3D 프린터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팅 장치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레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3D 프린터는 3차원 형상을 제작하는 장치로서, 1980년대 미국의 한 회사에서 플라스틱 액체를 굳혀 입체 물품을 만들어내는 프린터를 시초로 하여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3D 프린터와 관련된 높은 생산 비용 및 지적재산권 등의 이유로 항공이나 자동차 산업 등에서 시제품을 만드는 용도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몇 년 사이에 3D 프린터를 제작하는 비용이 급격히 떨어지고 지적재산권의 행사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본격적으로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3D 프린터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방식,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등이 있다. FDM 방식의 3D 프린터는 필라멘트를 고온에서 녹여 노즐 구멍을 통해 필라멘트를 짜내고 적층하여 형상을 만드는 방식으로, 구조와 프로그램이 간단하고 장비의 가격과 유지보수 비용이 낮은 장점이 있으나, 층층이 쌓은 형태가 그대로 드러나 마감 품질이 떨어지고 적층 방향으로 강도가 약하며 제작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SLS 방식은 분말 형태의 재료를 특정 부분만 선택적으로 가열하여 굳어지도록 하고 분말 내의 받침대가 이동하여 출력물을 층층이 쌓아가는 방식으로, 분말을 재료로 사용하여 지지 구조가 불필요하며 이로 인해 설계가 자유로운 장점이 있으나, 비교적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장비가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SLA 방식의 3D 프린터는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이용하여 액체 수지 내에서 받침대가 이동하며 경화된 수지의 층을 한층 한층 쌓아가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적층 속도와 정밀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나, 서포터 생성시간이 부가적으로 들어가며 재료, 장비 및 유지보수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다. DLP 방식은 레진이 담긴 수조에 UV 광원을 비춰 레진을 경화시켜 출력물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면 단위 조형을 하기 때문에 비교적 조형 속도가 빠르고 정밀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나, 제작 가능한 조형물의 크기가 제한적이고 레진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16-0128963호("광 조형 방식 3D 프린터의 적층방법", 2016.11.08)에는 SLA 방식, DLP 방식의 3D 프린터 기술이 잘 개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여러 방식들 중 DLP 방식의 3D 프린터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장단점으로 인하여, 대량생산 공정에는 적합하지 않겠으나, 의료적 보형물 등과 같이 비교적 소형이면서 복잡한 형상의 제작물을 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매우 적합하다. 이에 특히 의료계 등과 같은 실무 현장에서 DLP 방식의 3D 프린터의 사용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DLP 방식의 3D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레진이 담긴 수조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1층씩 쌓아 올려 원하는 형상을 만드는 것으로, 형상을 출력할 때 레진의 온도 변화에 따라 출력물이 Vat 바닥에 붙거나, 출력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미세한 형상이 구현되지 않는 출력 실패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레진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레진이 수용된 수조 바닥에 히팅 장치를 설치하거나, 열풍기를 이용해 레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수조 바닥에 히팅 장치를 설치한 경우, 수조의 바닥면과의 전도로 온도를 올리는 것으로 온도를 올릴 때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열풍기를 설치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대류 작용을 이용해 레진의 온도를 올리는 것으로 레진을 목표 온도롤 올리는 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8606호 ("삼차원 프린터의 내부 온도 유지 장치", 2016.10.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팅 장치를 수조 내부에 넣어 레진을 직접 가열하는 레진 온도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는, 액체 상태의 레진이 수용되는 수조; 제1가이드부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수조의 하부에 설치되며, 액체 상태의 레진이 경화되도록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레진이 3차원 제품의 조형을 위해 상기 조사부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경화되어 한 층씩 적층되고, 한 층씩 적층됨에 따라 상기 제 1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테이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테이지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수조에 수용된 액상 레진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히팅부; 상기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히팅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히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진 온도 유지 장치는, 상기 수조에 수용된 레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히팅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진 온도 유지 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팅부는, 복수 개의 단위 히팅부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 상기 단위 히팅부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 받은 값에 따라 상기 단위 히팅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위 히팅부의 On/Off를 제어하며, 상기 히팅부가 상기 수조에 수용된 레진과 접촉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히팅부의 상하 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D 프린터의 레진 온도 유지 방법은, 상기 수조에 설치된 온도 센서가 레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단계; 상기 제어부가 기준 온도와 상기 온도 센서가 측정한 레진의 온도를 비교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된 상기 히팅부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팅부는, 복수 개의 단위 히팅부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단위 히팅부의 On/Off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3D 프린터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는, 수조에 수용된 레진을 히팅 장치가 직접 가열하기 때문에 레진의 온도를 빠르게 올릴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도 센서가 더 설치되어 레진이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레진의 온도에 따라 히팅 장치의 On/Off가 자동으로 제어되어 레진의 온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작동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히팅부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확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를 이용한 온도 유지 방법 순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200)에 액체 상태의 레진이 수용되어 있으며, 수조(200)의 하부에는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사부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액체 상태의 레진이 경화되어 3차원 제품이 조형되며, 제품은 스테이지(130)에 액체 상태의 레진이 조사부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경화되어 한 층씩 적층되어 제품(W)이 조형된다.
스테이지(130)는 몸체(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품(W)이 적층됨에 따라 스테이지(130)가 위로 이동한다. 이때, 몸체(100)에는 스테이지(1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가이드부(110)가 몸체(10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테이지(130)는 제품(W)이 한 층씩 적층됨에 따라 제1가이드부(110)를 따라 위로 이동한다.
제품(W)을 조형하기 위해서는 수조(200)에 수용된 액상 레진의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종래에는 별도의 열풍기를 설치하여 레진에 열을 가했으나 시간이 오래 걸려 효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조(200)의 외면에 히팅 장치를 설치하여 레진을 가열하는 방법도 있었지만 전도를 통해 열이 전달되어 가열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레진의 온도를 균일하도록 가열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조(200)에 수용된 레진에 히팅부(150)가 직접 담김 가능하도록 해 레진과 직접 접촉하여 레진을 빠르게 가열할 수 있는 레진 온도 유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히팅부(15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수조(200)에 수용된 레진에 담겨져 레진을 직접 가열하여 레진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히팅부(150)는 별도의 고정부(14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부(140)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몸체(100)는 높이 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부(120)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140)는 제2가이드부(120)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해, 몸체(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140)가 제2가이드부(120)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고정부(140)에 히팅부(15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부(140)가 제2가이드부(120)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히팅부(150) 또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부(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테이지(130)와는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에 형성된 제1가이드부(11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테이지(130)와 몸체(100)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12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140)에 결합된 히팅부(150)는 수조(200)에 일부 담겨 있다.
히팅부(150)는 스테이지(130)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여 히팅부(150)가 레진에 잠긴 상태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작동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130)에 제품(W)이 조형되고 있으며, 히팅부(150)는 제품(W)의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잠기는 것이 적절하다.
제품(W)의 끝단은 조사부로부터 광이 조사됐을 때 레진이 경화되어 한 층 적층될 면으로 수조(200)에 수용된 레진을 전체적으로 가열하지 않더라도 제품(W)의 적층이 일어나는 면에 위치한 레진이 가장 빠르게 가열되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레진을 가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품(W)이 한 층씩 적층됨에 따라 스테이지(130)는 제1가이드부(110)를 따라 위로 이동하며, 히팅부(150) 또한 제품(W)의 위치를 따라 위로 이동할 수도 있고, 제품(W)이 적층됨에 따라 줄어드는 레진에 잠길 수 있도록 아래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히팅부(150)는 고정부(140)에 결합되어 고정부(140)가 제2가이드부(120)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스테이지(130)의 이동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히팅부(150)는 별도의 제어부(300)에 의해 ON/OFF 및 상하 이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히팅부의 제어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온도 센서(210), 히팅부(150) 및 제어부(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온도 센서(210)가 측정한 값을 제어부(300)에서 수신받고, 온도 센서(210)가 측정한 값을 바탕으로 제어부(300)가 히팅부(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확대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210)는 수조(200) 내벽에 설치되며,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200) 내벽에 설치된 온도 센서(210)는 레진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300)에 측정 값을 송신하고, 제어부(300)는 측정된 레진의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히팅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히팅부(150)의 On/Off를 제어하며, 히팅부(15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 온도 센서(210)가 수조(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3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상, 중, 하로 구분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 중 구역의 레진의 온도는 적절한 반면, 하 구역의 레진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 제어부(300)가 히팅부(150)를 더 아래로 내려 하 구역을 집중적으로 가열하여 선택적으로 레진을 가열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히팅부 확대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부(150)는 복수 개의 단위 히팅부(151)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각각의 단위 히팅부(151)는 제어부(300)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위 히팅부(151)마다 저항 값을 달리 하여 전원이 공급됐을 때 각각의 단위 히팅부(151)의 최대 온도가 차이가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는 각각 제어되는 단위 히팅부(151)에 의해 정확도 높은 온도 제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 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의 확대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40)의 일측에는 회전부(160)가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부(160) 또한 수조(200)에 수용된 레진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160)는 레진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을 통해 액체 상태의 레진에 와류를 생성하여 수조(200)에 수용된 레진의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부(160)의 작동 주기는 작업자가 미리 설정하여 일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거나, 사용자가 외부에서 작동 신호를 송신했을 때만 작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진 온도 유지 장치를 이용한 온도 유지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200)에 설치된 온도 센서(210)가 레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단계(S100)가 먼저 진행된다.
온도 측정 단계(S100)에서 온도 센서(210)로부터 측정된 레진의 온도 값은 제어부(300)로 송신되며, 제어부(300)가 온도 측정 단계(S100)에서 측정된 레진의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는 판단 단계(S200)가 진행된다.
판단 단계(S200) 이후, 판단 단계(S200)의 결과에 따라 제어부(300)가 히팅부(150)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S300)가 진행된다.
판단 단계(S200)에서 온도 측정 단계(S100)에서 측정된 레진의 온도 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같거나 높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300)는 히팅부(15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판단 단계(S200)에서 온도 측정 단계(S100)에서 측정된 레진의 온도 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300)는 히팅부(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히팅부(150)는 복수 개의 단위 히팅부(151)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단위 히팅부(151)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히팅부(150)를 상하로 이동시켜 히팅부(150)가 잠기는 깊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이 필요한 구역에 위치한 레진을 국부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몸체
110 제1가이드부
120 제2가이드부
130 스테이지
150 히팅부
151 단위 히팅부
140 고정부
160 회전부
200 수조
210 온도 센서
300 제어부
W 제품

Claims (10)

  1. 액체 상태의 레진이 수용되는 수조;
    제1가이드부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수조의 하부에 설치되며, 액체 상태의 레진이 경화되도록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레진이 3차원 제품의 조형을 위해 상기 조사부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경화되어 한 층씩 적층되고, 한 층씩 적층됨에 따라 상기 제 1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테이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테이지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수조에 수용된 액상 레진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히팅부;
    상기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히팅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히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온도 유지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온도 유지 장치는,
    상기 수조에 수용된 레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히팅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온도 유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온도 유지 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온도 유지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복수 개의 단위 히팅부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 상기 단위 히팅부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온도 유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 받은 값에 따라 상기 단위 히팅부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온도 유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위 히팅부의 On/Off를 제어하며, 상기 히팅부가 상기 수조에 수용된 레진과 접촉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히팅부의 상하 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온도 유지 장치.
  8. 제 1항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를 이용한 레진 온도 유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설치된 온도 센서가 레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단계;
    상기 제어부가 기준 온도와 상기 온도 센서가 측정한 레진의 온도를 비교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된 상기 히팅부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온도 유지 장치를 이용한 레진 온도 유지 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복수 개의 단위 히팅부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단위 히팅부의 On/Off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진 온도 유지 방법.
KR1020180133616A 2018-11-02 2018-11-02 3d 프린터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 KR101966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16A KR101966829B1 (ko) 2018-11-02 2018-11-02 3d 프린터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16A KR101966829B1 (ko) 2018-11-02 2018-11-02 3d 프린터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829B1 true KR101966829B1 (ko) 2019-04-08

Family

ID=6616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616A KR101966829B1 (ko) 2018-11-02 2018-11-02 3d 프린터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8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099B1 (ko) 2021-01-13 2021-08-05 안형찬 순환식 레진 자외선 필터 세척장치
KR20210096866A (ko) 2020-01-29 2021-08-06 주식회사 덴티스 3d 프린팅 장치
WO2021235654A1 (ko) * 2020-05-19 2021-11-25 주식회사 메디팹 펠티에 소자와 히터를 사용하는 3d 프린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020015U (zh) * 2014-09-01 2014-12-17 温州造梦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机的树脂槽
KR20160118606A (ko) 2015-04-02 2016-10-12 (주)하이비젼시스템 삼차원 프린터의 내부 온도 유지 장치
US20180133955A1 (en) * 2016-11-14 2018-05-17 Desktop Metal, Inc. Controlling light penetration for stereolithographic manufacturing of dense objec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020015U (zh) * 2014-09-01 2014-12-17 温州造梦科技有限公司 一种3d打印机的树脂槽
KR20160118606A (ko) 2015-04-02 2016-10-12 (주)하이비젼시스템 삼차원 프린터의 내부 온도 유지 장치
US20180133955A1 (en) * 2016-11-14 2018-05-17 Desktop Metal, Inc. Controlling light penetration for stereolithographic manufacturing of dense objec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866A (ko) 2020-01-29 2021-08-06 주식회사 덴티스 3d 프린팅 장치
WO2021235654A1 (ko) * 2020-05-19 2021-11-25 주식회사 메디팹 펠티에 소자와 히터를 사용하는 3d 프린터
KR102286099B1 (ko) 2021-01-13 2021-08-05 안형찬 순환식 레진 자외선 필터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829B1 (ko) 3d 프린터의 레진 온도 유지 장치
US201600963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objects utilizing three-dimensional printing
AU2019201593C1 (en) 3D printing using spiral buildup
JP4856762B2 (ja) 粉末状造形材料用の塗工装置を用いて3次元物体を製造する装置及び方法
JP3955556B2 (ja) 三次元物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EP3345735B1 (en) Method of printing on a 3d jet printer
KR101978996B1 (ko) 서포터 최소화를 위한 3d프린터
KR20190118197A (ko) 볼류메트릭 3d 인쇄의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10265941B2 (en) Heated air system for 3D printer
CN108248024B (zh) 用于三维物体的生产性制造的方法和装置
JP7127122B2 (ja) 三次元成形体のリソグラフィベースの積層造形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21503398A (ja) 三次元物体の製造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200055242A1 (en) Curing device
KR102234197B1 (ko) 적층식 광조형 장치
JP2013022965A (ja) 三次元の物体を層状に製造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及びモールド
US20220402209A1 (en) 3d printer with advantageous irradiation device, and method
CN212046009U (zh) 一种3d打印浆料的加热装置
KR102476579B1 (ko) 3차원 프린터
KR20190050732A (ko) 광경화를 촉진할 수 있는 3d 프린터용 레진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JP2000025118A (ja) 立体造形装置、立体造形方法及び立体造形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21142695A (ja) 三次元造形装置
KR102348367B1 (ko) 정밀 작업이 가능한 3d 프린팅 복합 시스템
WO2022194682A1 (en)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with build material control and apparatus
KR102033459B1 (ko) 3d 프린터
KR20170048975A (ko) 연속 레이저 조형이 가능한 레이저 신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