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613B1 -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613B1
KR101966613B1 KR1020120103603A KR20120103603A KR101966613B1 KR 101966613 B1 KR101966613 B1 KR 101966613B1 KR 1020120103603 A KR1020120103603 A KR 1020120103603A KR 20120103603 A KR20120103603 A KR 20120103603A KR 101966613 B1 KR101966613 B1 KR 101966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piston
housing
partition wall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902A (ko
Inventor
차면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6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24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with pressure-varying means, e.g. with two stage operation provided by use of different piston diameters including continuous variation from one diameter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1Electric switches operable by the driver's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0Tandem, side-by-side, or other multiple master cylind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2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being integral with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저장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페달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되어 유체를 가압하는 제1피스톤부와, 제1피스톤부를 지지하고 제1피스톤부에 의해 이동되어 유체를 가압하는 제2피스톤부와,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자성을 가지며 제2피스톤부를 지지하는 자석부 및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자석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자석부의 조립성을 개선하고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BRAKE DEVICE FOR BRAKE LAMP}
본 발명은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의 양측으로 스프링이 배치되어 자석을 지지하는 부품개수를 줄여줌으로써, 비접촉식 브레이크 램프 스위치의 하중을 경감시키는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램프의 점등을 위한 스위치에는 접촉식과 비접촉식이 있다.
접촉식 스위치는 운전자가 페달을 밟으면 페달과 접촉되어 램프에 점등 신호를 전송한다.
비접촉식 스위치는 마스터실린더에 자석이 설치되고, 페달 가압시 자석이 이동됨을 감지한 스위치가 램프에 점등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8-0008806호(2008.01.24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자기조절형 브레이크 스위치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접촉식 스위치는 외부에 노출되고 페달과 직접 접촉되므로, 소음이 발생하고, 파손 및 마모로 인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비접촉식 스위치는 자석의 충격 흡수를 위해 스프링이 포함되고, 자석 고정을 위한 스토퍼 및 와셔가 포함되므로, 조립 부품수가 증가하고, 스프링 하중관리가 어려워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 쌍의 스프링이 자석을 지지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는 유체가 저장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페달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되어 유체를 가압하는 제1피스톤부; 상기 제1피스톤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피스톤부에 의해 이동되어 유체를 가압하는 제2피스톤부;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자성을 가지며, 상기 제2피스톤부를 지지하는 자석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피스톤부는 상기 제1피스톤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자석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부가 타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는 제2피스톤몸체; 및 상기 제2삽입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피스톤몸체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2탄성체에 삽입되는 설치몸체; 상기 설치몸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탄성체를 지지하는 걸림판; 상기 설치몸체를 감싸고, 상기 걸림판에 인접되며, 자성을 갖는 자석체; 및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어 상기 자석체를 탄성 지지하는 자석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부는 상기 자석탄성체와 상기 자석체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부는 상기 설치몸체와 상기 격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체는 상기 설치몸체의 내측에 걸림 고정되는 확장판; 상기 확장판에 연결되고, 상기 설치몸체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격벽홈에 삽입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와셔; 및 상기 격벽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와셔를 지지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는 하우징부에 자석부, 제2피스톤부 및 제1피스톤부가 순서대로 조립됨으로써, 자석부의 조립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는 자석탄성체와 자석체 사이에 와셔가 배치되어 자석체에 균일한 힘이 전달되므로, 자석체의 유동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는 연결체가 자석부와 제2피스톤부를 연결하여, 자석부의 유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는 운전자가 페달을 밟을 경우 제2피스톤부가 먼저 이동되어 자석부를 이동시켜 줌으로써, 브레이크 램프가 신속하게 점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에서 자석부와 제2피스톤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에서 자석부와 제2피스톤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에서 자석부와 제2피스톤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에서 자석부와 제2피스톤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1)에는 하우징부(10), 제1피스톤부(20), 제2피스톤부(30), 자석부(40) 및 감지부(50)가 구비된다.
하우징부(10)에는 유체가 저장된다. 이러한 하우징부(10)의 일측에는 부스터가 장착되고, 페달의 가압력에 따라 모터가 구동되면 부스터가 작동된다.
제1피스톤부(20)는 하우징부(10)에 내장된다. 이러한 제1피스톤부(20)는 부스터에 의해 가압된다. 그 외, 페달의 가압력에 의해 보조피스톤의 유압이 증폭되어 제1피스톤부(20)가 가압될 수 있다.
제2피스톤부(30)는 하우징부(10)에 내장되고 제1피스톤부(20)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2피스톤부(30)는 제1피스톤부(20)에 의해 이동되어 유체를 가압한다.
자석부(40)는 하우징부(10)에 내장된다. 이러한 자석부(40)는 자성을 가지며, 제2피스톤부(30)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10)의 우측에는 제1피스톤부(20)가 위치되고, 하우징부(10)의 좌측에는 자석부(40)가 위치되며, 제2피스톤부(30)가 제1피스톤부(20)와 자석부(40) 사이에 배치된다.
감지부(50)는 하우징부(10)에 설치된다. 이러한 감지부(50)는 하우징부(10)를 감싸며, 자성을 감지하여 브레이크 램프(100)에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용 페달을 밟으면 제1피스톤부(20)와 제2피스톤부(30)가 이동되어 차량의 제동이 이루어지고, 자석부(40)의 이동을 감지한 감지부(50)가 브레이크 램프(100)에 신호를 전송하면 브레이크 램프가 점등된다.
이때, 하우징부(10)에 연결된 유압관이 전륜과 후륜에 결합되고, 하우징부(10)에서 배출되는 유압이 전륜과 후륜에 도달되어 차량의 제동이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피스톤부(20)에는 제1피스톤몸체(21) 및 제1탄성체(22)가 구비된다.
제1피스톤몸체(21)는 페달과 연결되고, 제1탄성체(22)는 제2피스톤부(30)와 제1피스톤몸체(21) 사이에 위치되어 제1피스톤몸체(21)를 탄성 지지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피스톤부(30)에는 제2피스톤몸체(31) 및 제2탄성체(32)가 구비된다.
제2피스톤몸체(31)는 일단부에 제1삽입홈부(3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삽입홈부(312)가 형성되도록 관형상을 하며, 내부에 격벽(313)이 형성되어 제1삽입홈부(311)와 제2삽입홈부(312)를 구획한다.
제1삽입홈부(311)는 제1피스톤부(20)와 인접되어 제1탄성체(22)가 삽입되고, 제2삽입홈부(312)는 자석부(40)와 인접된다.
제2탄성체(32)는 제2삽입홈부(312)에 삽입되어 제2피스톤몸체(31)를 탄성 지지한다. 즉, 제2탄성체(32)의 일단부는 제2삽입홈부(312)에 삽입되어 제2피스톤몸체(31)를 지지하고, 제2탄성체(32)의 타단부는 자석부(40)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부(40)에는 설치몸체(41), 걸림판(42), 자석체(43) 및 자석탄성체(44)가 구비된다.
설치몸체(41)는 하우징부(10)에 내장되고, 제2탄성체(32)의 타단부에 삽입된다.
걸림판(42)은 설치몸체(41)의 외측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판(42)은 제2탄성체(32)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걸림판(42)은 원띠 형상을 한다.
자석체(43)는 설치몸체(41)를 감싸도록 원띠 형상을 하고, 걸림판(42)에 인접된다. 예를 들어, 걸림판(42)의 일측은 제2탄성체(32)를 지지하고, 걸림판(42)의 타측은 자석체(43)를 지지한다.
자석탄성체(44)는 하우징부(10)에 내장되어 자석체(43)를 탄성 지지한다. 예를 들어, 자석탄성체(44)는 설치몸체(41)를 감싸는 형상을 하되, 자석탄성체(44)의 일단부는 자석체(43)를 지지하고, 자석탄성체(44)의 타단부는 하우징부(10)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부(40)에는 와셔(45)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와셔는 자석탄성체(44)와 자석체(43) 사이에 배치된다.
와셔(45)는 자석탄성체(44)의 탄성력을 자석체(43)에 골고루 전달하므로, 자석체(43)는 걸림판(42)에 밀착되어 유동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부(40)에는 연결체(46)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체(46)는 설치몸체(41)와 격벽(313)을 연결하여 자석부(40)의 이탈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체(46)에는 확장판(461), 연결바(462), 연결와셔(463) 및 플레이트(464)가 구비된다.
확장판(461)은 설치몸체(41)의 내측에 걸림 고정된다. 이를 위해 설치몸체(41)의 일단부에는 관통홀(411)이 형성되고, 확장판(461)의 외경은 관통홀(411)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다.
연결바(462)는 확장판(461)에 타단부가 연결되고 관통홀(411)을 관통하여 제2삽입홈부(312)로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바(462)의 일단부는 격벽(313)에 형성되는 격벽홈(313a)에 삽입된다.
연결와셔(463)는 연결바(462)의 단부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연결와셔(463)는 연결바(462)의 일단부에 리베팅(riveting)되고, 격벽홈(313a)에 삽입된다.
플레이트(464)는 격벽(313)에 결합되고, 연결와셔(463)를 지지한다. 즉, 플레이트(464)는 격벽(313)의 외측에 결합되되, 중앙부에는 연결바(462)가 관통되기 위한 통과홀(464a)이 형성된다.
통과홀(464a)의 직경은 연결바(462)의 외경보다는 길고, 연결와셔(463)의 외경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플레이트(464)에 연결와셔(463)가 걸림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부(10)에 자석부(40), 제2피스톤부(30) 및 제1피스톤부(20)가 순서대로 삽입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자석부(40)는 자석탄성체(44), 와셔(45), 자석체(43) 및 설치몸체(41)가 순서대로 삽입되어 조립이 완료되고, 설치몸체(41)에 형성되는 걸림판(42)에 제2탄성체(32)가 밀착된다.
그리고, 설치몸체(41)를 관통한 연결체(46)는 일단부가 제2피스톤부(3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설치몸체(41)에 연결된다.
자석체(43)는 양측으로 배치되는 자석탄성체(44) 및 제2탄성체(32)에 의해 고정되고, 자석탄성체(44)와 제2탄성체(32)의 수축 또는 복원력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을 밟으면, 제2탄성체(32)와 제1탄성체(22)의 강도차에 의해 제2피스톤부(30)가 이동되어 유체를 압박하고, 페달의 가압력에 의해 제1피스톤부(20)가 이동되어 유체를 압박한다.
제1피스톤부(20) 및 제2피스톤부(30)에 의해 증폭된 유압은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에 도달되어 차량의 제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운전자가 페달을 밟아 제2피스톤부(30)가 이동되면, 제2피스톤부(30)의 가압력에 의해 자석탄성체(44)가 수축되면서 자석체(43)가 이동된다.
그리고, 감지부(50)는 자석체(43)의 이동을 감지하여 브레이크 램프(100)에 점등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2탄성체(32)와 제1탄성체(22)의 강도차에 의해 제2피스톤부(30)가 먼저 이동되면서 자석부(40)를 가압하면, 자석체(43)가 이동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페달을 밟으면 감지부(50)가 자석체(43)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브레이크 램프(100)의 점등 지연을 해소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부 20 : 제1피스톤부
21 : 제1피스톤몸체 22 : 제1탄성체
30 : 제2피스톤부 31 : 제2피스톤몸체
32 : 제2탄성체 40 : 자석부
41 : 설치몸체 42 : 걸림판
43 : 자석체 44 : 자석탄성체
45 : 와셔 46 : 연결체
50 : 감지부 100 : 브레이크 램프

Claims (6)

  1. 유체가 저장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페달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되어 유체를 가압하는 제1피스톤부;
    상기 제1피스톤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피스톤부에 의해 이동되어 유체를 가압하는 제2피스톤부;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자성을 가지며, 상기 제2피스톤부를 지지하는 자석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피스톤부는
    상기 제1피스톤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자석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부가 타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는 제2피스톤몸체; 및
    상기 제2삽입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피스톤몸체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자석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2탄성체에 삽입되는 설치몸체;
    상기 설치몸체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탄성체를 지지하는 걸림판;
    상기 설치몸체를 감싸고, 상기 걸림판에 인접되며, 자성을 갖는 자석체;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어 상기 자석체를 탄성 지지하는 자석탄성체;
    상기 자석탄성체와 상기 자석체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 및
    상기 설치몸체와 상기 격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설치몸체의 내측에 걸림 고정되는 확장판;
    상기 확장판에 연결되고, 상기 설치몸체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격벽홈에 삽입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와셔; 및
    상기 격벽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와셔를 지지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103603A 2012-09-18 2012-09-18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 KR101966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603A KR101966613B1 (ko) 2012-09-18 2012-09-18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603A KR101966613B1 (ko) 2012-09-18 2012-09-18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902A KR20140036902A (ko) 2014-03-26
KR101966613B1 true KR101966613B1 (ko) 2019-04-08

Family

ID=5064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603A KR101966613B1 (ko) 2012-09-18 2012-09-18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6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4004578D1 (de) * 2003-04-07 2007-09-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position und bewegung eines bremsped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902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1634B2 (en) Brake master cylinder for stably detecting magnetic flux density
JP6138952B2 (ja) 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用のブレーキ倍力装置、および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用のブレーキ倍力装置の製造法
KR101966613B1 (ko)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
KR102494459B1 (ko) 캘리퍼 브레이크 장치
KR101945745B1 (ko) 브레이크 램프용 제동장치
KR101952096B1 (ko)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KR101560622B1 (ko) 마스터실린더
KR20170083288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70137318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1859935B1 (ko) 브레이크용 마스터 실린더
JP5694319B2 (ja) 特に制御付自動車ブレーキシステム用マスターシリンダ
KR102394154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액압 발생 장치
KR101702844B1 (ko)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KR101913610B1 (ko) 제동 감지 센서
KR102404349B1 (ko) 마스터 실린더
KR100628354B1 (ko) 자동차의 디스크브레이크 구조
CN210478667U (zh) 电子制动助力器和具有它的车辆
KR20210062945A (ko) 브레이크 페달의 변위 감지장치
KR101888453B1 (ko) 브레이크 장치
KR20150051365A (ko) 페달시뮬레이터
KR20150128273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2334102B1 (ko) 배력장치의 진동 완화 구조
KR20140056480A (ko) Bls 내장형 마스터 실린더
KR102035353B1 (ko) 차량용 마스터실린더
KR20180076217A (ko) 브레이크 부스터용 푸시 로드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