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470B1 - 입구 지점으로부터 출구 지점으로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출입구 - Google Patents

입구 지점으로부터 출구 지점으로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출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470B1
KR101966470B1 KR1020137028030A KR20137028030A KR101966470B1 KR 101966470 B1 KR101966470 B1 KR 101966470B1 KR 1020137028030 A KR1020137028030 A KR 1020137028030A KR 20137028030 A KR20137028030 A KR 20137028030A KR 101966470 B1 KR101966470 B1 KR 10196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elements
flexible
band
wall
flexibl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848A (ko
Inventor
데 바터 닐스 판
Original Assignee
로얄 분 에담 인터내셔널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얄 분 에담 인터내셔널 비.브이. filed Critical 로얄 분 에담 인터내셔널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40022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8Turnstiles; Gates for control of entry or exit of persons, e.g. in supermar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8Turnstiles; Gates for control of entry or exit of persons, e.g. in supermarkets
    • E06B11/085Turnstiles; Gates for control of entry or exit of persons, e.g. in supermarkets non-rotary or with a limited angle of rotation, e.g. 90°

Abstract

입구 지점으로부터 출구 지점으로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출입구는, 2개의 벽 요소를 포함하여 상기 2개의 벽 요소 사이의 내부에 복도를 한정하도록 하고, 그리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구비하는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 또는 요소들을 포함하며, 그로 인해 개방 위치에서 입구 지점과 출구 지점 사이의 복도가 자유로운 통로로 제공되며, 그리고 그로 인해 폐쇄 위치에서 통로가 폐쇄되고 입구 지점으로부터 출구 지점으로의 통과가 방지되며, 여기서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 또는 요소들은, 벽 요소 내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벽 요소 외부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로서 실시되고, 그로 인해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가 실질적으로 직선형이 되고 벽 요소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그리고 그로 인해 폐쇄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가 통로를 폐쇄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벽 요소 외부로 다른 벽 요소를 향해 연장되도록 굽혀진다.

Description

입구 지점으로부터 출구 지점으로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출입구{GATEWAY FOR PROVIDING CONTROLLED ACCESS FROM AN ENTRANCE POINT TO AN EXIT POINT}
본 발명은, 2개의 벽 요소를 포함하여 2개의 벽 요소 사이에 복도를 한정하도록 하고,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를 가지는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 또는 요소들을 포함하여, 개방 위치에서 입구 지점과 출구 지점 사이의 복도가 자유로운 통로로 제공되도록 하고, 폐쇄 위치에서 복도가 폐쇄되고 입구 지점으로부터 출구 지점으로의 통과가 방지되도록 하는, 입구 지점으로부터 출구 지점으로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출입구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알려진 그러한 출입구는, 출구 지점 뒤의 특정 공간으로의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지하철 또는 공항 시설에서 사용된다. 출입구를 통과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람에 대한 허가의 확인을 위해 제공되는 카드 리더기 또는 다른 수단과 함께 그러한 출입구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그러한 허가 수단이 없는 출입구를 적용하는 것 또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공항에 있는 공지의 출입구는 승객들이 입구 지점으로부터 출구 지점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사용되지만, 승객들이 출구 지점으로부터 되돌아 입구 지점으로 다시 가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공지의 출입구의 벽 요소들은 브러쉬로 표면처리한 알루미늄(brushed aluminium)으로 제조되는 것에 반해,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 또는 요소들은 공지의 출입구에 높은 기술적 느낌을 주는, 강화 유리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태학적 측면에서 더 작은 점유 공간을 고려하는 대안적인 출입구를 개발하고 제안하는 것이며, 나아가 더 많은 사람의 측정이 이루어지는 그러한 출입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남성에 대한 호소력(male appeal)보다 더 큰 여성에 대한 호소력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한 출입구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충하는 요건들이, 첨부되는 하나 이상의 특허청구범위의 특징들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에서 적절하게 만족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출입구는,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 또는 요소들이, 하나의 벽 요소의 내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벽 요소 외부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flexible band)로서 실시되어, 그로 인해 개방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가 실질적으로 직선형을 이루고 그 벽 요소 내부에 위치하며, 그로 인해 폐쇄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가 통로를 폐쇄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벽 요소 외부에서 다른 벽 요소를 향해 연장되도록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독창적인 설계는 유리 패널들이 통로 내부 또는 외부로 움직이는 것에 따르는 기존의 기술과 근본적으로 단절된다. 본 발명의 설계에서, 통로를 막거나 개방하는 것은 선천적으로 친근한 모습을 가지는 유연성 밴드 또는 밴드들이다. 밴드들의 유연성은 본 발명의 도어가 사용에 안전하다는 주목할 만한 장점을 제공한다. 만약 사람이 유연성 밴드들 사이에, 또는 유연성 밴드와 벽 요소 사이에 붙잡히게 된다 하더라도, 상처 입을 위험이 사실상 없다.
의심 회피를 위해, 벽 요소들 중 하나는 (벽돌) 벽 또는 심지어 펜스일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하게 지적된다. 대칭적 설계의 2개의 벽 요소가 사용되는 경우에, 이하에서 논의될 것으로서 비록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각 벽 요소가 유연성 밴드와 함께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하게, 본 발명의 출입구는, 밴드가 그의 끝단들에서 밴드의 제1 홀더(8)와 제2 홀더(9) 사이에 매달리는, 특징을 갖도록 제공되며, 그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홀더가, 벽 요소 내부의 그의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벽 요소의 외부로 연장되는 위치까지 상기 홀더들 사이에 매달리는 밴드를 밖으로 휘게 하기 위해, 상기 홀더들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도록 움직일 수 있다. 누군가 이러한 참신한 생각의 실현을 상상할 때, 처음 실제로 실행된 것을 확인하기까지 마음에 품기 어렵다.
바람직하게, 출입구는 제1 홀더 및 제2 홀더 모두가 서로 앞뒤로 움직임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의 출입구는 실제로 제1 홀더 및/또는 제2 홀더가 구동 모터에 연결되도록 실시될 수 있고, 그의 작동은 복도를 통과하고 입구 지점에서 출구 지점으로 가기 위한 사람에 대한 허가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기기에 의존한다.
주변 환경에 의존하여,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 또는 요소들이 최대량의 보안(security)을 제공하기 위해 기본 설정 위치로서 폐쇄 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한 관계에서, 또한 유연성 밴드는 모터의 동력이 중단될 때 밴드를 폐쇄 위치로 강제하기 위해 스프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또 다른 장점은, 유연성 밴드(들)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움직이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며, 스프링은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 또는 요소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동력을 감소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 또는 요소들은 기본 설정 위치로서 개방 위치를 구비하며, 그로 인해 복도를 통과하기 위한 사람에 대한 허가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기기가 있고,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 또는 요소들은, 입력기기가 복도를 통과하기 위한 사람에 대한 허가 결여를 결정할 때, 폐쇄 위치로 움직이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상태는 본 발명의 출입구의 장점들 중 하나를 보여준다. 밴드들의 유연성은, 사람이 유연성 밴드들 사이에 또는 유연성 밴드와 벽 사이에 붙잡힘에 따라, 유연성 밴드들에 의한 복도의 폐쇄가 사람이 상처 입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출입구는 2개의 유연성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유연성 밴드 중 첫 번째 밴드는 제1 벽 요소에 수용되고, 상기 2개의 유연성 밴드 중 2번째 밴드는 제2 벽 요소에 수용되며, 그로 인해 제1 벽 요소 및 제2 벽 요소가 함께 복도를 한정한다. 이는 본 발명의 출입구를 완전히 대칭으로 설계하고 작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2개의 유연성 밴드가, 둘 중 하나가 주 장치가 되고 다른 하나가 종속 장치가 되어, 공동으로 작동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고 추가적인 설명을 요구하지 않는, 전자 수단에 의해 쉽게 실행될 수 있다. 보다 유익하게, 출입구는, 개방 위치에서 유연성 밴드들 모두 실질적으로 그들의 개별적인 벽 요소에 수용되고, 폐쇄 위치에서 유연성 밴드들 모두 서로 인접 또는 거의 인접하는 복도의 중앙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양태에 따르면, 벽 요소(들)는 슬릿(slit)을 갖도록 제공되며, 이 슬릿은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가 벽 요소 내부로부터 그 벽 요소 외부로 적어도 일부분 움직일 때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허용하고, 이 슬릿은 유연성 밴드와 벽 요소 사이에 사람의 팔다리가 붙잡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연성 커버를 갖도록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벽 요소(들)는, 어떤 유연성 밴드 및 벽 요소 사이에서도 사람의 팔다리의 붙잡힘이 방지되도록, 직선형의 위치에서 유연성 밴드와 함께 배열하기 위한 유연성 밴드(들) 뒤쪽의 홈 또는 홈들을 갖도록 제공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의 대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출입구의 부분으로서 그러나 출입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된 유연성 밴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적용될 때는 언제나, 이러한 부호들이 동일한 구성요소를 참조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출입구는 참조 부호 1로 지시된다. 출입구(1)는 입구 지점(2)으로부터 출구 지점(3)으로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며, 2개의 벽 요소(4, 5)를 포함하여, 상기 2개의 벽 요소(4, 5) 사이의 내부에 복도(6)가 한정된다.
출입구(1)는,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를 구비하는,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 또는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요소들(7)을 더 포함한다. 개방 위치에서, 입구 지점(2)과 출구 지점(3) 사이의 복도(6)는 자유로운 통로로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 위치에서, 복도(6)는 폐쇄되고 입구 지점(2)으로부터 출구 지점(3)으로의 통과가 방지된다.
도 1에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고(7)는 유연성 밴드들로서, 바람직하게 스틸 밴드들로서 실시된다. 각각의 유연성 밴드(7)는 벽 요소(4, 5) 내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벽 요소(4, 5) 외부로 움직일 수 있고, 그로 인해 개방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7)가, 도 2A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직선형이 된다. 이러한 직선형의 상태에서, 관련된 유연성 밴드(7)는 그의 대응하는 벽 요소(4, 5)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폐쇄 위치에서, 반대로 유연성 밴드(7)는 통로를 제공하는 복도를 폐쇄하기 위해 그들 각각의 벽 요소(4, 5)의 외부로 다른 벽 요소(5, 4)를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굽혀진다.
도 2는, 밴드(7)가 그의 끝단에서 제1 홀더(8)와 제2 홀더(9) 사이에 매달리며, 그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홀더가 상기 홀더들(8, 9) 사이의 거리를 줄이기 위해 움직일 수 있다. 도 2B는 이러한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밴드(7)가 밖으로 굽혀지도록 야기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밴드(7)의 굽힘에 의해, 밴드가 그의 벽 요소(4, 5) 내부의 위치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벽 요소(4, 5) 외부의 위치로 움직일 것이고, 출입구(1)의 복도(6)가 닫힐 것이다.
비록 상기 홀더들(8, 9) 중 단지 하나만 움직일 수 있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1 홀더(8) 및 제2 홀더(9) 모두 서로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저것이 제1 홀더(8) 및/또는 제2 홀더(9)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구동 모터(10)에 연결되도록 배열함에 의해 적절하게 실현될 수 있다. 이때, 오가는 사람들에 대한 허가를 확인할 때, 구동 모터(10)의 작동은 통로를 통과하고 입구 지점(2)으로부터 출구 지점(3)으로 가기 위한 그러한 사람에 대한 허가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기기(미도시)에 의존하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움직일 수 있는 폐쇄 부재(7)는 기본 설정 위치로서 폐쇄 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그러한 목적을 위해 유연성 밴드(7)는 모터(10)의 동력이 중단될 때 밴드를 폐쇄 위치로 강제하기 위해 스프링 장착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이것이 실행될 수 있는 방식은 당업자에 대해 즉시 명백하며, 도면을 참조하는 추가적인 설명을 요구로 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들(7)은 기본 설정 위치로서 개방 위치를 구비하며, 그로 인해 이때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 또는 요소들(7)은, 입력기기(미도시)가 복도(6)를 통과하기 위한 사용자에 대한 허가 결여를 결정할 때,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논의된 실시예가 2개의 유연성 밴드로 실시되고, 상기 2개의 유연성 밴드 중 첫 번째 밴드는 제1 벽 요소(4)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2개의 유연성 밴드(7) 중 2번째 밴드는 제2 벽 요소(5) 내부에 수용되지만, 또한 상기 2개의 벽 요소(4, 5) 중 단지 하나만 유연성 밴드(7)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고, 그러한 상태에서는 유연성 밴드(7)가 전체 복도(6)를 커버하는 것이 가능한 도달 거리를 갖도록 만들어진다.
2개의 유연성 밴드(7)가 적용되는 경우에, 이러한 밴드들(7)은, 둘 중 하나가 주 장치가 되고 다른 하나가 종속 장치가 되어, 공동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논의로부터, 2개의 유연성 밴드(7)는 이때 바람직하게, 개방 위치에서 유연성 밴드들(7) 모두 실질적으로 그들 각각의 벽 요소(4, 5) 내에 수용되고, 폐쇄 위치에서 유연성 밴드들(7) 모두 서로 인접 또는 거의 인접하는 복도(6)의 중앙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된다는 것이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주어지는 것과 같은 보호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의 출입구(10)에 대한 가능한 수많은 변형들이 있다. 예를 들어, 벽 요소(들)(4, 5)가 슬릿을 갖도록 제공되고, 이 슬릿은 벽 요소(4, 5) 내부로부터 적어도 일부분 벽 요소(4, 5)의 외부로 움직일 때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7)가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허용하며, 슬릿은 유연성 밴드(7)와 벽 요소(4, 5) 사이에 사람의 팔다리가 붙잡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연성 커버(미도시)를 갖도록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의 실시예에서 또한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요소(들)(4, 5)는, 어떤 유연성 밴드(7) 및 벽 요소(4, 5) 사이에서도 사람의 팔다리의 붙잡힘이 방지되도록, 직선형의 위치에서 유연성 밴드(7)와 함께 배열하기 위한 유연성 밴드(들)(7) 뒤쪽의 홈(11) 또는 홈들을 갖도록 제공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Claims (12)

  1. 입구 지점(2)으로부터 출구 지점(3)으로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출입구(1)에 있어서,
    2개의 벽 요소(4, 5)를 포함하여 상기 2개의 벽 요소(4, 5) 사이의 내부에 복도(6)를 한정하도록 하고, 그리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7)를 포함하며, 개방 위치에서 입구 지점(2)과 출구 지점(3) 사이의 복도(6)가 자유로운 통로로 제공되며, 그리고 폐쇄 위치에서 통로(6)가 폐쇄되고 입구 지점(2)으로부터 출구 지점(3)으로의 통과가 방지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7)는, 벽 요소(4, 5) 내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벽 요소(4, 5) 외부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7)로서 실시되고,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7)가 직선형이되고 벽 요소(4, 5)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그리고 폐쇄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7)가 상기 통로를 폐쇄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벽 요소(4, 5) 외부로 다른 벽 요소를 향해 연장되도록 굽혀지고,
    상기 유연성 밴드는 그 끝단들에서 밴드(7)의 제1 홀더(8) 및 제2 홀더(9) 사이에 매달리며, 상기 홀더(8, 9)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홀더들 사이에 매달린 밴드(7)를 벽 요소(4, 5) 내부에 있는 그 위치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벽 요소(4, 5) 외부로 연장되는 위치로 밖으로 굽히기 위해, 상기 홀더(8, 9)들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도록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홀더(8) 및 제2 홀더(9) 모두 서로 앞뒤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1 홀더(8) 및 제2 홀더(9) 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 모터(10)에 연결되고, 구동 모터의 작동은, 복도(6)를 통과하고 입구 지점(2)으로부터 출구 지점(3)으로 가기 위한, 사람에 대한 허가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기기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7)는 기본 설정 위치로서 상기 폐쇄 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7)는 기본 설정 위치로서 상기 개방 위치를 구비하고, 복도(6)를 통과하기 위한 사람에 대한 허가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기기가 구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움직일 수 있는 폐쇄 요소(7)는, 상기 입력기기가 복도(6)를 통과하기 위한 사람에 대한 허가가 결여된 것으로 결정할 때, 폐쇄 위치로 움직이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6. 제 3항에 있어서,
    유연성 밴드(7)는, 구동 모터(10)의 동력이 중단될 때 상기 밴드를 폐쇄 위치로 강제하기 위해 스프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2개의 유연성 밴드(7)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유연성 밴드(7) 중 첫 번째 밴드는 제1 벽 요소(4)에 수용되고 상기 2개의 유연성 밴드(7) 중 2번째 밴드는 제2 벽 요소(5)에 수용되며, 제1 벽 요소(4) 및 제2 벽 요소(5)는 함께 복도(6)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유연성 밴드(7)는, 둘 중 하나가 주 장치가 되고 다른 하나가 종속 장치가 되어, 공동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에서 유연성 밴드(7)들 양자 모두는 그 개별적인 벽 요소(4, 5) 내에 수용되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 유연성 밴드(7)들 양자 모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하거나 거의 접하도록 복도(6)의 중앙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벽 요소(4, 5)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슬릿을 갖도록 제공되고, 상기 슬릿은,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7)가 벽 요소(4, 5)의 내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벽 요소(4, 5)의 외부로 움직일 때,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움직일 수 있게 하며, 상기 슬릿에는 사람의 팔다리가 유연성 밴드(7)와 벽 요소(4, 5) 사이에 붙잡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연성 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벽 요소(4, 5)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7) 뒤쪽에 홈(11) 또는 홈들이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유연성 밴드(7)가 직선형인 위치에서 사람의 팔다리를 어떠한 유연성 밴드(7)와 벽 요소(4, 5) 사이에서도 붙잡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홈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12. 삭제
KR1020137028030A 2011-03-24 2012-03-16 입구 지점으로부터 출구 지점으로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출입구 KR101966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06465 2011-03-24
NL2006465A NL2006465C2 (en) 2011-03-24 2011-03-24 Gateway for providing controlled access from an entrance point to an exit point.
PCT/NL2012/050161 WO2012128620A1 (en) 2011-03-24 2012-03-16 Gateway for providing controlled access from an entrance point to an exit p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848A KR20140022848A (ko) 2014-02-25
KR101966470B1 true KR101966470B1 (ko) 2019-04-05

Family

ID=4592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030A KR101966470B1 (ko) 2011-03-24 2012-03-16 입구 지점으로부터 출구 지점으로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출입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595975B2 (ko)
EP (1) EP2689090B1 (ko)
KR (1) KR101966470B1 (ko)
CN (1) CN103443385B (ko)
ES (1) ES2616952T3 (ko)
MY (1) MY171085A (ko)
NL (1) NL2006465C2 (ko)
RU (1) RU2565564C2 (ko)
WO (1) WO20121286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60409S (en) * 2014-07-18 2015-10-19 Thales Comm & Security Sas Automatic access gate
CN108505928A (zh) * 2018-03-30 2018-09-07 广州铁路职业技术学院(广州铁路机械学校) 闸机及其运行方法
ES2869698T3 (es) * 2018-11-28 2021-10-25 Skidata Ag Dispositivo de control de acceso para personas o vehículo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624A (en) * 1879-10-14 Improvement in passenger-gates
DK130153B (da) * 1970-05-13 1974-12-30 Automatisme Cie Gle Apparat til selektiv åbning og lukning af en passage.
JPS5113118Y1 (ko) * 1970-06-09 1976-04-08
CA1107549A (en) * 1978-05-17 1981-08-25 Eric Van Maarion Animal processing system and cutting gate
US4538808A (en) * 1984-03-05 1985-09-03 Holland Hugh H Device for training basketball players to shoot
DE4310295A1 (de) * 1993-03-30 1994-10-06 Tuerautomation Fehraltorf Ag F Karusselltür
US5845692A (en) * 1996-11-18 1998-12-08 Rapor, Inc. Rapid access portal
WO1999064708A1 (en) * 1998-06-08 1999-12-16 Hellman Robert R Jr Controlling flow of persons, animals, or objects
US6185867B1 (en) * 1999-03-26 2001-02-13 Mcguire John Dennis Entrance control device for sequential displacement of a plurality of barriers
DE10142434A1 (de) * 2001-08-31 2003-04-03 Kaba Gallenschuetz Gmbh Antriebs- und Verriegelungsaggregat
US6688555B1 (en) * 2002-07-30 2004-02-10 Philip Kneisl Anti-hijacking system
FR2849519B1 (fr) * 2002-12-31 2005-03-11 Automatic Systems Porte automatisee pour permettre ou interdire l'acces a un espace ou un vehicule de transport, en particulier a une salle d'embarquement ou a un avion
CN201110117Y (zh) * 2007-09-26 2008-09-03 郝福生 一种单向旋转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43385B (zh) 2015-09-16
US8595975B2 (en) 2013-12-03
KR20140022848A (ko) 2014-02-25
MY171085A (en) 2019-09-24
EP2689090A1 (en) 2014-01-29
CN103443385A (zh) 2013-12-11
RU2013147168A (ru) 2015-04-27
EP2689090B1 (en) 2016-11-23
ES2616952T3 (es) 2017-06-14
US20130031838A1 (en) 2013-02-07
WO2012128620A1 (en) 2012-09-27
NL2006465C2 (en) 2012-09-25
RU2565564C2 (ru)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25484T3 (es) Procedimiento para utilizar un sistema de ascensor, sistema de ascensor adecuado para tal procedimiento y procedimiento para el equipamiento ulterior de dicho sistema de ascensor
KR101966470B1 (ko) 입구 지점으로부터 출구 지점으로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출입구
JP2017530918A (ja) 昇降路ドアのロック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シャフト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方法
CA2579175A1 (en) Transportable inspection station for checking individuals and luggage
EP2910448A1 (en) Railroad vehicle and plug door for railroad vehicle
FI123659B (fi) Automaattiovijärjestelmä
EP2910447A1 (en) Railroad vehicle and plug door for railroad vehicle
JP2008063043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332674Y1 (ko) 승강기도어끼임방지장치
JP2012091924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KR101172417B1 (ko) 창문용 록킹장치
CN103863928A (zh) 电梯用出入口装置
KR950007707Y1 (ko) 엘리베이터의 출입분 방범창 차폐장치
CN104540764A (zh) 电梯轿厢室顶棚装置
WO2020197234A1 (ko) 자동문 안전시스템
JPH01285579A (ja) 個人住宅用エレベータ
KR20160001124A (ko) 도어 잠금 해제장치
KR101170521B1 (ko) 회동식 슬림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게이트
JPS6366085A (ja) エレベ−タ−の防煙装置
KR20180113096A (ko) 하부형 레일을 통해 슬라이딩 작동하는 전동 도어
CN104229567A (zh) 电梯系统
JPH02185853A (ja) 軌道車両用の乗降場の扉装置
IT201900015524A1 (it) Serratura
AU2010288655A1 (en) Service box for elevator systems
ITBZ20090059A1 (it) Cassafor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