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890B1 -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밴드 - Google Patents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5890B1 KR101965890B1 KR1020180104823A KR20180104823A KR101965890B1 KR 101965890 B1 KR101965890 B1 KR 101965890B1 KR 1020180104823 A KR1020180104823 A KR 1020180104823A KR 20180104823 A KR20180104823 A KR 20180104823A KR 101965890 B1 KR101965890 B1 KR 1019658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
- vehicle
- emergency
- key
- fun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 G07C9/00031—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H04M1/7253—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rd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의 보안 기능이 강화된 스마트키 내장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휴대를 간편히 하고, 이모빌라이저의 취약점을 이용한 차량 절도에 대한 보안을 높이고, 고유 음성 및 모션으로 차량의 개폐를 차별화한 스마트키 기능을 내장한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에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를 구성하면서, 별도로 LF스위치를 구성하여, LF스위치가 on상태로 활성화되는 경우에만 이모빌라이저 기능이 되도록 구성하고,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의 LF스위치를 사용자가 인증된 스마트폰을 통해 인위적으로 on/off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밴드에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을 구축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에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를 구성하면서, 별도로 LF스위치를 구성하여, LF스위치가 on상태로 활성화되는 경우에만 이모빌라이저 기능이 되도록 구성하고,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의 LF스위치를 사용자가 인증된 스마트폰을 통해 인위적으로 on/off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밴드에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을 구축할 수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의 보안 기능이 강화된 스마트키 내장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휴대를 간편히 하고, 이모빌라이저의 취약점을 이용한 차량 절도에 대한 보안을 높이고, 고유 음성 및 모션으로 차량의 개폐를 차별화한 스마트키 기능을 내장한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위급용 긴급 호출기능을 버튼, 음성, 모션을 통해 지원함으로써, 운전 및 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본인 대처가 어려운 위험 상황에 빠른 대처가 가능토록 한 스마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
기계식 로터리 방식에 의존하던 자동차 키는 관련 기술의 발달과 편의성 향상을 원하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주머니에 스마트키를 소지한 체, 차량에 접근하면 운전자를 인식하고 도어 열림과 시동을 걸어주는 상태로 까지 변모하게 되었다.
현재의 기술은 차량에 내장된 LF 안테나에서 스마트키 소지자를 찾도록 되어 있다. 차량에서 이를테면 125Khz의 주파수를 발신하게 되고 스마트키는 트랜스폰더라는 작은 무전원 수신장치를 통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고유인증정보로 차량에 응답하게 된다.
스마트키로부터 고유인증정보를 수신한 차량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키의 고유인증정보와 차량의 키박스와 연결된 전자유닛에서 내장된 정보와 고유인증정보를 비교한 후 일치하게 되면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고 시동에 필요한 스티어링 락을 풀어 운전가능 상태로 대기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차량의 도난방지 시스템의 하나로 매우 편리한 방법임에도 휴대 상태를 체크하거나 휴대한 스마트키 분실의 위험성을 항상 갖고 있다.
이모빌라이저라 불리우는 트랜스폰더는 차량으로부터 전송되는 LF주파수를 수신하게 되면, 그 신호를 동력원으로 해당 차량에 고유인증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나, 이러한 트랜스폰더의 경우 절도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를테면, 절도범은 신호 증폭기를 사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운전자의 스마트키 고유인증정보를 차량으로 중계함으로써 운전자가 마치 차량 앞에 있는 것으로 속이게 되고, 시동 및 도어 UNLOCK을 수행하여, 차량을 절도에 이용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스마트키 소유자는 차량에 대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키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한 소유자는 차량절도 가능성에 노출될 수 없다.
스마트키 소유자는 최소한 차량 도어의 LOCK을 풀기 위해서 스마트키의 버튼을 누르거나, 차량 손잡이에 잠금 버튼을 눌러야 한다.
운전자는 밀폐된 공간, 주차장, 차량 속도,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위험을 접하게 될 수도 있다. 흔히 본인 신고, 주변 신고 등으로 대처를 하지만, 휴대폰 호출이나 도움을 요청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즉, 현재의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 탑승 전, Rotary switch키를 통한 사용자가 자동차의 도어를 오픈하고, 차량의 시동시 손동작을 획기적으로 줄었으나, 독립된 공간, 주차, 운전 속도에 의한 위급 상황의 발생, 스마트키 미휴대, 분실, 더 나아가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절도의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는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스마트키 보안 기능과 긴급/위급 신호 송출기능을 강화한 스마트키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밴드를 창출함으로써, 스마트 키의 분실에 따른 차량의 위험성을 줄여 차량 절도에 대한 보안성을 높이고, 긴급상황시에 빠르고 쉽게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밴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밴드는 음성 및 모션 학습 기능을 갖고, 소유자가 고유의 음성 및 모션을 이용하면서, 음성이나 모션 또는 두가지를 조합으로 스마트밴드내의 스마트키 버튼의 기능을 대체하도록 하고,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즈에 LF스위치를 별도로 구성하면서, 인위적으로 사용자가 LF스위치를 ON/OFF 하도록 하여 이모빌라이즈 기능을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보다 편리하면서 스마트키의 보안성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스마트 밴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스마트 밴드에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즈 기능을 사용자 인증을 통해 설정하도록 구성하여 특정 인증된 사용자의 스마트폰만이 스마트 밴드를 컨트롤하는 구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으로 페어링되는 스마트밴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에는 차량으로부터 LF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차량 고유인증번호를 차량으로 송신하는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밴드를 제시한다.
상기 스마트밴드에 구성되는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는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사용자 인증된 스마트폰과 페어링이 되는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밴드에는 차량으로부터 LF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LF수신기가 구성되며, 상기 LF수신기의 동작을 on/off 하는 LF스위치가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밴드의 스마트키버튼의 Lock키를 누르거나, 상기 스마트폰의 앱의 Lock키를 누른 이후에 상기 LF스위치가 off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밴드와 페어링되어 사용자 인증을 거친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서만 상기 LF스위치가 on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키버튼의 터치기능은 사용자의 스마트밴드의 모션동작이나 사용자의 음성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대체 설정하도록 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터치기능을 스마트밴드를 착용한 사용자의 모션이나 사용자의 저장음성으로 대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의 앱 터치기능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모션동작이나 사용자의 음성으로 상기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대체 설정하도록 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터치기능을 스마트폰을 잡은 사용자의 모션이나 사용자의 저장음성으로 대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밴드에는 긴급/위급 버튼이 구성되며, 상기 긴급/위급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폰 앱에서 호출설정된 특정인에게 긴급/위급상황시에 선저장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밴드의 긴급/위급 버튼은 상기 스마트폰 앱으로 설정된 스마트밴드의 착용자의 모션이나 음성으로 대체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밴드의 긴급/위급 버튼은 심박센서과 결합하여, 심장 박동수의 급격한 증가나 감소가 발생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센서부에서 이를 긴급이나 위급상황으로 인식하면 긴급/위급 버튼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밴드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번째로,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에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를 구성하면서, 별도로 LF스위치를 구성하여, LF스위치가 on상태로 활성화되는 경우에만 이모빌라이저 기능이 되도록 구성하고,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의 LF스위치를 사용자가 인증된 스마트폰을 통해 인위적으로 on/off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밴드에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을 구축할 수가 있게 된다.
두번째로,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된 스마트폰만이 스마트밴드에 내장된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의 off 상태의 LF 스위치를 On 상태로 변환하도록 하며, 스마트키의 이모빌라이저의 활성화를 위한 LF스위치의 on 상태변환은 사용자 인증된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서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키 기능이 있는 스마트밴드의 분실이 되더라도 차량의 보안을 확보하게 된다.
즉, 스마트밴드를 분실하더라도 사전 설정된 스마트폰의 앱에서 사용자 정보 확인이 되어야 작동되므로 페어링이 끊어진 상태에서는 스마트밴드의 off 상태의 LF스위치가 다시 on 상태로 변환이 불가능해 사용자의 차량의 보안 및 안전성을 제공하게 된다.
세번째로, 본 발명은 직접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음성이나 모션 또는 두 가지를 조합한 방법으로 패턴화하여 스마트키버튼의 키할당을 하도록 하여, 스마트밴드내의 스마트키버튼을 대체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하고 쉬운 호출 방법을 제공하게 하고,
또한, 스마트폰(300)의 앱을 직접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설정된 음성이나 모션 또는 두 가지를 조합한 방법으로 패턴화하여 앱의 키할당을 하도록 하여,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즈에 구성되는 LF스위치를 인위적으로 ON/OFF 하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면서 스마트키의 보안성을 강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네번째로, 본 발명은 긴급, 위급 상황에 대해서 긴급/위급버튼의 터치, 설정된 음성, 모션 및 사용자의 심박수를 통해 긴급/위급 버튼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르고 다양하고 쉬운 호출 방법으로 위기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에 따른 스마트키 보안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을 갖는 스마트 밴드와 스마트폰 및 자동차 간의 통신시스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스마트키 보안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을 갖는 스마트 밴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스마트키 보안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을 갖는 스마트 밴드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스마트키 보안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을 갖는 스마트 밴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스마트키 보안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을 갖는 스마트 밴드의 내부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밴드에 대해 바람직한 예시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에 따른 스마트키 보안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을 갖는 스마트 밴드와 스마트폰 및 자동차 간의 통신시스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스마트키 보안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을 갖는 스마트 밴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처럼,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은 스마트 밴드(100)와 스마트폰(300)의 앱 및 차량(200)내부의 통신시스템 간의 통신시에, 스마트밴드(100) 자체에 스마트키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밴드(100)는 스마트키 보안 기능뿐만 아니라 긴급/위급 신호 송출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마트밴드(100)의 기본구성은 스마트 이모빌라이저(110)와 마이크로프로세서(120), 스마트키버튼(130)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스마트밴드(100)의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110)의 LF스위치(110d)를 인증된 사용자가 스마트폰(300)의 앱을 이용하여 on/off 할수 있도록 구성하는 점에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300)의 앱 또는 스마트밴드(100)의 스마트키버튼(130)의 Lock키를 누르거나, 스마트폰(300)의 앱을 이용하여 LF스위치(110d)의 off 기능을 수행하면,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110)의 LF수신기(110b)의 기능은 차단되어, 외부에서 LF신호 증폭기로 차량(200)의 LF송신기의 신호를 증폭해서 보내도 스마트밴드의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110)의 LF수신기(110b)는 신호를 수신할 수가 없기 때문에, 차량의 고유인증정보를 송출할 수가 없어, 차량 절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스마트밴드(100)를 분실할 경우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110)의 LF스위치(110d)의 on/off 동작은 스마트폰(300)의 앱이 관리하기 때문에, BLE 페어링이 끊어지거나 기설정된 로그인 사용자 인증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스마트밴드(100)를 수취했다고 하더라도 스마트밴드의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110)의 LF스위치(110d)의 on상태로의 전환이 불가능해, 해당 차량에 대한 보안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LF스위치(110d) on/off기능을 사용자의 음성과 모션, 또는 이의 조합으로 정의할 수 있어, 인증된 스마트폰(300)을 이용한 모션이나 설정된 특정 사용자의 음성 외는 LF스위치(110d) on/off기의 사용이 불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밴드(100)의 스마트키 버튼(130)의 각각의 키기능을 사용자가 음성이나 모션을 또는 두개의 조합을 통해 대체 할당 가능토록 함으로써, 스마트키 버튼(130)의 각각의 키를 누르는 번거로운 없이 독창적이고 쉬운 방법으로 스마트키버튼(130)의 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긴급/위급시 호출 기능은 긴급/위급시 스마트밴드(100)의 긴급/위급버튼(195)을 누르면, 쉽고 빠르게 기설정된 발신리스트로 선저장 메시지 송출이나 사용자의 현위치의 송출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300)의 앱을 통해 스마트밴드(100)에 음성이나 모션, 또는 두개의 조합을 통해 스마트밴드(100)의 긴급/위급버튼(195)이 작동하도록 설정하여, 음성, 모션의 기능 조합으로 다양하면서 쉽고 빠르게 기설정된 발신리스트로 선저장 메시지 송출이나 사용자의 현위치의 송출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스마트밴드(100)와 블루토스 페어링된 스마트폰(100)의 앱을 통하여 스마트밴드의 스마트키 버튼(130)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스마트키 보안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을 갖는 스마트 밴드의 내부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밴드(100)의 배터리(150)는 리튬 폴리머, 리튬 이온 또는 충전 가능한 상용배터리도 사용 가능하며, 배터리(150)의 전원부나 충전부는 각각의 회로로 구성할 수 있으나, 손목 휴대를 생각할 때, 공간 최소화를 위해 기능을 통합한 칩을 쓰는 것이 적당하다.
스마트밴드(1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20)의 구성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터치부(120b)는 스마트키버튼(130)의 터치로부터 입력을 전달받아, 중앙제어 부(120a)에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120d)는 자이로, 가속도 등의 모션센서(170)의 수치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센서(160)의 음성데이터 변환을 수행한다.
통신부(120c)는 터치부(120b)나 센서부(120d)의 각 내부의 제어값들을 해당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중앙제어부(120a)에 전달한다.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100)의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LF송신기에서 송신되는 LF를 수신하는 LF수신기(110b), 차량에 UHF 신호를 송출하는 UHF송신기(110a),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인 차량의 LF송신기에서 송신되는 LF를 수신을 개폐하는 LF스위치(110c) 및 이 모든 기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10c)로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밴드(100)에는 스마트폰(300)의 앱과 무선통신을 위한 BLE, 사용자 UI 확인용 디스플레이(140)로 구성된다.
또한, 긴급발신을 위한 긴급/위급버튼(190),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신호 확인용 진동모터부(190), Lock/unlock, 시동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키버튼(130)이 구성된다.
도 4는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보안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을 갖는 스마트 밴드 시스템의 각각의 기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300) 앱을 통하여, 스마트밴드(100)와 사용자 인증정보를 등록(S100)하고, 스마트밴드(100)의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210)에 구성되는 LF스위치(110d)에 사용자의 스마트폰(300) 앱에 의한 On/Off 기능을 등록한다(S110).
따라서, 스마트밴드(100)는 기본적으로 인증된 스마트폰(300)과 페어링이 되는 경우에만 이모빌라이저 기능이 가능하다.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210)에 구성되는 LF스위치(110d)의 off 동작은 스마트폰(300) 앱을 이용하여 직접 Lock 버튼터치나 설정된 음성/모션 등을 이용하여 off 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스마트밴드(100)의 스마트키버튼(130)을 Lock 키를 직접 누르거나 설정된 음성/모션 등을 이용하여 off 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앱 또는 스마트키버튼에 구성되는 LOCK 키를 누르거나 모션/음성등의 설정된 패턴을 실행하여 Lock 키값을 호출한 이후에 일정시간후에 LF스위치가 자동으로 off 되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Off된 LF스위치(110d)에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에 의한 On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은 앱 터치를 이용하거나, 모션을 설정하거나(S120), 사용자의 음성을 설정(S130)하거나, 상기 모션이나 음성의 결합기능을 통해서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밴드(100)의 스마트키버튼(130)이나 긴급/위급버튼(195)의 호출설정(S140)은 스마트폰(300) 앱을 통해 스마트밴드의 음성학습과 모션학습으로 음성 또는 모션, 또는 둘의 조합으로 저장하여 설정하게 된다.
즉, 이를 통해 스마트키버튼(130)을 누르지 않고도 저장된 음성 또는 모션으로 직접 UHF 송신기(110a)를 동작시켜 키값을 외부로 호출시킬 수 있다.
또한, 긴급/위급버튼(195)을 터치하지 않고도 BLE 통신을 이용하여 저장된 음성 또는 모션 등으로 외부로 호출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말해, 긴급이나 위급상황 발생시 긴급/위급 버튼(195)을 누르거나, 앞서 호출설정(S140)에서 저장된 모션, 음성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기저장된 데이터를 발신하여 주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긴급/위급 버튼(190)은 심박센서(190)과 결합하여, 심장 박동수의 급격한 증가나 감소가 발생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20)의 센서부(120d)에서 이를 긴급이나 위급상황으로 인식하면 간편하고 빠르게 기저장된 데이터를 BLE무선통신으로 발신하여 주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차량의 LF송신기에서 최초 자체 스마트키를 찾기 위하여 LF를 발생(S150)하면, 스마트밴드(100)의 LF수신기(110b)에서 LF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UHF수신기(410)를 통해 고유인증정보를 발신하면(S160), 차량에서 고유인증정보의 코드를 비교하고(S170), 일치할 경우 차량에 대한 기능(시동, Lock, Unlock, Trunk Unlock 등)의 작동을 수락하게 된다(S180).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보안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을 갖는 스마트 밴드 시스템의 동작흐름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먼저 차량의 Wake up 및 시동에 대한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폰(300)의 앱 또는 설정된 모션/음성을 이용하여, 스마트밴드(100)의 LF스위치(110d)의 off상태를 on 상태로 설정을 하면, 차량의 LF송신기에서 송신되는 LF를 수신할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된다.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110)의 LF수신기(110b)에서 차량의 LF송신기에서 송신되는 LF를 수신하게 되면, UHF 송신기(110a)를 통해 고유인증정보를 차량으로 발신하게 되며, 차량은 UHF수신기를 통해 고유인증정보를 수신하면서 차량내부에 저장된 차량인증키와 비교를 하게 된다.
인증결과 인증이 되면, 차량(200)은 스마트키버튼(130)의 키값을 버튼 또는 설정된 음성/모션 등으로 입력받을 수 있는 Wake up 상태가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UHF 송신기(110a)를 통해 고유인증정보를 수신한 차량(200)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키의 고유인증정보와 차량의 키박스와 연결된 전자유닛에 내장된 정보를 비교한 후 일치하게 되면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고 시동에 필요한 스티어링 락을 풀어 운전가능 상태로 대기한다.
차량(200)은 스마트키 버튼(130)의 키값의 시동키 값을 수신하면, 차량은 시동이 걸리게 된다.
다음으로, 차량 시동 OFF 및 Lock을 수행하는 흐름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밴드(100)의 스마트키버튼(130)을 누르거나 또는 설정된 모션/음성 등을 이용하거나, 스마트폰(300)의 앱을 이용하여 Lock 버튼 키값을 차량에 전송하면 차량은 Lock상태로 전환된다.
스마트키버튼(130)의 Lock 버튼 키값을 차량(200)에 전송하고 설정된 시간이 흐른후에는 스마트밴드(100)의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110)의 LF스위치(110d)는 off상태로 된다. 상기 설정된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5초 정도가 바람직하나, 구성의 특성상 설정시간은 얼마든지 적합하게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차후에 상기 LF스위치(110d)의 off상태를 해제하고 on 상태로 변경하는 방법은, 스마트폰(300)의 앱을 통하여 터치하거나, 스마트폰(300)에 설정된 모션/음성 등을 통해서만 on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긴급/위급 상황에서 스마트밴드의 긴급/위급버튼이나 설정된 모션, 음성 등을 통해 긴급키가 입력되는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스마트밴드(100)의 긴급/위급버튼(195)을 누르거나 또는 설정된 모션/음성 등을 이용하면 BLE통신을 통해 외부로 설정된 데이터가 메시지로 호출된다.
호출은 발신리스트 상의 특정인으로 긴급/위급상황에 미리 설정된 선저장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긴급/위급 버튼(190)은 심박센서(190)과 결합하여, 심장 박동수의 급격한 증가나 감소가 발생하는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20)의 센서부(120d)에서 이를 긴급이나 위급상황으로 인식하면 BLE통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기저장된 데이터를 발신하여 주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키 기능을 스마트 밴드에 하나의 보드로 통합구성함으로써 스마트키 분실 및 미휴대에 따른 불안감을 최소화 하였으며, 스마트폰(300)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스마트밴드(100)와의 사용자 인증설정, 차량(200)에서 LF주파수를 수신하는 경우에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110)에 구성되는 LF 수신기(110b)의 고유인증코드의 전송여부를 별도 구성한 LF 스위치(110d)의 On/Off 를 통해 제어하도록 구성했다.
즉, 운전자가 차량 Lock을 실행한 후에는 LF스위치(110d)가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200)에서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110)로 전송되는 LF 주파수신호를 완전 차단하여, LF 신호증폭기를 이용한 차량 절도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스마트밴드(100)와 스마트폰(300)의 앱의 인증과정을 추가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스마트밴드(100)와 스마트폰(300)의 앱 간에 페어링등이 되지 않아 사용자 인증이 되지 않으면 스마트밴드(100)의 이모빌라이저 기능의 동작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스마트밴드(100)의 도난, 분실에 의한 차량 절도에 대한 부분까지 대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밴드(100)는 차량 운전자의 위급, 긴급상황에 대비하여, 긴급/위급 버튼(195) 기능을 제공하며, 버튼을 누르는 것뿐 아니라, 학습된 음성 및 모션으로도 긴급/위급 버튼(195)의 대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긴급/위급 버튼(195)의 키를 누를 수 없는 상황이나 순간 대체해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스마트밴드(100)는 스마트폰(300)의 앱에서도 직접 스마트밴드의 스마트 키 버튼(1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중계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관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스마트밴드 110: 스마트 이모빌라이저
110a: UHF 송신기 110b: LF수신기
110c: 마이크로컨트롤러 110d: LF스위치
120: 마이크로프로세서 120a: 중앙제어부
120b: 터치부 120c: 통신부
120d: 센서부 130: 스마트키버튼
140: 디스플레이 150: 배터리
160: 음성센서 170: 모션센서
180: 심박센서 190: 진동모터부
195: 긴급/위급버튼
200: 차량 300: 스마트폰
110a: UHF 송신기 110b: LF수신기
110c: 마이크로컨트롤러 110d: LF스위치
120: 마이크로프로세서 120a: 중앙제어부
120b: 터치부 120c: 통신부
120d: 센서부 130: 스마트키버튼
140: 디스플레이 150: 배터리
160: 음성센서 170: 모션센서
180: 심박센서 190: 진동모터부
195: 긴급/위급버튼
200: 차량 300: 스마트폰
Claims (10)
-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으로 페어링되는 스마트밴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에는 차량으로부터 LF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차량 고유인증번호를 차량으로 송신하는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밴드에 구성되는 스마트키 이모빌라이저는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사용자 인증된 스마트폰과 페어링이 되는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밴드에는 차량으로부터 LF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LF수신기가 구성되며, 상기 LF수신기의 동작을 on/off 하는 LF스위치가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밴드의 스마트키버튼의 Lock키를 누르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앱의 Lock키를 누른 이후에는 상기 LF스위치가 off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밴드와 페어링되어 사용자 인증을 거친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서만 상기 LF스위치가 on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밴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4823A KR101965890B1 (ko) | 2018-09-03 | 2018-09-03 |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4823A KR101965890B1 (ko) | 2018-09-03 | 2018-09-03 |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5890B1 true KR101965890B1 (ko) | 2019-04-04 |
Family
ID=6610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4823A KR101965890B1 (ko) | 2018-09-03 | 2018-09-03 |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589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3726B1 (ko) * | 2021-07-12 | 2022-09-15 | (주)비티비엘 | 스마트키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4487A (ko) | 2001-07-05 | 2003-01-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
KR20060036210A (ko) | 2004-10-25 | 2006-04-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분실키 사용 방지를 위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제어방법 |
KR20160107152A (ko) * | 2013-10-29 | 2016-09-13 |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 차량 구성요소를 활성화하기 위한 차량 시스템 |
KR101682304B1 (ko) * | 2015-07-08 | 2016-12-02 |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 차량의 웨어러블 스마트키 시스템 |
KR101691142B1 (ko) * | 2015-07-22 | 2017-01-09 | 주식회사 이피텍 | 웨어러블 스마트밴드 |
-
2018
- 2018-09-03 KR KR1020180104823A patent/KR1019658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4487A (ko) | 2001-07-05 | 2003-01-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
KR20060036210A (ko) | 2004-10-25 | 2006-04-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분실키 사용 방지를 위한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제어방법 |
KR20160107152A (ko) * | 2013-10-29 | 2016-09-13 |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 차량 구성요소를 활성화하기 위한 차량 시스템 |
KR101682304B1 (ko) * | 2015-07-08 | 2016-12-02 |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 차량의 웨어러블 스마트키 시스템 |
KR101691142B1 (ko) * | 2015-07-22 | 2017-01-09 | 주식회사 이피텍 | 웨어러블 스마트밴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3726B1 (ko) * | 2021-07-12 | 2022-09-15 | (주)비티비엘 | 스마트키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장치 |
WO2023287182A1 (ko) * | 2021-07-12 | 2023-01-19 | (주)비티비엘 | 스마트키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35820B2 (en) | Method for safely unlocking and/or locking a vehicle | |
US10034146B2 (en) | Control system, control device, and mobile device for vehicle | |
EP2048626B1 (en) | Apparatus for medium-range vehicle communications and control | |
US20150148990A1 (en) | Mobile Telephone for Remote Operation | |
TWI802691B (zh) | 用於便攜式鎖之手持式發送器、鎖定系統及解鎖可電致動的便攜式鎖的方法 | |
US6081704A (en) |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 |
JP6054773B2 (ja) | 通信システム | |
JP2005299098A (ja) | 車両用遠隔施錠解錠制御装置 | |
WO2016143502A1 (ja) | 電子キーシステム | |
JP2017154689A (ja) | 車両制御システム | |
JP2012215047A (ja) | 電子キーシステム | |
JP2006138156A (ja) | 携帯通信装置、携帯電子機器装着用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03269023A (ja) | ドアロック制御装置 | |
KR20180113903A (ko) |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KR101965890B1 (ko) | 보안된 차량용 스마트키 기능 및 긴급 호출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밴드 | |
JP4539513B2 (ja) | 車両用遠隔操作装置 | |
KR101469862B1 (ko) | 휴대폰과 연동한 차량사용자 인증장치 | |
CN113850932A (zh) | 一种多功能手表 | |
KR101414002B1 (ko) | 지정맥 인식 기술을 이용한 차량 인증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JP2002187503A (ja) | 車載装置の制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用の受信機 | |
CN107206964A (zh) | 车辆中控系统及车辆控制方法 | |
KR101901792B1 (ko) | 샤크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인증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장치 및 방법 | |
JP2000078279A (ja) | 車載電話のダイヤルロック解除システム及びキーレスユニット | |
TWI597193B (zh) | 載具之控制系統、控制裝置及移動裝置 | |
KR101119754B1 (ko) | 차량도어의 무선개폐기능 및 차량의 무선 시동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