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780B1 -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요추 지지 디바이스 및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요추 지지 디바이스 및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780B1
KR101965780B1 KR1020167029265A KR20167029265A KR101965780B1 KR 101965780 B1 KR101965780 B1 KR 101965780B1 KR 1020167029265 A KR1020167029265 A KR 1020167029265A KR 20167029265 A KR20167029265 A KR 20167029265A KR 101965780 B1 KR101965780 B1 KR 101965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air
support device
lumbar support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8996A (ko
Inventor
막시메 사마인
크리스토프 키세베터
안드레아스 바인뮬러
로버트 크레멘
프레디 발란트
Original Assignee
슈크라 게라테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크라 게라테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슈크라 게라테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38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549Coating rod-like, wire-like or belt-lik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5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being in movable 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the coating, e.g. bearing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73Moulds with 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92Producing upholstery articles, e.g. cushions,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1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cable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3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motor driven adjus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1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요추 지지 디바이스(1)는 캐리어(2), 상기 캐리어(2)에 성형된 하나의 아칭요소쌍(4, 5) 및 상기 아칭요소쌍(4, 5)에 의하여 지지된 지지 바스켓(3)을 포함한다. 상기 요추 지지 디바이스(1)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아칭요소쌍(4, 5)은 성형툴 내에서 캐리어(2)에 성형될 수 있고, 지지 바스켓(3)은 동일한 성형툴에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요추 지지 디바이스 및 차량 시트{Method of producing a lumbar support device, lumbar support device and vehicle seat}
본 발명은 요추 지지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 바스켓에 접촉하여 동작하는 아칭요소를 포함하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는 적절한 지지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시트에 앉아 있는 사람의 요추 척추 또는 척추측만증(lordosis) 부위에 적절하게 지지하기 위한 시트 의자등받이에 설치되어 있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는 시트 의자 등받이에 배열된 프레임에 결합된 지지 바스켓 또는 다른 지지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조절 디바이스는 의자등받이의 길이방향, 즉 높이를 따라서 지지 바스켓의 굴곡 또는 볼록 상태를 조절하고/하거나 지지 바스켓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바스켓의 후방 측에 배열된 아칭요소를 포함하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는 편안함을 포함한 여러 다양한 이유로 인해 매력적이며, 차량 시트를 포함하여 다양한 시트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배면 측으로부터 지지 바스켓을 지지하는 아칭요소를 포함하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생산은 매우 복잡한 프로세스가 될 수 있다. 기재상, 아칭요소를 탑재하기 위한 마운트(mounts)를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아칭요소는 연속적으로 상기 마운트를 이용한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캐리어에 연결된다. 캐리어는 두 개의 측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U자형을 가진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과성형된 부분이 등받이 의자의 프레임에 대한 상기 캐리어를 탑재하기 위한 캐리어 상에 형성될 필요가 있다. 지지 바스켓은 사출성형을 사용하여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아칭요소 및 지지 바스켓을 캐리어에 연속적으로 조립된다. 이들 모든 단계는 제조공정의 복잡성, 요추 지지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 및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비용을 추가한다.
본 발명은 향상된 요추 지지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요추 지지 디바이스에 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요추 지지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칭요소 및 지지 바스켓을 포함하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는 동일한 성형툴을 이용하여 수행될 몇 단계의 성형공정을 허용하는 구성을 가진다. 지지 바스켓을 형성하는 사출성형 공정 그리고 캐리어, 예를 들면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와이어에 아칭요소를 성형하는 사출성형 공정은 동일한 성형툴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사출성형 공정은 원샷 오버몰딩(one-shot overmolding)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성형툴은 지지 바스켓을 형성하고 캐리어에 아칭요소를 성형하는 오버몰드를 형성하기 위한 캐비티를 구성하는 것과 조합하여 전반 몰드 및 후반 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성형 공정이 동일한 성형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캐리어가 시트 등받이의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과성형된 부분이 성형툴 내의 캐리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캐리어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브리지가 성형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제조방법은 성형툴에서 사출성형하여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캐리어에 하나의 아칭요소쌍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지지 바스켓은 동일한 성형툴에서 사출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성형툴은 지지 바스켓을 형성하거나 캐리어의 아칭요소쌍을 성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는 금속 캐리어일 수 있다. 캐리어는 금속 와이어일 수 있으며,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이격된 측면을 구성하는 몇몇의 금속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칭요소쌍은 캐리어에 성형되어 이격된 측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칭요소쌍의 각 아칭요소는 금속 스트립일 수 있다. 아칭요소는 캐리어에 성형될 때 편평할 수 있고, 성형툴로부터 제거된 후에 아치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이격된 측면쌍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이격된 측면쌍을 따라 이동가능한 브리지(bridge)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는 성형툴에서 사출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는, 이격된 측면쌍을 따라 브리지의 이동에 의하여 조정될 요추 지지 디바이스에 의하여 요추 지지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 브리지는 캐리어에 성형되지 않은, 아칭요소쌍의 각각의 아칭요소의 말단을 개별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리세스(reces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는 아칭요소쌍의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피봇 커플링 부분(pivot coupling portions)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리지는 캐리어의 이격된 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는 모터를 탑재하기 위한 마운팅 섹션(mounting section)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리지는 하나 이상의 스핀들 또는 그 위에 스핀들 드라이브의 스핀들 넛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바스켓은 성형툴 내의 캐리어에 회전가능하게 성형될 수 있다. 캐리어는 이격된 측면을 가로질러 연장된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동시에 지지 바스켓은 횡단면에 성형된다.
캐리어에 하나 이상의 피봇부(pivot portion)가 성형되고, 상기 지지 바스켓이 캐리어에 피봇되도록 상기 지지 바스켓을 성형툴에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에 둘 이상의 피봇부가 성형되고, 상기 캐리어가 연장된 동축통로(coaxial passages)를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대 바스켓을 성형툴에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지지 바스켓을 성형툴로부터 제거한 다음,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피봇팅(pivoting)하여 상기 지지 바스켓을 아칭요소쌍과 접촉하도록 가져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칭요소쌍이 캐리어에 성형된 성형툴에서 사출성형하여 상기 캐리어 상에 과성형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과성형된 부분의 일부 이상이 요추 지지 디바이스를 시트 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특성부(attachment features)일 수 있다. 2개 이상의 부착특성부는 캐리어의 상부 말단에 형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부착특성부는 캐리어의 하부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성형툴은 과성형된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교체가능한 인서트(insert)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서트는 성형툴에서 교체가능할 수 있다. 이는 성형툴이 다른 시트에서 다른 부착 배열에 용이하게 적용하도록 한다.
성형툴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다양한 성형 공정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설명하자면, 캐리어에 아칭요소쌍을 성형하면서 동시에 지지 바스켓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성형 공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지지 바스켓과 동시에 및/또는 캐리어에 아칭요소쌍을 성형하면서 동시에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바스켓과 동시에 및/또는 캐리어에 아칭요소쌍을 성형하면서 동시에 과성형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는 캐리어, 캐리어에 성형된 아칭요소쌍 및 상기 아칭요소쌍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 바스켓을 포함한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는 효율적인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설명하자면, 동일한 성형툴을 이용하여 캐리어에 아칭요소를 성형하고 지지 바스켓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바스켓을 캐리어에 회전가능하게 성형할 수 있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는 캐리어에 성형되고, 캐리어의 이격된 측면쌍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는 상기 브리지에 탑재되어 브리지가 이격된 측면쌍을 따라서 구동하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시트는 프레임을 구비한 시트백(seat back) 및 일 실시예에 의한 요추 지지 디바이스를 포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추 지지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캐리어의 아칭요소를 성형하고 요추 지지 바스켓을 형성하기 위한 리세스를 구성하는 전반 몰드(first half mold) 및 후반 몰드(second mold)를 포함한다.
성형툴은 캐리어의 측면쌍 사이를 연장하는 브리지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의 리세스를 구성할 수 있다. 브리지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세스는, 브리지가 캐리어의 측면쌍을 따라 이동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성형툴은 캐리어 상에 과성형된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의 리세스를 구성할 수 있다. 추가의 리세스는 전반 몰드 또는 후반 몰드의 인서트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성형툴을 이용하여 요추 지지 바스켓을 형성하고 다른 과성형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플라스틱 물질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요추 지지 바스켓을 형성하고, 캐리어에 아칭요소를 성형하거나 브리지를 형성할 수 있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를 등받이의자에 부착하기 위한 과성형된 부분 이상을 콜드러너(cold runner)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 디바이스 및 장치는 시트에 요추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및 방법은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의 시트 등받이 의자에 요추 지지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추 지지 디바이스와 회전된 요추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사용된 성형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사용된 성형툴의 하프 몰드(half mold)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성형툴에 형성된 대로 도 8의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조정 장치가 작동될 때 도 8의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를 구비한 차량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브리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브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는 자동차의 차량 좌석과 같은 특정 적용 분야의 문맥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실시예들은 이러한 응용 분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설명에서 "상부(upper)", "하부(lower)" 및 "측면(lateral)"과 같은 용어는 시트에 요추 지지 디바이스가 장착될 때 그 방향을 일컫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캐리어에 대하여 회전한 요추 지지 바스켓을 가진 요추 지지 디바이스(1)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요추 지지 디바이스(1)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1)는 캐리어(2), 지지 바스켓(3) 및 한 쌍의 아칭요소(4, 5)를 포함한다. 아칭요소쌍(4, 5)은 지지 바스켓(3)의 후면으로부터 지지 바스켓(3)을 위한 탄성 지지대를 제공한다.
캐리어(2)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1)의 측면(11, 12)을 형성한다. 캐리어(2)는 금속 캐리어일 수 있다. 캐리어(2)는 일반적으로 측면(11, 12)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부 횡단면(13)을 가진 U자 형상의 금속 와이어일 수 있다.
지지 바스켓(3)은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지 바스켓(3)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요추 지지 디바이스(1)를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과성형물로 성형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지지 바스켓(3)과 동시에 형성하고 캐리어(2)에 아칭요소쌍(4, 5)을 성형하기 위해서 하나의 사출툴이 사용될 수 있다.
아칭요소쌍(4, 5)은 각각 금속 스트립일 수 있다. 아칭요소쌍(4, 5)은 캐리어(2)의 측면(11, 1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아칭요소쌍(4, 5)는 캐리어(2)에 성형될 수 있다. 과성형물(overmolding, 31)은 아칭요소(4)의 말단 및 캐리어(2) 상에 성형될 수 있다. 과성형물(31)은 캐리어(2)의 하부 횡단면(13)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과성형물(31) 및 아칭요소(4)의 말단이 캐리어(2)의 하부 횡단면(13)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부 횡단면(13)은 과성형물(31)을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과성형물(31)은 하부 횡단면(13)에 아칭요소(4)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아칭요소(4)일 수 있다. 과성형물(32)은 아칭요소(5)의 말단 및 캐리어(2) 상에 성형될 수 있다. 과성형물(32)은 캐리어(2)의 하부 횡단면(13)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과성형물(32) 및 아칭요소(5)의 말단이 캐리어(2)의 하부 횡단면(13)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부 횡단면(13)은 과성형물(31)을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과성형물(32)은 하부 횡단면(13)에 아칭요소(5)를 고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아칭요소(5)일 수 있다.
지지 바스켓(3)은 과성형물(31, 32) 중의 하나와 동일한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바스켓(3)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바스켓(3)은 캐리어(2)에 직접 성형될 수 있다. 캐리어(2)는, 지지 바스켓(3)이 성형될 수 있는 횡단면(14, 15)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바스켓(3)은 횡단면(14)에 대하여 원의 둘레로 연장한 피봇부(pivot portion, 21) 및 횡단면(15)에 대하여 원주로 연장한 피봇부(pivot portion, 22)를 가진, 피봇부(21, 22)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바스켓(3)이 형성된 성형툴에서 지지 바스켓(3)은 완전하게 조립된 요추 지지 디바이스(1) 내에서 지지 바스켓(3)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게 아칭요소쌍(14, 15)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횡단면(14, 15)이 연장되도록 지지 바스켓(3)을 성형툴에 형성할 수 있다. 성형툴로부터 요추 지지 디바이스(1)를 제거하여 지지 바스켓(3)을 아칭요소쌍(4, 5)과 접촉하도록 가져온 후에 지지 바스켓(3)은 횡단면(14, 15)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과성형된 부분(16-18)은 캐리어(2) 상에 과성형될 수 있다. 과성형된 부분(16-18)은 지지 바스켓(3)이 형성된 동일한 성형툴에서 캐리어(2) 상에 과성형될 수 있다. 과성형된 부분(16-18) 및 지지 바스켓(3)은 동일한 성형툴을 사용하여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과성형된 부분(16-18)의 일정 부분 이상이 요추 지지 디바이스(1)를 의자 등받이의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하여 부착특성부(attachment features)로 형성될 수 있다. 과성형된 부분(16)은 요추 지지 디바이스(2)의 하부 말단의 부착을 위한 형상일 수 있다. 설명을 위하여, 과성형된 부분(16)은 의자 등받이 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볼트 또는 쓰레드 샤프트(threaded shaft)를 통해 연장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과성형된 부분(17, 18)은 캐리어(2)의 하부 말단에 제공될 수 있다. 과성형된 부분(17, 18)은 의자 등받이의 프레임을 가진 후킹결합(hooking engagement)을 위한 후크 형상일 수 있다.
크로스 부재(cross member, 6)는 캐리어(2)의 측면(11, 12)에 부착될 수 있다. 크로스 부재(6)는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크로스 부재(6)는 지지 바스켓(3) 및/또는 과성형된 부분(16-18)이 형성된 동일한 성형툴에서 형성될 수 있다. 크로스 부재(6)는 측면(11, 12)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정지 크로스 멤버(stationary cross member, 6)에 대체하여 또는 부가적으로, 캐리어(2)의 측면(11, 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브리지를 성형툴에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크로스 부재(6)는 성형툴에서 캐리어(2)에 직접 성형할 수 있다. 크로스 부재(6)는 또한, 캐리어(2)로부터 분리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거기에 성형된 아칭요소쌍(4, 5)을 가진 캐리어가 성형툴로부터 제거된 이후에 캐리어(2)에 부착될 수 있다.
크로스 부재(6)는 액추에이터(actuator)의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recess)를 가실 수 있다. 크로스 부재(6)는 모터, 또는 감속기어 및/또는 스핀들 드라이브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스핀들 드라이브의 스핀들 넛(spinding nut)은 크로스 부재(6)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스핀들 넛은 측면(11, 12)을 따라 브리지가 이동하도록 회전구동할 수 있다. 크로스 부재(6)는 액추에이터를 위한 하우징쉘(housing shell)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 감속기어 및 스핀들 드라이브의 스핀들 넛을 위한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의 하이징쉘을 크로스 부재(6)에 부착할 수 있다.
과성형물(33, 34)이 아칭요소쌍(4, 5)의 상부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과성형물(33, 34)은 아칭요소쌍(4, 5)의 상부 말단을 크로스 부재(6) 및/또는 지지 바스켓(3)에 부착하기 위하여 배치될 수 있다. 과성형물(33, 34)은 아칭요소쌍(4, 5)의 상부 말단이 이동가능한 브리지에 회전하여 부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칭요소쌍(4, 5)에 의하여 형성된 아치와 그로 인하여 요추 지지 디바이스(1)에 의하여 제공된 측면 지지도는 측면(11, 12)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브리지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과성형물(33, 34)은 지지 바스켓(3)이 형성된 동일한 성형툴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1)를 형성하기 위하여, 캐리어(2) 및 아칭요소쌍(4, 5)을 성형툴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성형툴은 캐리어(2) 및 아칭요소쌍(4, 5)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진다. 지지 바스켓(3)은 콜드러너(cold runner) 또는 핫러너(hot runner)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아칭요소쌍(4, 5)이 캐리어(2)에 성형되도록 과성형물(31, 32) 및 존재한다면, 과성형물(33, 34)이형성될 수 있다. 과성형된 부분(16-18) 및/또는 크로스 부재(6)는 또한 동일한 성형툴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플라스틱 부품은 콜드러너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성형툴 내로 삽입할 때, 아칭요소쌍(4, 5)은 아치 형상을 가질 필요가 없다. 설명을 위하여 아칭요소쌍(4, 5)은 과성형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실질적으로 평평할 수 있으며, 거기에 성형된 아칭요소쌍(4, 5)을 가진 캐리어(2)가 성형툴로부터 제거된 이후로는 구부러진 형태일 수 있다.
지지 바스켓(3)은 조립된 요추 지지 디바이스(1) 배열에 대응하지 않은 성형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서, 지지 바스켓(3)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일반적으로 유사한 위치에 성형툴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바스켓(3)을 캐리어(2)의 횡단면(14, 15)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지지 바스켓(3)은 아칭요소쌍(4, 5)과 접촉되도록 가져올 수 있다. 거기에 성형된 아칭요소쌍(4, 5)을 가진 캐리어(2)가 아칭요소쌍(4, 5)이 아치형상으로 구부러진 성형툴로부터 제거된 후에 아칭요소쌍(4, 5)의 과성형물(33, 34)은 크로스 부재(6)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2) 피봇부(21)의 단면도이다. 지지 바스켓(3)은 캐리어(2)의 횡단면(14)을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피봇부(21)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피봇부(22)가 피봇부(21)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봇부(21)는 지지 바스켓(3)이 캐리어(2)에 대하여 피봇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형성될 지지 바스켓(3)이 피봇부(21) 및 추가로 추가 피봇부(22)에서 캐리어(2)에 성형되도록 한다. 성형툴로부터 요추 지지 디바이스(1)를 제거한 후에 지지 바스켓(3)이 아칭요소쌍(4, 5)과 접촉되도록 피봇팅 거동(pivoting movement, 23)을 할 수 있다.
도 5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2) 과성형물(31)의 단면도이다. 과성형물(31)은 아칭요소쌍(4, 5)과 캐리어(2)의 하부 횡단면(13) 모두를 따라서 연장할 수 있다. 과성형물(31)은 캐리어(2)의 아칭요소(4)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과성형물(31)은 캐리어(2)의 하부 횡단면(13)에 대하여, 예를 들면 아칭요소(4)가 구부러질 때 회전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1)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몇몇 부품은 동일한 성형툴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기술하기 위해 지지 바스켓(3)은 과성형된 부분(16-18)이 형성되고/형성되거나 아칭요소쌍(4, 5)이 과성형물(31, 32)에 의해 캐리어(2)에 성형된 동일한 성형툴에서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성형툴(4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성형툴(40)은 전반 몰드(first half mold, 41) 및 후반 몰드(second half mold, 42)을 포함한다. 전반 몰드(41) 및 후반 몰드(42)는 캐리어(2)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43, 44)를 형성할 수 있다. 캐리어(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U자형을 가지도록 구부러진 금속 와이어일 수 있다. 전반 몰드(41) 및 후반 몰드(42)는 아칭요소쌍(4, 5)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형성할 수 있다. 성형툴(40)내로 삽입될 때, 아칭요소쌍(4, 5)은 평편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칭요소쌍(4, 5)은 성형툴(40)로부터 제거된 후에 구부러져 아치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전반 몰드(41) 및 후반 몰드(42)는 캐리어(2)로 아칭요소(4)가 성형되기 위한 캐비티(45)를 형성할 수 있다. 캐리어(2)의 하면(13) 및 아칭요소(4)는 사출성형에 의해 캐리어(2)로 아칭요소(4)가 성형되어 과성형물(31)을 형성하도록 캐비티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반 몰드(41) 및 후반 몰드(42)가 조합하여 캐리어(2)로 아칭요소(5)를 성형하기 위한 다른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다. 캐리어(2)의 하면(13) 및 아칭요소(4)는 사출성형에 의해 캐리어(2)로 아칭요소(5)가 성형되어 과성형물(32)을 형성하도록 캐비티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전반 몰드(41) 및 후반 몰드(42)가 조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지지 바스켓(3)을 형성하기 위한 캐비티(50)를 형성할 수 있다. 캐비티(50)는 측면 방향으로 투사하는 지지 바스켓(3)의 핑거(fingers)를 형성하기 위한 수개의 연장부(extensions)를 가질 수 있다. 전반 몰드(41) 및 후반 몰드는 캐비티(50)를 형성하는 리세스(48, 49)를 가질 수 있다.
전반 몰드(41) 및 후반 몰드(42)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2)의 부착특성을 제공하는 크로스 부재(6) 및/또는 과성형된 부분(16-18)을 형성하기 위한 캐비티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캐비티(47)는 캐리어(2)의 측면(11, 12)으로 성형된 크로스 부재(6)를 형성하기 위하여 성형툴(4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사출성형이 완결된 후의 하프 몰드(42)의 평면도이다. 하프 몰드(42)는 과성형된 부분(16-18)을 형성하기 위한 인서트(inserts, 51-53)를 가질 수 있다. 인서트(51-53)는 교체가능할 수 있다.
성형툴(40)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사출성형 공정 모두 또는 몇몇을 위해 콜드러너 사출성형을 사용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과성형된 부분(16-18)은 콜드러너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사출성형 공정이 완결된 후에, 요추 지지 디바이스(2)를 성형툴(4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아칭요소쌍(4, 5)의 상부 말단을 크로스 부재(6)에 부착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의 부품을 크로스 부재(6)에 장착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모터, 감속 기어 및/또는 스핀들 드라이브의 스핀들 넛을 크로스 부재(6)에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2)에 대하여 요추 지지 바스켓(3)을 피봇팅함으로써 요추 지지 바스켓(3)을 아칭요소쌍(4, 5)에 접촉되도록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에 다양한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요추 지지 디바이스(1)는 측면(11, 12)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브리지(7)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7)는 동일한 성형툴(40)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브리지(7)는 측면(11, 12)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측면(11, 12) 상에 직접 성형될 수 있다. 성형툴(40)은 사출성형에 의해 브리지(7)를 형성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1)의 배면 사시도이며, 측면(11, 12)을 따라 이동가능한 브리지(7)를 포함한다. 도 9는 성형툴 내에 형성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8의 요추 지지 디바이스(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브리지(7)가 측면(11, 12)을 따라 이동할 때, 도 8의 요추 지지 디바이스(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의 요추 지지 디바이스(1)는 크로스 부재(6)에 더하여 브리지(7)를 포함한다. 브리지(7)는 측면(11, 12)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다. 브리지(7)는 성형툴(40) 내에 측면(11, 12)에 직접 성형될 수 있다.
도 9에서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아칭요소(4)의 말단은 결합부(engagement portion, 81)를 가지도록 과성형될 수 있다. 브리지(7)는 결합부(81)를 수용하기 위한 메이팅 리세스(mating recess, 83)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리지(7)는 결합부(81)에서 아칭요소(4)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아칭요소(5)의 말단은 결합부(engagement portion, 82)를 가지도록 과성형될 수 있다. 브리지(7)는 결합부(82)를 수용하기 위한 메이팅 리세스(mating recess, 84)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리지(7)는 결합부(82)에서 아칭요소(5)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아칭요소쌍(4, 5)의 말단이 회전할 수 있게 수용된 브리지(7)의 리세스(83, 84)는 측면(11, 1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서로 상쇄된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1)는 측면(11, 12)을 따라서 브리지(7)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정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메커니즘은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파워 드라이브(power drive)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수동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정 메커니즘의 일부 이상은 브리지(7) 상에 지지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브리지에 결합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하여, 브리지(7)는 액추에이터의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7)는 모터, 또는 감속기어 및/또는 스핀들 드라이브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스핀들 드라이브의 스핀들 넛이 브리지(7)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스핀들 넛은 측면(11, 12)을 따라 브리지(7)가 이동하도록 회전구동할 수 있다. 브리지(7)는 액추에이터를 위한 하우징쉘(housing shell)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 감속기어 및 스핀들 드라이브의 스핀들 넛을 위한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의 하이징쉘을 브리지(7)에 부착할 수 있다.
도 9는 성형툴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요추 지지 디바이스(1)의 배치를 도시한다. 지지 바스켓(3)은 그 작동 위치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브리지(7)는 결합부(81, 82)가 아칭요소쌍(4, 5) 상에 과성형되도록 아칭요소쌍(4, 5)의 상부 말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1)가 성형툴로부터 제거될 때, 요추 지지 디바이스(1)를 제조하는 방법은 아칭요소쌍(4, 5)이 이동가능한 브리지(7)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결합부(81, 82)는 예를 들면, 스냅피트 연결부(snap fit connection) 내의 브리지(7)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지지 바스켓(3)을 아칭요소쌍(4, 5)을 가진 접합부(abutment) 내로 가져오도록 지지 바스켓(3)을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스핀들 드라이브의 스핀들(63)을 따라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1)의 측 단면도이다. 브리지(7)는 스핀들 드라이브의 작동에 의해 측면(11, 12)을 따라 이동가능하여 아칭요소쌍(4, 5)의 곡률을 변화시킨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는 차량 시트(7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캐리어(2)는 의자 등받이(71) 프레임(72)의 과성형된 부착특성부(16-18)에 부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60)는 브리지(7)에 장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60)는 나사산으로 스핀들(63)과 결합되는 모터(61) 및 스핀들 넛(6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핀들(63)은 회전 고정되도록 캐리어(2)에 장착될 수 있다. 모터(61)의 작동하에 스핀들 넛(62)의 회전은 브리지(7)가 측면(11, 12)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아칭요소쌍(4, 5)의 곡률을 변화시킨다. 감속 기어(도 11에서 미도시)는 브리지(7) 상에 장착될 수 있고, 모터(61)의 출력 사프트와 스핀들 넛(62)의 사이에서 결합될 수 있다. 브리지(7)가 캐리어(2)의 측면(11, 12)을 따라서 용이하게 움직이기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7)는 캐리어(2)의 측면(11, 12)에 근접하여 연장된 슬롯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캐리어(2)에 부착된 브리지(7)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브리지(7)가 이동가능한 변위를 따라서 캐리어(2)의 측면(11)으로 연장된 슬롯(8)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측면(11, 12)을 따라서 브리지(7)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캐리어(2)의 다른 측면(12) 상에 다른 슬롯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캐리어(2)에 부착된 브리지(7)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브리지(7)는 캐리어(2)의 면(11, 12)을 따라서 측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브리지(7)가 성형툴(40)에서 형성될 때조차도 브리지(7)가 면(11, 12)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브리지(7)는 면(11, 12)에 부착된 부착섹션(attachment sections, 9)을 가진다. 각각의 부착섹션은 면(11, 12)을 따라서 측정된 브리지(7)의 길이보다 작은 면(11, 12)을 따라서 측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브리지(7)는 캐리어(2)의 제1면(11)에 둘 다 결합하고 갭(gap)에 의해 서로 이격된 둘 이상의 부착섹션(9)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7)는 캐리어(2)의 제2면(12)에 둘 다 결합하고 갭에 의해 서로 이격된 둘 이상의 부착섹션(9)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7)는 부착섹션(9)이 캐리어(2)의 면(11, 12)에 직접 성형되도록 성형툴(4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ening, 8)가 각각의 부착섹션(9)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4의 단면도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8)는 측면을 향해 일반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개구부(8)는 예를 들어, 캐리어(2)의 하부 횡방향부(transverse part, 13)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개구부(8)는 사용 중인 요추 지지 디바이스(1) 상에 적용되는 오용된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후방 방향으로 캐리어의 면(11, 1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브리지(7)가 지지 바스켓(3)이 형성된 것과 동일한 성형툴(40)에서 형성될 때, 부착섹션(9)이 캐리어(2)의 면(11, 12)으로부터 떨어져 약간 수축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면(11, 12)에 부착섹션(9)이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면(11, 12)을 따라서 브리지(7)가 이동하는 것이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브리지(7)는 크로스 부재(6)로부터 이격되도록 성형툴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1)의 배면 사시도이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1)는 상기에서 도 1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1)는 조정 메커니즘(8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메커니즘(80)은 액추에이터(8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메커니즘(80)은 요추 지지 디바이스(1)의 액추에이터와 브리지(7)에 연결된 견인장치(traction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장치는 슬리브(sleeve, 82) 및 상기 슬리브(82)내에 미끄러지듯이 수용되는 내부 부재(83)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장치는 예를 들어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일 수 있다. 내부 부재(83)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일 수 있다. 슬리브(82)는 플라스틱 슬리브일 수 있다.
내부 부재(83)의 말단은 풀리(pulley)에 부착될 수 있다. 내부 부재(83)의 반대쪽 말단은 캐리어(2), 예를 들어 캐리어(2)의 하부 횡방향부(13)에 성형된 과성형성된 부분(16)에 부착될 수 있다. 슬리브(83)의 말단은 액추에이터(81)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슬리브(83)의 반대쪽 말단은 브리지(7) 상에 부착되고 지지될 수 있다. 견인장치에 의해 작용한 견인력을 변경함으로써 브리지(7)는 측면(11, 12)을 따라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아칭요소쌍 및 이동가능한 브리지를 가진 요추 지지 디바이스는 아칭요소쌍의 곡률이 조정되도록 한다. 그럼으로써 요추 지지 디바이스(1)에 의하여 제공된 정점과 지지 정도가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가 효율적으로 제조되게 한다.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다양한 플라스틱 부분은 동일한 성형툴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플라스틱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동시에 형성되어 요추 지지 디바이스 당 제조시간을 줄일 수 있다. 설명을 위하여, 지지 바스켓(3)은 아칭요소쌍(4, 5)이 캐리어(2)에 성형되고/성형되거나 과성형된 부분(16-18)이 캐리어(2) 상에 성형된 동일한 성형툴에서 사출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크로스 부재(6) 및/또는 브리지(7)는 또한 동일한 성형툴에서 형성되거나 별도의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지지 바스켓(3)은 성형툴(40)에서 캐리어(2) 상에 직접 성형될 필요는 없다. 지지 바스켓(3)은 캐리어(2) 상에 클리핑될 수 있거나 캐리어(2)에 부착될 수 있도록 성형툴(40)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설명을 위해, 브리지(7)는 성형툴(40) 내에서 캐리어(2) 상에 직접 성형될 필요는 없다. 브리지(7)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성형 공정이 완료된 후에 캐리어(2)에 부착될 수 있다.
성형 공정은 콜드러너 또는 핫러너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플라스틱 부품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설명을 위해, 캐리어(2) 또는 브리지(7)에 아칭요소쌍(4, 5) 및 지지 바스켓(3)을 부착하기 위하여 형성된 과성형물(31-34)은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 지지 디바이스는 시트 내에 요추를 적절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응용 분야의 실례로는 자동차 차량 시트와 같은 차량 시트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5)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1)의 제조방법:
    성형툴(molding tool, 40)에서 사출성형하여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캐리어(2)에 하나의 아칭요소쌍(a pair of arching elements, 4, 5)을 성형하되, 상기 하나의 아칭요소쌍(4, 5) 각각의 말단 및 상기 캐리어(2) 상에 과성형물(overmolding, 31, 32)이 성형되는 단계; 및
    상기 아칭요소쌍(4, 5)이 상기 캐리어(2)에 성형된 성형툴(40)에서 사출성형하여 지지 바스켓(support basket, 3)을 형성하되, 캐리어(2)에 하나 이상의 피봇부(pivot portion, 21)가 성형되고, 상기 지지 바스켓(3)이 캐리어(2)에 피봇되도록 상기 지지 바스켓(3)을 상기 성형툴(40)에서 성형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2)는 상기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한 쌍의 이격된 측면(11, 12)을 형성하고, 상기 아칭요소쌍(4, 5)은 상기 캐리어(2)에 성형되어 아칭요소쌍(4, 5)이 상기 이격된 측면(11, 12)을 따라 연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이격된 측면쌍(11, 12)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이격된 측면쌍(11, 12)을 따라 이동가능한 브리지(bridge, 7)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브리지(7)는 성형툴(40)에서 사출성형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2)에 둘 이상의 피봇부(21, 22)가 성형되고, 상기 캐리어(2)가 연장된 동축통로(coaxial passages)를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 바스켓(3)을 성형툴(40)에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스켓(3)을 성형툴(40)로부터 제거한 다음, 상기 캐리어(2)에 대하여 피보팅(pivoting)하여 상기 지지 바스켓(3)을 아칭요소쌍(4,5)과 접촉하도록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스켓(3)은 상기 캐리어(2)에 아칭요소쌍(4,5)을 동시에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칭요소쌍(4, 5)이 캐리어(2)에 성형된 성형툴(40)에서 사출성형하여 상기 캐리어(2) 상에 과성형된 부분(16-18)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과성형된 부분(16-18)의 일부 이상이 요추 지지 디바이스(1)를 시트 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특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툴(40)은 과성형된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교체가능한 인서트(insert, 51-53)를 포함하는 방법.
  10. 하기를 포함하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1):
    캐리어(2);
    상기 캐리어(2)에 성형된 하나의 아칭요소쌍(4, 5) 및 상기 하나의 아칭요소쌍(4, 5) 각각의 말단 및 상기 캐리어(2) 상에 성형된 과성형물(overmolding, 31, 32); 및
    상기 아칭요소쌍(4, 5)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캐리어(2)에 성형된 하나 이상의 피봇부(pivot portion, 21)에 의해 상기 캐리어(2)에 피봇되도록 성형된 지지 바스켓(3).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2)에 성형되고, 상기 캐리어(2)의 한 쌍의 이격된 측면(11, 12)을 따라 이동가능한 브리지(7)를 추가로 포함하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1).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7)에 결합되어 상기 브리지(7)가 이격된 측면쌍(11, 12)을 따라 구동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 60; 80)를 추가로 포함하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1).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 지지 디바이스(1)는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 지지 디바이스(1).
  15. 다음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
    프레임(72)을 구비한 시트백(seat back, 71); 및
    상기 프레임(72)에 부착된 제10항의 요추 지지 디바이스(1).


KR1020167029265A 2014-05-02 2015-04-23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요추 지지 디바이스 및 차량 시트 KR101965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66938.2 2014-05-02
EP14166938.2A EP2939569B1 (en) 2014-05-02 2014-05-02 Method of producing a lumbar support device, lumbar support device and vehicle seat
PCT/EP2015/058791 WO2015165793A1 (en) 2014-05-02 2015-04-23 Method of producing a lumbar support device, lumbar support device and vehicle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996A KR20160138996A (ko) 2016-12-06
KR101965780B1 true KR101965780B1 (ko) 2019-04-05

Family

ID=5063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265A KR101965780B1 (ko) 2014-05-02 2015-04-23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요추 지지 디바이스 및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95972B2 (ko)
EP (1) EP2939569B1 (ko)
KR (1) KR101965780B1 (ko)
CN (1) CN105015391B (ko)
WO (1) WO201516579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0124A1 (en) * 2001-03-02 2002-10-03 Rutsch Hermann W. Method of producing a lordosis support
US20070236063A1 (en) * 2006-04-07 2007-10-11 Schukra Of North America, Ltd. Overmolded thin-profile lumbar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7278A (en) * 1991-03-13 1993-06-08 Findlay Industries, Inc. Mechanism for providing adjustable lumbar support in a seat
US6652028B2 (en) * 2001-11-02 2003-11-25 L & P Propert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lumbar support with variable apex
US7854479B2 (en) * 2007-04-30 2010-12-21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Overmolded lumbar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US7874616B2 (en) 2008-09-18 2011-01-25 Lear Corporation Horizontal lumbar suspension for vehicle seats
EP2281715B1 (en) * 2009-07-27 2013-01-16 Fico Cables, Lda. Lumbar support system
US8454090B2 (en) * 2009-09-14 2013-06-04 Leggett & Platt Canada Co. Pelvic and lumbar support system
EP2471414B1 (en) * 2009-11-16 2013-09-18 Schukra Gerätebau GmbH Adjusting device for a lumbar support and method of adjusting a lumbar support
US8991923B2 (en) * 2009-11-16 2015-03-31 Schukra Geraetebau Gmbh Adjusting device for a lumbar support and method of adjusting a lumbar support
KR101199906B1 (ko) 2010-06-24 2012-11-09 (주)디에스시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JP5621520B2 (ja) 2010-11-05 2014-11-1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N202557364U (zh) 2012-03-13 2012-11-28 芜湖中特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具有自身缓冲功能的汽车座椅腰托
CN204279161U (zh) 2014-11-27 2015-04-2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靠背腰部支撑结构及汽车座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0124A1 (en) * 2001-03-02 2002-10-03 Rutsch Hermann W. Method of producing a lordosis support
US20070236063A1 (en) * 2006-04-07 2007-10-11 Schukra Of North America, Ltd. Overmolded thin-profile lumbar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15391B (zh) 2018-03-20
EP2939569A1 (en) 2015-11-04
US20170050549A1 (en) 2017-02-23
CN105015391A (zh) 2015-11-04
EP2939569B1 (en) 2018-03-28
KR20160138996A (ko) 2016-12-06
US10195972B2 (en) 2019-02-05
WO2015165793A1 (en)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0633B (zh) 包覆成型的腰靠装置和方法
EP1627787B1 (en) Arrangement introduced in wiper blade
CN105034894B (zh) 动力头枕电连接器
KR101034310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US9796302B2 (en) Seat for vehicles
WO2007056166A3 (en) Seat assembly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and method
CN103112405B (zh) 车辆用模制件和附连模制件端盖的方法
KR101965780B1 (ko) 요추 지지 디바이스의 제조방법, 요추 지지 디바이스 및 차량 시트
US20090008976A1 (en) Lumbar Suppo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umbar Support
ATE458644T1 (de) Verstellbarer sitz für ein kraftfahrzeug und mit dem sitz versehenes kraftfahrzeug
FR2721248A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fouet de batteur électroménager et fouet de batteur obtenu par ce procédé.
KR20150132828A (ko) 물품, 특히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 성형기와 함께 이용가능한 장치 및 방법
CN101111408A (zh) 腰部支撑装置及其制造方法
CN112874391A (zh) 车辆座椅靠背、包括该靠背的车辆座椅和该座椅靠背的制造方法
EP3569106B1 (en) Suspension mat for integration into a vehicle seat
KR200478024Y1 (ko) 차량용 암레스트 지지장치
JP4275517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における支軸の製造方法
FR2905578A1 (fr) Element de suspension pour siege ou sommier realisable automatiquement ou semi-automatiquement a des cadences de production elevees.
JP2013103065A (ja) 椅子用身体受け部及び背もたれ並びに椅子用身体受け部の製造方法
CN104943622B (zh) 带夹件座的模制部件、包括这类部件的组件、相关的生产方法
KR100450295B1 (ko) 자동차용 와이퍼 링케이지 및 이의 제작 방법
FR2868004A1 (fr) Coussin en mousse revetu d'une coiffe d'habillage, son outillag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CN105270230B (zh) 双向电动腰部支撑件以及包括它的座椅
JP2024516000A (ja) ゴム製中間製品を切断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FR2855488A1 (fr) Agencement pour le montage d'un mecanisme d'essuie-glace realisant le positionnement longitudinal et vertical de chaque point de fix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