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474B1 -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474B1
KR101965474B1 KR1020150097639A KR20150097639A KR101965474B1 KR 101965474 B1 KR101965474 B1 KR 101965474B1 KR 1020150097639 A KR1020150097639 A KR 1020150097639A KR 20150097639 A KR20150097639 A KR 20150097639A KR 101965474 B1 KR101965474 B1 KR 10196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treatment
weight
treatment layer
part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665A (ko
Inventor
정용배
정창영
김윤용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5009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47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표면처리층을 우레탄 수지, 실리콘 폴리올,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와 경화제를 포함하는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형성하여 신율은 일정 수준 유지하면서, 표면장력을 낮추고 표면처리층의 가교밀도를 높여 표면슬립(slip)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Interior shee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표면처리층을 우레탄 수지, 실리콘 폴리올,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와 경화제를 포함하는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형성하여 신율은 일정 수준 유지하면서, 표면장력을 낮추고 표면처리층의 가교밀도를 높여 표면슬립(slip)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트림, 사이드 필러 등의 상당 내장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합성수지 사출물로 제작된다.
그러나,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사출물은 질감 등이 조악하여 인테리어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사출물의 표면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0701호(공고일 2013. 09. 25)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로 마감하여 질감 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내열성 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자동차의 시트 표면도 인테리어 시트로 마감하여 질감 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내열성 등을 높이고 있다.
이때,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는 기재의 외측 표면에 표면처리층이 마련되어 표면처리층에 의해 표면 물성이 구현된다.
여기서, 종래 표면처리층은 우레탄 수지, 실리콘 폴리올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일액형 표면처리제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이 우레탄 수지, 실리콘 폴리올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일액형 표면처리제로 형성되는 종래 표면처리층은 어느 정도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을 갖는 것이기는 하였으나, 우레탄 수지와 실리콘 폴리올 간의 가교도가 비교적 낮고 표면장력은 높아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선크림의 사용이 늘고 있다.
따라서, 선크림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게 되면 내장재 및 시트를 마감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와 접촉할 수밖에 없으므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에 선크림이 묻어나게 된다.
이때, 선크림은 수용성 성분과 유성 성분이 공존하고, 저분자 물질 및 마이크로 미립자인 TiO2를 포함하므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에 쉽게 흡착되거나 손상을 주어 심하면 시트 표면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0701호(공고일 2013. 09. 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에서 기재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표면처리층이 우레탄 수지, 실리콘 폴리올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일액형 표면처리제로 형성됨에 따라 우레탄 수지와 실리콘 폴리올 간의 가교도가 비교적 낮아 가교밀도가 떨어짐으로써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선크림 등에 의해 쉽게 오염 및 손상 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재의 외측 표면에 표면처리층이 형성되되, 상기 표면처리층은, 우레탄 수지, 실리콘 폴리올,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와 경화제를 포함하는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코팅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는 기재의 외측 표면에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형성된 표면처리층이 구비되어, 이액형 표면처리제에 포함되는 혼합 수지와 경화제의 경화반응에 의해 결합 구조가 긴밀해짐에 따라 표면처리층의 가교밀도는 높이면서도, 표면장력은 낮을 수 있어, 이에 의해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을 개선되어 선크림 등으로 인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액형 표면처리제에 포함되는 혼합 수지에 의한 반응기 조절 및 입체장애에 의해 표면처리층의 신율을 일정 수준 확보할 수 있어,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의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는 이액형 표면처리제에 포함되는 혼합 수지에 의한 반응기 조절 및 입체장애에 의해 표면처리층의 신율을 일정 수준 확보할 수 있어,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을 높이면서도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의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기존의 일액형 표면처리제와 본 발명의 이액형 표면처리제의 썬크림 오염성을 비교실험한 사진이다.
도 4는 기존의 일액형 표면처리제와 본 발명의 이액형 표면처리제의 썬크림 착색 및 세척 후의 표면 상태를 비교실험한 사진으로서, 도 4a는 기존의 일액형 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층을 형성한 자동차 내장재를 썬크림 오염 후 중성세제로 세척한 후 표면의 확대 사진, 도 4b는 본 발명의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층을 형성한 자동차 내장재의 썬크림 오염 후 중성세제로 세척한 후 표면의 확대 사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A)는 기재(10)와 기재 상부에 형성된 표면처리층(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10)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중의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재(10)를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는 가소제, 안정제, 활제, 안료, 충진제 중의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재(10)는 시트 형태로 카렌더 성형 또는 압출성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면처리층(20)은 기재(10) 상부에 코팅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표면처리층은, 우레탄 수지, 실리콘 폴리올,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 수지와 경화제를 포함하는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코팅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액형 표면처리제는 유성 또는 수성일 수 있다.
유성 이액형 표면처리제일 경우에는 우레탄 수지를 용해할 수 있고 건조 조건을 조정할 수 있는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MEK), 크실렌(Xylene), 톨루엔(Toluene) 등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성 이액형 표면처리제를 사용하는 경우,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폴리올 20-50중량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10-50중량부로 구성된 혼합수지, 용제 50-150중량부, 경화제 5-15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는, 수성 이액형 표면처리제를 사용하는 경우,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10-50중량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50-150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수지, 물 50-150중량부, 경화제 5-15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실리콘 폴리올이나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 시 사용성이 떨어지고, 나중에 블리딩(Bleeing)되어 블로킹(Blocking)이 발생되거나 오염이 되며, 또한 상분리가 일어나서 코팅면이 나빠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미만 사용시 작업 시 레벨링성이 떨어지고 내오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화제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작업성은 좋으나 제품 보관 시 눌림자국이 발생할 수 있고, 가교도가 낮아서 신율이 좋아 성형성은 좋으나 내오염성이나 내약품성 개선 효과가 없어지며, 경화제가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빨리 경화되어 작업성이 나빠지고, 너무 가교도가 높아 성형할 때나 취급 시 표면처리층이 깨질 수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경화제로는 빛에 의해 변색이 잘 되지 않는 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서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4,4'-diisocyanate, MDI),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Xylene diisocyanate, X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수소화 MDI(Hydrogenated MDI, H12MDI), 수소화 XDI(Hydrogenated XDI, H6XDI),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Tetramethy xylylene diisocyanate, TMXDI) 등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성 이액형 표면처리제를 사용하는 경우, 위 경화제 외에 디히드라지드계 경화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경화제, 아지리딘계 경화제, 카보딜라이트 등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면처리층(20)은 그 두께가 2-15㎛로 형성될 수 있다. 표면처리층(20)의 두께가 2㎛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표면처리층(20)에 의한 기재 보호가 미미할 수 있고, 15㎛를 넘어서는 경우 표면처리제 소요 증가로 인한 비용상의 부담이 되고, 표면이 깨지기가 쉬워 성형이 어려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면처리층(20)은 그 두께가 5~1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처리층(20)의 형성방법은 그라비아 코팅, 스프레이 코팅, 롤코팅 등 방법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그라비아 코팅은 메쉬 롤에 표면처리제를 묻혀 시트에 전사시키는 코팅 방법으로 도포량은 적으나 균일한 도포가 가능한 장점이 있고, 상기 스프레이 코팅은 엠보싱이 된 시트에 표면처리제를 코팅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도포량은 불균일하나, 도포량이 높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표면처리층(20)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기재(10) 보호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표면처리층(20)은 신율 100-350%, 가교도 60-95%, 표면장력 30-50dyn/cm의 범위를 갖는다. 그럼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신율은 일정 수준 확보하여 성형성을 유지하면서, 표면장력을 낮추고 가교밀도를 높임으로 인해, 선크림성등,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기재(10)와 표면처리층(20) 사이에는 기재(10)와 표면처리층(20)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프라이머층(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30)은 일액형 프라이머 또는 이액형 프라이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로는 우레탄계 이액형 프라이머 또는 클로리네이티드 폴리프로필렌(Chlorinated PP)를 함유하는 일액형 프라이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30) 형성방법은 상기 표면처리층(20) 형성방법과 동일하게 그라비아 코팅, 스프레이 코팅, 롤코팅 등 방법으로 코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라이머층(30) 형성 전에 기재(10)와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기재(10)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여 개질화시킨 후 프라이머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A)는 프라이머층(30) 상부에 종래의 일액형 표면처리제 또는 본 발명의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복수의 표면처리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표면처리층을 본 발명의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기재(10) 상부에 일액형 프라이머 또는 이액형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30)을 형성한 후, 일액형 표면처리제 또는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제1표면처리층(20-1)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일액형 표면처리제 또는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제2표면처리층(20-2)을 형성하며, 그 상부에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제3표면처리층(20-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일액형 표면처리제는 우레탄 수지, 실리콘 폴리올 및 첨가제로 내광안정제, 열노화방지제, 소포제, 슬립제, 왁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 실시예1 : 유성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층 형성>
반바리에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중량부, 활제 1중량부, 충진제 10중량부를 혼합한 후 카렌더에 투입하여 시트 형태의 0.5mm(T) 두께의 기재를 제조하였다.
그후, 상기 기재의 상면에 우레탄계 이액형 프라이머를 100mesh 롤로 그라비아 코팅한 후 이를 가열 건조 (100℃, 50초)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프라이머층 상면에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실리콘 폴리올 30중량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용제 MEK 100중량부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유성 이액형 표면처리제를 150mesh 롤로 그라비아 코팅한 후 100℃에서 1분 건조하여 표면처리층이 형성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샘플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수성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층 형성>
반바리에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중량부, 활제 1중량부, 충진제 10중량부를 혼합한 후 카렌더에 투입하여 시트 형태의 0.5mm(T) 두께의 기재 0.5mm(T)를 제조하였다.
그후 상기 기재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한 후, 우레탄계 이액형 프라이머를 그라비아 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하고 이를 가열 건조 (100℃, 50초)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그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실리콘 30중량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100중량부, 물 100중량부를 사전에 미리 섞은 후, 카르보디이미드 경화제를 혼합하여 점도 200~800CPS 수준을 확보한 수성 이액형 표면처리제를 상기 프라이머층 상면에 그라비아 또는 스프레이 코팅한 후 100~130℃에서 1분 정도 건조하여 표면처리층이 형성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샘플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1 : 종래의 일액형 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층 형성>
반바리에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 안정제 3중량부, 활제 1중량부, 충진제 10중량부를 혼합한 후 카렌더에 투입하여 시트 형태의 0.5mm(T) 두께의 기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기재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한 후, 일액형 프라이머로 CPP(Chlorinated PP) 15-25중량부, 용제 MEK 100중량부, 소광제 3중량부 , 실리콘 오일 5-10중량부 함유된 것을 120 mesh 롤로 그라비아 코팅 후 100℃에서 10초 정도 건조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그후,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 실리콘 폴리올 30중량부, MEK 100중량부와 기타 첨가제로 소광제 3-10중량부, 실리콘 오일 5-10중량부가 더 포함된 일액형 표면처리제를 상기 프라이머층 상면에 그라비아 또는 스프레이 코팅한 후 100℃에서 1분 건조하여 표면처리층이 형성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험예1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의 제조에 사용된 표면처리제를 이용하여 형성된 표면처리층의 신율을 측정하였다.
신율 측정은 PET 필름 위에 20 ㎛ 두께로 코팅한 후 100℃에서 1분 건조한 후, 표면처리층만 박리한 후 인장기를 활용해서 신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실험예2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샘플 각각의 표면처리층 표면장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실험예3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에 의해 제작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샘플 각각의 표면처리층 가교밀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실험예4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에 의해 제작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샘플 각각의 오염성 및 선크림성을 평가하였다.
오염성 측정방법은 카본블랙 오염포를 가지고 학진형 마찰시험기로 200회마다 오염포를 변경하면서 총 5회(즉, 1000회) 실시 후 오염부위와 비오염부위 간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과 같다. 선크림성 평가방법은 시트 위에 썬크림(니베아/오휘)을 0.25g 도포 후, 그 위에 백면포 2장과 300g 추를 놓고 80℃에서 1시간 방치 후 꺼내서 중성세제로 닦은 후 표면의 부풀음이나 오염 여부의 상태 변화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 및 도 4와 같다.

구분
신율
(%)
표면장력
( dyn /cm)
가교밀도
( % )
선크림성 / 오염성
(%)

실시예1
(유성 이액형
표면처리제 )

150

39

90

양호

실시예2
(수성 이액형
표면처리제 )

250

37

85

양호

비교예1
(기존 일액형
표면처리제 )


300

41

45

표면 손상
상기의 표 1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가 종래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에 비해 표면처리층의 신율은 일정 수준 확보하여 성형성을 유지하면서, 표면장력을 낮추고 가교밀도를 높임으로 인해, 선크림성, 즉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a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일액형 표면처리제가 적용된 제품은 썬크림이 흡착으로 표면 손상 및 오염이 육안으로 확연히 확인되는 반면, 본 발명의 이액형 표면처리제가 적용된 제품은 도 3b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표면 상태가 양호하면서도 오염이 육안으로 거의 확인이 안되어 내오염성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1 및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기존 일액형 표면처리제가 적용된 제품은 오염 후 세척 시 표면 손상이 발생되었으나(도 4a 참조), 본 발명의 이액형 표면처리제(실시예 2)가 적용된 제품은 썬크림 오염 후 세척시 표면 손상이 거의 발생되지 않았다(도 4b 참조).
즉,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는 기재의 외측 표면에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형성된 표면처리층이 구비되는 것인 바, 이액형 표면처리제에 포함되는 혼합 수지와 경화제의 경화반응에 의해 결합 구조가 긴밀해짐에 따라 표면처리층의 가교밀도는 높이면서도, 표면장력은 낮을 수 있어, 이에 의해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을 개선되어 선크림 등으로 인한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이액형 표면처리제에 포함되는 혼합 수지에 의한 반응기 조절 및 입체장애에 의해 표면처리층의 신율을 일정 수준 확보할 수 있어,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의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기재 20 : 표면처리층
20-1 : 제1표면처리층 20-2:제2표면처리층
20-3 : 제3표면처리층 30 : 프라이머층
A :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Claims (17)

  1. 기재의 외측 표면에 표면처리층이 형성되되,
    상기 기재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중의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 안정제, 활제, 안료, 충진제 중의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면처리층은,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10-50중량부,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50-150중량부로 구성되는 혼합수지, 물 50-150중량부, 경화제 5-15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성 이액형 표면처리제로 코팅형성되고,
    상기 표면처리층의 신율은 250-350%이고, 가교도는 60-95%이며, 표면장력은 30-40dyn/cm인 것인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카렌더 또는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4,4'-diisocyanate, MDI),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Xylene diisocyanate, X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 수소화 MDI(Hydrogenated MDI, H12MDI), 수소화 XDI(Hydrogenated XDI, H6XDI),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Tetramethy xylylene diisocyanate, TMXDI)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디히드라지드계 경화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경화제, 아지리딘계 경화제 및 카보딜라이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의 두께는 2-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은 그라비아 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표면처리층 사이에는 기재와 표면처리층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프라이머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우레탄계 이액형 프라이머 또는 클로리네이티드 폴리프로필렌(Chlorinated PP)를 함유하는 일액형 프라이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 형성 전에 기재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은 프라이머층 상부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KR1020150097639A 2015-07-09 2015-07-09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KR101965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639A KR101965474B1 (ko) 2015-07-09 2015-07-09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639A KR101965474B1 (ko) 2015-07-09 2015-07-09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665A KR20170006665A (ko) 2017-01-18
KR101965474B1 true KR101965474B1 (ko) 2019-04-03

Family

ID=5799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639A KR101965474B1 (ko) 2015-07-09 2015-07-09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225B1 (ko) * 2017-09-14 2020-06-30 (주)엘지하우시스 인조가죽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조가죽 제조방법
WO2020003782A1 (ja) * 2018-06-27 2020-01-02 Dic株式会社 ウレタン樹脂組成物、表面処理剤、及び、物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7657A (ja) * 2008-07-10 2010-01-28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車輌内装材およびプライマー層形成用塗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98B1 (ko) * 2003-06-26 2010-07-06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스크래치성과 내오염성이 우수한 표면처리제 및 이를코팅한 피브이씨 장식시트
KR101310701B1 (ko) 2010-09-17 2013-09-25 손명준 폴리우레탄계 표면재 시트 및 이의 제조용 조성물
KR20130142568A (ko) * 2012-06-20 2013-12-3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오염성 및 내광성을 갖는 표면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481865B1 (ko) * 2012-08-07 2015-01-12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7657A (ja) * 2008-07-10 2010-01-28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車輌内装材およびプライマー層形成用塗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665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013B1 (ko) 고탄성 수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의 표면처리 방법
EP1812234B1 (en) Non-pvc flooring made of thermo plastic elastom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965474B1 (ko) 자동차용 인테리어 시트
DE102016224791B4 (de) Echtholzfilm, Herstellungsverfahren davon, und Artikel, die denselben umfassen
US10933606B2 (en) Flexible composite material, method of obtention and uses thereof
JP3071380B2 (ja) エアバッグ収納用ケース
EP3211051B1 (en) Aqueous composition for surface coating, and vehicle sheet to which same is applied
EP2883746B1 (en) Interior sheet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1280079B (zh) 用于水基涂层处理的热塑性聚烯烃弹性体片状组合物
KR20150055404A (ko) 방오 성능을 갖는 인조가죽 원단의 제조방법
US20190330796A1 (en) Waterproof membrane
KR102109452B1 (ko) 데코시트 및 데코시트 제조방법
EP3339015A1 (en) Flexible composite material, method and uses thereof
CN112895668B (zh) 一种无胶水的tpo人造革及其制造方法
KR102052275B1 (ko) 인조가죽 및 이의 제조방법
JP4104229B2 (ja) 水系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US20080075938A1 (en) Sheet Made of High Molecular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Same
DE102011086103A1 (de) Siliconkautschuk auf Schmelzkleber
KR102100668B1 (ko)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제조방법 및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JP2003213572A (ja) 床材用補強部材
JP2002178462A (ja) シート体及びこのシート体にて製造される成形体
JP2018144350A (ja) 化粧フィルム及び装飾構造体
KR20170037560A (ko) 방수 시트용 고성능 방수 필름과 이를 이용한 방수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H0460817B2 (ko)
DE102022204321A1 (de) Polyurethanformulierung mit verminderter Aldehydemission und daraus hergestellte Verbundgebil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