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057B1 -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시각능력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시각능력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057B1
KR101965057B1 KR1020170059935A KR20170059935A KR101965057B1 KR 101965057 B1 KR101965057 B1 KR 101965057B1 KR 1020170059935 A KR1020170059935 A KR 1020170059935A KR 20170059935 A KR20170059935 A KR 20170059935A KR 101965057 B1 KR101965057 B1 KR 10196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aminee
housing
opening
visual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5662A (ko
Inventor
홍일기
임희구
나준성
신선경
류준범
오주석
Original Assignee
유니폴라 주식회사
도로교통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폴라 주식회사, 도로교통공단 filed Critical 유니폴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9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05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8Arrangement of plural eye-testing or -examining apparatus
    • A61B3/185Arrangement of plural eye-testing or -exam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능력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각능력 검사 장치는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시각능력 검사 장치에 있어서, 후면에 개구부가 구비된 하우징,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개구부에 설치되는 접안부, 하우징 내부에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가림막, 가림막을 개폐하기 위해 가림막에 구비되는 모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시표가 표시되는 모니터, 가림막과 모니터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접안부와 모니터 사이의 공간에 유입되는 광을 차단하는 암막, 암막 내부의 조도를 제어하기 위해 암막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 및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모터, 조명 및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시각능력 검사 장치{VISION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VISION OF EXAMINEE}
본 발명은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시각능력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시력측정표가 아크릴 판에 인쇄되어 후면 광원에 의해 피검사자(즉, 수검자)에게 보여지거나 광학식 광원 장치에 의해 투사/투영되어 수검자에게 보여지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해당 시력측정표에 표시된 기호나 문자 등을 수검자로 하여금 일정 거리에서 읽도록 함으로써 시각능력 검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쇄 시력 검사장치는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미세한 빛의 파장이 수검자에게 영향을 주게 되어 정확한 측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광학식 투사/투영 장치의 경우엔 주변 조명의 영향으로 시력측정표의 선명도가 고정적이지 않아 정확성을 요구하는 검사에서 문제점이 발생하곤 하였다.
또한 인쇄 시력측정표의 경우, 부피가 크고 벽면에 부착 고정시켜 사용하여야 하며, 검사시 수검자가 일정거리(예를 들어, 약 5m) 떨어진 상태로 검사를 받아야 하므로, 공간 이용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인쇄 또는 투사/투영 방식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능력 검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인쇄 또는 투사/투영 방식으로는, 고령의 운전자와 같이, 정지시력, 동체시력, 대비감도, 야간시력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시각능력 검사가 필요한 사람의 시각능력을 종합적으로 검사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정지시력, 동체시력, 대비감도, 야간시력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시각능력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종합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시각능력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능력 검사 장치는,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시각능력 검사 장치에 있어서, 후면에 개구부가 구비된 하우징,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개구부에 설치되는 접안부, 하우징 내부에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가림막, 가림막을 개폐하기 위해 가림막에 구비되는 모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시표가 표시되는 모니터, 가림막과 모니터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접안부와 모니터 사이의 공간에 유입되는 광을 차단하는 암막, 암막 내부의 조도를 제어하기 위해 암막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 및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모터, 조명 및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접안부는,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개구부에 설치되고,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상태인 돌출부와, 돌출부의 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또한 수검자의 시각능력 검사시 수검자의 얼굴은 완충부에 안착되고, 완충부에 안착된 수검자의 시선 방향은 접안부를 통해 모니터를 향하게 된다.
또한 제어 모듈은, 모터, 조명 및,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수검자의 정지 시력, 동체 시력, 대비 감도 및, 야간 시력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한다.
또한 수검자의 야간 시력 검사시, 제어 모듈은 조명의 조도를 0 내지 1000lx 범위 내에서 제어한다.
또한 가림막은 개구부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1 가림부와 개구부의 나머지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2 가림부를 포함하고, 모터는 제1 가림부를 개폐하는 제1 모터와 제2 가림부를 개폐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수검자의 좌우 시력 검사시, 제어 모듈은 제1 모터와 제2 모터 각각의 구동 개시 시기 및 구동 지속 시간을 제어한다.
또한 하우징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검자의 시각능력 검사를 보조하는 조이스틱, 하우징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검자의 시각능력 검사를 보조하는 반응 버튼 및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부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 손잡이부 및 제1 통풍구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타측에는 제2 손잡이부, 제2 통풍구 및, 확장 인터페이스 단자가 구비되며, 확장 인터페이스 단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오디오 단자 및, 마이크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수검자의 시각능력 검사시, 제1 손잡이부와 제2 손잡이부에는 수검자의 양 손이 각각 파지되고, 하우징 내부의 열은 냉각팬에 의해 제1 통풍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하우징 내부의 공기는 제2 통풍구를 통해 환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능력 검사 장치는 정지시력, 동체시력, 대비감도, 야간시력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시각능력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종합적으로 검사할 수 있고, 해당 검사 결과를 수검자(특히, 고령의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평가하는 척도로 사용함으로써 운전 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능력 검사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평면 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가림막 및 모터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능력 검사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능력 검사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평면 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가림막 및 모터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능력 검사 장치(1)는 하우징(100), 접안부(150), 가림막(200), 모터(230), 모니터(250), 암막(300), 조명(330), 제어 모듈(350), 조이스틱(450), 반응 버튼(500), 냉각팬(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시각능력 검사 장치(1)의 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후면에 개구부(130)가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하우징(100)은 제1 부분(100a) 및 제2 부분(100b)을 포함할 수 있고, 도 6을 참조하면, 제1 부분(100a)은 커버 역할을 하고, 제2 부분(100b)은 수납부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후면에 개구부(130)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제1 손잡이부(110) 및 제1 통풍구(410)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제2 손잡이부(113), 제2 통풍구(420), 전원 스위치(115) 및, 확장 인터페이스 단자(120)가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전원 스위치(115) 및 확장 인터페이스 단자(120)의 위치는 하우징(100)의 타측이 아닌 일측 또는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원 스위치(115) 및 확장 인터페이스 단자(120)의 위치가 하우징(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개구부(130)에는 접안부(150)가 설치되고, 수검자는 접안부(150)에 얼굴을 안착시킨 상태로 개구부(130)를 통해 모니터(250) 상에 표시되는 시표를 볼 수 있다. 또한 개구부(130)를 덮도록 하우징(100) 내부에 가림막(20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수검자는 시각능력 검사시, 하우징(100)의 양측에 구비된 제1 손잡이부(110) 및 제2 손잡이부(113)에 자신의 양 손을 각각 파지할 수 있다.
즉, 수검자는 자신의 양 손을 제1 손잡이부(110) 및 제2 손잡이부(113)에 각각 파지함으로써 시각능력 검사시 자신의 자세 및 얼굴 위치(즉, 시선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풍구(42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가 환기될 수 있고, 하우징(100) 내부의 열은 냉각팬(400)에 의해 제1 통풍구(41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전원 스위치(115)를 통해 검사자 또는 수검자는 시각능력 검사 장치(1)의 전원을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스위치(115)에 의해 시각능력 검사 장치(1)가 턴온되면, 제어 모듈(350)은 저장된 검사 소프트웨어를 토대로 자동으로 수검자 시각능력 검사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참고로, 확장 인터페이스 단자(120)는 USB 포트(120a, 120d), 오디오 단자(120b) 및 마이크 단자(120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수검자는 USB 포트(120A, 120D) 또는 오디오 단자(120b)에 헤드폰(headphone) 또는 이어폰(earphone)을 연결시킨 후 해당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착용함으로써, 시각능력 검사 장치(1)에서 제공되는 시각능력 검사와 관련된 안내 음성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수검자는 USB 포트(120A, 120D) 또는 마이크 단자(120c)에 마이크(microphone)를 연결함으로써, 시각능력 검사 장치(1)에서 제공되는 시각능력 검사와 관련하여 음성 응답을 할 수 있다. 물론, 검사자가 USB 포트(120A, 120D) 또는 마이크 단자(120c)에 마이크(microphone)를 연결함으로써,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착용하여 외부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수검자에게 안내 멘트 등을 음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확장 인터페이스 단자(120)는 전술한 USB 포트(120a, 120d), 오디오 단자(120b) 및 마이크 단자(120c) 외에 추가 단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접안부(150)는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개구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안부(150)는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개구부(130)에 설치되고,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상태인 돌출부(150b)와, 돌출부(150b)의 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완충부(150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돌출부(150b)는 예를 들어,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수검자가 사선 방향으로 시선을 고정시킨 상태로 편한 자세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즉,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150a)는 예를 들어, 벨크로(Velcro)가 부착된 스펀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부직포 또는 메모리폼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불특정 다수가 시각능력 검사 장치(1)를 통해 검사를 받는다 하더라도 완충부(150a)의 탈부착이 가능한바, 교체 및 세탁이 용이하고, 청결 유지가 가능하다.
참고로, 수검자의 시각능력 검사시 수검자의 얼굴은 완충부(150a)에 안착되고, 완충부(150a)에 안착된 수검자의 시선 방향은 접안부(150)를 통해 모니터(250)를 향하게 된다.
가림막(200)은 하우징(100) 내부에 개구부(130)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고, 모터(230)는 가림막(200)을 개폐하기 위해 가림막(20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가림막(200)은 개구부(130)의 일부(예를 들어, 수검자 기준으로 좌측)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1 가림부(200a)와 개구부(130)의 나머지(예를 들어, 수검자 기준으로 우측)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2 가림부(20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터(230)는 제1 가림부(200a)를 개폐하는 제1 모터(230a)와 제2 가림부(200b)를 개폐하는 제2 모터(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모터(230a) 및 제2 모터(230b)는 제어 모듈(3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수검자의 좌우 시력 검사시, 제어 모듈(350)은 제1 모터(230a)와 제2 모터(230b) 각각의 구동 개시 시간 및 구동 지속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모터(230a)와 제2 모터(230b) 각각의 구동 개시 시간 및 구동 지속 시간이 제어됨으로써 제1 가림부(200a) 및 제2 가림부(200b) 각각의 개폐 시기 및 개폐 시간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제1 가림부(200a)와 제2 가림부(200b)에 의해 개구부(130)가 덮여 있는 상태(즉, 가려져 있는 상태)를 기본 상태라고 가정했을 때, 수검자의 좌안 시력을 검사하는 경우, 제1 모터(230a)가 제어 모듈(350)에 의해 구동되어 제1 가림부(200a)를 개방함으로써 수검자의 좌안 시력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검자의 우안 시력을 검사하는 경우, 제2 모터(230b)가 제어 모듈(350)에 의해 구동되어 제2 가림부(200b)를 개방함으로써 수검자의 우안 시력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모니터(250)는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고, 시표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250)는 제어 모듈(3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가림막(200)과 모니터(250) 사이에는 암막(30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250)는 예를 들어, 평판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PDP, LCD, LED, OLED 등)일 수 있고, 모니터(250)의 크기, 해상도, 시야각은 미리 정의된 값(예를 들어, 크기는 10.4인치이고, 해상도는 1024X768이며, 시야각은 178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250)와 접안부(150; 예를 들어, 수검자의 눈) 간 거리는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50cm)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250)에는 검사 항목(예를 들어, 정지시력, 동체시력, 대비감도, 야간시력 등)에 맞추어 시표가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시표는 예를 들어, 란돌트 링 시표(Landolt Ring Chart)일 수 있다. 물론, 시표는 예를 들어, 스넬렌 시표(Snellen Chart), 대수 시표(LogMAR Chart)일 수도 있다.
암막(300)은 가림막(200)과 모니터(25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접안부(150)와 모니터(250) 사이의 공간에 유입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막(300)은 접안부(150)와 모니터(250) 사이의 공간에 유입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고, 암막(300) 내부의 조도를 제어하기 위해 암막(300) 내부에 조명(330)이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암막(300)은 예를 들어, 무광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조명(330)은 암막(300) 내부의 조도를 제어하기 위해 암막(3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330)은 제어 모듈(3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수검자의 야간 시력 검사시, 조명(330)의 조도는 제어 모듈(350)에 의해 0 내지 1000lx 범위 내에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조명(330)의 조도는 모니터(250)에서 발산되는 광의 조도를 반영하여 제어 모듈(35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350)은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고,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모터(230), 조명(330) 및, 모니터(2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350)은 모터(230), 조명(330) 및, 모니터(25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수검자의 정지 시력, 동체 시력, 대비 감도 및, 야간 시력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검자의 정지 시력(visual Angle) 검사시, 제어 모듈(350)은 조명(330)의 조도를 1000lx로 설정 후 란돌트 링 표준시표를 모니터(250)에 표시하여 수검자에게 분리되어 보이는 최소치를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정지 시력 측정시 측정 지표는 VA이고, VA는 0.1~1.5일 수 있으며, 모니터(250)의 배경색은 흰색이고, 표시된 표준시표는 검정색일 수 있다.
이러한 정지 시력 검사를 통해 정지한 물체에 대한 수검자 눈의 분해능을 측정할 수 있고, 나아가 운전에 필요한 사물의 식별 능력을 평가하고, 노안의 징후를 발견할 수도 있다.
또한, 수검자의 동체 시력은 2가지 방법으로 검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검자의 좌우 이동 동체 시력(예를 들어, DVA(Dynamic Visual Acuity)) 검사시, 제어 모듈(350)은 조명(330)의 조도를 1000lx로 설정 후 란돌트 링 표준시표를 모니터(250)에 표시하여, 수검자의 눈 앞에서 좌에서 우로 이동하는 표준시표를 구분할 수 있는 최대 분해능을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좌우 이동 동체 시력 측정시 측정 지표는 DVA이고, DVA는 0.1~1.5일 수 있으며, 모니터(250)의 배경색은 흰색이고, 표시된 표준시표는 검정색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검자의 전후 이동 동체 시력(예를 들어, KVA(Kinetic Visual Acuity)) 검사시, 제어 모듈(350)은 조명(330)의 조도를 1000lx로 설정 후 란돌트 링 표준시표를 모니터(250)에 표시하여, 수검자의 눈 앞으로 다가오는 표준시표를 구분할 수 있는 최대 분해능을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전후 이동 동체 시력 측정시 측정 지표는 KVA이고, KVA는 0.1~1.5일 수 있으며, 모니터(250)의 배경색은 흰색이고, 표시된 표준시표는 검정색일 수 있다.
이러한 동체 시력 검사를 통해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여 식별하는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운전 중 움직이는 사물에 대한 식별 능력 또는 움직이는 자동차 안에서 도로 표지, 노면 표식 등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인식하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검자의 대비 감도(Contrast Sensitivity) 검사시, 제어 모듈(350)은 모니터(250)에 란돌트 링 표준시표의 밝기보다 밝은 배경을 가변적으로 제시하여 밝기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대비 감도 측정시 측정 지표는 대비민감도이고, 배경 명도는 15%~85%이고, 표준 시표 명도는 10%일 수 있다.
이러한 대비 감도 검사를 통해 고령 질환(예를 들어, 백내장, 녹내장, 약시, 신경증)을 가진 운전자의 대비민감도를 측정함으로써 수검자의 시각적 인지 정도(즉, 보기 어려운 정도)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검자의 야간 시력(Night Vision) 검사시, 제어 모듈(350)은 조명(330)의 조도를 1000lx로 설정하여 수검자로 하여금 30초 이상 명순응을 시킨 후 조명(330)을 턴오프하고(예를 들어, 턴오프시 조도는 약 100lx), 검정색 배경에 제시된 란돌트 링 표준 시표를 변별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야간 시력 측정시 측정 지표는 1차 암순응 시간(sec) 및 VA(0.1~1.5)이고, 배경은 HEX 000000이고, 표준시표는 HEX 262625일 수 있다.
이러한 야간 시력 검사를 통해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할 때 저조도 환경에서 적응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모듈(350)은 저장된 검사 소프트웨어를 토대로 다양한 수검자 시각능력 검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50)은 모터(230), 조명(330), 모니터(250) 뿐만 아니라 냉각팬(400)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조이스틱(450), 반응 버튼(500), 전원 스위치(115) 등으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을 수도 있고, 확장 인터페이스 단자(120)와는 입출력을 교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50)은 확장 인터페이스 단자(120)에 연결된 헤드셋 또는 이어폰을 통해 수검자에게 시각능력 검사와 관련된 음성 안내를 제공할 수도 있고, 모니터(250)를 통해 시각능력 검사 진행에 필요한 각종 지시문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모듈(350)은 각종 시각능력 검사를 통해 검사 관련 데이터 (예를 들어, 수검자에게 제시된 자극의 특성, 수검자의 반응, 정오답, 검사 결과값 등)를 표준 데이터 포맷으로 자동으로 저장하고, 검사가 완료되면, 검사 결과를 확장 인터페이스 단자(120)에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미도시)로 제공하여 검사자 또는 수검자가 검사 결과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50)은 검사가 완료되면, 검사 결과를 확장 인터페이스 단자(120)에 연결된 프린터(printer; 미도시)로 제공하여 프린터에서 바로 검사 결과표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제어 모듈(350)은 예를 들어, 내장형 PC(personal 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 모듈(350)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도 있다.
냉각팬(400)은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00) 내부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팬(400)은 제어 모듈(350)에 의해 제어되고, 하우징(100) 내부의 열은 냉각팬(400)에 의해 제2 통풍구(4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반응 버튼(500)은 하우징(100)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검자의 시각능력 검사를 보조할 수 있다.
참고로, 수검자는 시각능력 검사시 반응 버튼(500)을 누름으로써 해당 검사와 관련된 입력을 제공할 수 있고, 반응 버튼(500)은 수검자로부터 제공받은 입력을 제어 모듈(35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50)은 수검자로부터 제공받은 입력을 토대로 검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반응 버튼(500)은 모듈 형태로 구성되어 하우징(100)에 쉽게 탈부착 가능한바, 위치 변경 또는 교환이 가능하다.
조이스틱(450)은 하우징(10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검자의 시각능력 검사를 보조할 수 있다.
참고로, 수검자는 시각능력 검사시 조이스틱(450)을 조작함으로써 해당 검사와 관련된 입력을 제공할 수 있고, 조이스틱(450)은 수검자로부터 제공받은 입력을 제어 모듈(35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50)은 수검자로부터 제공받은 입력을 토대로 검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이스틱(450)은 모듈 형태로 구성되어 하우징(100)에 쉽게 탈부착 가능한바, 위치 변경 또는 교환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능력 검사 장치(1)는 정지시력, 동체시력, 대비감도, 야간시력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시각능력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종합적으로 검사할 수 있고, 해당 검사 결과를 수검자(특히, 고령의 운전자)의 운전 능력을 평가하는 척도로 사용함으로써 운전 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시각능력 검사 장치 100: 하우징
150: 접안부 200: 가림막
230: 모터 250: 모니터
300: 암막 330: 조명
350: 제어 모듈 400: 냉각팬
450: 조이스틱 500: 반응 버튼

Claims (10)

  1.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시각능력 검사 장치에 있어서,
    후면에 개구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접안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가림막;
    상기 가림막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가림막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시표가 표시되는 모니터;
    상기 가림막과 상기 모니터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접안부와 상기 모니터 사이의 공간에 유입되는 광을 차단하는 암막;
    상기 암막 내부의 조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암막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모터, 조명 및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가림막은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1 가림부와 상기 개구부의 나머지를 덮도록 설치되는 제2 가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1 가림부를 개폐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2 가림부를 개폐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시각능력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고,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상태인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시각능력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검자의 시각능력 검사시 상기 수검자의 얼굴은 상기 완충부에 안착되고,
    상기 완충부에 안착된 상기 수검자의 시선 방향은 상기 접안부를 통해 상기 모니터를 향하게 되는
    시각능력 검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모터, 조명 및,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수검자의 정지 시력, 동체 시력, 대비 감도 및, 야간 시력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는
    시각능력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검자의 야간 시력 검사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조명의 조도를 0 내지 1000lx 범위 내에서 제어하는
    시각능력 검사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검자의 좌우 시력 검사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 각각의 구동 개시 시기 및 구동 지속 시간을 제어하는
    시각능력 검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검자의 시각능력 검사를 보조하는 조이스틱;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검자의 시각능력 검사를 보조하는 반응 버튼;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시각능력 검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 손잡이부 및 제1 통풍구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제2 손잡이부, 제2 통풍구 및, 확장 인터페이스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확장 인터페이스 단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오디오 단자 및, 마이크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능력 검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검자의 시각능력 검사시,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상기 제2 손잡이부에는 상기 수검자의 양 손이 각각 파지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열은 상기 냉각팬에 의해 상기 제1 통풍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2 통풍구를 통해 환기되는
    시각능력 검사 장치.
KR1020170059935A 2017-05-15 2017-05-15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시각능력 검사 장치 KR10196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935A KR101965057B1 (ko) 2017-05-15 2017-05-15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시각능력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935A KR101965057B1 (ko) 2017-05-15 2017-05-15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시각능력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662A KR20180125662A (ko) 2018-11-26
KR101965057B1 true KR101965057B1 (ko) 2019-04-04

Family

ID=6460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935A KR101965057B1 (ko) 2017-05-15 2017-05-15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시각능력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7925A (zh) * 2018-12-29 2019-03-22 上海理工大学 眼视功能评价装置以及眼视功能评价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092A (ja) * 2000-11-14 2002-05-21 Topcon Corp 自覚式検眼装置
KR101245330B1 (ko) * 2011-12-20 2013-03-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용 컴퓨터 기반 시야 자가진단 시스템 및 시선 고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092A (ja) * 2000-11-14 2002-05-21 Topcon Corp 自覚式検眼装置
KR101245330B1 (ko) * 2011-12-20 2013-03-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용 컴퓨터 기반 시야 자가진단 시스템 및 시선 고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662A (ko)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8009B2 (ja) 自動視野計
JP6117707B2 (ja) 視力の機能的問題の検査、診断又は診断補助及び治療のための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US6045227A (en) Multi-functional visual testing instrument
JP7044767B2 (ja) 視力測定装置
US8764188B2 (en) Functional vision tester
JP2010523290A (ja) 一元的視覚検査センター
US11937877B2 (en) Measuring dark adaptation
US20170290505A1 (en) Visual field measuring device and system
JP2017113572A (ja) 視力検査装置及び視の検査方法
US10874357B2 (en) Eye movement measuring device and eye movement analysis system
WO2005022205A3 (en) Endoscope test device
KR101965057B1 (ko) 수검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시각능력 검사 장치
JP2003093344A (ja) 検眼装置
JPH119550A (ja) グレアコントラストテスタ
US20180120933A1 (en) Image-based system, having interchangeable vision elements, to observe and document eye responses
TWM504567U (zh) 虹膜檢測系統
KR102012960B1 (ko) 시각능력 검사 장치의 시각능력 검사 방법
JP6996343B2 (ja)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JP2002209851A (ja) 検眼装置
JP3504354B2 (ja) 眼科装置
BR112023000418A2 (pt) Método e sistema para avaliação da acuidade visual de uma pessoa
JP7029259B2 (ja) 検眼装置
JP3784214B2 (ja) 自動視力検査装置
JP3836363B2 (ja) フリッカー測定装置
JP7027958B2 (ja)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