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005B1 - 관절 보철물, 특히, 무릎 보철물을 삽입하기 위한 장비 - Google Patents

관절 보철물, 특히, 무릎 보철물을 삽입하기 위한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005B1
KR101965005B1 KR1020137030764A KR20137030764A KR101965005B1 KR 101965005 B1 KR101965005 B1 KR 101965005B1 KR 1020137030764 A KR1020137030764 A KR 1020137030764A KR 20137030764 A KR20137030764 A KR 20137030764A KR 101965005 B1 KR101965005 B1 KR 101965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milling
guide
insert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608A (ko
Inventor
발자리니 아모스
마크코 이레디
클라우스 무쉐브스키
Original Assignee
데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데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47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64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2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e.g. with cutting edges at the distal end of the saw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2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e.g. with cutting edges at the distal end of the saw blades
    • A61B17/14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e.g. with cutting edges at the distal end of the saw blades with cutting edges at the side of the saw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61B17/154Guides therefor for preparing bone for knee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61B17/154Guides therefor for preparing bone for knee prosthesis
    • A61B17/155Cutting fem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intramedulla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4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roducing a curved b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59Surgical rasps, files, planes, or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5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rasps or chi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2017/1602M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 보철물, 특히, 무릎 보철물의 대퇴골 요소를 삽입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비는 안내판(12)과 측방향으로 돌출된 프라이머리 게이지(11)를 구비한 베이스 프레임(1); 뼈 위의 고정 기구(99); 및 본체(70)와, 상기 본체(70)에 대해 곡선형 안내 경로(74)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연마 공구(85)를 위한 리셉터클(87)을 구비한 안내편(8)을 구비한 곡선형 밀링 게이지(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비는 상기 곡선형 밀링 게이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에 삽입될 때 상기 곡선형 밀링 게이지(7)를 명확하게 규정된 상대 위치에 배치하는 정렬 기구(17, 77)를 포함한다. 곡선형 안내 경로와 함께 정밀한 위치 결정으로 인하여, 주변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장착 시트가 쉽게 준비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관절 보철물과 같이 심지어 크고 복잡한 형상의 보철물도 쉽고 안전한 방식으로 재현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절 보철물, 특히, 무릎 보철물을 삽입하기 위한 장비{EQUIPMENT FOR INSERTING A JOINT PROSTHESIS, IN PARTICULAR A KNEE PROSTHESIS}
본 발명은 뼈, 특히, 대퇴골의 단부에 관절 보철물, 특히, 무릎 보철물의 대퇴골 요소를 삽입하기 위한 일단의 장비(a set of equipment)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관절 보철물, 특히, 무릎 보철물의 이식은 외과 의사에게 어려운 작업이다. 이러한 유형의 관절 보철물은 매우 사실적인 방식으로 자연 관절의 복잡한 생리적 운동 경로를 재현해야 한다. 이는 고도로 발달한 보철물 뿐만 아니라, 관절 보철물의 정밀한 이식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만, 자연 관절의 원하는 기능이 정확하게 복원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치료의 충분한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보철물이 정밀하면서도, 안전하고 재현가능하게 배치되어야함은 당연하다. 특히, 주변 조직, 특히, 주변 뼈 물질이 손상되거나 상처를 받지 않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많은 경우들에서 이 조직이 지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히, 관절 보철물의 긴 내용 연한의 관점에서, 목표들이 상충된다. 한편으론, 넓은 면적으로 힘이 전달되면, 긴 사용 연한이 유리하다. 다른 한편으론, 면적이 넓은 디자인은 전체적으로 너무 큰 보철물의 치수로 이어져서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주변 조직에 대한 손상을 쉽게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절 보철물을 지지하는데 특히 중요한 잘못된 영역에서 물질이 제거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정확한 위치 기준에 기초하여 이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관련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비는 관절 보철물, 특히, 무릎 관절 보철물의 확실히 믿을 수 있는 이식을 실제로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장비 자체가 정확한 위치 결정과 관련하여 거의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외과 의사의 상당한 경험을 전제로 하고 있다.
잘못된 위치 결정이나 자연 뼈 물질의 너무 많은 제거로 인해 발생하는 환자에 대한 유해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정밀한 이식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일단의 장비를 만드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을 가진 일단의 장비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유리한 개선이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뼈, 특히 대퇴골의 단부에 관절 보철물, 특히 무릎 보철물의 대퇴골 요소를 삽입하기 위한 일단의 장비로서, 상기 일단의 장비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프라이머리 게이지를 구비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뼈의 고정된 위치에 배열하기 위한 고정 기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 곡선형 안내 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연마 공구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구비한 안내편(guiding piece)을 구비한 곡선형 밀링 게이지; 및 상기 곡선형 밀링 게이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될 때 상기 곡선형 밀링 게이지를 명확하게 규정된 상대 위치에 배치하는 정렬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뼈 위의 고정 기구 내에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이용하여, 정렬 기구로 인해 매우 정확하고, 곡선형 밀링 게이지가 쉽게 삽입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정밀한 방식으로 자동으로 안전하게 정렬되는 안정적인 플랫폼을 생성하는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곡선형 밀링 게이지는 곡선형 안내 경로를 가지며, 이 곡선형 안내 경로를 따라 연마 공구에 의해 뼈가 라운드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무릎 관절 보철물의 관절구(condyle) 요소를 위한 수용면(receiving seat)을 준비하는데 적합하다. 이 요소들의 복잡한 형상은, 곡선형 밀링 게이지의 곡선형 안내 경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는 바와 같은 강제 안내에 의해, 본 발명 때문에, 외과 의사에 의해 용이하면서도 정밀하게 생성될 수 있다. 연마 공구의 강제 안내 때문에, 불리한 수술 조건 하에서도, 형상의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생성되어 준비된 수용면이 형상 면에서 정확할 뿐만 아니라, 정렬 기구를 통해 곡선형 밀링 게이지의 위치를 명확하게 결정하는 베이스 프레임의 정확한 기본 정렬로 인해, 주변 조직이 상처받거나 손상되지 않으며, 특히, 보철물을 지지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는 인접한 뼈 물질이 불필요하게 제거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특히, 무릎 관절 보철물의 경우, 골벽형(wall-like) 뼈 잔류물이 슬개골에 남아 있을 수 있으며, 관절 보철물의 슬개골 측 지지를 위한 베이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철물의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골수강의 박스형 공동의 정면으로 작용하는 경계선 역할도 한다.
즉, 본 발명은, 명확한 기본 위치 결정에 기초하여, 뼈 물질의 정확하게 규정된 제거를 가능하게 하며, 무릎 관절의 경우, 관절구의 일정하지 않은 곡률과 같이 복잡한 형상도 위치적으로 정확한 방식으로 쉽게 발현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하지 않은 관절구의 곡률에 맞추기 위해, 곡선형 밀링 게이지의 곡선형 안내 경로가 그 크기를 따라 그 곡률 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곡률 변화에 의하면, 무릎의 자연스러운 운동 경로가 기능 면에서 가능한 한 정확하게 재현된다. 여기서, 각각의 곡률 중심이 안내 경로를 따라 일정하지 않은 곡률 위의 하나의 평면에 남도록 기하학적 구조가 바람직하게 선택되며, 각각의 곡률 중심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수평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10㎜, 최대 20㎜) 시프트된다. 곡률 중심의 위치가 특정 요건을 충족하면서도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복잡한 곡선의 진행이 기존의 장비를 이용해서는 발생시키기 어려우며, 기존의 장비는 거의 또는 심지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 경우, 선행 기술의 초점은 오히려 오직 또는 주로 외과 의사의 경험과 기술에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비에 의하면, 사양에 따른 곡선 진행의 정밀한 형성이 항상 구현될 수 있도록 보장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연마 도구가 수용되는 안내편이 종동체를 통해 상기 안내 경로와 결합하고, 피벗 베어링을 통해 상기 본체에 피벗가능하게 적절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이중 장착에 의하면, 안내 경로를 따르는 안내편의 회전이 제어될 뿐만 아니라, 안내 경로에 대한 안내편의 정렬도 제어된다. 따라서, 곡률 반경과 곡률 중심의 위치도 모두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피벗 베어링이 종동체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양 측면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연동 장치(toggle linkage)를 구비하는 것이 특히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경우, 정밀한 안내와 걸림 현상의 회피를 부가적으로 결합하는 공간 절약 운동이 생성된다.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이물질(특히, 조직 잔류물 또는 체액)의 침투 위험으로 인해, 특히, 매우 정밀하게 안내되는 기술적 기구를 이용한 수술 환경에서는 막힘이 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걸림 현상의 회피는 특히 중요한 양태이다. 양 측면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연동 장치와 종동체의 조합은 이러한 면에서 강력하다.
연동 장치가 고정 기구를 통해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큰 조정 범위에서 이동가능한 안내편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곡선형 밀링 게이지를 그 본체를 통해 별도로 베이스 플레이트 속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단순화를 달성할 뿐만 아니라,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낮은 공차로 인해 곡선형 밀링 게이지의 삽입이 어렵고, 필요한 경우, 해머를 이용하여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필요한 힘을 가할 수 있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안내편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가 안내편의 안내 경로를 손상시키면서 박힐 위험이 없으며, 이는 정확한 위치 결정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
수술 환경에서 안내편의 번거로운 조립을 회피하면서 개별 조립 부품의 소실의 위험을 배제하기 위해, 안내편과 본체 사이에 급동(quick-action) 커플링이 적절하게 제공된다. 안내편을 안내 경로의 연장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될 수 있는 앵귤러 락(angular lock)으로서의 실시예가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경우, 연장부는 연마 공구에 의한 실제 형성에 필요하지 않은 (그러나, 말하자면, 사용되지 않는 추가적인 영역을 구성하기는 하는) 안내 경로의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안내편을 이 연장부로 이동시키면, 앵귤러 락이 공구 없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는 조립 과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이 또한 공구 없이 쉽게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안내편이 단지 연장부의 극단 위치로 이동한 다음, 분리되거나 재결합되기만 하면 된다. 연장부는, 연장부 영역에 안내 경로의 개구가 외측으로 제공되어 있다는 점에서, 적절하게 식별된다. 이 개구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이 위치에서 안내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연장부에 속하는 안내 경로 영역의 나머지에는 이 개구가 제공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앵귤러 락은 앵귤러 락이 안내편의 하나의 각 위치에서만 개방되도록 형성된 피벗 베어링 슬리브와, 비원형 피벗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피벗 베어링 슬리브가 협부(constriction)를 통해 측면을 향하여 개방됨으로써 달성된다. 비원형 피벗 핀은 위치에 따라 폭이 달라지도록 생성된다. 특정 위치에서의 이 폭을 특정 자오선에서의 폭이라 한다. 따라서, 비원형 피벗 핀이 짧은 원호형 변을 구비한 직사각형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면, 너비가 가장 짧은 자오선의 폭은 직사각형의 2개의 장변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너비가 가장 넓은 자오선에 대응하는 폭은 직사각형의 장변의 길이에 원호형 단변에 의해 제공된 볼록 곡률(convex curvatures)을 더한 것과 동일하다. 피봇 핀의 최소 폭의 자오선을 통과시키기에는 충분하지만 최대 폭의 자오선을 통과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도록 협부가 선택되기 때문에, 피벗 핀이 그 최소 폭의 자오선으로 협부를 통과할 수 있는 하나의 배향에 있는 경우에만 안내편과 그 피벗 핀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는 안내편이 연장부에 속하는 안내 경로의 위치에 위치된 경우일 뿐이다. 안내 경로의 다른 위치에서는 피벗 핀의 폭이 협부의 너비보다 넓어서 피벗 핀이 협부를 통해 제거될 수 없기 때문에, 안내편이 잠긴다. 이에 따라, 각도 기반 방식으로 제어되어 하나의 특정 위치에서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장하는 간단하고 강력한 급동 커플링이 생성된다. 마찬가지로, 안내편은, 정확한 위치에서 안내 경로의 연장부에 삽입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쉽게 조립되며, 폭이 가장 좁은 피벗 핀의 자오선이 협부를 통해 피벗 베어링 슬리브로 쉽게 안내된다. 따라서, 안내편을 제 위치에 삽입함으로써, 공구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잠금 메커니즘이 구현된다.
마찬가지로, 연동 장치가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모든 가동부(movable parts)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장비의 세척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어려운 경우에 민감한 안내 기구에 대한 손상을 초래하지 않고, 본체의 조립에도 유리하다. 연동 장치는 의도한 위치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 기구를 통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나사가 적절한 고정 기구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연동 장치의 장착에 의해, 안내 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안내편이 연마 공구를 위한 축을 규정한다. 이 축은 안내편의 피벗 평면에 배열되도록 배향될 수 있지만, 사각(斜角)으로 배향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이 축이 종동체와 피벗 베어링 사이의 라인에 대해 사각으로 배열됨이 더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위해, 10°내지 35°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15°내지 30°의 범위가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에 따라, 굽힘 예비분(bend reserve)이 연동 장치에 생성되며, 안내 경로의 흐름을 따라 지속적인 경로 변화를 허용한다.
안내편의 연마 공구용 리셉터클은 깊이 스탑(depth stop)과 바람직하게 협력한다. 이 경우, 깊이 스탑은 피가공물, 즉, 이 경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비가 사용되는 뼈로 침투하는 연마 공구의 침투 깊이의 범위를 결정하는 기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 일측을 향하여 개방된 단차형 시트인 깊이 스탑의 실시예가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단차로 인해, 딥 밀러(deep miller) 상에 배열된 후부(thickening)가 그 위에 안착되어, 지지 공구의 침투 깊이에 대한 스탑을 형성한다. 측방향 개구는, 번거로운 방식으로 나사식으로 조일 필요없이, 연마 공구가 측면으로부터 직접 리셉터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대체적으로, 안내편에 단지 1개의 리셉터클만 제공하면 사실상 충분하지만, 무릎 보철물에 대해서는, 2개의 관절구를 형성하기 위해 안내편에 이중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에 따라, 일단 1개의 관절구가 형성되면, 다른 위치에 제 2 관절구를 형성하기 위해, 연마 공구를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곡선형 밀링 게이지의 분해 또는 교환이 불필요하므로, 정밀한 위치 결정이 유지된다.
발산하는 축들이 생성되도록, 이중 리셉터클이 안내편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경우, 발산은 연마 공구의 절삭 헤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을 향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따라, 자연 무릎 관절에 존재하는 셀프-센터링 기능을 돕는 생리적 경사가 관절구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중 리셉터클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는 않다.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피벗 베어링에 의해, 그리고, 응용가능한 경우에는, 연동 장치에 의해, 안내편을 분리하여 이를 타측에 재조립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관절구가 처음에 일측에 준비될 수 있으며, 안내편의 동일한 리셉터클과 타측에서 재조립된 후, 다른 관절구가 준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곡선형 밀링 게이지와 그 본체의 위치 결정 자체가 변화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밀한 위치 결정이 유지된다.
본체 및/또는 안내 경로에 고정 보어들이 적절하게 제공된다. 이들은 곡선형 밀링 게이지의 위치를,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진입과는 무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 보장과 그에 따라 궁극적으로 위치 결정 정확도의 품질도 증가하며, 특히, 기본 프레임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독립적으로 보호받을 가치가 있을 수도 있는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을 위한 다양한 인서트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규정된 위치에 정렬체(aligning body)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정렬 인서트가 교환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정렬체는 특히 뼈 브로칭 공구(broaching tool)일 수 있으며, 특히, 골수강을 개방하기 위한 송곳이나 줄(rasp)일 수 있다.
이전 문단에서 설명한 안내편은, 일반적으로, 연마 공구용 리셉터클의 축이 반경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축이 실질적으로 곡률 중심을 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이 축은 곡률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이는 연마 공구가 측면으로부터 리셉터클에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충분히 큰 연마 공구를 이용하면, 안내 경로를 따르는 운동으로 대퇴골에 2개의 관절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피벗 베어링과 함께, 그리고, 응용가능한 경우에는, 연동 장치와 함께, 안내편을 분리하여 이를 타측에 재조립하는 변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오직 하나의 관절구 경로, 특히, 가장 가까운 관절구 경로가 형성되도록, 연마 공구가 치수화된다. 이는 보다 정밀한 제어의 장점을 제공하면서도, 관절구 경로의 안내편의 리셉터클에서 가능한 대로 약간 경사진 축으로 인해 경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중 리셉터클을 가진 상술한 안내편에서 발산하는 축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결과에 상응하는 결과가 얻어진다.
기계가공될 뼈에 곡선형 밀링 게이지를 독립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 보어들이 본체 및/또는 안내 경로에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이 제거될 수 있도록, 뼈에 걸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배향 기구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대체물로서 주로 사용된다.
독립적으로 보호받을 가치가 있을 수도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상기 안내판에 교환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베이스 프레임을 위한 인서트 앙상블(an ensemble of inserts)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인서트는, 특히, 정렬 인서트, 정면-소잉(frontal-sawing) 인서트, 제 1 밀링 인서트, 제 2 밀링 인서트, 및 슬롯형 링크 가이드를 구비한 제 3 밀링 인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정렬 인서트는 안내판의 규정된 위치에 교환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설계되며, 정렬체용 리셉터클을 갖는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가 정렬체에 대해 명확하게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정렬 인서트는 적절하게 측면-종속적(side-dependent)이며, 즉, 좌측 보철물을 이식하기 위한 정렬 인서트("L")와 우측 보철물을 이식하기 위한 정렬 인서트("R")가 있다. 양 측면에 비슷하게 사용될 수 있는 대칭적인 보조 정렬 인서트가 보충물로서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정렬 인서트의 정렬체용 리셉터클은 일 측면이 적절하게 개방되어 있다. 이는 협부에 의해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정렬체(여기서, 이는, 일반적으로, 송곳이나 밀링 커터와 같이, 뼈의 골수강으로 삽입되는 도구이다)는 리셉터클에 쉽게 삽입되고, 리셉터클에서 상기 측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인서트 앙상블은 정면-소잉 인서트를 더 포함한다. 이는 서로에 대해 V자 형상으로 정렬된 2개의 커프(kirf)와, 양극성 고정구(bipolar fastening)를 갖는다. 양극성 고정구는 2개의 교호하는 고정 위치들을 규정하는 고정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좌측 보철물을 이식하기 위한 하나의 경우와 우측 보철물을 이식하기 위한 다른 경우로 커프들이 배열되도록, 이 고정 위치들이 선택된다. 이러한 양극성 고정구의 적절한 실시예가 2개의 개별 고정 보어 또는, 바람직하게는, 슬롯일 수 있으며, 그 종점들이 개별 양극성 고정구의 위치들을 규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단의 장비는 안내판의 양측 에지에 배열되도록 설계된 다양한 높이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한다. 뼈로부터 안내판의 특정 거리가 스페이서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이전의 수술로 인해 뼈 물질이 이미 제거된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이에 따라, 물질의 소실을 보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치수가 다른 스페이서들이 일단의 장비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앙상블은 안내판에 교환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제 1 밀링 인서트를 더 포함한다. 제 1 밀링 인서트는 브로치(broach) 밀링 커터를 위해 규정된 리셉터클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은 브로치 밀링 커터를 위한 깊이 스탑을 또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밀링 공정이 정밀한 방식으로 실시되도록 보장된다. 이에 따라, 특히, 브로치 밀링 커터가 측면으로 드리프팅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측방향으로 또는 정면으로 또는 등부분으로(dorsally) 뼈 물질을 제거하지 않는다. 깊이 스탑은 뼈 물질이 이식에 필요한 깊이로만 제거되도록 더 보장한다. 브로치 밀링 커터가 삽입되었을 때, 슬개골의 정면에 남게 될 골벽의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가 남도록, 리셉터클과 프라이머리 게이지 사이의 거리가 치수화된다. 이는, 구체적으로는, 경험이 적은 외과 의사를 포함하여, 심지어 혼란스러운 수술 환경에서도, 브로치 밀링 커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강제 안내로 인해 구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단의 장비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플러그 리셉터클에 정밀한 각도로 부착될 수 있는 필러(feeler) 게이지를 더 포함한다. 이 필러 게이지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 2개의 배향 평면에서, 보철물의 피벗 포인트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앙상블은 안내판에 교환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제 2 밀링 인서트를 더 포함한다. 제 2 밀링 인서트는 커터가 양 리셉터클에 플러깅(plugged)될 수 있는 방식으로 벌크 밀링 커터를 수용하는 이중 리셉터클을 갖는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이중 리셉터클은 다른 깊이 스탑들과 추가적으로 측방향 오프셋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측방향 오프셋은, 측방향/안쪽 방향(medial direction)에서, 이중 리셉터클의 하나의 위치에 있는 벌크 밀링 커터가 이중 리셉터클의 다른 위치에 있을 때와는 다르게 배치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깊이 스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특히, 2개의 위치들 중 하나에 있는 벌크 밀링 커터가 다른 위치에 있을 때보다 더 깊은 밀링 깊이에 도달한다. 바람직하게, 이중 리셉터클은 그 영역들이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밀링 공정 후, 연관된 중공이 뼈에 생성된다. 이는 정밀한 이식을 위해 규정된 형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생성을 위한 기초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주변 골벽을 손상시킬 위험을 제기하지 않는 동시에, 최소 크기의 공간을 밀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중 리셉터클을 가진 보조 밀링 인서트가 제 2 밀링 인서트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이중 리셉터클은, 동일한 깊이 스탑을 갖고 그리고/또는 측방향 오프셋은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단순화된 것이다. 따라서, 더 간단한 중공 구조가 생성될 수 있다. 이 보조 밀링 인서트는, 상대적으로 작은 중공만 생성되면 되는 경우에, 특히 적절하다.
상기 앙상블은 안내판에 부착될 수 있는 제 3 밀링 인서트를 더 포함한다. 제 3 밀링 인서트는 깊이 밀링 커터를 위한 슬롯형 링크 가이드를 형성하며, 상기 깊이 밀링 커터는 바람직하게 슬롯형 링크 슬라이더 내에 수용된다. 슬롯형 링크 가이드에 의해, 깊이 밀링 커터를 이용하여 중공을 미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롯형 링크는 측방향/안쪽 방향에서 깊이 밀링 커터의 운동 범위를 결정한다. 또한, 측방향/안쪽 방향에서 밀링 커터의 운동은 슬롯형 링크 윈도우에 의해 제한된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더는 깊이 밀링 커터를 동축으로 둘러싸는 핸들을 갖는다. 이에 따라, 깊이 밀링 커터가 보다 정밀하게 안내될 수 있다. 슬롯형 링크 가이드는 밀링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윈도우를 더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슬롯형 링크 가이드는 깊이 스탑을 갖는다. 따라서, 2개의 다른 밀링 깊이가 규정되도록, 제 2 깊이 밀링 커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는 심지어 복잡한 중공의 안전하고 보다 정밀한 형성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슬롯형 링크 가이드는 힌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2개의 안내 레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단부에 깊이 밀링 커터를 위한 리셉터클이 배치될 수 있는 반면, 힌지 방식으로 상호 연결된 안내 레버의 타단부에는 안내판의 인서트 상에서 피벗가능한 마운트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밀링 커터가 강제 안내의 의미에서 보다 정밀하게 안내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기울어질(canting) 위험이 저감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밀링 공구 도구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만, 힌지 방식으로 연결된 레버들이 끼워맞춰지고 분리될 수 있도록, 인서트 상의 마운트가 적절하게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삽입 가이드가 안내판에 제공되며, 특히, 도브테일(dovetail) 가이드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인서트 앙상블이 안내판에 대해 쉽게 삽입되고 정밀하게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일단의 장비는 상기 곡선형 밀링 게이지를 위한 한 쌍의 삽입 집게(tongs)를 더 포함한다. 이 삽입 집게들은 규정된 위치에 형상 결합으로 곡선형 밀링 게이지를 그립핑(grip)하고, 한 쌍의 삽입 집게이 정렬 러그(aligning lugs)를 통해 정렬 기구와 협력함으로써, 삽입 집게들이 명확한 위치를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삽입 집게들에 의해 명확한 위치에 형성 결합으로 유지된 곡선형 밀링 게이지가 안내판에 대해 명확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비교적 큰 치수를 가진 곡선형 밀링 게이지가 안전하고 정밀하게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매우 단순화된다. 따라서, 부정확한 위치 결정이 배제된다.
상기 일단의 장비는 서로로부터 멀리 향하는 방식으로 베이스 프레임 상에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렬 로드를 적절하게 더 포함한다. 이 정렬 로드의 조립을 위해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 정렬 보어가 제공된다.
상기 일단의 장비는 깊이 스탑을 가진 드릴을 더 포함한다. 상기 드릴은 뼈에 관내인공삽입물의 고정 핀을 위한 리셉터클을 위치적으로 정확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일단의 장비는 뼈의 오목부, 특히, 대퇴골의 골수강을 브로칭하기 위한 다양한 송곳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일단의 장비는 샤프트에 리세스가 구비된 줄/브로칭 송곳을 적절하게 더 포함한다. 상기 리세스는, 특히, 깊이 스탑으로서 작용하는 스탑 플레이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줄/브로칭 송곳은 2개, 3개 또는 4개의 절삭 에지를 갖도록 적절하게 설계된다. 이 경우,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오프셋된 치형들이 절삭 에지에 배열된다. 치형들이 회전함에 따라, 다양한 지점들에서 뼈 물질이 제거됨으로써, 뼈 표면이 부드럽게 된다.
상기 일단의 장비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위치 결정을 위해 제공되어 정렬 기구에 대해 작용하는 방향 게이지를 적절하게 더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방향 게이지는 골수강에 삽입된 줄/브로칭 송곳에 대해 작용함으로써 상기 줄/브로칭 송곳에 대해 베이스 플레이트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도록 설계된다.
이하, 유리한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베이스 프레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리머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베이스 프레임을 정렬하기 위한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대퇴골의 단부에 중공을 준비하기 위한 소잉 게이지 및 밀링 게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중공을 미세 기계가공하기 위한 슬롯형 링크 밀링 게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골수강을 준비하기 위한 공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체를 포함한 곡선형 밀링 게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7에 따른 곡선형 밀링 게이지를 위한 안내편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안내편에 삽입된 관절구 밀링 커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곡선형 밀링 게이지를 삽입하기 위한 한 쌍의 삽입 집게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곡선형 밀링 게이지의 본체에 대한 안내편의 배열을 개별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체에서의 안내편의 운동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안내편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베이스 프레임의 정렬에 대한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도 3에 따른 보상편들의 사용에 대한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도 3에 따른 밀링 커터의 사용에 대한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스페이서의 대안적인 고정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도 4에 따른 소잉 게이지의 사용에 대한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방향 게이지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도 4에 따른 밀링 커터와 함께 제 1 밀링 게이지의 사용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제 1 밀링 커터의 사용에 대한 대안을 도시하고 있다.
도 22는 도 4에 따른 제 2 밀링 게이지의 사용에 대한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은 도 5에 따른 슬롯형 링크 밀링 게이지의 사용에 대한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는 대안적인 슬롯형 링크 밀링 게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는 인서트 고정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은 고정 기구와 인서트 간의 협력을 예시한 도면이다.
무릎 관절 관내인공삽입물을 이식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11에 예시적 실시예로서 도시된 일단의 장비는, 2개의 송곳(90, 91)(도 14 참조)과 줄/브로칭 송곳(92)(도 2 참조), 베이스 프레임(1), 대퇴골 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기구로서의 핀(99), 정렬 인서트(3), 정면-소잉 인서트(40), 스페이서(34), 필러 게이지(39), 제 1 밀링 인서트(4), 제 2 밀링 인서트(5), 슬롯형 링크 가이드로서의 제 3 밀링 인서트(6), 및 관절구 밀링 커터(85)를 구비한 곡선형 밀링 게이지(7)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은 안내판(12)과, 상기 안내판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직각으로 돌출된 프라이머리 게이지(11)를 포함한다. 관절구의 높이 차를 보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소우 블레이드 가이드(20)가 프라이머리 게이지(11)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고, 대퇴골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관절구를 기계가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2 소우 블레이드 가이드(21)가 프라이머리 게이지(11)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핀을 고정하기 위한 보어(22)가 소우 블레이드 가이드들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다. 안내판(12)으로 전이하는 영역에는, 안내판(12)의 연장부 방향으로 정렬된 스페이서 수용 보어(26)가 제공된다.
베이스 프레임(1)은 다양한 크기로 제공된다. 이 경우, 기준 평면(10)과 소우 블레이드 가이드(20, 21)들 및 스페이서 수용 보어(26)들 사이의 거리는 서로 다른 크기에 대해 동일하다.
안내판(12)은 그 하면이 기준 평면(10)으로서 형성된다. 이는 대퇴골의 관절구를 위한 지지면 역할을 한다. 평면이 상면에 형성되어, 공구 평면(14)으로서 작용한다. 이는 안내판(12)에 수용되는 다양한 인서트들의 기준 평면이 된다. 이 경우, 기준 평면(10)과 공구 평면(14) 사이의 치수는 삽입되는 보형물의 개별 크기와 일치한다. 선형 가이드(2)가 공구 평면(14)의 양측에 배치되며, 안내판(12)의 상면과 공구 평면(14) 사이의 2개의 언더컷 에지들을 포함한다. 이들은 인서트(3, 4, 5, 6)들을 위한 도브테일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밀링된 리세스(15)가 안내판(12)의 각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밀링된 리세스들 사이에 남아 있는 너비가 개별 베이스 플레이트(1)와 연관된 보형물의 폭 치수의 폭에 대응하는 것이 그러한 깊이에 속한다. 따라서, 밀링된 리세스(15)는 보형물 크기를 선택하기 위한 시각적 보조물로서의 역할을 한다. 각각의 밀링된 리세스(15)에는, 나사 결합되는 정렬 로드(38)를 이용하여 위치를 나타내는 내부 나사산을 구비한 정렬 보어(23)가 제공된다. 밀링된 리세스(15)를 측면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핀(99)을 고정하기 위한 보어(28)가 제공된다. 안내판(12)의 중앙 영역에는, 거의 직사각형의 기본 형상을 가진 중앙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 개구는 상기 측면을 향하고 있는 2개의 측면이 측방향 경계선(66)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상기 프라이머리 게이지로부터 멀리 향하고 있는 그 에지(65')를 이용하여 밀링된 장붓구멍 리세스의 후방 경계선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측면(66)에는 곡선형 밀링 게이지(7)의 삽입 도구(76)를 위한 안내 슬롯(17)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 슬롯에 인접하여 안내판(12)의 양측에 핀홀 드릴을 위한 드릴 가이드(18)가 제공된다. 밀링된 장붓구멍 리세스의 후방 경계선(65') 부근의 후방 영역에는 관절구를 기계가공하기 위한 후방 소우 블레이드 가이드(19)가 형성된다. 큰 중앙 개구의 반대측 단부에서, 대각선 전환 가이드(16, 16')가 프라이머리 가이드(11)를 향하고 있는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라이머리 가이드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상기 전환 가이드는 각 측면에 이중 곡선 형상을 가짐으로써, 정면-소잉 인서트(40)를 위한 양극성 리셉터클을 형성한다. 상기 정면-소잉 인서트는 좌측 위치 처리를 위해 참조 번호 "16"으로 표시된 위치에 삽입되며, 우측 이식 기계가공을 위해 참조 번호 "16'"으로 표시된 위치에 삽입된다.
중앙 고정구(14)는 프라이머리 게이지(11) 위의 베이스 플레이트(12) 중앙에 제공된다. 상기 고정구는 개별 인서트들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양한 인서트들이 다양한 크기의 베이스 프레임(1)과 어려움 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는 항상 다양한 크기의 베이스 프레임(1) 상의 동일한 지점에 배치된다. 자유 공간(29)이 고정구 양측에 형성되어, 대퇴골에 고정되는 곡선형 밀링 게이지(7)의 핀을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간극을 생성한다.
참조 번호 "92"로 그 전체가 표시된 줄/브로칭 송곳은 그 하부 영역에 복수의 절삭 에지(93)를 포함하며, 상기 절삭 에지들은 각각 다수의 치형(94)을 구비하고 있다. 상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치형이 없는 영역(95)이 치형(94)을 구비한 절삭 에지(93)와 인접하고 있다. 치형이 없는 영역 위에 리세스(9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세스는 스탑 플레이트(97)를 위한 리셉터클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절삭 에지(93)는 삼각형 구조로 형성되며, 이는 120°의 각 거리로 배열된 3개의 절삭 에지(93)들이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개수의 절삭 에지, 특히, 2개의 절삭 에지 또는 4개의 절삭 에지도 제공될 수 있다(도 2의 b) 참조). 도 2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줄/브로칭 송곳(92)의 선단으로부터 측정했을 때, 절삭 에지(93)의 치형(94)이 인접한 절삭 에지(93')의 치형(94')에 대해 수직으로 오프셋되게 배열되도록, 치형(94)의 배열이 선택된다. 이는, 줄/브로칭 송곳(92)이 회전할 때, 골벽의 보다 균일한 성형이 구현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에지에 가까운 영역의 뼈를 보존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줄/브로칭 송곳에는 뼈 에지에 대해 배향되도록 하는 평탄부가 구비되어 있다. 골수강의 깊이로 도입된 후, 그리고 줄질한 후, 상기 줄/브로칭 송곳은 리머(reamer)로서 사용된다.
줄/브로칭 송곳(92)은 리세스(96) 위의 상부 샤프트 영역을 통해 정렬 보조물로서 작용하며, 이 목적을 위해 정렬 인서트(3)와 협력한다. 이 인서트는 협부(31')를 통해 측면을 향해 개방된 개구(31)를 갖는다. 줄/브로칭 송곳(92)은 협부(31')로 삽입됨으로써 그 리세스(96)를 통해 개구(31)로 도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 인서트(3)가 삽입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와 줄/브로칭 송곳(92) 간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이 구현된다. 정렬 로드(38)가 정렬 보어(23)에 나사 결합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외과 의사에게 베이스 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정렬 보조물로서 작용하게 된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개구(31)는 기준 평면(10)에 대해 직교하여 배향되지 않고, 상기 기준 평면에 대해 사각으로 배열되어 있다. 직교 방향으로부터의 편차가 샤프트 각도(α)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는 보철물을 특정하는 치수(예컨대, 6°)이다. 외과 의사가 이 샤프트 각도를 시각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구(30)가 정렬 인서트(3)에 또한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전방 경계선을 통해 돌출된 한 쌍의 통에 형성되고, 이 개구(30)를 통해 플러깅된 트레이서(tracer) 핀(30')이 기계가공되는 대퇴골의 외부에 배열됨에 따라, 기계가공되는 대퇴골의 골수강에 삽입된 줄/브로칭 송곳(92)의 샤프트 각도를 외과 의사에게 표시한다(도 14의 b) 및 도 14의 c) 참조).
정렬 인서트(3)는 그 측면(33)이 쐐기와 같은 방식으로(쐐기 각도(γ)는 4 내지 10°이며, 바람직하게는 6°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샤프트 각도(α)로 모따기된다. 한편으론, 이에 따라 선형 가이드(2)에서 충분히 정확한 위치 결정이 구현되며, 다른 한편으론, 실제 도브테일 가이드와는 달리, 인서트가 상방향으로, 구체적으로는 정렬 과정이 종료될 때 제거될 수 있다(도 14 참조).
줄/브로칭 송곳(92)의 리세스(96)와 유사하게 리세스(37')를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협부(31')를 통해 개구(31)로 삽입될 수 있는 브로치 밀링 커터(37)를 사용하여(도 16 참조), 대퇴골의 골수강에 오목부가 예비기계가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로치 밀링 커터(36)는 줄/브로칭 송곳(92)과 동일한 샤프트 각도(α)로 기울어진다. 이에 따라, 보철물의 샤프트를 위해 깊은 영역을 밀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샤프트 칼라(collar)로서 형성된 깊이 스탑(37")에 의해 최대 밀링 깊이가 제한된다. 이 목적을 위해 외과 의사의 특수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심지어 깊게, 구체적으로는 정확한 각도로, 필요한 침식부(erosion)를 뼈에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은 그 기준 평면(10)을 통해 대퇴골의 단부에 직접 안착될 것이다. 그러나, 특히, 재수술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며, 뼈 물질이 이미 존재하지 않는(이전 수술에서 제거되었거나, 결함으로 인해 존재하지 않는) 다른 경우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하면(10)에 스페이서(35)가 배열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들은 쌍으로 형성되며, 수용 보어(26)에 삽입된 고정 핀(36)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의 프라이머리 게이지(11) 상에 유지된다(도 15의 a) 참조). 미세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두께로 이용가능하다(도 15의 b) 참조). 스페이서의 대안이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가장 단순한 대안은 베이스 프레임의 에지에 조절 나사를 배치하는 것이다(도 17의 a) 참조).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대안적인 스페이서(35, 35')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후크 연결 또는 핀 연결을 통해 측면에 형상 결합으로 유지된다(도 17의 b) 및 도 17의 c) 참조). 이 스페이서들은 고정 핀(99)이 삽입되는 핀 개구를 구비한 하부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도 17의 d) 참조).
정렬 인서트(3)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의 위치가 규정되면, 개구(28)로 고정 핀(99)을 도입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이 대퇴골에 대해 고정된다. 그 다음, 정렬 인서트(3)와 줄/브로칭 송곳(92)이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정렬 로드(38)와 트레이서 핀(30')의 위치 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물이 마찬가지로 제거된다.
그 다음,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 뼈 소우에 의해, 후방 소우 블레이드 가이드(19)를 사용하여, 등 쪽 단부에 있는 관절구를 기계가공할 수 있다(도 18의 c) 참조). 다음 단계에서, 구체적으로는 이식물이 좌측 이식물인지 우측 이식물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정면-소잉 인서트(40)가 대응하는 대각선 전환 가이드(16, 16')에 삽입된다. 이중 아치형 리세스(16, 16')에 의해 주어지는 배향은 각 단부 위치(43, 43')에서 고정 나사(13)가 중앙 고정구(14)에 나사결합되는 슬롯(42)을 이용하여 양극성 고정구에 의해 규정된다. 그 다음, 정면 관절구 측면이 그 자체가 공지된 뼈 소우에 의해 V자형 소우 블레이드 가이드(41, 41')를 따라 기계가공된다(도 18의 a) 및 도 18의 b) 참조).
다음 단계에서, 베이스 프레임(1)의 슬롯(27)에 플러깅된 필러 게이지(39)에 의해 회전 평면이 일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그 다음, 먼저 언급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평면이 소잉 슬롯(40, 40')으로의 삽입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회전 평면의 교차점에 의해 피벗 포인트가 결정된다. 대안적인 도구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인덱싱(39")이 양측에 배열된 방향 게이지(39')로서의 브릿지 지지체를 포함한다. 브릿지 지지체(39')는 베이스 프레임(1)의 안내슬롯(17)에 삽입되며, 베이스 프레임(1)의 배향은 이에 따라 생성된 형상 결합 연결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인덱싱(39")의 길이는 그 단부를 통해 피벗 포인트(Z)의 각 최종 위치를 표시하도록 치수화된다(도 19의 b) 및 도 19의 c) 참조). 이는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신속한 정렬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 단계에서, 제 1 밀링 인서트(4)가 베이스 프레임(1)에 삽입되고, 개구(44)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는 중앙 고정구(14)와 고정 나사(1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인서트(4)는 브로치 밀링 커터(49)를 위한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안내 슬리브(45')를 구비한 큰 중앙 개구(45)를 갖는다. 이는 상부 영역에 칼라(49')를 가지며, 상기 칼라는 브로치 밀링 커터(49)를 위한 깊이 스탑이 형성되도록 안내 슬리브(45')의 상부 에지와 협력한다. 이에 따라, 이식을 위해 필요한 오목부가 골수강에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론, 리머에 의해 남겨진 골벽이 전방 영역에서 감소되고, 그 높이 면에서 규정된다(도 19 참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전방 영역에서 골벽의 높이 감소는 끌(46)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끌(46)은 본체를 갖고, 상기 본체는 원호 세그먼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후방 단부에 깊이 스탑으로서의 역할도 하는 충격 헤드(46')를 갖는다. 끌(46)의 단면 형상에 대해 상보적인 안내 슬롯(47)이 프라이머리 게이지(11) 상의 베이스 프레임(1)에 제공된다.
다음 단계에서, 제 1 밀링 인서트(4)가 제 2 밀링 인서트(5)로 대체된다. 상기 제 2 밀링 인서트는 팔각형 단면의 이중 리셉터클(51)을 가지며, 상기 이중 리셉터클은 벌크 밀링 커터(59)를 위한 2개의 수용 위치(52, 53)를 형성한다. 2개의 리셉터클(52, 53)이 중앙에 배치되지 않고, 모두 측면에 대해 다르게 오프셋되어 있다(측방향 오프셋). 2개의 수용 위치(52, 53) 각각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슬리브(52', 53')가 할당되어 있다. 벌크 밀링 커터(59)도 마찬가지로 그 상부 영역에 돌출된 칼라(59')를 가지며, 상기 칼라는 개별 리셉터클(52, 53)에 할당된 슬리브(52', 53')의 상부 에지와 협력함으로써, 벌크 밀링 커터(59)를 위한 깊이 스탑을 형성한다(도 22의 a) 참조). 따라서, 이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의 대부분이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밀링 인서트(4)와 유사하게, 제 2 밀링 인서트(5)도 중앙 고정구와 일치하는 개구(54)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에 명확하게 배치된다.
이중 리셉터클(51)에서 2개의 리셉터클(52, 53)들의 서로 다른 깊이 스탑들로 인하여, 뼈에 공동이 효과적으로 브로칭될 수 있다. 이것이 불필요하다면, 측방향 오프셋이 없는 이중 리셉터클(55)을 가진 단순화된 제 2 밀링 인서트(5')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깊이 스탑들이 동일한 높이에 배열될 수 있지만(도 22의 b) 참조),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라) 이들이 다른 높이에 배열되는 것을 배제할 수는 없다.
제 2 밀링 인서트(5)는 두 가지 버전으로 일단의 장비에 수납된다. 제 1 버전은 좌측 이식용이고, 축 대칭인 제 2 버전은 우측 이식용으로 형성된다("L"과 "R"로 표시된 도 4의 밀링 인서트(5) 참조).
다음 단계에서, 제 2 밀링 인서트(5)는 슬롯형 링크 인서트로서 형성된 제 3 밀링 인서트(6)로 대체된다(도 5 및 도 23의 a) 내지 도 23의 c) 참조). 상기 제 3 밀링 인서트는 T자형으로 배향된 2개의 슬롯형 링크 윈도우(60, 61)와, 2개의 검사 윈도우(62, 63)를 갖는다. 슬롯형 링크 윈도우(60)는 슬롯으로서 형성되어 고정 나사(13)를 위한 리셉터클로서 작용하며, 베이스 프레임(1) 상에서 슬롯형 링크 인서트가 안내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슬롯형 링크 인서트(6)는 정면으로 또는 등부분으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슬롯형 링크 슬라이더(65)가 횡방향으로 배향된 슬롯형 링크 윈도우(61)로 변위가능하게 삽입되며, 밀링 공구(68, 69)를 위한 리셉터클(67)이 구비된 핸들(64)을 갖는다. 밀링 공구(68, 69)는 프리-밀링 커터와 엔드-밀링 커터이며, 이들은 선단으로부터 다른 거리에 배열된 스탑 칼라(68', 69')에 의해 다른 깊이를 밀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도 5 및 도 23의 c) 참조). 이들은 핸들(64)의 중앙 개구(67)를 통해 슬롯형 링크 슬라이더(63)에 삽입될 수 있다. 슬롯형 링크 슬라이더(63)를 슬롯형 링크 윈도우(61)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그리고, 슬롯형 링크 인서트(6)를 슬롯형 링크 윈도우(60)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x/y 운동), 매우 정밀하게 직사각형 공동 단면을 밀링할 수 있다. 정밀한 슬롯형 링크 안내로 인해, 높은 치수 정확도로 공동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릎 보철물을 위한 박스형 수용 공간을 대퇴골 공동에 준비할 수 있다.
슬롯형 링크 인서트(6)에 대한 대안적 실시예가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힌지식 슬롯형 링크 인서트(6')이다. 이는 서로 힌지 결합된 2개의 안내 레버(60', 61')를 갖는다. 이들의 일단부가 인서트(6')의 메인 플레이트에 피벗 핀(62')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부에는 밀링 공구(68, 69)를 위한 리셉터클(67')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형 링크 인서트(6')의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U자형 슬롯형 링크 경로(63')가 절삭되어 있으며, 리셉터클(67')에 삽입된 밀링 공구(68, 69)가 안내 레버(60', 61')에 의해 상기 경로 내에서 강제 안내된다. 피벗 핀(62')은 평탄부(6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안내 레버(60', 61')는 미리 정해진 조립 위치에서 그 위에만 결합되어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립 위치에서, 리셉터클(67')이 슬롯형 링크 경로(63')를 비켜서 배열되도록, 평탄부(64')가 정렬된다. 이에 따라, 밀링 공구(68, 69)가 제거된 경우에만, 조립 및 분리 공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보장된다.
베이스 프레임(1)에서 인서트(3, 4, 5)들의 추가적인 고정이 도 25에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 상의 고정 개구(14)는 2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좌측(14')으로 1회, 그리고 우측(14")으로 1회 형성된다. 개별 인서트가 좌측 이식용인지 우측 이식용인지의 여부에 따라, 인서트(3, 4, 5)의 고정 개구(34, 44, 54)는 에지까지 연장하여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프셋된 그루브(34', 34")로서 형성된다. 고정 레버(66')는 샤프트 스텀프(stump)의 단부에 토글(66")을 포함한다. 고정 레버(66')는 도 25의 b)에 도시된 배향으로 측면으로부터 고정 개구(14', 14")들 중 하나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레버(66')를 이동시킴으로써, 토글(66")이 직각을 지나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잠금 효과가 구현된다. 고정 레버(66')의 우발적인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고정 볼트(14''')가 제공되어 측면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1)에 삽입되며, 샤프트 스텀프와 그에 따른 고정 레버(66')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샤프트 스텀프의 평탄부(66''')에 대해 정렬된 방식으로 안착된다. 고정 레버(66')는 고정 볼트(14''')가 제거된 경우에만 다시 움직일 수 있다. 들어 올려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인서트(5')의 경우(도 26의 a) 참조)에는 언더컷 보어(50')가, 그리고, 변위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인서트(3')의 경우(도 26의 b) 참조)에는 그루브(34', 34")와 넓은 단부가 해당 인서트의 하면에 적절하게 제공된다. (도 26의 a)의 상단 및 도 26의 b)의 좌측에) 폐쇄 위치와 아울러, (도 26의 a)의 하단 및 도 26의 b)의 우측에) 개방 위치가 2개의 작은 이미지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박스형 수용 공간이 대퇴골에 형성되면, 관절구 상에 슬라이딩 경로가 기계가공된다. 도 7 내지 도 10을 특히 참조한다. 관절구를 기계가공하기 위해서는, 곡선형 밀링 게이지(7)가 사용된다. 이는 한 쌍의 삽입 집게(76)에 의해 삽입된다. 한 쌍의 삽입 집게은 곡선형 밀링 게이지(7)와 형상 결합으로 협력하는 2개의 그립퍼(79)를 그 전방 단부에 가진 2개의 통 하프(78)를 포함한다. 통 하프의 외면에는, 서로로부터 멀리 향하고 있는 정렬 러그(7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베이스 프레임(1)의 안내 슬롯(17)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 집게(76)을 베이스 프레임(1)에 삽입하여 정렬 러그(77)가 안내 슬롯(17)에 형상 결합으로 맞물림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에 대한 곡선형 밀링 게이지(7)의 정밀한 위치 결정이 보장된다(도 10 참조). 다양한 (바람직하게는, 네 가지) 크기의 곡선형 밀링 게이지(7)가 이용가능하며, 사용되는 크기와 무관하게 안내 슬롯(17)에서의 형상 결합 맞물림에 의해 삽입 집게(76)에 의한 위치 결정이 마찬가지로 구현된다.
곡선형 밀링 게이지(7)는 기본 형상이 대략 장방형 박스에 대응하는 본체(70)를 포함한다(도 7 참조). 곡선형 밀링 게이지의 측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수직으로 연장하는 그루브(71)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는 대퇴골 공동에서의 견고한 위치 유지 정착을 위해 사용된다. 본체(70)의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원호 세그먼트(72)가 일체로 형성되어 대략 100 내지 120°의 각 범위를 덮고 있으며, 전방 영역에서, 본체(70) 높이의 거의 절반까지 끌어 내려져 있다. 에지에 가까운 영역에서, 측면들 중 하나에 리세스형 안내 경로(74)를 갖는다. 상기 경로는 웨브(75)를 통해 원호 세그먼트(72)의 상부 에지를 향한 범위가 결정되며, 하방을 향하고 있는 전방 영역에는, 안내 경로(74)의 연장부(74')가 형성되고, 웨브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안내편(8)의 종동체(84)가 통과하여 안내 경로(74)에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개구가 생성된다. 이러한 삽입 또는 제거는 종동체(84)가 연장부(74)의 영역에 위치할 때의 위치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후방 단부에서는 안내 경로(74)가 폐쇄되어 있으며, 종동체(84)를 위한 스탑(76)을 형성한다.
본체(70)의 후방 측으로부터 이중 슬릿(77)이 본체(70)의 상부 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에 대해 횡방향으로 고정 나사(79)를 위한 수용 보어가 배열되어 있다. 이는 연동 장치(80)를 위한 피벗 베어링(78)으로서 작용하며, 그 자유 단부가 본체(70)로부터 돌출되어 이중 슬릿(77)을 따라 피벗가능하다(도 7 참조). 연동 장치(80)는 그 자유 단부에 피벗 핏(81)을 유지하며, 피벗 핀의 단면은 직선형 장변과 원호 형상의 볼록한 단변을 가진 거의 직사각형이다(도 11의 a) 참조). 피벗 핀(81)은 원호 형상의 볼록한 단변들 사이에 최대 폭(D)의 자오선을 가지며, 직선형 장변들 사이에 최소 폭(d)의 자오선을 갖는다.
안내편(8)은 일반적으로 횡방향 세그먼트(89)와 종방향 세그먼트(88)를 구비한 T자형 디자인이다(도 8 참조). 각 외측 영역에서, 횡방향 세그먼트(89) 상에는 주변 견부(peripheral shoulder)를 구비한 단차형 보어(87)들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단차형 보어들은 그 축(87')들이 횡방향 세그먼트(89)에 대해 75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8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향되어 있다. 따라서, 축(87')들은 발산한다. 단차형 보어(87)는 측방향 개구(82)를 통해 단차형 보어(87)로 삽입되는 관절구 밀링 커터(85)를 위한 가이드를 형성한다. 관절구 밀링 커터(85)는 밀링 헤드와, 상기 밀링 헤드로부터 이격되어 원통형 두께부(86)가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관절구 밀링 커터가 단차형 보어(87)의 주변 견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는 밀링 깊이의 범위를 결정한다.
안내편(8)의 종방향 세그먼트(88)는 꺾여 있으며, 축(87')이 가로지르는 평면에 대해 대략 1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20°의 각도를 형성한다. 종동체(84)는 종방향 세그먼트(88) 상에 측방향으로 배열되며, 안내 경로(74)를 따라 안내편(8)을 안내한다. 종방향 세그먼트(88)의 자유 단부는 포크 형태로 형성되며, 피벗 베어링 슬리브(83)로서 작용하는 횡방향 보어를 구비하고 있다. 횡방향 보어는 협부(83')를 통해 자유 단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협부(83')의 폭은 최소 폭(82)의 자오선보다는 크고 최대 폭(82')의 자오선보다는 작도록 치수화되어 있다. 협부(83')가 최소 폭(82)의 자오선에 접촉하도록, 피벗 베어링 슬리브(83)와 피벗 핀(81)이 배향되는 경우에는, 안내편(8)의 피벗 베어링 슬리브(83)가 피벗 핀(81)으로 밀릴 수 있으며, 임의의 다른 배향에서는, 피벗 핀(81)이 협부(83')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방지된다. 이에 따라, 오직 하나의 위치에서만 개폐될 수 있으며 다른 위치에서는 잠기는 앵귤러 락이 제공된다(도 11의 a) 및 도 11의 b) 참조).
안내편(8)이 연동 장치(80)와 라인을 형성할 때, 안내편(8)이 세장형 위치(elongate position)에서만 탈착될 수 있도록, 피벗 핀(81)이 연동 장치(80) 상에 배향된다(도 11의 a) 참조).
안내편(8)이 커플링되면, 상기 안내편은 연장부(74')의 영역에 있는 종동체(84)를 통해 안내 경로로 삽입되며, 상기 안내편(8)은 연동 장치(80)에 대해 각진 위치에 배열된다(즉, 더 이상 세장형이 아니다). 따라서, 피벗 핀(81)이 협부(83')를 통과할 수 없도록 방지된다. 이에 따라, 안내 경로(74)에 삽입된 안내편(8)이 연동 장치(80)에 견고하게 잠긴다(도 11의 b) 참조).
이와 같이 구현된 관절구 밀링 커터(85)의 안내 운동이 도 12에 다중 위상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피벗 베어링(78)은 도면의 중간 하단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피벗 베어링은 안내 경로(74), 안내편(8) 및 연동 장치(80)로 구성된 곡선형 안내를 위한 고정된 피벗 포인트를 형성한다. 안내편(8)은 그 종동체(84)를 통해 안내 경로(74)를 따라 전체 피벗 범위에서 안내된다. 안내 경로(74)는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증가하는 곡률을 가지며, 이에 따라, 피벗 베어링(78)과 종동체(84) 사이의 방사상 거리가 증가한다. 그 결과, 안내편(8)에 삽입된 관절구 밀링 커터(85)가 점점 더 피벗 베어링(78)으로부터 제거될 뿐만 아니라(따라서, 원호가 계속 더 커진다고 할 수 있음), 그 배향도 변화하게 된다. 연동 장치(80)를 통한 관절화로 인해, 피벗 운동이 개시될 때는 밀링 커터(85)의 축(87)이 피벗 베어링(78)을 향하지만, 안내 경로를 따라 안내편(8)이 이동함에 따라 점점 더 등쪽으로(도 12에서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안내편은 회전한다. 이에 따라, 밀링 커터(85)에 의해 뼈에 관절구 형상이 생성되며, 무릎 관절이 구부러질 때, 밀링 커터의 현재 회전 중심은 고정되지 않고 등쪽으로 시프트된다. 따라서, 자연 무릎의 운동 경로와 거의 완벽하게 일치하기 때문에 생리학적으로 매우 유리한 운동 경로가 본 발명에 따른 장비를 사용하여 이식된 무릎 보철물에 대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식된 무릎 보철물은 단기간 후 재수술이 필요 없는 장기적인 치료 성공을 위한 최상의 전제 조건을 제공한다.
다른 관절구 밀링을 위한 안내편의 대안적 실시예가 도 13의 a) 및 도 13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안내편(8', 8")이 제공되어, 수평 밀링 커터(85', 85")를 수용한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수평 밀링 커터(85')가 측면으로부터 안내편(8')에 장착되며, 여기서는, 일측면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이동 운동은 도 12에 도시된 것과 대응한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연동 장치와 안내편(8")이 외부에 배열되어 있으며, 수평 밀링 커터(85")가 안내편(8")을 통해 삽입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다른 측면을 기계가공하기 위해서 연동 장치와 안내편(8")의 재조립이 필요하다.
상기 장비는 대퇴골에 보철물 리셉터클을 생성하고 준비하기 위한 송곳 세트를 더 포함한다. 송곳 세트(도 6 참조)는 대퇴골의 골수강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세스 송곳(90)을 포함한다. 상기 세트에 바람직하게 포함되는 다양한 길이와 직경의 리머(91)에 의해, 골수강이 연속적으로 확대된다. 스탑 플레이트(97)를 구비한 특수 줄/브로칭 송곳(92)이 더 제공되며, 이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탑을 구비한 핀-홀 드릴(98)이 제공되며, 무릎 관절 관내인공삽입물의 관절구 부분에 핀(미도시)을 고정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형성하기 위해 드릴 가이드(18)에 삽입된다.

Claims (39)

  1. 뼈 또는 대퇴골의 단부에 관절 보철물 또는 무릎 보철물의 대퇴골 요소를 삽입하기 위한 일단의 장비(a set of equipment)이며,
    a) 안내판(12)과 상기 안내판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프라이머리 게이지(11)를 구비한 베이스 프레임(1);
    b)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을 뼈의 고정된 위치에 배열하기 위한 고정 기구(99);
    c) 본체(70)와, 상기 본체(70)에 대해 곡선형 안내 경로(74)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연마 공구(85)를 위한 리셉터클(87)을 구비한 안내편(8)을 구비한 곡선형 밀링 게이지(7); 및
    d) 상기 곡선형 밀링 게이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에 삽입될 때 상기 곡선형 밀링 게이지(7)를 베이스 프레임(1)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정렬 기구(17, 77)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편(8)이 종동체(84)를 통해 상기 안내 경로(74)와 결합하고, 피벗 베어링(81, 83)을 통해 상기 본체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안내 경로(74)는 일정하지 않은 곡률을 가지는,
    일단의 장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하지 않은 곡률은 안내 경로(74)를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일단의 장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베어링(81, 83)은 종동체(84)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양 측면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연동 장치(8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장치(80)가 본체(70)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편(8)이 제거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편(8)과 본체(70) 사이에 앵귤러 락이 제공되고, 상기 앵귤러 락은 상기 안내편(8)을 안내 경로(74)의 연장부(74')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앵귤러 락이 상기 안내편(8)의 하나의 각 위치에서만 개방되는 피벗 베어링 슬리브(83)와, 비원형 피벗 핀(8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베어링 슬리브(83)가 협부(83')를 통해 측면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피벗 핀(81)이 최소 폭(d)의 자오선과 최대 폭(D)의 자오선을 가지며, 상기 협부(83')의 너비는 최소 폭(d)의 자오선이 통과하기에는 충분하지만 최대 폭(D)의 자오선이 통과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87)은 연마 공구(85)를 위한 축(87')을 규정하며, 상기 축은 종동체(84)와 피벗 베어링(81, 83) 사이의 라인에 대해 사각(oblique angle)으로 배열되고, 상기 사각의 범위는 10°내지 35° 또는 15°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편(8)의 연마 공구(85)용 리셉터클(87)이 깊이 스탑(depth stop)과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스탑이 일측을 향하여 개방된, 리셉터클(87) 내의 단차형 시트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편(8)이 연마 공구(85)를 위한 이중 리셉터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공구(85)가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이중 리셉터클이 발산하는 축(87')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베어링(81, 83)에 의해, 또는, 상기 연동 장치(80)에 의해, 상기 안내편(8)이 본체(70)의 일측으로부터 분리되어 타측에 재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70) 또는 안내 경로(74)에 곡선형 밀링 게이지(7)를 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보어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2)의 규정된 위치에 정렬 인서트(3)가 교환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정렬 인서트가 정렬체 또는 뼈 브로칭 공구(92)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체를 위한 리셉터클(31)의 일측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정면-소잉 인서트(40)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소잉 인서트는 서로에 대해 V자 형상으로 정렬된 2개의 커프(41)와, 양극성 고정구(42, 43)를 갖고, 베이스 프레임(1) 두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안내판(12)의 양측 에지에 배열되도록 설계된 다양한 높이의 스페이서(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2)에 제 1 밀링 인서트(4)가 교환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밀링 인서트는 브로치 밀링 커터(49)를 위해 규정된 리셉터클(45)을 형성하며,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밀링 커터(49)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며 깊이 스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2)의 플러그 리셉터클(27)에 정확한 각도로 플러깅될 수 있는 필러 게이지(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2)에 제 2 밀링 인서트(5)가 교환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밀링 인서트는 커터가 양 리셉터클에 플러깅될 수 있는 방식으로 벌크 밀링 커터(59)를 수용하는 이중 리셉터클(51)을 형성하며, 상기 이중 리셉터클(51)은 다른 깊이 스탑들과 측방향 오프셋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2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2)에 제 2 보조 밀링 인서트(5')가 교환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 2 보조 밀링 인서트는 커터가 양 리셉터클에 플러깅될 수 있는 방식으로 벌크 밀링 커터(59)를 수용하는 이중 리셉터클(55)을 형성하며, 상기 이중 리셉터클(55)은 동일한 깊이 스탑을 갖고 또는 측방향 오프셋은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2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에 제 3 밀링 인서트(6)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 3 밀링 인서트는 깊이 밀링 커터(68, 69)를 위한 슬롯형 링크 가이드를 형성하며, 상기 깊이 밀링 커터(68, 69)는 슬롯형 링크 슬라이더(65)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 링크 슬라이더(65)가 핸들(6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27. 제 26 항에 있어서,
    다른 밀링 깊이가 구현되도록, 상기 깊이 밀링 커터(68) 및 제3 밀링 인서트(6)상에 제공되고 제 2 깊이 밀링 커터(69)와 협력하는 깊이 스탑(67)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 링크 슬라이더(65)가 수용될 수 있는 슬롯형 링크 윈도우(61)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 링크 가이드는 힌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2개의 안내 레버(60', 61')를 포함하며, 일단부에 상기 깊이 밀링 커터(68)를 위한 리셉터클(67')이 배치되고, 타단부에서 안내판(12)의 인서트(6') 상에 피벗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3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2)은 다양한 인서트(3, 4, 5)를 위해 선형 가이드(2) 또는 도브테일 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3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곡선형 밀링 게이지(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3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밀링 게이지(7)를 위한 한 쌍의 삽입 집게(76)가 제공되고, 상기 삽입 집게들은 곡선형 밀링 게이지(7) 상에 소정의 위치에서 형상 결합으로 맞물리고, 상기 곡선형 밀링 게이지(7)가 안내판(12)에 대해 소정의 위치(clear position)에 삽입되도록, 정렬 러그(77)를 통해 안내슬롯(17)와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3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로부터 멀리 향하는 방식으로 베이스 프레임(1) 상에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정렬 로드(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3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깊이 스탑을 구비한 드릴(98)을 포함하며, 상기 드릴은 관절 보철물의 고정 핀을 위한 리셉터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3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뼈의 오목부 또는 대퇴골의 골수강을 리밍(reaming)하기 위한 송곳(90, 9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3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샤프트가 두께가 감소되는 리세스(96)를 갖는 줄/브로칭 송곳(92)을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는 스탑 플레이트(97)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줄/브로칭 송곳(92)은 2개, 3개 또는 4개의 절삭 에지(9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에지(93)에 상대적으로 수직으로 오프셋된 치형(94)들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3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위치 결정을 위해 정렬 게이지(39')가 제공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안내슬롯(17)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단의 장비.

KR1020137030764A 2011-04-21 2012-04-19 관절 보철물, 특히, 무릎 보철물을 삽입하기 위한 장비 KR101965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63566A EP2514372A1 (de) 2011-04-21 2011-04-21 Instrumentarium zum Einsetzen einer Gelenkprothese, insbesondere Knieprothese
EP11163566.0 2011-04-21
PCT/EP2012/057163 WO2012143444A1 (de) 2011-04-21 2012-04-19 Instrumentarium zum einsetzen einer gelenkprothese, insbesondere knieprothe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608A KR20140047608A (ko) 2014-04-22
KR101965005B1 true KR101965005B1 (ko) 2019-04-02

Family

ID=4427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764A KR101965005B1 (ko) 2011-04-21 2012-04-19 관절 보철물, 특히, 무릎 보철물을 삽입하기 위한 장비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9855061B2 (ko)
EP (2) EP2514372A1 (ko)
JP (1) JP6047554B2 (ko)
KR (1) KR101965005B1 (ko)
CN (1) CN103781427B (ko)
AU (1) AU2012244702B2 (ko)
BR (1) BR112013026871B1 (ko)
CA (1) CA2833294C (ko)
CO (1) CO6852035A2 (ko)
ES (1) ES2551391T3 (ko)
HK (1) HK1194951A1 (ko)
HU (1) HUE026159T2 (ko)
IL (1) IL228940A (ko)
MX (1) MX343887B (ko)
PL (1) PL2699171T3 (ko)
PT (1) PT2699171E (ko)
RU (1) RU2607957C2 (ko)
UA (1) UA113624C2 (ko)
WO (1) WO2012143444A1 (ko)
ZA (1) ZA2013087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276755A1 (en) 2006-07-24 2008-01-31 Spine Solutions, Inc. Intervertebral implant with keel
EP2774555A1 (de) * 2013-03-05 2014-09-10 WALDEMAR LINK GmbH & Co. KG Medizinisches Werkzeugsystem
US9427240B2 (en) * 2013-03-21 2016-08-30 Von Zabern Surgical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easurable and controled osteotomy
JP2016530958A (ja) * 2013-08-19 2016-10-06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直接可視化の下での骨除去
CN103767808B (zh) * 2014-01-28 2015-12-30 上海市杨浦区中心医院 用于单髁置换术的股骨髁测量器
US11266420B2 (en) * 2014-08-06 2022-03-08 Unik Orthopedics, Inc. Sparse contact femoral jig mechanism
CN106264657B (zh) * 2016-11-16 2018-11-27 黄勇 骨科膝关节平衡间隙截骨定位系统
US10537341B2 (en) 2017-09-20 2020-01-21 Depuy Ireland Unlimited Company Orthopaedic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prosthetic components
BR112023020281A2 (pt) * 2021-04-05 2023-11-14 Paragon 28 Inc Instrumentação e métodos para artroplastia total do tornozel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5800A (ja) 1997-02-11 2002-05-28 ゲイリー カーリン マイケルソン 骨プ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
US20040092951A1 (en) 2002-05-09 2004-05-13 Serra Michael A. Bone milling instrument
JP2004267789A (ja) 1993-07-06 2004-09-30 Bristol Myers Squibb Co 骨に切欠きを形成するための切削ガイド
JP2006158972A (ja) * 2004-12-07 2006-06-22 Depuy Products Inc 骨整形器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7029657A (ja) 2005-07-29 2007-02-08 Koji Hasegawa 骨切りガイド
WO2010150222A1 (en) 2009-06-24 2010-12-29 John Robert Honiball A positioning guide and a femur bone cutting guid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42645A1 (de) * 1988-12-14 1990-06-28 Mecron Med Prod Gmbh Saegelehrensystem
US5100409A (en) 1991-03-07 1992-03-31 Dow Corning Wright Corporation Shaping and trial reduction guide for implantation of femoral prosthesis and method of using same
US5383939A (en) 1991-12-05 1995-01-24 James; Kelvin B. System for controlling artificial knee joint action in an above knee prosthesis
JP2931206B2 (ja) * 1994-06-03 1999-08-09 ナカシマプロペラ株式会社 大腿骨穴明け治具
CA2168509A1 (en) * 1995-02-13 1996-08-14 Gregory C. Stalcup Orthopaedic milling guide with cutter lockout
FR2732581B1 (fr) * 1995-04-07 1997-10-10 Leborgne Philippe Appareil destine a la realisation d'une coupe osseuse chirurgicale du genou et prothese unicompartimentale du genou correspondante
WO1997030648A1 (en) * 1996-02-23 1997-08-28 Midwest Orthopedic Research Found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stal femur cutting and prothesis measuring
GB9605110D0 (en) * 1996-03-11 1996-05-08 Cooper John E Knee mechanism for an artificial limb
FR2816200A1 (fr) * 2000-11-06 2002-05-10 Praxim Determination de la position d'une prothese du genou
RU2187975C1 (ru) * 2000-12-05 2002-08-27 ООО НПО "Остеомед" Способ эндопротезирования коленного сустава
US6629978B2 (en) * 2001-04-23 2003-10-07 Howmedica Osteonics Corp. Valgus adapter
ATE289787T1 (de) * 2003-09-15 2005-03-15 Zimmer Gmbh Einstellvorrichtung
DE102005031185A1 (de) 2005-07-01 2007-01-04 Otto Bock Healthcare Ip Gmbh & Co. Kg Orthopädietechnisches Hilfsmittel, insbesondere Prothese für eine Extremität
GB0610572D0 (en) * 2006-05-27 2006-07-05 Depuy Int Ltd Guide assemb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7789A (ja) 1993-07-06 2004-09-30 Bristol Myers Squibb Co 骨に切欠きを形成するための切削ガイド
JP2002515800A (ja) 1997-02-11 2002-05-28 ゲイリー カーリン マイケルソン 骨プ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
US20040092951A1 (en) 2002-05-09 2004-05-13 Serra Michael A. Bone milling instrument
US20080147071A1 (en) 2002-05-09 2008-06-19 Serra Michael A Bone milling instrument
JP2006158972A (ja) * 2004-12-07 2006-06-22 Depuy Products Inc 骨整形器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7029657A (ja) 2005-07-29 2007-02-08 Koji Hasegawa 骨切りガイド
WO2010150222A1 (en) 2009-06-24 2010-12-29 John Robert Honiball A positioning guide and a femur bone cutting guid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9171A1 (de) 2014-02-26
HK1194951A1 (zh) 2014-10-31
IL228940A (en) 2016-10-31
ES2551391T3 (es) 2015-11-18
MX2013012169A (es) 2014-08-18
RU2607957C2 (ru) 2017-01-11
JP2014516629A (ja) 2014-07-17
CO6852035A2 (es) 2014-01-30
JP6047554B2 (ja) 2016-12-21
MX343887B (es) 2016-11-28
EP2699171B1 (de) 2015-08-12
IL228940A0 (en) 2013-12-31
RU2013150699A (ru) 2015-05-27
PT2699171E (pt) 2015-11-12
CA2833294A1 (en) 2012-10-26
BR112013026871B1 (pt) 2020-10-27
AU2012244702A1 (en) 2013-12-05
KR20140047608A (ko) 2014-04-22
UA113624C2 (xx) 2017-02-27
US20140046331A1 (en) 2014-02-13
EP2514372A1 (de) 2012-10-24
CN103781427B (zh) 2016-11-23
WO2012143444A1 (de) 2012-10-26
AU2012244702B2 (en) 2016-10-20
HUE026159T2 (en) 2016-05-30
CN103781427A (zh) 2014-05-07
ZA201308715B (en) 2014-07-30
PL2699171T3 (pl) 2015-12-31
US9855061B2 (en) 2018-01-02
CA2833294C (en)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005B1 (ko) 관절 보철물, 특히, 무릎 보철물을 삽입하기 위한 장비
EP2989998B1 (en) Tibia cutting block
US20170348110A1 (en) Knee joint prosthesis system and method for implantation
US8187280B2 (en) Knee joint prosthesis system and method for implantation
CA2904652C (en) Ankle replacement system and method
AU689033B2 (en) Tibial trial knee prosthesis and bone preparation system
US6296646B1 (en) Instruments and methods for use in performing knee surgery
CA2007359A1 (en) Tibial surface shaping guide for knee implants
CN103445829A (zh) 胫骨试验器械及其使用方法
CN103445828A (zh) 胫骨整形外科器械及其使用方法
JP7204394B2 (ja) 大腿骨整形外科用プロテーゼを組み立てるため方法及び器具
BR112018073530B1 (pt) Sistema de instrumento cirúrgico ortopédico
AU2014224939B2 (en) Medical tool system
JP7199887B2 (ja) 整形外科用プロテーゼを組み立てるため方法及び器具
JP7214416B2 (ja) 人工関節コンポーネントを組み立てるための整形外科用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