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787B1 -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 Google Patents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787B1
KR101964787B1 KR1020180013314A KR20180013314A KR101964787B1 KR 101964787 B1 KR101964787 B1 KR 101964787B1 KR 1020180013314 A KR1020180013314 A KR 1020180013314A KR 20180013314 A KR20180013314 A KR 20180013314A KR 101964787 B1 KR101964787 B1 KR 10196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fabric
support
frame
fan shape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규
Original Assignee
최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규 filed Critical 최창규
Priority to KR102018001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9/00Nets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in connection with chairs or beds; Bed canopies
    • A47C29/006Mosquito 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에 있어서, 기능성 직물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기능성 직물을 부채꼴 모양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부채꼴 모양으로 회전가능하게 체결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채꼴 모양의 지지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온돌형 가옥 구조 및 침대에 적합한 모기장 및 실내용 난방 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A FRAME FOR DETACHABLE FUNCTIONAL FABRIC}
본 발명은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여름철 일상 생활에서 주거 환경을 불편하게 하는 해충으로 모기와 파리가 있다. 특히, 모기는 여름철에 주로 여름철의 저녁 및 심야 시간에 활동하면서 수면을 방해하여 건강을 해치는 벌레로서 농촌은 물론 도시에서도 그 수가 증가되면서 지역별 방역 작업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모기는 수면 방해 뿐만 아니라 뇌염을 전달하는 매개체이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 왔다. 모기향이나 스프레이 방식의 살충제, 전자적 방식으로 모기약을 분산시키는 등 다양한 모기 대응 방안이 마련되었으나, 인체에 유해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방충망을 사용하여 모기를 차단하는 방식이 많이 애용되고 있다.
종래의 모기장은 방안의 천장 모서리 부근에 줄을 연결하여 모기장의 상단 네 귀퉁이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설치하였고, 근래에는 텐트 방식으로 원터치 작용에 의해 펼쳐지는 모기장도 선보인 바 있다. 이러한 모기장들은 주로 온돌형 가옥 구조에 적합한 형태이며, 주거 생활이 변화되어 침대 위주의 수면 문화가 만연된 현재의 생활에서는 적용하는데 불편함과 한계가 있다.
또한, 겨울철 일상 생활에서 주거 환경을 불편하게 하는 것으로 천장이나 벽 사이로 스며들어 오는 찬바람이 될 수 있다. 특히, 노후된 주택이나 아파트는 창문이나 벽을 통한 외풍이 심하게 유입될 수 있고, 외풍의 유입으로 인해 열손실이 발생하여 실내 온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풍을 막기 위해 창틀이나 문틈 사이에 문풍지 등의 방풍수단을 부착하고 있으나, 탈부착이 번거롭고 효과적으로 방풍 기능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겨울철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내용 난방 텐트가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용 난방 텐트는 외풍을 막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간에 대해 온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난방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내용 난방 텐트들은 주로 온돌형 가옥 구조에 적합한 형태이며, 주거 생활이 변화되어 침대 위주의 수면 문화가 만연된 현재의 생활에서는 적용하는데 불편함과 한계가 있다.
또한, 모기장 및 실내용 난방 텐트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세탁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은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하여 모기장 및 난방 텐트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에 있어서, 기능성 직물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기능성 직물을 부채꼴 모양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부채꼴 모양으로 회전가능하게 체결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능성 직물을 부채꼴 모양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 상기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와 이격하여 대향하며, 상기 기능성 직물을 부채꼴 모양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 끝단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지지부재 끝단과 끼움 결합되어, 상기 기능성 직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제1 회전부재를 중심축으로 소정 각도를 갖는 부채꼴 모양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체결하는 제1 회전부재,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이격하여 대향하며, 제2 회전부재를 중심축으로 소정 각도를 갖는 부채꼴 모양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체결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일 측에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기능성 직물은 상기 걸림부재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침대 프레임의 양 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침대의 양 측면에 부착 가능한 자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일 측에 연장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재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가 소정 각도를 갖는 부채꼴 모양으로 접고 펼쳐지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채꼴 모양의 지지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온돌형 가옥 구조 및 침대에 적합한 모기장 및 실내용 난방 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함으로써, 오염에 따른 세탁이 용이한 효과 및 노후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이 각각 분리됨으로써, 보관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을 각각 분리시킨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결합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과 지지부재의 결합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외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을 각각 분리시킨 예시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는 기능성 직물(300)을 부채꼴 모양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100) 및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부채꼴 모양으로 회전가능하게 체결하는 회전부재(2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 직물(300)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지지부재(100)는 기능성 직물(300)을 부채꼴 모양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110), 제1 지지부재(110)와 이격하여 대향하며, 기능성 직물(300)을 부채꼴 모양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2 지지부재(120) 및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110)의 끝단 및 복수개의 제2 지지부재(120) 끝단과 끼움 결합되어, 기능성 직물(30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3 지지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110), 제2 지지부재(120) 및 제3 지지부재(130)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 신체조건, 설치 공간, 침대 크기등을 고려하여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전체적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110), 제2 지지부재(120) 및 제3 지지부재(130)에는 모바일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재(미도시)가 연장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00)에는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를 부채꼴 모양으로 펼칠 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00)는 제어부(450)에 의해 자동으로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지거나 접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회전부재(200)는 제1 회전부재(210)를 중심축으로 소정 각도를 갖는 부채꼴 모양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재(110)와 체결하는 제1 회전부재(210) 및 제1 회전부재(210)와 이격하여 대향하며, 제2 회전부재(220)를 중심축으로 소정 각도를 갖는 부채꼴 모양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제2 지지부재(120)와 체결하는 제2 회전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200)는 지지부재(100)를 부채꼴 모양으로 접고 펼칠 수 있게 내부에 기어(미도시)를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각도는 각각의 제1 지지부재(110)가 서로 이루는 각도 또는 각각의 제2 지지부재(120)가 서로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소정 각도는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1 지지부재(110)가 이루는 소정 각도(a), (b), (c) 및 (d)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110)가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질 때, 각각의 소정 각도 (a), (b), (c) 및 (d)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게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80도를 갖는 부채꼴 모양으로 지지부재(100)가 펼쳐진 경우, (a), (b), (c) 및 (d)의 소정 각도는 각각 45도일 수 있다. 또한, 부채꼴 모양으로 지지부재(100)가 펼쳐지면서 (a)의 소정각도가 10도에서 20도로 변경될 때, (b), (c) 및 (d)의 소정 각도도 10도에서 20도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재(110)가 이루는 (a), (b), (c) 및 (d)의 소정 각도는 서로 동일하게 변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120)가 이루는 (a), (b), (c) 및 (d)의 크기도 서로 동일하게 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110)가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질 때 각각 갖는 소정 각도 (a), (b), (c) 및 (d)의 크기는 제2 지지부재(120)가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질 때 각각 갖는 소정 각도 (e), (f), (g) 및 (h)의 크기에 동일하게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지지부재(110)가 이루는 소정 각도 (a), (b), (c) 및 (d)가 각각 35도인 경우, 복수의 제2 지지부재(120)가 이루는 소정각도 (e), (f), (g) 및 (h)의 크기는 각각 35도일 수 있다. 또한, 부채꼴 모양으로 제1 지지부재(110)가 펼쳐지면서 (a)의 소정각도가 10도에서 20도로 변경될 때, 제2 지지부재의 소정 각도(e)의 소정 각도도 10도에서 20도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재(110)과 제2 지지부재(120)은 대응되게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제1 지지부재(110) 및 제2 지지부재(120)가 평행하게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질 수 있으며,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을 접고 펼칠 때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지지부재(100) 및 회전부재(200)는 침대에 결합하기 위해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2 지지부재(120) 중 하단에 위치한 제2 지지부재(120)에는 침대 매트릭스와 침대 프레임 사이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재(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02)는 얇은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제3 지지부재(130)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고정부재(102)를 이용하지 않는 침대 이외의 장소(ex 온돌형 가옥구조)에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를 이용할 때, 사용자는 고정부재(102)를 분리할 수 있어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 설치에 용이함이 있다.
또한, 회전부재(200)의 하측에는 침대 프레임의 양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20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핀(201)은 끝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침대 프레임에 보다 쉽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200)의 내측면에 침대 매트릭스의 양 측면에 부착 가능한 자석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석부재(미도시)는 침대 매트릭스의 양 측면에서 침대 매트릭스의 스프링과 결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201) 및 자석부재(미도시)는 회전부재(200)에서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침대 프레임이 있는 경우, 고정핀(201)을 이용하고, 침대 프레임이 없는 경우, 자석부재(202)를 이용하여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침대 이외의 장소(ex 온돌형 가옥구조)에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고정핀(201) 및 자석부재(미도시)를 회전부재(200)에서 떼어낼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지지부재(100)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결합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지지부재(130)는 양 끝단은 제1 지지부재(110) 및 제2 지지부재의 끝단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110) 및 제2 지지부재(120)의 끝단에는 제3 지지부재(130)의 양 끝단이 결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홈에서 제3 지지부재(13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무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제1 지지부재(110) 및 제2 지지부재(120)의 끝단에 형성된 홈에 제3 지지부재(130)의 양 끝단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별도의 결합 구성없이 끼움 결합됨으로 결합의 용이함이 있으며, 지지부재(100) 각각이 분리됨으로써 보관의 용이성 및 이동의 용이성이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에 기능성 직물(300)이 결합된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에 기능성 직물(300)이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 직물에는 모기의 접근을 막는 모기장 또는 난방을 위한 보온섬유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직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빛, 수분, 온도 등의 환경 조건의 변화에 따라 가역적(可逆的)으로 색이 변화하는 카멜레온 섬유, 정전기(靜電氣)가 발생하지 않도록 친수성기(親水性基)를 가진 표면 가공제로 처리를 한 제전성 섬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직물(300)은 지지부재(100)에 탈착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기능성 직물(300)을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으며, 기능성 직물(300)의 노후 및 파손으로 인한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기능성 직물(300)은 지지부재(100)에 탈착 가능함으로써, 기능성 직물이 오염될 시에 용이하게 세탁할 수도 있다. 기능성 직물(300)과 지지부재(100)의 결합방법은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능성 직물(300)을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에 결합함으로써, 모기의 접근을 막는 모기장 또는 실내 온도를 높이는 난방 텐트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는 고정핀(201) 또는 자석부재(미도시)가 탈착가능하여 온돌형 가옥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200)는 반원의 모양으로 바닥면에서 균형을 잘 잡을 수 있어서 온돌형 가옥에서도 도 5와 같이 설치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는 고정핀(201) 또는 자석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침대에서 사용되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는 침대 프레임 양 측면 중앙에 제1 회전부재(210) 및 제2 회전부재(2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핀(201)이 침대 프레임에 끼움 결합되어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는 온돌형 가옥뿐만 아니라 침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부재(102)가 침대 매트릭스와 침대 프레임 사이 공간에 인입되어 고정됨으로써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가 보다 단단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회전부재(200)의 높이는 침대 매트릭스 또는 침대 프레임의 측면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를 침대에 설치하여도 사용자가 침대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1 회전부재(210)와 제2 회전부재(220) 사이에 연결부재(103)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103)은 제1 회전부재(210)와 제2 회전부재(220)를 서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03)는 침대에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이 낙하하지 않도록 떨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03)는 침대 매트릭스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이 침대에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103)는 탄성을 가진 밴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을 가진 연결부재(103)를 이용함으로써,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침대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기능성 직물(300)이 지지부재(100)에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과 지지부재의 결합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지지부재(130)의 일 측에는 기능성 직물(300)이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101)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직물(300)에는 제3 지지부재(130)의 일 측에 연장 형성된 걸림부재(101)에 결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결합구(3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3 지지부재(130)와 기능성 직물의 결합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지만, 제1 지지부재(110) 및 제2 지지부재(120)의 일 측에도 기능성 직물(300)이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101)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직물(300)에는 제1 지지부재(110) 및 제2 지지부재(120)의 일 측에 연장 형성된 걸림부재(101)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30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기능성 직물(300)은 복수개의 결합구(301)이 제1 지지부재(110), 제2 지지부재(120) 및 제3 지지부재(130)에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부재(10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지지부재(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부가적인 동작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는 자체 전원 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들은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자 기기들은 지지부재(100)의 일 측에 위치하거나 회전부재(200)의 내부 또는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은 통신부(410), 온도센서(420), 습도센서(430), 저장부(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모바일 기기(미도시)와 주변 기기(미도시)와 유무선 통신을 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10)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알람 정보를 송수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알람 정보는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설정한 기상 알람 시간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알람 정보는 모바일 기기에서 수신한 태풍, 홍수, 폭설, 지진 등 각종 재난 발생 알람 정보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부(410)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주변 온도 또는 주변 습도 등 기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온도 및 주변 습도 등 기후 정보는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센서로 얻어진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410)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제어명령을 송수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명령은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10)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회전부재(200)를 중심으로 지지부재(100)가 소정 각도를 갖는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통신하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온도센서(420)는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주변 온도를 센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온도센서(420)은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주변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온도 정보는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의 온도 정보를 의미한다.
온도센서(420)는 복수의 지지부재(100)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420)는 회전부재(200)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420)는 복수의 온도센서(420)에서 측정한 온도의 평균을 현재 주변 온도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센서(420)으로는 서미스터(NTC, PTC, CTR) 또는 감온 페라이트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420)는 상술한 예시 이외에도 주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센서도 선택가능하다.
습도센서(430)는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주변 습도를 센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습도센서(430)은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주변 습도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습도 정보는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의 습도 정보를 의미한다.
습도센서(430)는 복수의 지지부재(100)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습도센서(430)는 회전부재(200)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습도센서(430)는 복수의 습도센서(430)에서 측정한 온도의 평균을 현재 주변 온도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습도센서(430)으로는 염화 리튬 습도센서, 전해 습도센서(P2O5 습도센서), 고분자막 습도 센서, 수정진동식 습도센서, 산화알루미늄 습도센서, 세라믹 습도센서, 서미스터 습도센서, 마이크로파 습도센서, 결로센서 및 노점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습도센서(430)는 상술한 예시 이외에도 주변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센서도 선택가능하다.
저장부(440)는 통신부(410)가 수신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40)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한 알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40)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440)는 온도센서(420)가 센싱한 주변 온도 또는 습도센서(430)가 센싱한 주변 습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40)는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상태 판단 정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또는 영구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44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자기 메모리, 광디스크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탈착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450)는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50)는 회전부재(200)를 중심으로 지지부재(100)가 소정 각도를 갖는 부채꼴 모양으로 접고 펼쳐지도록 회전부재(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50)는 동력 모듈등과 같이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모듈을 이용하여 회전부재(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50)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을 기초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로부터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펼치는 제어 명령이 통신부(410)로 수신된 경우, 제어부(450)는 지지부재(100)가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지도록 회전부재(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로부터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접히는 제어 명령이 통신부(410)로 수신된 경우, 제어부(450)는 지지부재(100)가 접히도록 회전부재(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50)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된 알람 정보를 기초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상 알람 시간을 7시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450)는 7시에 지지부재(100)가 접히도록 회전부재(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에 취침 시간을 20시로 설정한 경우, 제어부(450)는 20시에 지지부재(100)가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지도록 회전부재(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50)가 알람 시간 또는 취침시간에 자동으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를 접고 펼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바일 기기에서 수신한 태풍, 홍수, 폭설, 지진 등 각종 재난 발생 알람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450)는 지지부재(100)가 접히도록 회전부재(200)를 제어할 수 있다. 재난 발생 알람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450)가 자동으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를 접음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기민하게 재난 발생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부(450)은 온도센서(420)에서 획득한 온도 정보 또는 습도센서(430)에서 획득한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50)는 적정 온도 또는 적정 습도와 온도센서(420)에서 획득한 온도 정보 또는 습도센서(430)에서 획득한 습도 정보를 비교한 후, 이를 기초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획득된 온도 정보가 적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450) 지지부재(100)가 펼쳐지도록 회전부재(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온도 정보가 적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450) 지지부재(100)가 접어지도록 회전부재(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획득된 습도 정보가 적정 습도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450) 지지부재(100)가 펼쳐지도록 회전부재(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적정 온도 또는 적정 습도는 저장부(440)에 기 입력된 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입력한 값일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은 모기장 또는 난방텐트 등의 기능성 직물(300)을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여, 여름에는 모기장으로 겨울에는 난방텐트로 이용할 수 있다. 즉,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기장 또는 난방텐트으로 이용가능하며, 기능성 직물(300)이 탈착 가능하여 세탁 또는 교체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는 고정핀(201) 및 자석부재(미도시)을 이용하여 침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201) 및 자석부재(미도시)를 분리하여 온돌형 가옥에서도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침대 또는 온돌형 가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100 : 지지부재
101 : 걸림부재 102 : 고정부재
103 : 연결부재 110 : 제1 지지부재
120 : 제2 지지부재 130 : 제3 지지부재
200 : 회전부재 201 : 고정핀
210 : 제1 회전부재 220 : 제2 회전부재
300 : 기능성 직물 301 : 결합구
410 : 통신부 420 : 온도센서
430 : 습도센서 440 : 저장부
450 : 제어부

Claims (9)

  1.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직물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기능성 직물을 부채꼴 모양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
    제1 회전부재를 중심축으로 소정 각도를 갖는 부채꼴 모양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재와 체결하는 제1 회전부재;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이격하여 대향하며, 제2 회전부재를 중심축으로 소정 각도를 갖는 부채꼴 모양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제2 지지부재와 체결하는 제2 회전부재;
    상기 제1 회전부재 및 상기 제2 회전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가 소정 각도를 갖는 부채꼴 모양으로 접고 펼쳐지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기능성 직물을 부채꼴 모양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
    상기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와 이격하여 대향하며, 상기 기능성 직물을 부채꼴 모양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 끝단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지지부재 끝단과 끼움 결합되어, 상기 기능성 직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매트리스에 결합 시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상기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이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1 회전부재 및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상기 매트리스의 측면에서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회전부재 및 상기 제2 회전부재의 중심 상단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부채꼴 모양으로 접고 펼칠 때, 상기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 각각이 이루는 소정 각도가 동일하게 변경되면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회전 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지지부재가 이루는 소정 각도와 상기 복수개의 제2 지지부재가 이루는 소정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일 측에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기능성 직물은 상기 걸림부재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침대 프레임의 양 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 또는 침대의 양 측면에 부착 가능한 자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13314A 2018-02-02 2018-02-02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KR101964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314A KR101964787B1 (ko) 2018-02-02 2018-02-02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314A KR101964787B1 (ko) 2018-02-02 2018-02-02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961A Division KR20190094127A (ko) 2019-03-27 2019-03-27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787B1 true KR101964787B1 (ko) 2019-04-02

Family

ID=6616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314A KR101964787B1 (ko) 2018-02-02 2018-02-02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7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7709A (zh) * 2022-07-20 2022-09-20 李集来 一种用于夏季防蚊公寓床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047B1 (ko) * 2006-03-02 2007-11-21 세 진 박 낚시용 텐트
KR20110003717A (ko) * 2009-07-06 2011-01-13 조윤성 숙면 유도기
KR20110002766U (ko) * 2009-09-11 2011-03-17 김영구 파라솔 조립체
KR101249509B1 (ko) * 2010-11-10 2013-04-01 김동춘 접이식 텐트형 간이창고
KR20140004853U (ko) * 2013-02-22 2014-09-01 윤준현 배경막이 형성된 모바일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047B1 (ko) * 2006-03-02 2007-11-21 세 진 박 낚시용 텐트
KR20110003717A (ko) * 2009-07-06 2011-01-13 조윤성 숙면 유도기
KR20110002766U (ko) * 2009-09-11 2011-03-17 김영구 파라솔 조립체
KR101249509B1 (ko) * 2010-11-10 2013-04-01 김동춘 접이식 텐트형 간이창고
KR20140004853U (ko) * 2013-02-22 2014-09-01 윤준현 배경막이 형성된 모바일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7709A (zh) * 2022-07-20 2022-09-20 李集来 一种用于夏季防蚊公寓床
CN115067709B (zh) * 2022-07-20 2023-12-22 重庆民意家具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夏季防蚊公寓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95680A1 (en) Integrated thermal comfort control system with variable mode of operation
ES2778064T3 (es) Sistema de control de confort térmico integrado que utiliza ventiladores circulantes
ES2728381T3 (es) Sistema de control para el grado de confort ambiental y método de control del sistema de control
US8699114B2 (en) Multifunctional building component
CA2643573C (en) Solar air heater
ES2650540T3 (es) Sistema de producto de ventanaje inteligente que tiene control remoto
US20190010725A1 (en) Temperature controlled inflatable tent
ES2786044T3 (es) Acondicionador de aire
JP2017530324A (ja) 遮光制御機能を備えた、熱的に快適な環境を作り出す一体型制御システム
KR101964787B1 (ko)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Bharathkumar et al. Microcontroller based digital meter with alert system using GSM
US11639632B2 (en) Window treatment with outdoor temperature indication arrangement
JP2019148344A (ja) 換気システム
ES2337238T3 (es) Procedimiento de control del nivel de aportacion de alumbrado natural y/o de energia calorifica a traves de accesos y/o de la calidad del aire.
JP2017035222A (ja) 浴室乾燥機制御装置給湯暖房機プログラム
KR20190094127A (ko)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JP5606891B2 (ja) 建物の屋内環境制御システム
KR101567193B1 (ko) 에어컨의 바람막이
KR101624631B1 (ko) 발열원단이 사용되는 난방텐트
US10962247B2 (en) Offset window fan
CN204678462U (zh) 一种多功能暖风机
WO2016038835A1 (ja) 通風制御装置、通風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75491A (ko) 모듈형 외피
KR101811984B1 (ko) 방충 및 단열을 위한 루버셔터
ES2260538T3 (es) Panel de fach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