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766U - 파라솔 조립체 - Google Patents

파라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766U
KR20110002766U KR2020090011986U KR20090011986U KR20110002766U KR 20110002766 U KR20110002766 U KR 20110002766U KR 2020090011986 U KR2020090011986 U KR 2020090011986U KR 20090011986 U KR20090011986 U KR 20090011986U KR 20110002766 U KR20110002766 U KR 201100027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sol
chair
support
coupling portion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구
Original Assignee
김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구 filed Critical 김영구
Priority to KR2020090011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766U/ko
Publication of KR20110002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7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7/00Tiltable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5/00Umbrellas with detachabl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45B2025/186Umbrellas with two or more covers

Abstract

태양빛과 빗물을 차단할 수 있는 천으로 이루어지며, 모서리부분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파라솔과; 의자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라솔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한 채, 고정된 위치에서 파라솔을 자세변경 가능하게 지지하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각각으로 상기 파라솔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파라솔 지지장치; 및 파라솔의 테두리부분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의자의 사방 측면을 모두 깜싸서 가릴 수 있도록 그 하단을 지지면에 펼쳐진 상태로 고정 가능한 측면 가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조립체가 개시된다.
파라솔, 가림막, 지지유닛, 의자, 회동

Description

파라솔 조립체{An parasol assembly}
본 고안은 파라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프레임에 대해 파라솔을 위치 및 자세 변경 가능하게 설치함은 물론, 파라솔에 가림막을 연결하여 개인용 천막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라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 양산, 비치 파라솔 등과 같은 파라솔은 태양빛을 차단하여 사용자에게 그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파라솔의 프레임(지주)을 소정의 구조물, 예를 들어 간이 침대, 의자, 테이블, 지면 등에 고정하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파라솔은 사용자의 기준에서 볼 때, 시간의 변화에 따라 태양이 이동하므로 태양의 이동에 맞추어서 파라솔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파라솔을 기울이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파라솔은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소정각도 이상으로 파라솔을 기울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파라솔은 프레임(지주)이 단봉으로 마련되어 파손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파라솔의 경사가 변하여 이를 다시 바로 잡아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바람이 많이 부는 해변가, 강가 등에서는 파라솔이 지주로부터 높은 상단으로부터 펼쳐진 구조로 설치되므로, 바람이 조금만 강하게 불어도 파라 솔에 큰 저항이 작용하여 지주가 흔들리거나, 날아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파라솔들은 햇빛을 차단하는 기능과 경우에 따라서는 비를 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나, 바람을 동원한 비바람이나, 바람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없으며, 낮이 아닌 밤이나, 흐린 날씨에 보온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별도로 텐트, 천막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큰 타올로 몸을 감싸는 등의 임시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햇빛이 비치는 방향에 대응되게 파라솔을 이동 및 회동시켜 햇빛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높이를 최대한 낮추어 외부 환경에 대해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바람, 비를 차단하고, 보온의 기능을 갖도록 개인용 천막의 용도로 사용가능한 파라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파라솔 조립체는, 태양빛과 빗물을 차단할 수 있는 천으로 이루어지며, 모서리부분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파라솔과; 의자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라솔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한 채,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파라솔을 자세변경 가능하게 지지하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각각으로 상기 파라솔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파라솔 지지장치; 및 상기 파라솔의 테두리부분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의자의 사방 측면을 모두 깜싸서 가릴 수 있도록 그 하단을 지지면에 펼쳐진 상태로 고정 가능한 측면 가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라솔 지지장치는, 적어도 두 지점에서 상기 의자에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며,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유닛과; 상기 제1지지유닛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며,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라솔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는 제2지지유닛; 및 상기 제1지지유닛을 상기 의자에 착탈 및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유닛은, 하단이 상기 체결유닛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양단 각각이 연결되며, 곡선형으로 형성된 상부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호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좌우 슬라이딩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어 상기 파라솔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파라솔 지지바;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해 고정시키거나 움직임 가능하게 허용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파라솔의 하부 테두리부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가림막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제1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 가림막은, 양단 각각에 마련되어 서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와,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용 고리, 및 투명창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파라솔의 하부 테두리부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가림막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제1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 가림박은, 양단 각각에 마련되어 서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와, 하단 및 중간부분에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고정용 고리, 및 개폐 가능한 창을 가지며, 상기 창은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개방구에는 모기장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조립체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비치는 햇빛의 방향에 대응되게 파라솔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간 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느 곳에서라도 파라솔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라솔의 지주를 생략하고 파라솔을 직접 위치 이동 가능한 프레임에 연결함으로써 강한 바람 등에 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변형되지 않고 안정되게 설치가 가능하며, 의자 등에 설치하여 1인용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파라솔에 측면 가림막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우천시나 흐린날 등 기온이 낮은 환경에서는 사용자를 비나 바람으로부터 보호하고, 저온의 환경에서 체온 등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의자 등에 파라솔 및 측면 가림막을 쉽게 장착 및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므로 휴대가 가능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조립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조립체는, 의자(10)에 장 착하는 것으로서, 파라솔(100)과, 파라솔(100)을 의자(10)에 대해 위치이동 및 자세 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파라솔 지지장치(200) 및 파라솔(10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면 가림막(300)을 구비한다.
상기 파라솔(1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다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천막 형태로 구성된다. 이 파라솔(100)의 모서리부분마다 열결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공(110)를 이용하여 상기 파라솔 지지장치(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솔(100)의 테두리부분에는 상기 측면 가림막(300)을 탈부착시키기 위한 제1결합부(120)가 설치된다. 이 제1결합부(120)는 파라솔(100)의 저면에 설치되어 측면 가림막(300)이 파라솔(100)의 저면에서 연결되어 빗물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결합부(120)는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연결공(110)보다 더 외곽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측면 가림막(300)을 제1결합부(120)에 연결시킬 경우, 측면 가림막(300)이 파라솔 지지장치(200)와 간섭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측면 가림막(300)은 도 1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테두리부분에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용 고리(310)가 설치되고, 상단 테두리부분에 파라솔(100)의 제1결합부(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320)가 설치된다. 상기 제2결합부(320)는 제1결합부(120)와 상보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길이 및 형상을 가지며, 벨크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결합부(320)를 이용하여 측면 가림막(300)의 상단부분을 도 1과 같이 파라솔(100)의 하 부 테두리부분에 연결함으로써, 측면 가림막(300)을 파라솔(100) 둘레를 가리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 가림막(300)의 고정용 고리(310)를 바닥 지지면에 앵커 등의 고정수단 또는 별도의 연결끈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의자(10)가 파라솔(100) 및 측면 가림막(300)에 의해 둘러싸여 일정 공간 즉, 개인용 휴식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 가림막(300)은 파라솔(1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가림막(300)은 양측 단부를 서로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부(330)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부(330)는 바람직하게는 암수 지퍼부(331,332)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암수 지퍼부(331,332)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도 1과 같이 측면 가림막(300)이 의자(10)를 완전히 감싸서 가리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연결부(330)를 연결 및 해제하여 측면 가림막(300) 내외로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용 고리(310)는 측면 가림막(300)의 양단에서 일정부분 이격된 부분에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실제로 측면 가림막(300)을 파라솔(100)에 도 1과 같이 연결하여 설치하게 되면, 고정용 고리(310)는 파라솔(100)의 모서리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여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게 되고, 의자(10)를 기준으로 전방 중앙부분에 연결부(330)가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의자(10)의 전방에 위치한 연결부(330)를 통해 상하로 측면 가림막(300)을 분리하고, 상단부의 제2결합부(320)를 양측으로 일정부분 제1결합부(120)로부터 분리하면, 소위 'T' 자 형태로 측면 가림막(300)의 전방을 개방하여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면 가림막(300)은 중간 높이의 부분에도 고정용 고리(31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지형에 대응하여 측면 가림막(300)을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 가림막(300)은 파라솔(1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투명한 비닐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망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 가림박(300)이 망사로 형성된 경우에는, 더운 여름에 피서지에서 모기나 파리 등의 곤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는 안전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면 가림막(300)이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외부 확인용 투명창(340)을 별도로 형성하여 측면 가림막(300)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외부 상황을 확인하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파라솔(100)에 측면 가림막(300)을 선택적으로 탈부탁하여 사용함으로써 파라솔로 이용하다가도 개인용 천막과 같은 기능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야외 야영지 등에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c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가림막(330')은 도 2b에 도시된 투명창(340)을 대신하여 개폐 가능한 개방창(350)을 구비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개방창(350)은 지퍼 또는 벨크로 등의 개폐수단(38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개방창(360)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그 개방구(360)로 외부의 모기나 곤충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모기장(37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라솔 지지장치(200)는 상기 파라솔(100)을 의자(1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로 위치 변경 및 자세 변경 가능하며, 의자(1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파라솔 지지장치(200)는 상기 의자(10)에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유닛(210)과, 상기 제1지지유닛(210)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라솔(100)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는 제2지지유닛(220) 및 상기 제1지지유닛(210)을 의자(10)의 프레임 등에 착탈 및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체결유닛(230)을 구비한다.
상기 제1지지유닛(210)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211)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211)의 상단을 연결하며 곡선형으로 형성된 상부프레임(212) 및 상기 수직프레임(211)과 상부프레임(212)을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 연결부(213)를 구비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11)의 하단은 상기 체결유닛(230)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회동 연결부(213)에 연결된다. 이 수직프레임(211)은 한 쌍이 의자(10)를 사이에 두고 좌우 각각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프레임(212)은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 즉, 아치형으로 형성되며, 양단 각각이 상기 회동 연결부(213)에 연결된다.
상기 회동 연결부(213)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회동부(214,215)를 구비한다. 제1회동부(214)에는 상기 상부프레임(212)이 끼워지는 결합부(214a)가 파이프형태로 형성되고, 중심부분에는 나사 체결공(214b)이 형성된다. 제2회동부(215)는 수직프레임(211)의 상단이 끼워 져 결합되는 결합부(215a)가 파이프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분에는 상기 나사체결공(214b)에 대응되는 나사체결공(215b)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회동부(214,215)를 서로 마주하여 접촉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를 나사체결공(214b,215b)에 체결하여 제1 및 제2회동부(214,215)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 연결부(213)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211) 및 상부프레임(212)을 연결하게 되면, 의자(10)의 좌우 폭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의자(10)에 한 쌍의 수직프레임(211)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지지유닛(22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21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221)와, 이동부재(221)의 측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연결되어 파라솔(100)을 지지하는 복수의 파라솔 지지바(223) 및 상기 이동부재(221)를 상부프레임(212)에 대해 고정시키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허용하는 가압부재(225)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부재(221)는 중앙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공(221a)을 가지는 몸체(221b)와, 상기 몸체(221b)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조립부(221c)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공(221a)에는 상기 상부프레임(212)이 끼워짐으로써 이동부재(221)는 상부프레임(212)을 따라 좌우로 이동 및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조립부(221c)는 몸체(221b)에서 일체로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상기 파라솔 지지바(223)가 끼워져 결합되는 조립공(221d)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공(221d) 각각에는 상기 파라솔 지지바(223)의 일단이 끼워져 조립됨으로써, 복수의 지지바(223)는 상부 프레임(212)과 동일한 높이에서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며,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파라솔(100)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파라솔 지지바(223)의 타단 즉, 단부 쪽에는 파라솔(100)의 연결고리(110)가 끼워져 결합되는 걸림돌기(227a)를 가지는 연결부재(227)가 결합된다. 상기 걸림돌기(227a)에 파라솔(100)의 결합공(110)이 연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가압부재(225)는 상기 몸체(221b)의 하단에서 슬라이딩공(221a)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나사공(221f)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225a)와, 볼트부(225a)의 하단에 연결된 회전손잡이(225b) 및 볼트부(225a)의 선단에 돌돌형성된 가압부(225c)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의 가압부재(225)는 상기 나사공(221f)에 볼트부(225a)가 나사 결합되며, 회전손잡이(225b)의 회전방향 및 회전정도에 따라서 상기 가압부(225c)가 슬라이딩공(221a) 내부로 돌출되어 그 슬라이딩공(221a)에 결합된 상부프레임(212)에 접촉되어 가압하거나, 또는 분리된다. 따라서 가압시에는 이동부재(221)를 상부프레임(212)에 대해 이동 및 자세 변경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분리시에는 이동부재(221)를 상부프레임(212)에서 위치 이동 및 전후 방향으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파라솔(100)을 상부프레임(212)과 동일한 높이에서 펼쳐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태양의 위치에 따라서 파라솔(100)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키고, 전후로 자세 변경 및 위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전후 방향으로 파라솔(100)을 위치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체결유닛(230)은 수직프레임(211)을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의자(10)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유닛(23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231)와, 상기 고정부재(231)를 의자(10)의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부재(232)와, 상기 고정부재(23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재(233)와, 상기 고정부재(231)에 대한 회동부재(233)의 회동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234)와, 상기 고정부재(231)에 대해 상기 회동부재(233)를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235) 및 회동부재(233)를 고정부재(231) 측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236)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재(231)의 일측면에는 'U'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의자(10) 등의 프레임이 끼워지는 결합홈(231a)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각도조절부(234)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홈(231a) 내측으로 선단이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232)가 고정부재(231)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232)를 나사 결합하는 정도에 따라서 고정부재(231)를 의자 등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233)는 고정부재(231)와 상기 연결부재(235)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회동부재(233)에는 상기 수직프레임(211)의 하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233a)가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부재(233)는 각도조절부(234)를 통해 고정부재(233)와 접한 상태로 결합되며, 고정부재(232)를 기준으로 회동부재(233)를 회동시켜서 수직프레임(211)을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부(234)는 회동부재(233)를 고정부재(231)에 대해 단계적으로 즉, 일정 단위 각도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부재(231)와 회동부재(233) 각각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는 기어치(234a)(234b)를 구비한다. 상기 기어치들(234a)(234b)은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일정하게 양각돌기 및 음각홈이 형성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회동부재(233)를 고정부재(231)에 대해 일정 각도단위로 단계적으로 정밀 제어하여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233)와 고정부재(231)는 연결부재(235)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부재(235)는 회동부재(233)의 축공(233b)을 통과하여 고정부재(231)의 중심에 고정됨으로써, 회동부재(233)는 연결부재(235)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35)와 회동부재(233) 사이에 탄성부재(236)가 개재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회동부재(233)는 탄성부재(236)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231) 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각도조절부(234)가 서로 밀착되어 유지되도록 하여, 회동부재(233)가 쉽게 회동되지 않도록 자세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회동부재(233)가 외력에 의해서만 단계적으로 각도 조정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236)에 의해 탄력적으로 고정부재(231) 측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조립체는, 한 여름의 더운 날씨, 화창한 날씨에서는 도 6 및 도 7과 같은 상태 즉, 측면 가림막(300)을 분리 한 상태로 파라솔(100)만을 지지유닛(200)에 지지한 상태로 의자(1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솔(100)은 고정된 위치에서 전후 방향 즉, M1 방향 또는 M2 방향으로 자세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이동부재(221)를 상부프레임(212)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파라솔(100)의 자세를 조정한 뒤, 가압부재(225)를 조여서 자세를 고정시킴으로써 의자(10)에 앉아서 쉬는 사용자의 자세나 태양빛의 방향에 따라서 파라솔(100)을 미시적으로 조절하여 태양빛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가 놓여진 자세에 따라, 태양이 의자(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인 경우, 수직프레임(211)을 전방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파라솔(100)을 초기에 F 방향으로 거시적으로 위치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시간이 경과하여 태양의 위치가 점진적으로 의자(10)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다시 수직프레임(211)을 B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파라솔(100)을 B 방향으로 이동시켜 태양빛을 효과적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과 같이 태양이 의자(10)가 놓여진 위치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수직프레임(211)은 그대로 놓고, 상기 이동부재(221)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L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파라솔(100)을 L 방향으로 거시적으로 이동시켜서 태양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오후시간대에는 다시 이동부재(221)를 R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파라솔(100)을 태양빛을 효과적으로 가릴 수 있는 R 방향 쪽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파라솔(100)을 미시적으로 자세변경시키거나, 또는 거시적으로 위치변경시키는 것이 용이하므로, 언제어디서나 태양빛 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사용자를 태양빛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파라솔 조립체에 따르면, 파라솔(100)이 아치형의 상부프레임(212)과 동일한 위치로부터 하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설치되어 지지됨으로써, 파라솔(100)을 상부프레임(212)에 대해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파라솔장치와는 달리 바람이 세게 부는 악천후 상황에서도 파라솔(100)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파라솔(1000의 무게중심이 상부프레임(212)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고, 별도의 폴대형 지주를 생략한 구성이므로 파라솔(100)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파라솔(100)을 자유롭게 자세 및 위치조정하면서 사용하다가, 비가 오거나, 기온이 낮아지는 등 기후조건이 열악해질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가림막(300)을 파라솔(100)의 둘레에 연결하여 설치하여 의자(10)의 상부 및 측면을 모두 가린 천막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측면 가림막(300)의 상부 테두리의 제2결합부(320)를 파라솔(100)의 하부테두리의 제1결합부(120)에 결합하고, 측면 가림막(300)을 팽팽하게 펼친 상태로 고정용 고리(310)를 앵커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바닥면이나 주변 구조물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측면 가림막(300)의 양단의 연결부(330)를 서로 연결하여 측면 가림막(300)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20,320)는 벨크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지퍼, 단추, 연결끈과 연결용 구 멍을 포함하는 구성, 레일식 접철결합구조, 밀봉식 결합구조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330)는 지퍼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가하며, 벨크로, 단추, 똑닥이와 같은 원터치식 로킹체결부재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파라솔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측면 가림막을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측면 가림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회동 연결부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
도 4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체결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
도 6 내지 도 9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파라솔 조립체의 사용시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의자 100..파라솔
200..파라솔 지지장치 210..제1지지유닛
220..제2지지유닛 230..회동 연결부
300..측면 가림막

Claims (5)

  1. 태양빛과 빗물을 차단할 수 있는 천으로 이루어지며, 모서리부분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파라솔과;
    의자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라솔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한 채,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파라솔을 자세변경 가능하게 지지하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각각으로 상기 파라솔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파라솔 지지장치; 및
    상기 파라솔의 테두리부분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의자의 사방 측면을 모두 깜싸서 가릴 수 있도록 그 하단을 지지면에 펼쳐진 상태로 고정 가능한 측면 가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솔 지지장치는,
    적어도 두 지점에서 상기 의자에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며,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유닛과;
    상기 제1지지유닛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며,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라솔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는 제2지지유닛; 및
    상기 제1지지유닛을 상기 의자에 착탈 및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유닛은,
    하단이 상기 체결유닛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양단 각각이 연결되며, 곡선형으로 형성된 상부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호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유닛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좌우 슬라이딩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어 상기 파라솔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파라솔 지지바; 및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상부프레임에 대해 고정시키거나 움직임 가능하게 허용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솔의 하부 테두리부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가림막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제1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 가림막은,
    양단 각각에 마련되어 서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와,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용 고리, 및 투명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솔의 하부 테두리부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가림막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제1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 가림박은,
    양단 각각에 마련되어 서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와, 하단 및 중간부분에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고정용 고리, 및 개폐 가능한 창을 가지며,
    상기 창은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개방구에는 모기장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조립체.
KR2020090011986U 2009-09-11 2009-09-11 파라솔 조립체 KR201100027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86U KR20110002766U (ko) 2009-09-11 2009-09-11 파라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86U KR20110002766U (ko) 2009-09-11 2009-09-11 파라솔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766U true KR20110002766U (ko) 2011-03-17

Family

ID=4420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986U KR20110002766U (ko) 2009-09-11 2009-09-11 파라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76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787B1 (ko) * 2018-02-02 2019-04-02 최창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KR20220124374A (ko) * 2021-03-03 2022-09-14 심종원 의자 차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787B1 (ko) * 2018-02-02 2019-04-02 최창규 기능성 직물이 탈착 가능한 프레임
KR20220124374A (ko) * 2021-03-03 2022-09-14 심종원 의자 차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6141B1 (en) Backpack with integral umbrella
ES2823773T3 (es) Sistema de cubierta de bañera de hidromasaje
KR20180000954U (ko) 파라솔의 각도조절장치
US20060011226A1 (en) Disposition introduced in beach umbrella with inverted structural formation
KR101698662B1 (ko) 낚시용 방풍천막
KR20110002766U (ko) 파라솔 조립체
US9326573B1 (en) Portable shade assembly with clamping system
KR101315166B1 (ko) 휴대용 차양막
KR20140052746A (ko) 파라솔
KR20180020837A (ko) 스쿠터용 접이식 차양막
KR20140096884A (ko) 접철장치를 갖춘 낚시 의자용 가리개
KR200293682Y1 (ko) 파라솔 지지장치
KR101165833B1 (ko) 착탈식 그늘막 베개
KR200479860Y1 (ko) 휴대용 머리 보호구
KR20200063560A (ko) 접이식 텐트 구조물
KR200286589Y1 (ko) 텐트 겸용 기능을 갖는 연장면 파라솔
KR20200081118A (ko) 타프 설치식 텐트
WO2008023209A1 (en) Umbrella for protection from sunshine or rain
KR200255862Y1 (ko) 다기능 파라솔 텐트
US20130125942A1 (en) Adjustable accessory for sun protection of the face
KR200322465Y1 (ko) 유모차용 보조 차양막
KR101240195B1 (ko) 이중 파라솔
KR102451007B1 (ko) 탈착 가능한 방충망을 구비하는 파라솔 우산
KR200355722Y1 (ko) 낚시용 파라솔 천막
KR101929707B1 (ko) 텐트용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