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730B1 - 파봉장치 - Google Patents

파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730B1
KR101964730B1 KR1020170095584A KR20170095584A KR101964730B1 KR 101964730 B1 KR101964730 B1 KR 101964730B1 KR 1020170095584 A KR1020170095584 A KR 1020170095584A KR 20170095584 A KR20170095584 A KR 20170095584A KR 101964730 B1 KR101964730 B1 KR 101964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cutter
frame
breaking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117A (ko
Inventor
김형원
고영록
신창우
방권옥
Original Assignee
최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희 filed Critical 최정희
Publication of KR2018007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4Mills in which the charge to be ground is turned over by movements of the container other than by rotating, e.g. by swinging, vibrating,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183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02C17/186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by fluid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0Disintegrating members
    • B02C17/205Adding disintegrating members to the tumbling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4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Abstract

본 발명은 파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드럼, 회전드럼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메인커터, 및 회전드럼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유동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서브파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회전드럼과 메인커터의 고속 회전에 의해 비산되는 비닐류와 같은 재활용 쓰레기를 서브커터로써 파봉 처리함으로써 파봉 효율이 향상되고, 서브커터에 방청유 등 유체를 공급하여 서브커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파봉장치{APPARATUS FOR TEARING WASTE ENVELOPE}
본 발명은 파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드럼과 메인커터의 고속 회전에 의해 비산되는 비닐류와 같은 재활용 쓰레기를 서브커터로써 파봉 처리함으로써 파봉 효율이 향상되고, 서브커터에 방청유 등 유체를 공급하여 서브커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서브커터를 구속 연결한 샤프트를 케이싱 내측에 구비함으로써 샤프트에 재활용 쓰레기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파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주거지역이나 산업지역, 공장 등에서 수거되어 온 재활용(재활용품 및 쓰레기)은 PP마대나 비닐봉투 등의 봉지에 수용되어 재활용선별장에 반입된다.
이처럼 반입된 봉지는 칼이나 낫 등을 이용하여 파봉된 후 선별장으로 이송되는데, 이를 통해 재활용들의 분리 선별을 보다 원활하게 하여 선별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이 같은 파봉작업이 인력에 의존하여 이루어지는 작업 특성상, 파봉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 및 환경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100L 용량의 PP마대 및 비닐봉지의 경우, 수용된 재활용의 중량이 매우 무거워 작업자가 이를 손쉽게 다루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용된 재활용 중에는 인체에 유해하거나 위험한 물질도 포함될 수 있어, 파봉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비닐류 등의 파봉기가 제안되고 있다.
파봉기에 대해서는 국내특허등록 제10-0779524호(발명의 명칭: 재활용 포대 파봉드럼 및 파봉유니트와 이를 갖는 파봉장치) 등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파봉기는 공급되는 비닐류를 커터로써 커팅하여 파봉하는 설비인데, 비닐류가 커터로 공급되기 전에 비산되어 유동됨에 따라 파봉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드럼과 메인커터의 고속 회전에 의해 비산되는 비닐류와 같은 재활용 쓰레기를 서브커터로써 파봉 처리함으로써 파봉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파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브커터에 방청유 등 유체를 공급하여 서브커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파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크린을 회동시키면서 공급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메인커터 측으로 집중시켜 파봉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파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봉장치는: 투입호퍼와 가이드슈트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메인커터; 및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유동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서브파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파봉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되며 비산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서브커터; 복수 개의 상기 서브커터를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렬로 배치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양측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재활용 쓰레기와 접촉을 줄이고, 상기 서브커터 각각이 상측과 하측으로 동시에 노출되도록 상부개방부와 하부개방부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회전 작동되는 상기 서브커터의 내구성 증대를 위해 유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프레임 내측에서 상기 서브커터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포트빔; 상기 서포트빔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빔이 설정 위치까지 하강시, 회전되는 서브커터 각각의 상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연마하는 연마부재; 및 상기 서포트빔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어, 상기 연마부재가 대응되는 서브커터를 연마시, 상기 서브커터 각각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봉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회전드럼과 메인커터의 고속 회전에 의해 비산되는 비닐류와 같은 재활용 쓰레기를 서브커터로써 파봉 처리함으로써 파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브커터에 방청유 등 유체를 공급하여 서브커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크린을 회동시키면서 공급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메인커터 측으로 집중시켜 파봉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커터를 구속 연결한 샤프트를 케이싱 내측에 구비함으로써 샤프트에 재활용 쓰레기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 작동 중인 서브커터를 연마부재로써 연마함에 따라 서브커터의 내구성을 증대시켜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서브파봉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서브파봉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공급안내부 구성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서브파봉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서브파봉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 중 유지부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봉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서브파봉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서브파봉부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공급안내부 구성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100)는 프레임(110), 회전드럼(120), 메인커터(130) 및 서브파봉부(14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내측에 회전드럼(120)과 메인커터(130) 및 서브파봉부(140)를 구비한다.
물론, 프레임(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회전드럼(120)은 프레임(1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회전드럼(120)은 구동모터(122)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물론, 회전드럼(120)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메인커터(130)는 회전드럼(120)의 둘레면에 복수 개 구비되어, 유입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재활용 쓰레기는 비닐류인 것으로 한다.
특히, 메인커터(130)는 회전드럼(120)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어 프레임(110) 내측으로 공급되는 비닐류인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메인커터(130)는 회전드럼(12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회전드럼(120)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메인커터(130)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프레임(110)은 재활용 쓰레기를 메인커터(13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이송컨베이어(11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10)은 이송컨베이어(112) 측으로 재활용 쓰레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투입호퍼(1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호퍼(114)를 통해 재활용 쓰레기가 프레임(110) 내측에서 이동되며 파봉 처리됨에 따라, 재활용 쓰레기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메인커터(130)는 회전드럼(120)의 회전에 의해 원주 궤적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송컨베이어(112)에서 낙하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게 된다.
여기서, 메인커터(130)가 낙하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기 위해, 회전드럼(120)은 고속으로 회전된다.
한편, 회전드럼(120)이 고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프레임(110) 내측에서 회전드럼(120)의 둘레를 따라 기류(氣流)가 발생된다.
그래서, 비교적 비중이 작은 재활용 쓰레기는 메인커터(130)에 의해 파봉되지 않는 채 비산되며 배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서브파봉부(140)가 구비된다.
즉, 서브파봉부(140)는 회전드럼(12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비산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서브파봉부(140)는 메인커터(130)에 의해 일차적으로 파봉된 비교적 비중이 큰 재활용 쓰레기를 이차적으로 파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브파봉부(140)는 서브커터(144)를 포함한다.
서브커터(144)는 고속으로 회전되는 회전드럼(120)에 의해 프레임(110) 내측에서 비산되며 배출측으로 이동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서브커터(144)를 포함한 서브파봉부(140)는 비산되는 재활용 쓰레기의 유동 방향으로 프레임(110)의 코너(구석)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커터(144)는 비산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함에 따라 프레임(110) 내부에서 회전드럼(1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서브커터(144)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케이싱(142) 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각이 샤프트(146)에 구속된다.
이때, 서브커터(144)는 서브모터(145)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된다. 즉, 서브모터(145)는 샤프트(146)를 회전시킴으로써 서브커터(144)를 회전 조작하게 된다.
아울러, 케이싱(142)은 프레임(110)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회전드럼(120)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부(143)를 구비하며, 내측에 서브커터(144)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때, 서브커터(144)는 일부가 개구부(143)를 통해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비산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한다.
이에 따라, 케이싱(142)은 재활용 쓰레기가 서브커터(144)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샤프트(146)가 케이싱(142)의 내측에 구비된 채 회전되고, 서브커터(144)의 일부가 개구부(143)로 노출됨으로써, 비산되는 재활용 쓰레기가 샤프트(146)에 감기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케이싱(14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된다.
아울러, 프레임(110) 또는 케이싱(142)은 회전 작동되는 서브커터(144)에 유체를 분사 안내하기 위해 유지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유지부(150)는 서브커터(144)에 방청유 또는 윤활유를 공급함으로써 서브커터(144)에 재활용 쓰레기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서브커터(144)가 녹스는 것을 방지한다. 그래서, 서브커터(144)는 유지부(150)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된다.
특히, 유지부(150)의 노즐(155)는 케이싱(142)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110)은 회전드럼(120)의 상측을 제외한 둘레에 대응되도록 고정커터(16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래서, 낙하하거나 비산되는 재활용 쓰레기는 고정커터(160)에 의해 한 번 더 파봉될 수 있다. 물론, 고정커터(16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고정커터(160)는 서브커터(144)의 하측에 위치하여 서브커터(144)에 의해 파봉된 후 낙하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한번 더 파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고정커터(160)는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는 메인커터(130)는 고정커터(160) 사이로 이동된다. 즉, 이웃한 한 쌍의 고정커터(160)와 메인커터(130)는 전단각을 형성하며 배출측으로 낙하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재차 파봉한다.
그리고, 프레임(110)은 내부로 공급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설정위치의 메인커터(130) 측으로 공급 안내하는 공급안내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안내부(170)는 스크린부재(172) 및 간격설정부재(174)를 포함한다.
스크린부재(172)는 이송컨베이어(112)의 단부와 회전드럼(120) 사이에 배치되어, 낙하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설정위치의 메인커터(130) 측으로 집중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스크린부재(172)는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스크린부재(172)는 축 방향을 따라 상부가 재활용 쓰레기의 공급측에 연결된다.
특히, 스크린부재(172)는 비교적 부피가 큰 페트(pet)병 등을 배출할 수 있는 정도의 메쉬(mesh)로 이루어진다. 물론, 스크린부재(17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다.
그리고, 간격설정부재(174)는 프레임(110)에 힌지 연결되어 지지된 채 스크린부재(172)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어, 스크린부재(172)와 메인커터(130)의 간격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간격설정부재(174)는 전후진 왕복 작동됨으로써 공급되는 재활용 쓰레기의 부피에 따라 스크린부재(172)의 축 방향으로 하측과 설정된 위치의 메인커터(130)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파봉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간격설정부재(174)는 전후진 왕복 작동됨으로써 스크린부재(172)에 진동을 전달함에 따라 부피가 큰 재활용 쓰레기를 배출시키고, 비닐류와 같은 재활용 쓰레기를 설정된 메인커터(130) 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간격설정부재(174)는 실린더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110)은 일측 특히 하측인 파봉 처리된 재활용 쓰레기의 배출측에 가이드슈트(18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슈트(180)는 프레임(110)의 하측으로 재활용 쓰레기가 집중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가이드슈트(180)의 하측에는 배출컨베이어(190)가 구비된다. 배출컨베이어(190)는 가이드슈트(180)를 통해 낙하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설정 부위로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배출컨베이어(190)가 프레임(110)의 가이드슈트(180) 하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110)은 레그(116)를 통해 바닥에 지지되면서 바닥에 대해 소정 유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레그(11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서브파봉부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의 서브파봉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 중 유지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봉장치(100)는 프레임(110), 회전드럼(120), 메인커터(130) 및 서브파봉부(14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재활용 쓰레기를 공급받기 위해 상측에 투입호퍼(114)를 구비하고, 파봉된 재활용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해 하측에 가이드슈트(180)를 구비한다.
프레임(110)의 상세한 구성 및 기능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아울러, 회전드럼(120) 및 메인커터(13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서브파봉부(140)는 회전드럼(12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유동(비산)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역할을 한다.
서브파봉부(140)는 서브커터(144), 샤프트(146) 및 케이싱(142)을 포함한다.
서브커터(144)는 프레임(110) 내부에서 회전되며 비산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서브커터(144)는 회전드럼(120)과 메인커터(130)의 고속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프레임(110)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에 의해 비산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기 위해 프레임(110)의 내부 상측, 특히 내부 상측 코너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서브커터(144)는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비산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최대한 파봉 유도한다.
그리고, 샤프트(146)는 일렬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서브커터(144)를 연걸하여 구속하여 동시에 회전 안내한다. 물론, 각각의 서브커터(144)는 다양한 방식으로 샤프트(146)에 구속될 수 있다. 이때, 서브모터(145)는 샤프트(146)를 회전 작동할 수도 있고, 특정한 서브커터(144) 또는 서브커터(144) 전체를 회전 작동할 수도 있다.
케이싱(142)은 샤프트(146)의 양측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재활용 쓰레기와 접촉을 줄이고, 서브커터(144) 각각이 상측과 하측으로 동시에 노출되도록 상부개방부(143a)와 하부개방부(143b)를 형성한다.
아울러, 케이싱(142)은 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된다.
한편, 프레임(110)은 회전 작동되는 서브커터(144)의 내구성 증대를 위해 유지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유지부(150)는 서브커터(144)를 연마하는 역할과, 연마시 서브커터(144)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로서, 유지부(150)는 서포트빔(151), 연마부재(153) 및 노즐(155)을 포함한다.
서포트빔(151)은 프레임(110) 내측에서 서브커터(144)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서포트빔(151)은 작동부재(152)에 의해 프레임(110) 내측에서 설정거리만큼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작동부재(152)는 실린더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연마부재(153)는 서포트빔(151)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어, 서포트빔(151)이 설정 위치까지 하강시, 상부개방부(143a)를 통해 노출된 채 회전되는 서브커터(144) 각각의 상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연마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연마부재(153)는 서브커터(144)를 내측으로 수용하거나, 또는 서브커터(144)의 일측에 접하게 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연마부재(153)는 서포트빔(151)에 교체 가능하도록 다양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마부재(153)는 서브커터(144)에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노즐(155)은 서포트빔(151)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어, 연마부재(153)가 대응되는 서브커터(144)를 연마시, 서브커터(144) 각각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노즐(155)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서포트빔(15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노즐(155)은 설치 개수를 줄이기 위해 이웃한 서브커터(144) 사이에 배치되도록 서포트빔(151)에 고정 설치되어 작동유(절삭유)를 동시에 2개의 서브커터(144)에 공급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파봉장치 110: 프레임
112: 이송컨베이어 120: 회전드럼
122: 구동모터 130: 메인커터
140: 서브파봉부 142: 케이싱
143: 개구부 144: 서브커터
145: 서브모터 150: 유지부
155: 노즐 160: 고정커터
170: 공급안내부 172: 스크린부재
174: 간격설정부재 180: 가이드슈트
190: 배출컨베이어

Claims (4)

  1. 투입호퍼와 가이드슈트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메인커터; 및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유동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서브파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파봉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회전되며 비산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하는 서브커터; 복수 개의 상기 서브커터를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렬로 배치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양측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재활용 쓰레기와 접촉을 줄이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회전 작동되는 상기 서브커터의 내구성 증대를 위해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프레임 내측에서 상기 서브커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포트빔; 및 상기 서포트빔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어, 상기 서포트빔이 설정 위치까지 하강시, 회전되는 서브커터 각각의 상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연마하는 연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연마부재를 통해 상기 서브커터를 연마하기 위해 상기 서브커터를 노출시키도록 상부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커터의 외부 노출을 줄인 채 상기 재활용 쓰레기를 파봉함으로써 상기 재활용 쓰레기가 상기 샤프트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개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서포트빔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어, 상기 연마부재가 대응되는 서브커터를 연마시, 상기 서브커터 각각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봉장치.
KR1020170095584A 2016-12-28 2017-07-27 파봉장치 KR101964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81549 2016-12-28
KR1020160181549 2016-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117A KR20180078117A (ko) 2018-07-09
KR101964730B1 true KR101964730B1 (ko) 2019-04-04

Family

ID=6291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584A KR101964730B1 (ko) 2016-12-28 2017-07-27 파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7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92B1 (ko) * 2007-03-20 2007-11-08 주식회사 포스벨 쓰레기 봉투 파봉 정량공급기
JP2008043934A (ja) * 2006-08-17 2008-02-28 Technica Machinery Kk 破袋・除袋機
JP2015110217A (ja) * 2013-10-28 2015-06-18 株式会社サカエ シュレッダ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状物処理装置
JP2016140819A (ja) * 2015-02-02 2016-08-08 勝彦 西田 破砕機用刃物及び破砕機用刃物の研磨治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9064B1 (ja) * 2002-04-12 2003-12-15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力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934A (ja) * 2006-08-17 2008-02-28 Technica Machinery Kk 破袋・除袋機
KR100774992B1 (ko) * 2007-03-20 2007-11-08 주식회사 포스벨 쓰레기 봉투 파봉 정량공급기
JP2015110217A (ja) * 2013-10-28 2015-06-18 株式会社サカエ シュレッダ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状物処理装置
JP2016140819A (ja) * 2015-02-02 2016-08-08 勝彦 西田 破砕機用刃物及び破砕機用刃物の研磨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117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4573A (en) Apparatus for shredding rubber tires and other waste materials
US7832667B2 (en) Comminution device
US5558281A (en) Recycling and solid material conversion apparatus
CN108421609B (zh) 垃圾填埋场用垃圾粉碎处理装置
CN104936712A (zh) 从塑料材料制成的容器上连续地去除标签的机器和方法
CN108502403A (zh) 一种医疗专用自动分类垃圾桶
BR102015009747A2 (pt) Dispositivo para retalhar material, uso de um dispositivo, e, método para a manutenção de um dispositivo para retalhar material
KR101964730B1 (ko) 파봉장치
CN105689069A (zh) 一种立式双程废旧轮胎切碎机
CN209451955U (zh) 一种进料口可调整的高效粉碎机
KR101554283B1 (ko) 쓰레기 봉투 파봉장치
RU2359758C2 (ru) Линия сортировки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ой смеси
CN104943025A (zh) 塑料垃圾撕碎机
JP2019515793A (ja) 粉砕機
CN202506466U (zh) 多材质垃圾混合破碎装置
KR101798648B1 (ko) 폐페인트통 처리장치
KR100673867B1 (ko) 차량 장착용 폐합성수지 분쇄 및 분리장치
KR101612534B1 (ko) 산업폐기물 분쇄기
JP3734464B2 (ja) 破砕処理装置
KR100705773B1 (ko) 산업폐기물 및 폐차량 처리용 슈레더
CN101745453A (zh) 垃圾破碎机
JP2003117421A (ja) 樹枝粉砕機
JPH08266924A (ja) 帯状廃棄物を捕捉して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2708552A (en) Refuse cutting machine
JP2007098359A (ja) 剪定枝破砕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