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693B1 -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693B1
KR101964693B1 KR1020160167580A KR20160167580A KR101964693B1 KR 101964693 B1 KR101964693 B1 KR 101964693B1 KR 1020160167580 A KR1020160167580 A KR 1020160167580A KR 20160167580 A KR20160167580 A KR 20160167580A KR 101964693 B1 KR101964693 B1 KR 101964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storage
file
managing
us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6927A (ko
Inventor
이은성
조지훈
이용희
김남중
김남경
방지윤
장범석
최홍석
김동우
김민형
이민규
채연성
홍용석
조철현
김지해
김진우
류진경
장세영
우윤정
진은숙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693B1/ko
Priority to JP2017224842A priority patent/JP2018097861A/ja
Priority to US15/835,775 priority patent/US10776324B2/en
Priority to US15/835,826 priority patent/US10762057B2/en
Publication of KR20180066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3File access structures, e.g. distributed ind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은,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상의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서버 상의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연동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합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LOUD STORAGE}
아래의 설명은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바이스(예컨대, 데스크탑, 노트북, 휴대용 기기 등)에 저장되던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자신의 계정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67643호(공개일 2015년 06월 18일)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에서 파일을 공유하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다수의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메타 서비스(meta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바이스(device)를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함께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대화(chat) 형태의 UI(user interface)를 통해 디바이스 간 파일 공유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상의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서버 상의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연동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합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파일 트리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의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통합 관리를 위한 파일 시스템의 루트 폴더 내에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서비스 폴더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서비스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동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외부 스토리지로서 연동하고,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상기 디바이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디바이스의 파일 트리 접근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을 파일 종류 별로 모아 파일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사진 중 중복 사진을 분류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사진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중복 사진을 분류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사진의 태그나 메타 정보에 기초한 필터링을 통해 상기 중복 사진을 분류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과 결합되어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은,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상의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서버 상의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연동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합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상의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구성부;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서버 상의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연동하는 스토리지 연동부; 및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합 관리하는 메타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메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바이스를 스토리지로 간주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함께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화 형태의 UI를 통해 디바이스 간 파일 공유를 지원함으로써 파일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드라이브의 데이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파일 공유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파일 공유를 위한 개인 대화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수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메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대화 형태의 UI를 통해 파일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합 관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율성, 편의성, 비용 절감 등의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한다.
이하에서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전자 기기 1(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 1(110)은 서버(16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전자 기기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콘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 1(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콘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 1(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1(110)에는 컴퓨터로 구현된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전자 기기 1(110)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메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명령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 1(110)에 구현된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따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 구성부(310), 스토리지 연동부(320), 및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1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1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40)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전자 기기 1(1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1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1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이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구성하도록 상술한 명령에 따라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12)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드라이브 구성부(310)가 이용될 수 있다.
단계(S410)에서 프로세서(212)는 전자 기기 1(11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11)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12)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420 내지 S44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드라이브 구성부(31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구성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인터넷 상의 저장소로서 서버(150)와 관련된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의미한다. 드라이브 구성부(310)는 서버(150)와 관련된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에서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에게 할당한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근할 수 있는 가상의 드라이브(이하, '메인 드라이브'라 칭함)를 전자 기기 1(110) 상에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인 드라이브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인터넷 상의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내용을 전자 기기 1(110)의 내부로 읽어들이는 역할은 물론, 전자 기기 1(110)에 저장된 내용을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업로드 하는 역할 등을 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스토리지 연동부(32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토리지를 연동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스토리지 연동부(320)는 메인 드라이브를 통해 외부 스토리지 각각에 대한 드라이브를 연동시킬 수 있다.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서버(150)와 다른 서버(미도시) 상의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스토리지 연동부(32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즉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연동할 수 있다. 스토리지 연동부(320)는 연동 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수집하여 수집된 서비스 목록을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의 선택과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연동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서비스나 디바이스 간 공유를 위하여 오픈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연결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스토리지 연동부(32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바이스를 연동할 수 있으며, 이때 연동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의 일례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데스크탑 등이 있다. 스토리지 연동부(32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의 계정으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다른 디바이스를 수집하여 연동하거나, 혹은 전자 기기 1(110)를 통해 디바이스 정보를 입력 받아 해당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스토리지 연동부(32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바이스를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근 가능한 또 다른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간주하여 연결할 수 있다.
단계(S440)에서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메인 드라이브를 통해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외부 스토리지(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관리하는 메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드라이브를 통해 외부 스토리지 각각의 네트워크 드라이브와 연동함에 따라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함께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른 외부 스토리지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메인 드라이브가 오픈 API를 통해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른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근할 수 있고, 네트워크(170)를 통해 연결된-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른 디바이스의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메인 드라이브를 통해 외부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외부 스토리지에 대한 메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메인 드라이브를 통해 외부 스토리지의 파일 트리 접근 및 편집이 가능함으로써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든 스토리지를 통합 관리할 수 있고, 이러한 통합 관리 환경을 통해 파일 업로드 기능, 파일 다운로드 기능, 폴더 생성 기능, 폴더나 파일의 편집 기능(복사/이동/삭제/복원/이름 변경 등), 폴더나 파일의 공유 기능, 파일 뷰어 기능, 폴더나 파일의 검색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메인 드라이브를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바이스의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으며 해당 디바이스 또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형태로 간주하여 통합 관리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드라이브의 데이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드라이브(500)는 메타 서비스를 위해 서버(150) 상의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501)에 저장된 데이터(510)와, 메인 드라이브(500)가 수집한 외부 스토리지(502)에 저장되어 있는 원본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는 전자 기기 1(110)의 화면에 표시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화면(600)에는 기본적으로 서버(150) 상의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근하기 위한 '메인 드라이브' 폴더(610)가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화면(600)에는 클라우드 통합 관리를 위한 파일 시스템으로서 최상위(1depth) 폴더인 루트 폴더, 예컨대 '내 드라이브'가 생성되고 루트 폴더 '내 드라이브' 내에 서버(15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서비스 폴더인 '메인 드라이브' 폴더(610)가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 1(110)에서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탐색기를 제공하는 경우 전자 기기 1(110)의 로컬 드라이브 목록을 제공하는 탐색기 내에 클라우드 통합 관리를 위한 루트 폴더를 추가하여 보여줄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화면(600)에는 사용자가 연동하고자 하는 다른 외부 스토리지를 추가하기 위한 '추가' UI(601)가 포함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화면(600)에서 '추가' UI(601)를 이용하여 서버(150)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이외에 사용자가 이미 사용 중인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추가하거나 디바이스를 추가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화면(600)에서는 외부 스토리지의 추가 시 외부 스토리지 각각에 대하여 서비스 폴더가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비스 'Ⅰ'와 디바이스 'A'를 추가한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트 폴더 '내 드라이브' 내에 클라우드 서비스 'Ⅰ'의 서비스 폴더인 '드라이브 Ⅰ'(720)와 디바이스 'A'의 서비스 폴더인 '디바이스 A'(730)가 생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화면(600)에는 외부 스토리지로 추가된 서비스 폴더 각각(720, 730)에 연결 해제를 위한 '연결 해제' UI(701)가 포함될 수 있다. '연결 해제' UI(701)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외부 스토리지의 연결이 해제됨에 따라 루트 폴더 내 서비스 목록에서 제거되고 해당 스토리지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가 삭제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화면(600)에는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추가된 외부 스토리지의 서비스 폴더 목록이 노출되고 서비스 폴더 목록에서 특정 스토리지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스토리지의 메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스토리지의 폴더 트리가 노출될 수 있다. 도 7에서 서비스 폴더 '드라이브 Ⅰ'(720)를 선택한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 'Ⅰ'에 구축된 폴더 트리(821)가 추가 노출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전자 기기 1(110)의 로컬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또는 폴더)을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외부 스토리지로 업로드 하는 기능,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외부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또는 폴더)을 전자 기기 1(110)의 로컬 디스크로 다운로드 하는 기능,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나 외부 스토리지 간에 파일(또는 폴더)을 이동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전자 기기 1(110)의 로컬 디스크와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외부 스토리지 간에 선택한 위치에 파일(또는 폴더)의 사본을 만드는 복사 기능, 선택한 위치에 파일(또는 폴더)의 사본을 만들고 기존 원본 파일(또는 폴더)을 삭제하는 이동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외부 스토리지의 서비스 폴더 내에 새로운 폴더를 생성하는 기능, 전자 기기 1(110)의 로컬 디스크와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외부 스토리지에서 선택한 파일(또는 폴더)을 휴지통으로 이동하는 삭제 기능, 삭제된 파일(또는 폴더)을 복원하는 복원 기능, 선택한 파일(또는 폴더)의 이름을 변경하는 이름 변경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화면(600)에는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또는 외부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 및 폴더 내역을 보여주기 위한 콘텐츠 영역(901)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스토리지의 경우 원본 데이터가 아닌 메타 데이터를 통해 파일 목록을 생성하여 콘텐츠 영역(901) 상에 노출할 수 있다. 콘텐츠 영역(901)에 노출된 파일 목록에서 적어도 일부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 편집 메뉴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편집 메뉴에는 다운로드, 이동, 복사, 삭제, 공유, 해당 폴더로 가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편집 메뉴를 이용하지 않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영역(901)에서 소정 제스처(예컨대, Drag&Drop 등)를 이용하여 선택된 파일이나 폴더를 스토리지 간에 복사 또는 이동 등의 편집이 가능하다. 같은 스토리지 내의 파일 또는 폴더를 선택하여 드래그앤드롭한 경우 이동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스토리지 내의 파일 또는 폴더를 선택하여 드래그앤드롭한 경우 복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선택한 파일(또는 폴더)에 대한 링크를 생성하여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파일(또는 폴더)이 선택되는 경우 링크를 생성하고 생성된 링크를 복사하여 복사된 링크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링크에는 링크 접근 시 공유된 파일(또는 폴더)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외부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또는 폴더)의 파일명을 검색하는 통합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외부 스토리지를 포함한 전체 스토리지를 대상으로 검색하거나 사용자가 접근한 스토리지의 폴더 내부를 선택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외부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뷰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뷰어 기능의 일례로서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외부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을 파일 종류에 따라 모아 목록을 구성하여 노출하는 모아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화면(600)에는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외부 스토리지 내에 사진 타입의 파일만을 모아 사진 목록을 구성하여 콘텐츠 영역(901)에 노출하기 위한 사진 모아보기 UI(1040),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외부 스토리지 내에 문서 타입의 파일만을 모아 문서 목록을 구성하여 콘텐츠 영역(901)에 노출하기 위한 문서 모아보기 UI(1050),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외부 스토리지 내에 비디오 타입의 파일만을 모아 비디오 목록을 구성하여 콘텐츠 영역(901)에 노출하기 위한 비디오 모아보기 UI(106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진의 경우 콘텐츠 영역(901)을 통해 사진 미리 보기, 다음/이전 사진으로 슬라이드, 사진 회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사진의 경우 중복 사진을 분류하여 정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사진의 구도, 색상, 피사체 등에 대한 유사도에 기초하여 유사한 사진을 그룹핑 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목록이 노출된 콘텐츠 영역(901)에 중복 사진을 분류하기 위한 '사진 정리' UI(1101)가 포함될 수 있고, '사진 정리' UI(1101)가 선택되는 경우 사진을 유사도에 따라 그룹핑 한 분류 결과(1100)를 제공할 수 있다. 분류 결과(1100)에는 그룹 별로 해당 그룹 내 사진 목록을 제공할 수 있고 각각의 그룹에서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사진의 메타 정보나 태그 등에 기초한 필터링을 통해 중복 사진을 분류할 수 있다. 사진 목록이 노출된 콘텐츠 영역(901)에 중복 사진을 분류하기 위한 '사진 정리' UI가 포함될 수 있고, '사진 정리' UI가 선택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분류를 위한 필터 선택 화면(1210)을 우선 제공할 수 있다. 사진 분류를 위한 필터의 일례로는 날짜, 지역, 테마, 날씨, 시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필터 선택 화면(1210)을 통해 사진 분류를 위한 특정 필터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필터를 기준으로 한 필터링에 따른 분류 결과(1200)를 제공할 수 있다. 분류 결과(1200)에는 선택된 필터에 부합되는 사진 목록을 제공할 수 있고 해당 목록에서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버(15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이미 사용 중인 타 클라우드 서비스나 디바이스를 추가하여 서비스마다 로그인할 필요 없이 서비스 간 연동을 통해 통합 관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타 서비스의 일례로 대화 형태의 UI를 통해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대화 기반의 파일 공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의 대화 기반의 파일 공유 방법은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310)에서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을 해당 사용자의 계정과 서버(150) 간에 설정된 대화 세션을 통해 서버(150)로 전송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공유 대상이 되는 파일은 전자 기기 1(110)의 로컬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이나 폴더,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 또는 외부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이나 폴더, 웹 화면 상의 파일(이미지나 사진 등), 타 메신저 대화 내용에 있는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의 계정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중 디바이스 전체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디바이스와 파일 공유가 가능하다.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파일을 사용자의 계정에 설정된 대화 세션을 통해 서버(150)로 업로드 할 수 있다.
단계(S1320)에서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이 서버(150)에 업로드 되면 해당 파일에 대한 공유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계정과 서버(150) 간에 설정된 대화 세션에 대응되는 개인 대화방의 인스턴스 메시지로 저장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디바이스 간 파일 공유를 위해 서버(150)의 파일 저장 위치에 대한 링크를 포함하는 메시지로서 공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와 서버(150) 간의 대화 세션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에 저장될 수 있다. 공유 메시지는 개별 대화 메시지로 저장되되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시간 순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메시지는 파일을 서버(150)로 전송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파일의 공유 대상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된 경우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유 메시지는 파일의 이름, 크기, 썸네일, 유형(문서,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 등에 대한 파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유 메시지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바탕으로 저장 시간, 공유 대상 디바이스, 파일 유형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S1330)에서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의 계정과 서버(150) 간에 설정된 대화 세션에 대응되는 개인 대화방을 통해 파일에 대한 공유 메시지를 전자 기기 1(110)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른 디바이스에서는 전자 기기 1(110)에서 전송된 공유 메시지에 대한 수신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의 계정으로 개인 대화방에 접근하여 개인 대화방 내 공유 메시지를 통해 서버(150)에 업로드 된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의 계정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간에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파일 공유를 위한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가 사용자의 계정에 설정된 대화 세션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서버(150)가 파일 공유를 위한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계정에 설정된 대화 세션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바이스 간에 공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가 다른 디바이스에서 전자 기기 1(110)과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을 전송한 경우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다른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파일에 대한 공유 메시지를 사용자의 계정에 설정된 대화 세션을 통해 수신할 수 있고 공유 메시지의 수신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메시지 수신 알림이 선택되는 경우 개인 대화방을 열어 수신된 공유 메시지를 전자 기기 1(11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 대화방에 메시지가 수신된 시간 순으로 공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공유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바탕으로 디바이스나 파일 유형 별로 공유 메시지를 필터링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메타 서비스 제공부(330)는 개인 대화방을 통해 표시된 공유 메시지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를 통해 서버(150)에 저장된 파일을 전자 기기 1(110)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9는 전자 기기 1(110)의 화면에 표시되는 파일 공유를 위한 개인 대화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이다.
도 14는 파일 공유를 위한 개인 대화방(140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개인 대화방(1400)은 디바이스 간에 주고 받은 대화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으로 구성되며, 일례로 디바이스 간에 주고 받은 공유 메시지를 시간 순으로 정렬한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개인 대화방(1400)에는 디바이스 별로 대화 내용을 필터링 하여 확인하기 위한 디바이스 선택 UI(1401), 파일 보관함으로 이동하기 위한 파일 보관함 UI(1402), 파일을 선택하여 전송하기 위한 파일 선택 UI(1403), 캡쳐(capture)를 통해 생성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캡쳐 UI(140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개인 대화방(1400)에서 디바이스 선택 UI(1401)가 선택되는 경우 외부 스토리지로서 연결된 디바이스 목록을 제공할 수 있고, 목록에서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와 주고 받은 대화 내용을 필터링 하여 개인 대화방(1400)에 표시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개인 대화방(1400)에서 파일 보관함 UI(1402)가 선택되는 경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 대화방(1400)을 통해 디바이스 간에 주고 받은 파일 목록을 관리하기 위한 파일 보관함(15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파일 보관함(1500)은 디바이스 간에 송수신된 파일 전체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소정 기준으로 정렬된 파일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파일 보관함(1500)에는 파일 목록을 파일 유형(예컨대, 전체, 문서,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 별로 필터링 하여 확인하기 위한 유형 선택 UI(1501), 파일 목록의 정렬 기준(예컨대, 수정일 내림차순, 수정일 오름차순, 파일명 내림차순, 파일명 오름차순, 크기 내림차순, 크기 오름차순 등)을 선택하여 확인하기 위한 정렬 기준 선택 UI(1502), 도 14의 개인 대화방(1400)으로 이동하기 위한 대화 내용 UI(150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파일 보관함(1500)에 표시되는 파일 목록의 각 항목에는 파일명, 파일 유형, 파일 크기, 전송 디바이스 정보, 수신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파일 항목에 소정의 기능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이 다운로드 안된 수신 메시지 혹은 로컬에 파일이 없는 송신 메시지의 경우 파일 다운로드를 위한 다운로드 UI를 포함시키고, 파일이 다운로드 된 수신 메시지 혹은 로컬에 파일이 있는 송신 메시지의 경우 파일을 바로 실행시키기 위한 파일 열기 UI 및/또는 해당 파일이 있는 폴더를 열기 위한 폴더 열기 UI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4에서,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는 개인 대화방(1400)에서 파일 선택 UI(1403)나 캡쳐 UI(1404)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을 특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파일 전송은 개인 대화방(1400)에서 파일 선택 UI(1403)나 캡쳐 UI(1404)를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도 다른 화면에서 개인 대화방(1400)에 파일을 첨부하여 전송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 메신저 화면(1610)에서 대화 내용에 있는 파일(이미지나 링크 등)을 개인 대화방(1400)으로 드래그앤드롭 하거나, 웹 화면(1620)에서 웹 페이지에 있는 파일(이미지나 링크 등)을 개인 대화방(1400)으로 드래그앤드롭 하거나, 전자 기기 1(110)의 로컬 디스크/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외부 스토리지의 파일 트리를 제공하는 폴더 화면(1630)에서 파일(또는 폴더)을 개인 대화방(1400)으로 드래그앤드롭 하여 해당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7을 참조하면 파일 목록을 제공하는 화면(1710)이나 파일이 실행된 화면(1720) 등에서 공유 UI(1701)가 제공되어 공유 UI(1701)를 통해 해당 파일을 외부 스토리지로 연결된 디바이스와 공유할 수 있고, 이때 해당 파일에 대한 공유 메시지가 개인 대화방(1400)을 통해 보관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디바이스 간에 공유하는 파일에 대한 공유 메시지를 개인 대화방(14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개인 대화방(1400) 상에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파일에 대한 공유 메시지(1801)와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한 파일에 대한 공유 메시지(1802)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개인 대화방(1400) 상의 메시지(1801)(1802)는 날짜 별로 묶어서 표시할 수 있으며, 각각의 메시지(1801)(1802)에 대해 파일명, 파일 유형, 파일 크기, 전송 디바이스 정보, 수신 시간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개인 대화방(1400) 상의 메시지(1801)(1802)는 서버(150) 상에 업로드 된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하는 것으로, 파일의 다운로드 여부에 따라 소정의 기능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이 다운로드 안된 수신 메시지 혹은 로컬에 파일이 없는 송신 메시지의 경우 파일 다운로드를 위한 다운로드 UI(1910)를 포함시키고, 파일이 다운로드 된 수신 메시지 혹은 로컬에 파일이 있는 송신 메시지의 경우 파일을 바로 실행시키기 위한 열기 UI(1920)를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개인 대화방(1400) 상의 메시지(1801)(1802)는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 유형이 이미지나 동영상인 경우 이미지 썸네일을 포함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은 개인 대화방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바이스 간에 파일을 쉽게 공유할 수 있고 공유 파일의 저장 경로를 일일이 찾지 않아도 개인 대화방에서 파일을 바로 다운로드 하거나 실행할 수 있어 파일 접근 경로를 단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디바이스를 통해 편집 중이거나 이용하던 파일을 개인 대화방에 올려 놓게 되면 추후 동일 디바이스나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파일에 접근하고자 할 때 개인 대화방을 열어 언제든지 해당 파일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로 구현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상의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서버 상의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연동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합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하는 단계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외부 스토리지로서 연동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또 다른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간주하여 연결하고,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상기 디바이스를 통합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파일 트리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의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통합 관리를 위한 파일 시스템의 루트 폴더 내에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서비스 폴더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서비스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디바이스의 파일 트리 접근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을 파일 종류 별로 모아 파일 목록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사진 중 중복 사진을 분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사진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중복 사진을 분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사진의 태그나 메타 정보에 기초한 필터링을 통해 상기 중복 사진을 분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
  11. 컴퓨터로 구현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과 결합되어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방법은,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상의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서버 상의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연동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합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하는 단계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외부 스토리지로서 연동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또 다른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간주하여 연결하고,
    상기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상기 디바이스를 통합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2. 컴퓨터로 구현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상의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구성하는 드라이브 구성부;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 서버 상의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연동하는 스토리지 연동부; 및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합 관리하는 메타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리지 연동부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외부 스토리지로서 연동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또 다른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간주하여 연결하고,
    상기 메타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상기 디바이스를 통합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파일 트리 접근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서비스 제공부는,
    통합 관리를 위한 파일 시스템의 루트 폴더 내에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서비스 폴더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서비스 폴더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파일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디바이스의 파일 트리 접근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을 파일 종류 별로 모아 파일 목록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사진 중 중복 사진을 분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사진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중복 사진을 분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제1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상기 제2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사진의 태그나 메타 정보에 기초한 필터링을 통해 상기 중복 사진을 분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 시스템.
KR1020160167580A 2016-12-09 2016-12-09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964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80A KR101964693B1 (ko) 2016-12-09 2016-12-09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7224842A JP2018097861A (ja) 2016-12-09 2017-11-22 クラウドストレージ管理の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US15/835,775 US10776324B2 (en) 2016-12-09 2017-12-08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loud storage
US15/835,826 US10762057B2 (en) 2016-12-09 2017-12-08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file between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80A KR101964693B1 (ko) 2016-12-09 2016-12-09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927A KR20180066927A (ko) 2018-06-20
KR101964693B1 true KR101964693B1 (ko) 2019-04-04

Family

ID=6263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580A KR101964693B1 (ko) 2016-12-09 2016-12-09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8097861A (ko)
KR (1) KR101964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481A (ko) * 2019-10-18 2021-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1167993A (ja) 2020-04-09 2021-10-2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117B1 (ko) * 2009-06-22 2016-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중개 서버 및 방법
KR101644894B1 (ko) 2010-07-26 2016-08-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2819B2 (ja) * 2007-03-07 2012-10-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40282938A1 (en) * 2013-03-15 2014-09-18 Adam Moisa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cloud storage management
JP6507486B2 (ja) * 2013-05-10 2019-05-0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853996B2 (ja) * 2013-06-10 2016-02-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システム、情報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135357B1 (ko) * 2013-10-29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JP6169037B2 (ja) * 2014-04-24 2017-07-26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ファイルブラウザプログラム、ファイル保管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
US10594681B2 (en) * 2014-10-30 2020-03-17 Lenovo (Singapore) Pte. Ltd. Aggregate service with user interface
KR101683232B1 (ko) * 2015-04-02 2016-12-06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이미지의 정보를 이용한, 이미지 자동 처리 및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117B1 (ko) * 2009-06-22 2016-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중개 서버 및 방법
KR101644894B1 (ko) 2010-07-26 2016-08-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927A (ko) 2018-06-20
JP2018097861A (ja)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63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loud storage
KR102064942B1 (ko)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89368A (ko) 디바이스 간 파일 공유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3160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resentations over a network
US9485365B2 (en) Cloud storage for image data, image product designs, and image projects
JP2007533015A (ja) メディア・パッケージならびにメディア・パッケージ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102894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hareable virtual devices
US20090204885A1 (en) Automated management and publication of electronic content from mobile nodes
KR20130026541A (ko)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 및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4780A (ko) 전자장치에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555026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6723214B2 (ja) デバイス間のファイル共有の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US200901577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web page used to share records
KR20160053462A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4693B1 (ko)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4108A (ko) 대화 내용에서 텍스트를 이용하여 비텍스트를 검색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712054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60588B2 (en) Cloud storage for image data, image product designs, and image projects
US10282391B2 (en) Position editing tool of collage multi-media
JP732244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30018049A (ko) 인물 정보를 이용한 사진 분류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9020938A (ja) 共有画像表示装置、画像共有システムおよび画像共有方法
Carlson Photosmith for IPad: Rate, Tag, and Organize Photos for Light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