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6541A -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 및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 및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6541A
KR20130026541A KR1020110072065A KR20110072065A KR20130026541A KR 20130026541 A KR20130026541 A KR 20130026541A KR 1020110072065 A KR1020110072065 A KR 1020110072065A KR 20110072065 A KR20110072065 A KR 20110072065A KR 20130026541 A KR20130026541 A KR 20130026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
image
unit
user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194B1 (ko
Inventor
최보윤
이정민
임현정
우병찬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11007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194B1/ko
Priority to JP2012154484A priority patent/JP5990051B2/ja
Priority to US13/553,377 priority patent/US9241080B2/en
Publication of KR2013002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194B1/ko
Priority to JP2016158611A priority patent/JP665672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48Storage
    • H04N1/00151Storage with selective access
    • H04N1/00153Storage with selective access for sharing images with a selected individual or correspo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37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1Viewing or preview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1Viewing or previewing
    • H04N1/00164Viewing or previewing at a remote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9Digital image input
    • H04N1/00177Digital image input from a user terminal, e.g. personal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5Image output
    • H04N1/00198Creation of a soft photo presentation, e.g. digital slide-sh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24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a list of graphical elements, e.g. icons or icon b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32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tab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04N1/00453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arranged in a two dimensiona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04N1/00456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for layout preview, e.g. page layo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2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job set-up options, e.g. number of copies, paper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6Por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ioet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부; 및 사용자가 타인을 대상으로 앨범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면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앨범 단위로 상위 시스템인 서버로 로딩하는 로딩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을 제공한다. 이때, 서버에서는 타인이 앨범을 공유하도록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을 타인에게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 및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SHARING IMAGE WITH ALBUM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신 단말에서 사용자가 사진, 비디오 등의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고 친구와 공유하는 앨범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태블릿 등 모바일 단말의 가장 큰 특징은 운영체제(OS)가 탑재되어 컴퓨터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의 응용프로그램 수행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은 단순한 전화기능 이외에도 기본적으로 영상 사진을 촬영 후 저장하여 두고 이를 재생하는 기능 등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55441호(공개일 2005년 06월 13일)에는 로컬 상태로 사진을 저장할 경우 저장 공간이 제한되어 있어 사진을 원하는 만큼 저장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사진을 컴퓨터로 옮겨 보관하거나 사진을 관리해주는 서버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단말에서 촬영된 사진을 관리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들은 대부분 모바일 단말의 로컬(local) 상태로 사진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방식, 또는 모바일 단말에서 촬영한 모든 사진을 무조건 상위 시스템에 올리는 방식 중 한가지 방식만을 적용하고 있다. 로컬 기반의 프로그램들은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사진을 이메일, 메신저 등을 이용하여 친구와의 공유가 가능하나, 사진 공유가 일회성에 그쳐 실시간으로 단말 내 사진을 친구와 공유하는 방법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또한, 서버 기반의 프로그램들은 인터넷 접속을 통해 서버에 접근하여 사진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의 통신 상태에 따른 제약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전철로 이동 중에는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하거나 불안정함에 따라 서버 접근의 불능으로 본인의 사진임에도 본인이 볼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통신 단말의 로컬 상태에서 영상이 추가 및 관리되고, 동시에 통신 단말 내의 영상이 서버에 로딩되는 서비스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된다.
사용자의 통신 단말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고 친구에게 공유하는 서비스 모델을 제공한다.
로컬 상태에서는 물론, 서버 환경에서도 동시에 사진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제공한다.
사진의 공유 설정 기능, 이미지 편집 기능, 카드 작성 기능 등을 앨범 단위로 일괄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제공한다.
사용자와 친구 간에 공유하고 있는 앨범에 대하여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제공한다.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부; 및 사용자가 타인을 대상으로 앨범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면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앨범 단위로 상위 시스템인 서버로 로딩하는 로딩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을 제공한다. 이때, 서버에서는 타인이 앨범을 공유하도록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을 타인에게 부여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통신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앨범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생성부는 사용자로부터 앨범을 공유할 타인 목록을 입력 받아 앨범과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리부는 영상에 대한 전체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리부는 영상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역 단위로 영상을 분류하고, 사용자가 지역 단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지역 단위의 영상을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관리 모드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지역 단위를 선택 받기 위한 지도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리부는 영상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날짜 단위로 영상을 분류하고, 사용자가 날짜 단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날짜 단위의 영상을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관리 모드는 날짜 단위를 연, 월, 주, 일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선택 받기 위한 날짜 단위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 모드는 사용자가 날짜 단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날짜 단위에 해당되는 영상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영상 목록에서 선택한 영상을 앨범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리부는 영상과 관련된 인물 정보를 기준으로 한 인물 단위로 영상을 분류하고, 사용자가 인물 단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인물 단위의 영상을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리부는 앨범을 폴더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리부는 영상을 앨범 단위로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리부는 영상을 영상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역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리부는 영상을 영상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날짜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리부는 영상을 영상과 관련된 인물 정보를 기준으로 한 인물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단말은 이미지에 대한 편집 요소를 앨범 단위로 적용하는 편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편집부는 앨범을 대상으로 사용자로부터 이미지의 크기, 색상, 효과, 프레임, 스티커, 텍스트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요소를 입력 받아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편집 요소를 일괄 반영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단말은 앨범을 대상으로 카드 작성 요청이 있는 경우 카드에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일괄 첨부하는 편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단말은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피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 정보는 타인이 앨범을 열람하는 경우, 타인이 앨범을 편집하는 경우, 타인이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인터랙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타인이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타인의 앨범에 대한 공유 대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공유 대상으로 설정된 앨범이 편집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 요소에 해당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피드부는 업데이트 정보를 피드 타입 또는 푸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피드부는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표시하는 뷰어 모드에서 업데이트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통신 단말에 저장된 앨범 단위의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을 앨범과 연관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로부터 앨범을 공유할 타인 목록이 지정되면 지정된 타인을 대상으로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앨범을 공개하는 공개부를 포함하는 앨범 관리 서버를 제공한다. 이때, 통신 단말에서는 영상이 앨범 단위로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에서는 앨범에 대하여 타인 목록이 지정되면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앨범 단위로 앨범 관리 서버로 자동 로딩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앨범 관리 서버는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는 단계; 사용자가 타인을 대상으로 앨범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면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앨범 단위로 상위 시스템인 서버로 로딩하는 단계; 및 서버로부터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하여 타인에 의해 발생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통신 단말에서 앨범 단위로 분류되어 관리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을 앨범과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앨범을 공유할 타인 목록이 지정되면 지정된 타인을 대상으로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앨범을 공개하는 단계; 및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앨범 관리 서버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통신 단말에 저장된 영상을 앨범 단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관리 코드; 사용자가 타인을 대상으로 앨범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면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앨범 단위로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버로 로딩하는 로딩 코드; 및 서버로부터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하여 타인에 의해 발생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단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을 앨범 단위로 추가 및 관리함으로써 통신 단말 내 사진을 한층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통신 단말의 로컬 상태에서 사진을 저장 및 관리하는 방식과 동시에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이 서버에도 올라가는 방식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로컬과 서버 간의 상호 연동을 통해 앨범 관리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다.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는 데에 있어 시간, 위치, 인물 정보들을 활용하여 편리하고 다양한 방식의 관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사진의 공유 설정 기능, 이미지 편집 기능, 카드 작성 기능 등을 앨범 단위로 일괄로 적용함으로써 편리하고 새로운 방식의 관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와 친구 간에 공유하고 있는 앨범에 대하여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앨범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로컬 상태에서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고 친구와 공유하는 통신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된 사진을 앨범으로 일괄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앨범 목록을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앨범 단위를 폴더로 묶어 관리하는 앨범 관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진을 분류하여 표시하는 표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친구와 공유하는 앨범의 업데이트 소식을 제공하는 피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을 앨범 단위로 유지 및 관리하고 사용자가 공유를 설정한 앨범을 타인에게 공개하는 앨범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로컬 상태에서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고 친구와 공유하는 통신 단말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을 앨범 단위로 유지 및 관리하고 사용자가 공유를 설정한 앨범을 타인에게 공개하는 앨범 관리 서버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앨범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사용자(120)의 통신 단말 로컬 상태에서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고 앨범 관리 서버(110)에도 앨범 단위의 사진을 로딩하여 친구(130)와 공유하는 서비스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120)(130)의 통신 단말과 앨범 관리 서버(110) 간의 연동을 통해 앨범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앨범 관리 서비스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는 기능, 및 앨범 단위의 사진을 친구와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앨범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포토 앨범 앱'이라 칭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포토 앨범 앱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피처폰 VM(virtual machin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120)는 포토 앨범 앱을 자신의 통신 단말에 설치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로컬 상태에서 사진을 앨범 단위로 추가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앨범 단위의 사진을 이메일, 메신저 등의 매체를 통해 친구(130)와 공유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포토 앨범 앱은 앨범 관리 서버(110)와의 상호 연동을 통해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을 앨범 관리 서버(110) 상에 자동으로 올릴 수 있다. 앨범 관리 서버(110)에서는 포토 앨범 앱이 설치된 통신 단말과 연동하여 사용자(120)의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120)가 친구(130)와의 공유를 설정한 앨범을 해당 친구(130)에게 공개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앨범 관리 서버(110)는 사용자(120) 및 앨범에 접근 권한이 있는 친구(130)의 경우 포토 앨범 앱을 통한 모바일 환경에서는 물론, 웹 환경에서도 서버 상에 저장된 앨범에 접근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은 포토 앨범 앱의 설치가 가능하고 앨범 관리 서버(110)와의 통신 접속이 가능한 PC, 스마트 폰, 태블릿 등 모든 통신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PC, 스마트 폰, 태블릿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일 기능의 앨범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진은 정지 영상, 동영상, 각종 이미지 등 모든 형태의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앨범 관리 서비스와 관련하여 통신 단말에 표시되는 서비스 화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 단말의 운영체제(예컨대, 안드로이드, WinCE 등)나 사용 환경에 따라 서비스 화면의 구성이나 기능이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서비스 화면들은 모바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서비스 화면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서비스 화면의 구성이나 기능, 플로우 등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앨범 관리 시스템에 있어 사용자 측 통신 단말 및 앨범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과 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로컬 상태에서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고 친구와 공유하는 통신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200)은 생성부(210), 관리부(220), 로딩부(230), 편집부(240), 피드부(250)로 구성될 수 있다.
생성부(210)는 사진을 관리하기 위한 앨범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앨범은 사진을 관리하는 폴더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추가 및 편집될 수 있다. 생성부(2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앨범을 생성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화면은 앨범의 타이틀을 입력하는 타이틀 입력창(301), 앨범과 관련된 메모를 입력하는 메모 입력창(302), 앨범에 대한 공개 설정을 위한 공개 설정 메뉴(30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공개 설정 메뉴(303)는 앨범의 공개를 허용하지 않는 'Private', 앨범의 공개를 통신 단말에 연락처가 등록된 모든 친구에게 허용하는 'All Friends', 앨범의 공개를 특정 친구에게만 허용하는 'Selected' 3단계로 제공할 수 있다. 생성부(210)는 공개 설정 메뉴(30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앨범을 공유할 친구 목록을 입력 받아 앨범과 연관하여 저장함으로써 해당 앨범의 공유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앨범 단위의 공개 설정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앨범 내 특정 사진 단위로도 공유 설정, 즉 공유 대상의 지정이 가능하다.
관리부(220)는 통신 단말 내에 저장된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는 전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부(220)는 앨범에 대한 관리 모드 및 뷰어 모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관리 모드에 있어, 관리부(220)는 사진을 앨범 단위로 분류하는 것은 물론, 사진과 관련된 시간, 위치, 인물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관리부(220)는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의 전체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전체 목록에서 선택한 사진을 특정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부(220)는 통신 단말에 저장된 모든 사진을 촬영 시간 순으로 자동 정렬(sorting)하여 보여준 후, 다수의 사진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선택해서 하단의 앨범에 드래그&드롭(drag&drop) 하면 해당 사진을 선택한 앨범에 일괄 추가할 수 있다. 이때, 관리 모드의 서비스 화면에서는 하단의 앨범 목록이 좌우로 스크롤 되어 더 많은 앨범 보기가 가능하다. 즉, 관리부(220)는 직관적인 사진 분류를 통해 사용자가 다량의 사진을 쉽게 선택하고, 이어 선택한 사진을 직관적으로 특정 앨범으로 옮길 수 있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관리부(220)는 사진을 사진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역 단위로 분류하여 보여주고 이에 사용자가 특정 지역 단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지역 단위의 사진을 특정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 폰의 경우 사진에 GPS 정보가 포함될 수 있어 사진에 들어있는 GPS 정보를 사진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부(220)는 사진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지역 단위로 분류하여 보여준 후,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선택하여 하단의 앨범에 드래그&드롭 하면 해당 위치의 사진을 사용자가 원하는 앨범에 넣을 수 있다. 이때, 사진을 위치 단위로 분류하는 기준은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지도 축적에 따라 일괄 제공되는 방식, 사용자가 옵션으로 선택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관리 모드의 서비스 화면은 사용자로부터 지역 단위를 선택 받기 위한 지도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지도 화면은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역 단위를 선택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 지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선택된 지역에 핀이 생성되어 표기될 수 있다. 또한, 관리부(220)는 상기한 드래그&드롭 인터랙션(interaction) 방식 이외에도, 지도 화면에서 지역 단위를 선택하면 전체 앨범 목록이 표시되는 앨범 목록 화면으로 전환된 후, 사용자가 앨범 목록 화면에서 원하는 앨범을 선택하면 선택된 앨범으로 해당 지역 단위의 사진들이 일괄 추가되는 인터랙션 적용 또한 가능하다. 또 다른 일례로, 관리부(220)는 사진을 사진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날짜 단위로 분류하여 보여주고 사용자가 선택한 날짜 단위에 찍은 사진들을 우선 노출한 후 해당 날짜 단위의 사진들 중 원하는 일부 사진만을 특정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관리 모드의 서비스 화면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짜 단위가 년, 월, 주, 일 단위로 구분되어 사용자로부터 날짜 단위를 선택 받기 위한 날짜 단위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5월 7~9일 파리여행 사진 중 몇 장을 선택해서 '파리 여행' 앨범에 넣거나, 지난주 목/금 다녀온 워크샵 사진 중 일부를 '2011년 워크샵' 앨범에 넣는 등 특정 날짜 단위의 사진들 중 일부 사진만을 선택하여 앨범에 옮길 수 있다. 이때, 관리부(220)는 사용자가 사진 선택 후 하단의 앨범으로 드래그&드롭 하여 직접 옮기는 드래그&드롭 인터랙션 방식은 물론, 특정 날짜 단위에서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면 전체 앨범 목록이 표시되는 앨범 목록 화면으로 전환된 후, 사용자가 앨범 목록 화면에서 원하는 앨범을 선택하면 선택된 앨범으로 해당 날짜 단위에서 선택한 사진들이 일괄 추가되는 인터랙션 적용 또한 가능하다. 또 다른 일례로, 관리부(220)는 사진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날짜 단위로 사진을 분류하여 보여주고 사용자가 특정 날짜 단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날짜 단위의 사진을 특정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부(220)는 사진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날짜 단위로 분류하여 보여준 후, 사용자가 특정 날짜 단위를 선택하여 하단의 앨범에 드래그&드롭 하면 해당 날짜 단위의 사진을 사용자가 원하는 앨범에 넣을 수 있다. 즉, 달력과 같이 날짜 별로 찍은 사진이 자동 분류되고 특정 날짜에 찍은 사진을 일괄로 원하는 앨범에 넣을 수 있다. 상기한 관리 모드의 서비스 화면에서는 날짜 단위가 년, 월, 주, 일 단위로 구분되어 사용자로부터 날짜 단위를 선택 받기 위한 날짜 단위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관리 모드에서도 마찬가지로, 드래그&드롭 인터랙션 방식은 물론, 특정 날짜 단위를 선택하면 전체 앨범 목록이 표시되는 앨범 목록 화면으로 전환된 후, 사용자가 앨범 목록 화면에서 원하는 앨범을 선택하면 선택된 앨범으로 해당 날짜 단위의 사진들이 일괄 추가되는 인터랙션 적용 또한 가능하다. 또 다른 일례로, 관리부(220)는 사진과 관련된 인물 정보를 기준으로 한 인물 단위로 사진을 분류하여 보여주고 사용자가 특정 인물 단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인물 단위의 사진을 특정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관리 모드에서는 얼굴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친구들 중 해당 인물에 가까운 친구 이름이 사진 별로 자동으로 추천되고 결과가 맞는 경우 해당 인물이 자동 태깅(tagging)되는 방식, 수동으로 사진 속 친구를 선택하면 그 앨범 속 인물 별로 자동 정렬되는 방식 등을 적용함으로써 사진을 인물 단위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220)는 앨범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체 앨범 목록이 표시되는 앨범 목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앨범 목록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모든 앨범이 일정 표시 기준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앨범 목록 화면은 사용자가 편집 환경에서 앨범을 변경한 순서대로 정렬하여 보여줄 수 있으며 새 앨범은 가장 앞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변경 사항이 없다면 신규 생성되거나 앨범 내에 새로운 사진이 추가된 앨범이 목록 앞에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목록에 포함된 개별 앨범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앨범 타이틀과, 앨범에 포함된 총 사진 수, 그리고 썸네일 이미지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썸네일 이미지는 가장 최근 업데이트 된 사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존 썸네일 사진이 삭제된 경우 가장 최근에 추가된 사진이 썸네일이 된다. 그리고, 관리부(220)는 사진을 분류한 앨범을 폴더로 다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의 앱 관리 구조와 마찬가지로, 앨범 단위를 다시 묶어 분류할 수 있는 앨범 관리 구조를 통해 2뎁스(depth) 이상의 앨범 관리가 가능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부(220)는 사용자의 분류 의사에 따라 각각의 앨범(901)을 폴더(902)로 묶어 보관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가 폴더(902)를 열어 개별 앨범(901)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뷰어 모드에 있어, 관리부(220)는 일반 사진 뷰, 위치 뷰, 날짜 뷰, 인물 뷰 등 다양한 뷰 타입을 통해 앨범에 대한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관리부(220)는 사진을 사용자가 추가한 앨범 단위로 단순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부(220)는 사진을 사용자가 추가한 앨범 단위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일반 사진 뷰를 제공하고, 이에 사용자는 앨범 단위를 선택하여 해당 앨범의 사진들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관리부(220)는 사진을 사진과 관련된 위치 정보(예컨대, GPS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역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부(220)는 앨범 단위를 지역 단위로 구성하여 지도 상에 사진을 찍은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뷰를 제공하고, 이에 사용자는 지도에서 지역 단위를 선택하여 해당 지역에서 찍은 사진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관리부(220)는 사진을 사진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날짜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부(220)는 앨범 단위를 날짜 단위로 구성하고 날짜 별로 찍은 사진을 자동 정렬하여 표시하는 날짜 뷰를 제공하고, 이에 사용자는 날짜 단위를 선택하여 해당 날짜에 찍은 사진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관리부(220)는 사진을 사진과 관련된 인물 정보를 기준으로 한 인물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부(220)는 앨범 단위를 인물 단위로 구성하는 인물 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물 뷰에서는 얼굴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친구들 중 해당 인물에 가까운 친구 이름이 사진 별로 자동으로 추천되고 결과가 맞는 경우 해당 인물이 자동 태깅 되거나, 수동으로 사진 속 친구를 선택하면 그 앨범 속 인물 별로 자동 정렬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인물 뷰를 통해 인물 단위를 선택하여 해당 인물이 찍힌 사진들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관리부(220)는 통신 단말 내에 저장된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함에 있어 사진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인물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관리 모드 및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로딩부(230)는 통신 단말의 로컬 상태에서 추가 및 관리되는 사진을 상위 시스템인 앨범 관리 서버에 동시에 로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로딩부(230)는 사용자가 앨범 추가 시 친구를 대상으로 앨범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면 친구와의 공유가 설정된 앨범에 추가되는 모든 사진을 앨범 관리 서버에 자동 로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앨범 관리 서버는 통신 단말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는 것은 물론, 친구와의 공유가 설정된 앨범을 해당 친구에게 공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앨범 관리 서버는 친구가 사용자의 앨범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당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을 사용자가 공개를 허용한 친구에게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접근 권한은 앨범에 대한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친구에게 부여되는 쓰기 권한으로는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인터랙션 정보 및/또는 코멘트를 입력하는 권한, 앨범에 사진을 추가하는 권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편집부(240)는 이미지에 대한 편집 요소를 앨범 단위로 적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편집부(240)는 카메라로 찍은 사진이나 카메라 롤(camera roll)에서 불러온 사진 등 개별 사진에 대하여 이미지의 크기, 색상, 효과, 프레임, 스티커, 텍스트 추가 등 편집 요소와 관련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편집부(240)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이미지의 편집 요소를 개별 사진뿐 아니라, 앨범 단위로 적용하여 앨범에 포함된 모든 사진에 해당 편집 요소를 일괄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앨범 A'는 우리 아기 사진이니까 앨범 A'에 '디즈니 푸우 프레임'을 설정하고, '앨범 B'는 친구들에게 레트로풍으로 보여주고 싶으니 '앨범 B'에 'retro filter'를 설정한다고 할 때, '앨범 A'에 추가되는 모든 사진에는 '디즈니 푸우 프레임'이 일괄 적용되고, '앨범 B'에 추가되는 모든 사진에는 'retro filter'가 일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편집부(240)는 사용자가 특정 앨범을 대상으로 카드 작성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앨범에 포함된 모든 사진을 카드에 일괄 첨부할 수 있다. 즉,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을 이용하여 초대장, 명함 등 카드를 작성할 때 카드에 앨범 단위의 사진을 첨부할 수 있다. 또한, 이메일이나 메신저 등을 이용하여 친구와 사진을 공유하고자 할 때 메시지에 앨범 단위의 사진을 첨부하여 공유를 원하는 친구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편집부(240)에서 이미지의 편집 요소가 앨범 단위로 적용된 다수의 사진으로 카드를 작성하여 보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피드부(250)는 앨범 관리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 정보는 앨범을 공유하는 친구에 의해 발생되는 피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 친구가 앨범을 열람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을 편집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인터랙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 요소에 해당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업데이트 정보에는 사용자가 친구의 앨범에 대한 공유 대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공유대상으로 설정된 앨범이 편집되는 경우 등의 피드 요소에 해당되는 정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즉, 앨범 관리 서버에서는 사용자와 친구 간에 공유하고 있는 앨범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소식을 통지하여 상호 간에 앨범을 매개로 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피드부(250)는 앨범 관리 서버로부터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대하여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통신 단말 상에 피드 타입 및/또는 푸쉬 타입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피드부(250)는 앨범 또는 앨범을 포함한 사진을 표시하는 뷰어 모드에서 업데이트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일례로, 피드부(250)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앨범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화면 중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앨범 피드'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앨범 피드' 페이지에서는 친구가 앨범을 최초로 열람한 내용, 친구가 앨범에 사진을 추가한 내용, 친구들이 앨범 내 특정 사진에 입력한 인터랙션 액션(예컨대, 'like') 내용, 친구들이 앨범 내 특정 사진에 입력한 코멘트 내용, 친구가 자신의 특정 앨범에 대한 공유 대상으로 사용자를 지정한 내용 등이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피드부(25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앨범에 포함된 특정 사진을 표시하는 뷰어 모드에서 해당 사진에 대해 친구로부터 인터랙션 액션, 코멘트 등 피드백 메시지가 있는 경우 피드백 메시지를 뷰어 모드의 화면 상에 노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부(250)는 화면의 하단으로 갈수록 최신 순의 피드백 메시지를 정렬할 수 있으며, 좌측에는 친구로부터 받은 피드백 메시지, 우측에는 사용자 본인이 입력한 피드백 메시지를 노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을 앨범 단위로 유지 및 관리하고 사용자가 공유를 설정한 앨범을 타인에게 공개하는 앨범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앨범 관리 서버(1800)는 저장부(1810), 공개부(1820), 피드부(1830)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810)는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앨범 단위의 사진을 수신하여 수신된 사진을 해당 앨범과 연관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단말에서는 로컬 상태에서 추가 및 관리되는 사진을 앨범 관리 서버(1800)로 자동 로딩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통신 단말에 앨범 추가 시 앨범의 공유 대상(친구)을 설정하면 공유가 설정된 앨범에 추가되는 모든 사진을 앨범 관리 서버(1800)에 자동 로딩할 수 있다. 즉, 저장부(1810)는 통신 단말에서 앨범 단위로 분류되어 관리되는 사진을 그대로 앨범 단위로 로딩 받아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8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진이 추가된 앨범을 폴더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장부(1810)는 앨범 단위를 다시 묶어 분류할 수 있는 앨범 관리 구조를 통해 2뎁스 이상의 앨범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공개부(1820)는 사용자로부터 앨범을 공유한 친구 목록이 지정되면 지정된 친구를 대상으로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앨범을 공개할 수 있다. 이때, 접근 권한은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대한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공개부(1820)는 사용자와 앨범 공개를 허용한 친구를 대상으로 앨범에 대한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공개부(1820)는 도 10 내지 도 1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와 친구를 대상으로 일반 사진 뷰, 위치 뷰, 날짜 뷰, 인물 뷰 등 다양한 타입의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유저들은 서버 상에 저장된 앨범에 접근하여 일반 사진 뷰, 위치 뷰, 날짜 뷰, 인물 뷰 등을 통해 앨범에 추가된 사진들을 확인할 수 있다. 친구에게 부여되는 쓰기 권한으로는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인터랙션 정보 및/또는 코멘트를 입력하는 권한, 앨범에 사진을 추가하는 권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공개부(1820)는 앨범의 공개가 허용된 친구를 대상으로 사진을 앨범 단위로 표시하는 뷰어 모드에서 앨범에 포함된 사진을 편집 또는 추가하는 기능, 앨범의 공유 대상을 추가하는 기능,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대하여 인터랙션 정보 및/또는 코멘트를 입력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피드부(1830)는 앨범을 공유하는 사용자와 친구(즉, 유저들) 간에 해당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하게, 피드부(1830)는 유저가 특정 앨범에 대한 공유 대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유저가 공유대상으로 설정된 앨범이 편집되는 경우, 친구가 앨범을 최초로 열람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을 편집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에 사진을 추가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인터랙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등 피드 요소에 해당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피드 및/또는 푸쉬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친구와 공유하는 공동 앨범으로 설정된 앨범의 경우 지정된 다른 유저들도 같은 앨범에 사진을 추가할 수 있어 다른 유저를 통해 새로운 사진이 추가되면 해당 앨범에 접근 권한을 가진 유저들에게 피드 및 푸쉬 등을 통해 업데이트 소식, 즉 새로 추가된 사진 정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공동 앨범 내의 사진이나 앨범 방명록에 코멘트를 달거나, 인터랙션 액션인 'like'를 하는 경우, 또는 내가 코멘트를 입력했거나 like한 사진에 다른 멤버가 코멘트 또는 like 등의 액션을 하는 경우에도 피드, 푸쉬 등을 통해 업데이트 소식들이 유저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피드부(1830)는 앨범을 공유하는 유저들 간에 앨범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소식을 통지하여 상호 간에 앨범을 매개로 한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사용자와 친구 간에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은 포토 앨범 앱의 일부 기능으로 제공되거나, 별도의 단독 서비스 모델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앨범 관리 시스템은 디폴트로 로컬 상태에서 사진을 앨범 단위로 추가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동시에 앨범 단위의 사진을 앨범 관리 서버로 로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친구들과 사용자의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로컬 상태에서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고 친구와 공유하는 통신 단말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앨범 관리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통신 단말(20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1910)에서 통신 단말(200)은 단말 내에 저장된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 통신 단말(2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진을 관리하기 위한 앨범을 생성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복수의 사진들을 해당 앨범으로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단말(200)은 앨범 생성 시 사용자로부터 앨범을 공유할 친구 목록을 입력 받아 해당 앨범에 대한 공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단말(200)은 사진을 앨범 단위로 분류하는 것은 물론, 사진과 관련된 시간, 위치, 인물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 단말(200)은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의 전체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전체 목록에서 선택한 사진을 특정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통신 단말(200)은 사진을 사진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역 단위로 분류하여 보여주고 이에 사용자가 특정 지역 단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지역 단위의 사진을 특정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지역 단위에 따른 관리 모드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지역 단위를 선택 받기 위한 지도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통신 단말(200)은 사진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날짜 단위로 사진을 분류하여 보여주고 사용자가 특정 날짜 단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날짜 단위의 사진을 특정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날짜 단위에 따른 관리 모드에서는 날짜 단위를 년, 월, 주, 일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선택 받기 위한 날짜 단위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날짜 단위에 따른 관리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날짜 단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날짜 단위에 해당되는 사진 목록을 제공하고 사진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 즉 특정 날짜 단위에서 원하는 사진만을 앨범으로 옮길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통신 단말(200)은 사진을 사진과 관련된 인물 정보를 기준으로 한 인물 단위로 분류하여 보여주고 사용자가 특정 인물 단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인물 단위의 사진을 사용자가 원하는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200)은 일반 사진 뷰, 위치 뷰, 날짜 뷰, 인물 뷰 등 다양한 뷰 타입을 통해 앨범에 대한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통신 단말(200)은 사진을 사용자가 추가한 앨범 단위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일반 사진 뷰, 사진을 사진과 관련된 위치 정보(예컨대, GPS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역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위치 뷰, 사진을 사진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날짜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날짜 뷰, 사진을 사진과 관련된 인물 정보를 기준으로 한 인물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인물 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단말(200)은 사진을 분류한 앨범을 폴더로 다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통신 단말(200)은 앨범 단위를 다시 묶어 분류할 수 있는 앨범 관리 구조를 통해 2뎁스 이상의 앨범 관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통신 단말(200)은 통신 단말 내에 저장된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함에 있어 사진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인물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관리 모드 및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통신 단말(200)은 이미지에 대한 편집 요소를 앨범 단위로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신 단말(200)은 이미지의 크기, 색상, 효과, 프레임, 스티커, 텍스트 추가 등 편집 요소와 관련된 기능을 개별 사진뿐 아니라, 앨범 단위로 적용하여 앨범에 포함된 모든 사진에 해당 편집 요소를 일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200)은 사용자가 특정 앨범을 대상으로 카드 작성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앨범에 포함된 모든 사진을 카드에 일괄 첨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200)에 저장된 사진을 이용하여 초대장, 명함 등 카드를 작성할 때 카드에 앨범 단위의 사진을 첨부하여 보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1920)에서 통신 단말(200)은 통신 단말의 로컬 상태에서 추가 및 관리되는 사진을 상위 시스템인 앨범 관리 서버에 동시에 로딩할 수 있다. 특히, 통신 단말(200)은 사용자가 앨범 추가 시 친구를 대상으로 앨범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면 친구와의 공유가 설정된 앨범에 추가되는 모든 사진을 앨범 관리 서버에 자동 로딩할 수 있다. 앨범 관리 서버에 로딩된 앨범은 사용자에 의해 공개가 허용된 친구를 대상으로 접근 권한이 부여되어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다.
단계(1930)에서 통신 단말(200)은 앨범 관리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 통신 단말(200)은 친구가 앨범을 열람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을 편집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인터랙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친구의 앨범에 대한 공유 대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공유대상으로 설정된 앨범이 편집되는 경우 등 피드 요소에 해당되는 업데이트 정보가 앨범 관리 서버에서 수신되면 이를 피드 타입 및/또는 푸쉬 타입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통신 단말(200)은 앨범 또는 앨범을 포함한 사진을 표시하는 뷰어 모드에서 업데이트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을 앨범 단위로 유지 및 관리하고 사용자가 공유를 설정한 앨범을 타인에게 공개하는 앨범 관리 서버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앨범 관리 방법은 도 18을 통해 설명한 앨범 관리 서버(180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2010)에서 앨범 관리 서버(1800)는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앨범 단위의 사진을 수신하여 수신된 사진을 해당 앨범과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단말에서는 로컬 상태에서 추가 및 관리되는 사진을 앨범 관리 서버(1800)로 자동 로딩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통신 단말에 앨범 추가 시 앨범의 공유 대상(친구)을 설정하면 공유가 설정된 앨범에 추가되는 모든 사진을 앨범 관리 서버(1800)에 자동 로딩할 수 있다. 즉, 앨범 관리 서버(1800)는 통신 단말에서 앨범 단위로 분류되어 관리되는 사진을 그대로 앨범 단위로 로딩 받아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단계(2020)에서 앨범 관리 서버(1800)는 사용자로부터 앨범을 공유한 친구 목록이 지정되면 지정된 친구를 대상으로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앨범을 공개할 수 있다. 이때, 접근 권한은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대한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앨범 관리 서버(1800)는 사용자와 앨범 공개를 허용한 친구를 대상으로 공유하는 앨범에 대하여 일반 사진 뷰, 위치 뷰, 날짜 뷰, 인물 뷰 등 다양한 타입의 뷰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유저들은 서버 상에 저장된 앨범에 접근하여 일반 사진 뷰, 위치 뷰, 날짜 뷰, 인물 뷰 등을 통해 앨범에 추가된 사진들을 확인할 수 있다. 친구에게 부여되는 쓰기 권한으로는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인터랙션 정보 및/또는 코멘트를 입력하는 권한, 앨범에 사진을 추가하는 권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2030)에서 앨범 관리 서버(1800)는 앨범을 공유하는 유저들 간에 해당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 앨범 관리 서버(1800)는 유저가 특정 앨범에 대한 공유 대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유저가 공유대상으로 설정된 앨범이 편집되는 경우, 친구가 앨범을 최초로 열람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을 편집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에 사진을 추가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인터랙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친구가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등 피드 요소에 해당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유저들에게 피드 및/또는 푸쉬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앨범 관리 서버(1800)는 앨범 또는 앨범을 포함한 사진을 표시하는 뷰어 모드에서 업데이트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앨범 관리 서버(1800)는 앨범을 공유하는 유저들 간에 앨범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소식을 통지하여 상호 간에 앨범을 매개로 한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을 앨범 단위로 추가 및 관리함으로써 통신 단말 내 사진을 한층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폴트로 통신 단말의 로컬 상태에서 사진을 저장 및 관리하고, 동시에 통신 단말에 저장된 사진이 서버에도 올라가는 서비스 방식으로 구현됨으로써 로컬과 서버 간의 상호 연동을 통해 앨범 관리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진을 앨범 단위로 친구들과 공유하고, 사용자와 친구 간에 공유하고 있는 앨범에 대하여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앨범을 매개로 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진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는 데에 있어 사진에 포함된 시간, 위치, 인물 정보들을 활용하여 편리하고 다양한 방식의 관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진의 공유 설정 기능, 이미지 편집 기능, 카드 작성 기능 등을 앨범 단위로 일괄로 적용하여 새로운 방식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사진을 앨범 단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관리 코드; 사용자가 친구를 대상으로 앨범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면 해당 앨범에 포함된 사진을 앨범 단위로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된 상위 시스템인 서버로 로딩하는 로딩 코드; 및 서버로부터 앨범 또는 앨범에 포함된 사진에 대하여 친구에 의해 발생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피쳐폰 VM 등의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통신 단말
210: 생성부
220: 관리부
230: 로딩부
240: 편집부
250: 피드부
1800: 앨범 관리 서버
1810: 저장부
1820: 공개부
1830: 피드부

Claims (50)

  1.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부; 및
    사용자가 타인을 대상으로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면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상기 앨범 단위로 상위 시스템인 서버로 로딩하는 로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을 공유하도록 상기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을 상기 타인에게 부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앨범을 생성하는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앨범을 공유할 타인 목록을 입력 받아 상기 앨범과 연관하여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영상에 대한 전체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상기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영상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역 단위로 상기 영상을 분류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역 단위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지역 단위의 영상을 상기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역 단위를 선택 받기 위한 지도 화면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영상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날짜 단위로 상기 영상을 분류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날짜 단위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날짜 단위의 영상을 상기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드는,
    상기 날짜 단위를 연, 월, 주, 일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로 선택 받기 위한 날짜 단위 화면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날짜 단위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날짜 단위에 해당되는 영상 목록을 제공하여 상기 영상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상기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영상과 관련된 인물 정보를 기준으로 한 인물 단위로 상기 영상을 분류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물 단위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인물 단위의 영상을 상기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앨범을 폴더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영상을 상기 앨범 단위로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역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날짜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인물 정보를 기준으로 한 인물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이미지에 대한 편집 요소를 상기 앨범 단위로 적용하는 편집부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부는,
    상기 앨범을 대상으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크기, 색상, 효과, 프레임, 스티커, 텍스트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편집 요소를 입력 받아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상기 편집 요소를 일괄 반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앨범을 대상으로 카드 작성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카드에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일괄 첨부하는 편집부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피드부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을 열람하는 경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을 편집하는 경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인터랙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타인의 앨범에 대한 공유 대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 대상으로 설정된 앨범이 편집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 요소에 해당되는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부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피드 타입 또는 푸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부는,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표시하는 뷰어 모드에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22. 사용자의 통신 단말에 저장된 앨범 단위의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을 상기 앨범과 연관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앨범을 공유할 타인 목록이 지정되면 상기 지정된 타인을 대상으로 상기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상기 앨범을 공개하는 공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영상이 상기 앨범 단위로 분류되어 관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앨범에 대하여 상기 타인 목록이 지정되면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상기 앨범 단위로 상기 앨범 관리 서버로 자동 로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앨범을 폴더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타인을 대상으로 상기 영상을 상기 앨범 단위로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타인을 대상으로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역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타인을 대상으로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날짜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타인을 대상으로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인물 정보를 기준으로 한 인물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부는,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하여 상기 타인에게 쓰기 권한을 부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부는,
    상기 영상을 상기 앨범 단위로 표시하는 뷰어 모드에서 상기 앨범에 대한 영상 추가 기능,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영상 편집 기능,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 대상 추가 기능,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 기능 또는 코멘트 입력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 관리 서버는,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드부
    를 더 포함하는 앨범 관리 서버.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을 열람하는 경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을 편집하는 경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인터랙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타인의 앨범에 대한 공유 대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공유 대상으로 설정된 앨범이 편집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 요소에 해당되는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앨범을 공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앨범을 편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 요소가 확인되면 상기 타인에게 상기 피드 요소에 해당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부는,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피드 타입 또는 푸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부는,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표시하는 뷰어 모드에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
  36.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하는 단계;
    사용자가 타인을 대상으로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면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상기 앨범 단위로 상위 시스템인 서버로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하여 상기 타인에 의해 발생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대한 전체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을 상기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 상기 영상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역 단위로 상기 앨범을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지역 단위의 영상을 상기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 상기 영상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날짜 단위로 상기 영상을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날짜 단위의 영상을 상기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 상기 영상과 관련된 인물 정보를 기준으로 한 인물 단위로 상기 영상을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인물 단위의 영상을 상기 앨범으로 이동시키는 관리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을 상기 앨범 단위로 표시하는 뷰어 모드,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역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날짜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인물 정보를 기준으로 한 인물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뷰어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 관리 방법은,
    상기 앨범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이미지의 크기, 색상, 효과, 스티커, 텍스트 추가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요소를 입력 받아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상기 편집 요소를 일괄 반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 관리 방법은,
    상기 앨범을 대상으로 카드 작성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카드에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일괄 첨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을 열람하는 경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을 편집하는 경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인터랙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타인의 앨범에 대한 공유 대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 대상으로 설정된 앨범이 편집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 요소에 해당되는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피드 타입 또는 푸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
  42.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표시하는 뷰어 모드에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
  43. 사용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에서 앨범 단위로 분류되어 관리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을 상기 앨범과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앨범을 공유할 타인 목록이 지정되면 상기 지정된 타인을 대상으로 상기 앨범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상기 앨범을 공개하는 단계; 및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앨범 관리 서버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을 공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타인을 대상으로 상기 영상을 상기 앨범 단위로 표시하는 뷰어 모드,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역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한 날짜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인물 정보를 기준으로 한 인물 단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뷰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뷰어 모드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을 공개하는 단계는,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하여 상기 영상을 상기 앨범 단위로 표시하는 뷰어 모드에서 상기 앨범에 대한 영상 추가 기능,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영상 편집 기능,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 대상 추가 기능,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 기능 또는 코멘트 입력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상기 타인에게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을 열람하는 경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을 편집하는 경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인터랙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타인이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타인의 앨범에 대한 공유 대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 대상으로 설정된 앨범이 편집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 요소에 해당되는 업데이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피드 타입 또는 푸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앨범을 공개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앨범을 편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코멘트를 입력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 요소가 확인되면 상기 타인에게 상기 피드 요소에 해당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표시하는 뷰어 모드에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 관리 서버에서의 앨범 관리 방법.
  49. 제3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50. 통신 단말에 저장된 영상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영상을 앨범 단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관리 코드;
    사용자가 타인을 대상으로 상기 앨범에 대한 공유를 설정하면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을 상기 앨범 단위로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서버로 로딩하는 로딩 코드;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앨범 또는 상기 앨범에 포함된 영상에 대하여 상기 타인에 의해 발생한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드 코드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단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72065A 2011-07-20 2011-07-20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 및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52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065A KR101552194B1 (ko) 2011-07-20 2011-07-20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 및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2154484A JP5990051B2 (ja) 2011-07-20 2012-07-10 画像をアルバム単位で管理及び共有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13/553,377 US9241080B2 (en) 2011-07-20 2012-07-19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sharing images on per album basis
JP2016158611A JP6656721B2 (ja) 2011-07-20 2016-08-12 画像をアルバム単位で管理及び共有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065A KR101552194B1 (ko) 2011-07-20 2011-07-20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 및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541A true KR20130026541A (ko) 2013-03-14
KR101552194B1 KR101552194B1 (ko) 2015-09-11

Family

ID=4755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065A KR101552194B1 (ko) 2011-07-20 2011-07-20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 및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41080B2 (ko)
JP (2) JP5990051B2 (ko)
KR (1) KR10155219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437A1 (ko) * 2014-03-25 2015-10-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16093652A3 (ko) * 2014-12-11 2016-08-11 홍성한 전화번호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가족 앨범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족 앨범서비스 제공방법
WO2017018579A1 (ko) * 2015-07-28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3129B1 (ko) * 2015-11-25 2017-02-07 배형진 다수의 사용자 간에 동영상을 공유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20210144891A (ko) * 2019-05-06 2021-11-30 애플 인크. 지능적으로 선택된 대표 미디어 항목들을 갖는 미디어 브라우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1564103B2 (en) 2020-02-14 2023-01-2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11592959B2 (en) 2010-01-06 2023-02-2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displaying content in context
US11601584B2 (en) 2006-09-06 2023-03-07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US11681408B2 (en) 2016-06-12 2023-06-2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retriev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US11782575B2 (en) 2018-05-07 2023-10-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har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US11972104B2 (en) 2009-09-22 2024-04-3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9740B2 (en) * 2007-12-31 2017-05-02 Applied Recognition Inc.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9721148B2 (en) * 2007-12-31 2017-08-01 Applied Recognition Inc.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9310907B2 (en) 2009-09-25 2016-04-1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20120084841A1 (en) * 2011-09-13 2012-04-05 Whitmyer Jr Wesley W Web-based system for publishing owner configurable web sites
KR101899548B1 (ko) 2012-04-16 2018-09-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피드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US8798401B1 (en) * 2012-06-15 2014-08-05 Shutterfly, Inc. Image sharing with facial recognition models
KR20140038759A (ko) * 2012-09-21 201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361626B2 (en) * 2012-10-16 2016-06-07 Google Inc. Social gathering-based group sharing
US9525789B2 (en) * 2013-03-15 2016-12-20 Dropbox, Inc. Shuffle algorithm and navigation
US9282138B2 (en) * 2013-03-15 2016-03-08 Facebook, Inc. Enabling photoset recommendations
JP5859471B2 (ja) * 2013-03-19 2016-02-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アルバム作成装置および電子アルバムの製造方法
US9542422B2 (en) 2013-08-02 2017-01-10 Shoto, Inc. Discovery and sharing of photos between devices
KR102057944B1 (ko) * 2013-09-17 2019-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그의 공유 방법
US10067652B2 (en) * 2013-12-24 2018-09-04 Dropbox, Inc. Providing access to a cloud based content management system on a mobile device
US9423922B2 (en) 2013-12-24 2016-08-23 Dropbo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shared virtual spaces
US9544373B2 (en) 2013-12-24 2017-01-10 Dropbo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local virtual states pending server-side storage across multiple devices and users and intermittent network connections
US20190244276A1 (en) * 2014-05-09 2019-08-08 Happy Ray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Graphics
TWI560627B (en) * 2014-05-09 2016-12-01 Happy Ray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tching graphics
US9113301B1 (en) * 2014-06-13 2015-08-18 Snapchat, Inc. Geo-location based event gallery
CN105225212B (zh) * 2014-06-27 2018-09-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图片处理方法和装置
USD788159S1 (en) * 2014-10-14 2017-05-30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7769S1 (en) 2014-10-14 2017-09-19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1801S1 (en) * 2014-10-14 2017-07-1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697595B2 (en) * 2014-11-26 2017-07-04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tent aware fill based on similar images
JP6589300B2 (ja) * 2015-03-09 2019-10-16 フリュー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6155508B (zh) * 2015-04-01 2021-01-01 腾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客户端
CN104852967B (zh) * 2015-04-21 2018-03-2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图片共享方法及装置
US9641818B1 (en) 2016-04-01 2017-05-02 Adobe Systems Incorporated Kinetic object removal from camera preview image
DK201670608A1 (en) 2016-06-12 2018-01-0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retriev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KR102422448B1 (ko) * 2017-11-21 2022-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와 관련된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JP7172130B2 (ja) * 2018-05-17 2022-1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プリント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画像プリント装置
US11314402B2 (en) * 2019-06-01 2022-04-26 Apple lnc. Displaying assets in multiple zoom levels of a media library
US11270415B2 (en) 2019-08-22 2022-03-08 Adobe Inc. Image inpainting with geometric and photometric transformations
CN110764671B (zh) * 2019-11-06 2022-07-1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0990615A (zh) * 2019-11-19 2020-04-10 兰州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终端的相册的分析方法及系统
IT202000007546A1 (it) * 2020-04-08 2021-10-08 Photosi Spa Unipersonale Procedimento di creazione di prodotti caratterizzati da foto stampate, relativo sistema di creazione e relativo programma applicativo di progettazion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8825B2 (ja) * 2001-03-01 2009-04-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画像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020167538A1 (en) * 2001-05-11 2002-11-14 Bhetanabhotla Murthy N. Flexibl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using multiple hierarchical categories
US20030097410A1 (en) * 2001-10-04 2003-05-22 Atkins R. Travis Methodology for enabling multi-party collaboration across a data network
JP2004234594A (ja) * 2003-02-03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ォト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US7734700B2 (en) * 2003-10-10 2010-06-08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notification of digital images to be shared via a service provider
KR100640491B1 (ko) 2003-12-08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진 다운로드 장치 및 방법
US20050209999A1 (en) * 2004-03-19 2005-09-22 Kenny Jou Systems and methods for class designation in a computerized social network application
US20050210409A1 (en) * 2004-03-19 2005-09-22 Kenny Jou Systems and methods for class designation in a computerized social network application
US20060101064A1 (en) 2004-11-08 2006-05-11 Sharpcas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file sharing and synchronization system
JP4967232B2 (ja) * 2004-12-15 2012-07-04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再生システム
US7715586B2 (en) * 2005-08-11 2010-05-11 Qurio Holdings, Inc Real-time recommendation of album templates for online photosharing
US9141825B2 (en) * 2005-11-18 2015-09-22 Qurio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ssets in a network-based media sharing system using tagging
US8341219B1 (en) * 2006-03-07 2012-12-25 Adobe Systems Incorporated Sharing data based on tagging
JP2008052434A (ja) * 2006-08-23 2008-03-06 Canon Inc 情報提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US9021045B2 (en) * 2006-11-30 2015-04-28 Red Hat, Inc. Sharing images in a social network
US7778973B2 (en) * 2007-05-18 2010-08-17 Tat Kuen Choi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sharing photos via the internet
US20080320397A1 (en) 2007-06-19 2008-12-25 Microsoft Corporation Integrated sharing of electronic documents
WO2009073637A2 (en) * 2007-11-29 2009-06-11 Iqzone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act picture synchronization and distribution
EP2239702A4 (en) * 2008-01-07 2011-08-03 Panasonic Corp IMAGE PROCESSING UNIT
US8166034B2 (en) * 2008-03-26 2012-04-24 Fujifilm Corporation Saving device for image sharing, image sharing system, and image sharing method
WO2009125571A1 (ja) * 2008-04-10 2009-10-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検索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検索方法
US20090300657A1 (en) * 2008-05-27 2009-12-03 Kumari Tripta Intelligent menu in a communication device
US9559869B2 (en) * 2010-05-04 2017-01-31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Video call handling
US20130018960A1 (en) * 2011-07-14 2013-01-17 Surfari Inc. Group Interaction around Common Online Content
US10853505B2 (en) * 2011-12-30 2020-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ata policies for online services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1584B2 (en) 2006-09-06 2023-03-07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US11972104B2 (en) 2009-09-22 2024-04-3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1592959B2 (en) 2010-01-06 2023-02-2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displaying content in context
WO2015147437A1 (ko) * 2014-03-25 2015-10-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위치 기반 앨범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16093652A3 (ko) * 2014-12-11 2016-08-11 홍성한 전화번호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가족 앨범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족 앨범서비스 제공방법
WO2017018579A1 (ko) * 2015-07-28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38851B2 (en) 2015-07-28 2018-07-3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0348972B2 (en) 2015-07-28 2019-07-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101703129B1 (ko) * 2015-11-25 2017-02-07 배형진 다수의 사용자 간에 동영상을 공유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US11681408B2 (en) 2016-06-12 2023-06-2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retriev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US11941223B2 (en) 2016-06-12 2024-03-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retriev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US11782575B2 (en) 2018-05-07 2023-10-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haring contextually relevant media content
US11625153B2 (en) 2019-05-06 2023-04-11 Apple Inc. Media browsing user interface with intelligently selected representative media items
US11947778B2 (en) 2019-05-06 2024-04-02 Apple Inc. Media browsing user interface with intelligently selected representative media items
KR20210144891A (ko) * 2019-05-06 2021-11-30 애플 인크. 지능적으로 선택된 대표 미디어 항목들을 갖는 미디어 브라우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1638158B2 (en) 2020-02-14 2023-04-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11716629B2 (en) 2020-02-14 2023-08-0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11611883B2 (en) 2020-02-14 2023-03-21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11564103B2 (en) 2020-02-14 2023-01-2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US11985506B2 (en) 2020-02-14 2024-05-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orkout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90051B2 (ja) 2016-09-07
JP2016201144A (ja) 2016-12-01
US9241080B2 (en) 2016-01-19
JP2013025804A (ja) 2013-02-04
US20130021368A1 (en) 2013-01-24
KR101552194B1 (ko) 2015-09-11
JP6656721B2 (ja)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6541A (ko)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 및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18580A1 (en) Modular responsive screen grid, authoring and displaying system
US11036782B2 (en) Generating and updating event-based playback experiences
US9143601B2 (en) Event-based media grouping, playback, and sharing
US83160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resentations over a network
JP6420342B2 (ja) デジタル画像を公開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107620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file between devices
US8949244B2 (en) Using chronology as the primary system interface for files, their related meta-data, and their related files
JP6817402B2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ンジャーアプリケーションの動作方法及び装置
US20070162953A1 (en) Media package and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media package
US11960475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modeling executable interaction models for context-driven user interactions
CN112632942A (zh) 一种文档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1221233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1736791B2 (en)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capture and distribution of images
KR20180066927A (ko) 클라우드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76466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패키지 생성방법
KR102530958B1 (ko)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 컨텐츠에 기반하여 대체 불가 토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67111A (ko)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
GB2523406A (en) Compiling digital 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