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944B1 - 단말 장치 및 그의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그의 공유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7944B1 KR102057944B1 KR1020130112139A KR20130112139A KR102057944B1 KR 102057944 B1 KR102057944 B1 KR 102057944B1 KR 1020130112139 A KR1020130112139 A KR 1020130112139A KR 20130112139 A KR20130112139 A KR 20130112139A KR 102057944 B1 KR102057944 B1 KR 1020579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chat
- application
- terminal device
- display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950629 I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31—Tracking arrangements for later retrieval, e.g. recording contents, participants activities or behavior, network stat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Abstract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단말 장치는 서버를 통해 상기 채팅 서비스의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화면 상에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 장치 및 그의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그의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들은 단말 장치를 통한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공간 및 시간상의 제약 없이 자신의 단말 장치를 통해 한 명 또는 여러 명의 사용자와 채팅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채팅을 통해 텍스트를 주고받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진을 주고받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는 점에서, 정보 전달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채팅 내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는 단말 장치 및 그의 공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서버를 통해 상기 채팅 서비스의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화면 상에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디스플레이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지도 화면인 경우, 상기 지도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지점에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GUI가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을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캘린더 화면인 경우, 상기 캘린더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날짜에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GUI가 디스플레이된 캘린더 화면을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에 의해 공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포함된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주소에 액세스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팅 화면에 입력된 채팅 내용을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팅 화면에 입력된 채팅 내용 중 기설정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채팅 내용을 상기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대한 선택 메뉴 항목을 상기 선택된 채팅 내용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각각을 스크랩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방법은 상기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화면 상에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디스플레이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지도 화면인 경우, 상기 지도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지점에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GUI가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을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캘린더 화면인 경우, 상기 캘린더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날짜에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GUI가 디스플레이된 캘린더 화면을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공유 방법은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에 의해 공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포함된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주소에 액세스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공유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각각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공유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공유 방법은 상기 채팅 화면에 입력된 채팅 내용을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공유 방법은 상기 채팅 화면에 입력된 채팅 내용 중 기설정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채팅 내용을 상기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선택 항목을 상기 선택된 채팅 내용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각각을 스크랩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채팅을 수행하는 사용자들은 채팅 내용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까지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즉, 채팅을 수행하는 사용자들은 채팅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를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표시하고 이를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의 편의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어플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케이션 실행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채팅 내용을 고정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팅(chatt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의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어플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케이션 실행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채팅 내용을 고정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팅(chatt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의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시스템(1000)은 단말 장치(100), 서버(200) 및 제1 단말 장치(100-1), 제2 단말 장치(100-2),..., 제n 단말 장치(100-n)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 장치(100-1) 및 단말 장치(100-1, 100-2, 100-n)는 휴대폰,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0)와 단말 장치(100-1, 100-2,..., 100-n)의 사용자들은 서버(200)를 통해 채팅(chatting)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100)와 단말 장치(100-1, 100-2,..., 100-n)의 사용자들은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각 단말 장치(100, 100-1, 100-2,..., 100-n)에 설치하고, 소정의 인증 절차를 통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실시간 채팅을 제공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이하, 채팅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로그인 아이디를 통해 단말 장치(100)와 단말 장치(100-1, 100-2,..., 100-n)를 식별하고, 단말 장치(100)에서 입력된 채팅 내용을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하거나, 이와 반대로 단말 장치(100-1, 100-2,..., 100-n)에서 입력된 채팅 내용을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여, 사용자들 간의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채팅 서비스는 채팅 내용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채팅 서비스 사용자들 간에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지도 화면, 캘린더 화면, 어플 다운로드 화면 및 메모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지도 화면을 채팅 창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지도 화면에 대한 정보를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하여, 지도 화면을 채팅 서비스의 사용자들 간에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채팅을 수행하는 사용자들은 채팅 내용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채팅 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들의 편의성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지도 화면을 공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채팅을 수행하고 있는 사용자들 간에 공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는 복수의 사용자와 채팅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역시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사용자가 한 명의 사용자와 채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공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단말 장치(100)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로,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단말 장치(100)는 도 1의 단말 장치(100)가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1 단말 장치(100-1), 제2 단말 장치(100-2),..., 제n 단말 장치(100-n) 중 하나가 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도 1의 200)를 통해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도 1의 100-1, 100-2,..., 100-n)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3G, 4G, 와이파이 등 다양한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서버(200)를 통해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도 1의 100-1, 100-2,..., 100-n)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버(200)는 채팅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단말 장치(100)와 단말 장치(100-1, 100-2,..., 100-n)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서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단말 장치(100)와 단말 장치(100-1, 100-2,..., 100-n)의 사용자들이 서로 채팅을 수행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화면 상에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지도 화면, 캘린더 화면, 어플 다운로드 화면 및 메모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채팅 어플리케이션 자체의 서브 기능 실행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이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실행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제조시 단말 장치(100)에 설치되는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이후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터치 조작을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전달하여 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터치 조작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마이컴(또는, 마이컴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들 모듈은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먼저,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아이콘을 터치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이 선택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채팅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소정의 인증 절차를 통해 서버(200)에 가입한 다른 사용자들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채팅 서비스 상대방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리스트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리스트 상에서 선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버(200)를 통해 선택된 사용자들과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리스트 상에서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사용자들과의 채팅을 수행할 수 있는 채팅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채팅 화면은 채팅 서비스 상대방에 대한 정보(가령, 이름, 이미지, 아이디, 전화번호 등), 채팅 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창, 입력된 채팅 내용의 전송을 위한 전송 항목 및 전송된 채팅 내용이 표시되는 내용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입력 창이 선택되면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여 채팅 내용을 입력받고, 전송 항목이 선택되면 입력된 채팅 내용을 서버(200)로 전송함과 동시에 내용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채팅 내용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하여 단말 장치(100)와 단말 장치(100-1, 100-2,..., 100-n)의 사용자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채팅 화면 상에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채팅 화면 상에 별도로 마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선택 메뉴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단말 장치(100)가 핸드폰으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도 3(a)와 같이 채팅 화면(310)에 탭 형태로 마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선택 메뉴(320) 중에서 “캘린더” 탭이 선택되면, 도 3(b)와 같이 캘린더 화면(330)을 채팅 화면(31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선택 메뉴(320)가 탭 형태로 채팅 화면(31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선택 메뉴(320)의 형태 및 배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선택 메뉴(320)는 “캘린더”, “지도”, “앱” 및 “메모”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역시 일 예에 불과하며, 이는 채팅 어플리케이션 자체에 설정된 디폴트 값 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채팅 어플리케이션 자체에서 디폴트로 설정 값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선택 메뉴는 “캘린더”, “지도” 및 “메모”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는 설정 값을 변경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선택 메뉴가 “캘린더”, “지도”, “앱” 및 “메모”로 구성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각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마다 다양하게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린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디폴트로 설정된 날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날짜, 또는 현재 날짜를 포함하는 캘런더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캘린더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지도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디폴트로 설정된 지역,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역 또는 단말 장치(100)가 현재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지도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지도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어플 다운로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블랭크 화면, 디폴트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어플 다운로드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가장 최근에 접속하였거나 가장 최근에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 다운로드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디폴트로 설정된 메모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가장 최근에 작성되어 저장된 메모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채팅 서비스의 상대방과 공유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시점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제어부(130)는 별도의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타입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화면의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역의 명칭, GPS 정보, 스케일 정보 등이 될 수 있고, 캘린더 화면의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날짜에 대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의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의 주소 정보(가령, URL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 화면의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모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에 대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별도의 명령을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추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1, 100-2,..., 100-n)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단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화면이 단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단말 장치(100-1, 100-2,..., 100-n)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지역의 명칭, GPS 정보, 스케일 정보 등을 이용하여 단말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지도 화면과 동일한 지도 화면을 구성하고, 이를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1, 100-2,..., 100-n)는 채팅 어플리케이션 자체에서 제공하는 서브 기능을 실행하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추가로 실행한 후 이를 채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 서버(20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명령을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하거나, 단말 장치(100-1, 100-2,..., 100-n) 자체에서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실행되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타입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먼저, 지도 또는 캘린더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지도 화면인 경우 지도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지점에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GUI가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지도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터치된 지점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을 다른 지점과 식별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UI는 원, 선, 특정 아이콘 등 사용자가 해당 지점을 선택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GUI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GUI 형태에 대한 정보 및 지도 화면 상에서 GUI가 표시된 지점에 대한 정보(가령, 좌표, 지역, GPS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1, 100-2,..., 100-n)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지도 화면 상의 특정 지점에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1, 100-2,..., 100-n)는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지점에 GUI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캘린더 화면인 경우 캘린더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날짜에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GUI가 디스플레이된 캘린더 화면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캘린더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터치된 날짜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날짜를 다른 날짜와 식별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GUI는 원, 선, 특정 아이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날씨를 나타내는 GUI(가령, 해, 구름, 비 등)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GUI 형태에 대한 정보 및 캘린더 화면 상에서 GUI가 표시된 날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1, 100-2,..., 100-n)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캘린더 화면 상의 특정 날짜에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1, 100-2,..., 100-n)는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날짜에 GUI가 표시된 캘린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 캘린더 화면에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채팅 상대방과 공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캘린더 화면인 경우 캘린더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날짜에 일정을 추가하고, 추가된 일정 정보를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캘린더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여 터치된 날짜에 대한 일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일정을 캘린더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일정이 추가된 날짜 및 해당 날짜에 입력된 일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1, 100-2,..., 100-n)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캘린더 화면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입력한 일정을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메모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가정한다.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메모 화면인 경우 메모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텍스트를 포함하는 메모 화면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메모 화면이 터치되면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를 메모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메모에 입력된 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1, 100-2,..., 100-n)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모 화면에 특정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1, 100-2,..., 100-n)는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가 표시된 메모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어플 다운로드 화면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접속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의 경우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미도시)에 기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 창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검색 창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검색어를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그에 따른 검색 결과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신된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에 대한 주소 정보(가령, URL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수신된 데이터를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1, 100-2,..., 100-n)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100-1, 100-2,..., 100-n)에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 또는 블랭크 화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1, 100-2,..., 100-n)는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접속한 주소 정보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검색 창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은 주소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주소 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주소 창에 입력된 주소 정보에 액세스하여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을 다운로드 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시점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각각에 실행되는 기능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캘린더 화면, 지도 화면 상에 특정 지점이 선택되거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거나 메모 화면에 텍스트가 입력된 시점에 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제어부(130)는 별도의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캘린더 화면에서 특정 날짜가 선택되면, 선택된 특정 날짜에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채팅 화면 상에 마련된 전송 항목이 선택되면 GUI 형태에 대한 정보 및 캘린더 화면 상에서 GUI가 표시된 날짜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채팅 서비스 상대방에 의해 공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서버(2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단말 장치(100-1, 100-2,..., 100-n)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서버(200)로부터 GUI 형태 및 지도 화면 상에서 GUI가 표시된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100-1, 100-2,..., 100-n)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을 판단하고 해당 지점에 단말 장치(100-1, 100-2,..., 100-n)에 표시된 GUI와 동일한 형태의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채팅 서비스 상대방에 의해 공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포함된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주소에 액세스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의 경우, 해당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메뉴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채팅 서비스 상대방에 의해 공유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메뉴 항목에 맵핑된 인터넷 주소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미도시)에 액세스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단말 장치(100)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채팅 화면에 입력된 채팅 내용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채팅 화면 상에 마련된 입력 창을 통해 채팅 내용이 입력된 후 전송 항목이 선택되면, 채팅 내용을 채팅 화면의 내용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채팅 내용에 대응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 받은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1, 100-2,..., 100-n)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100)에서 입력된 채팅 내용이 포함된 채팅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1, 100-2,..., 100-n)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수신된 채팅 내용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을 내용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새로운 채팅 내용이 입력되거나, 채팅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부터 새로운 채팅 내용이 수신되는 경우, 새로운 채팅 내용을 채팅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내용 표시 영역을 업데이트하여, 내용 표시 영역에 기존에 디스플레이되어있던 채팅 내용의 아래쪽에 새로운 채팅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내용 표시 영역의 사이즈보다 많은 채팅 내용이 존재하는 경우, 새로운 채팅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기존에 존재하던 채팅 내용을 점차 위쪽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채팅 화면에 입력된 채팅 내용 중 기설정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채팅 내용을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조작은 내용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채팅 내용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하는 조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채팅 화면 상에 마련된 내용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채팅 내용 중 기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 조작이 입력된 채팅 내용을 내용 표시 영역의 상단에 고정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채팅 내용이 입력되거나 채팅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부터 수신되어 새로운 채팅 내용이 내용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더라도, 기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 조작이 입력된 채팅 내용은 내용 표시 영역에서 제거되지 않고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선택 항목을 선택된 채팅 내용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선택된 채팅 내용이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화면의 경우 특정 지점을 언급하는 채팅 내용과 관련되어 해당 지점이 다른 지점과 구별되도록 표시된 지도 화면이 될 수 있고, , 캘린더 화면의 경우 특정 날짜를 언급하는 채팅 내용과 관련되어 해당 날짜가 다른 날짜와 구별되도록 표시된 캘린더 화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 화면의 경우 채팅 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메모 화면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의 경우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이 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된 시점을 전후로 기설정된 시간 내에 채팅 내용이 입력되거나, 채팅 내용이 입력되어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된 시점을 전후로 기설정된 시간 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공유된 경우, 공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해당 채팅 내용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가 "여기서 모이자"라는 채팅 내용을 입력 창에 입력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지도 화면 상에서 특정 지점을 선택하여 특정 지점이 선택된 지도 화면을 공유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공유된 지도 화면 즉, 사용자가 선택된 지점이 구별되도록 표시된 지도 화면을 "여기서 모이자"라는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운받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을 공유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이 앱이야"라는 채팅 내용이 입력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공유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을 "이 앱이야"라는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전송 항목이 선택되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공유된 경우에도 상술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선택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전체 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선택된 채팅 내용 및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시간 이상 채팅 내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선택된 채팅 내용 및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선택된 채팅 내용에 대한 정보는 채팅 내용이 입력된 시간, 채팅 내용을 입력한 사용자, 채팅 내용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타입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화면의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에 표시된 GUI 형태, GUI가 표시된 지점의 좌표, 위치, GPS 정보 등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수신된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1, 100-2,..., 100-n)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택된 채팅 내용 및 선택 항목을 내용 표시 영역의 상단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선택 항목이 선택되면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각각을 스크랩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하고, 다음에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함으로써, 선택된 채팅 내용 각각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스크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캡쳐된 화면을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거나, 서버(20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스크랩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채팅 내용을 각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타이틀로 하여 스크랩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모이자"와 관련된 지도 화면 1이 스크랩되고, "자전거 끝나고 여기서 저녁 먹자"와 관련된 지도 화면 2가 스크랩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지도 화면 1과 지도 화면 2로 구성된 스크랩 화면을 생성하고,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의 플릭 조작이 입력되면 플릭 조작이 입력된 방향으로 스크랩 화면을 새로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지도 화면에는 채팅 내용이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지도 화면 1에는 "여기서 모이자"가 부가되고, 지도 화면 2에는 "자전거 끝나고 여기서 저녁 먹자"가 부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각각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후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경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입력되었던 각종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화면이 공유된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또는 채팅 상대방에 의해 지도 화면에 입력된 GUI의 형태, GUI가 디스플레이된 지점에 대한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캘린더 화면이 공유된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또는 채팅 상대방에 의해 지도 화면에 입력된 GUI의 형태, 해당 GUI 가 디스플레이된 날짜, 일정 정보, 해당 일정이 기입된 날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이 공유된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또는 채팅 상대방에 의해 공유되었던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에 대한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 화면이 공유된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또는 채팅 상대방에 의해 메모 화면에 입력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에 대한 정보를 단말 장치(100)에 설치된 메모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기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100-1, 100-2,..., 100-n )와 공유되었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제어부(130)는 기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또는 채팅 상대방이 채팅 과정에서 선택한 지점에 표시되었던 GUI가 동일하게 표시된 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기존에 채팅 화면을 통해 채팅 서비스 상대방과 공유되었던 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개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채팅 과정에서 공유되었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된 기능을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일정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통합 어플리케이션과 각 어플리케이션을 동기화하여, 어플리케이션 별로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에 특정 날짜에 입력된 일정 내용 및 해당 일정이 입력된 날짜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되고,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GUI의 형태, GUI가 디스플레이된 지점, 지도 화면이 공유되었던 날짜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기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일정을 통합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일정의 특정 날짜에 일정 정보를 저장하고,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지점에 GUI가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을 지도 화면이 공유되었던 날짜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캘린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던 일정 정보 및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던 지도 화면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 통합 어플리케이션에서 통합적으로 사용자의 일정을 관리하기 위해, 통합 어플리케이션이 각 어플리케이션을 동기화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30)는 채팅 과정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입력되었던 각종 정보를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바로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특히, 도 4는 지도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4(a)와 같이, 채팅 화면(410)에는 채팅 서비스 상대방에 대한 정보(421), 입력 창(440) 및 전송 항목(45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채팅 서비스 상대방에 대한 정보(421)는 채팅 서비스 상대방들이 서버(200)에 기등록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한편, 입력 창(440)이 선택되면, 채팅 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가상 키보드(46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상 키보드(460)를 통해 채팅 내용이 입력되면, 입력된 채팅 내용은 입력 창(44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여기서 모이자!"와 같은 채팅 내용을 입력한 경우, 입력된 "여기서 모이자!"가 입력 창(44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후, 전송 항목(450)이 선택되면, 입력된 "여기서 모이자!"는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로 전송되고, 도 4(b)와 같이 "여기서 모이자!"(471)라는 채팅 내용이 내용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도 4(a)와 같이, 채팅 화면(410)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선택 메뉴(42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선택 메뉴(423)를 통해 “지도”가 선택되면, 지도 화면(431)이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후, 지도 화면(431)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지점이 선택되면, 도 4(a)와 같이, 선택된 지점에는 GUI(43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GUI의 형태 및 색상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에 GUI(433)가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431)은 채팅 서비스 상대방과 공유될 수 있다.
한편,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자신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를 통해 채팅 내용을 입력한 경우, 단말 장치(100)는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입력한 채팅 내용을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채팅 내용은 입력된 시간순으로 내용 표시 영역에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 및 도 4(d)와 같이,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입력한 채팅 내용인 "좋아 한강도 가깝고"(473), "자전거 도로도 있어~"(475), “자전거 끝나고 여기서 저녁 먹자”(477)이 순차적으로 내용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자신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에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에서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경우, 지도 화면 상의 선택된 지점에 G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터가 서버(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는 도 5(d)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 화면(431) 상에서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선택한 지점에 GUI(43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채팅 서비스 상대방과 채팅 내용뿐만 아니라, 채팅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공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캘린더 화면(521)을 공유하거나, 도 6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621)을 공유할 수 있다.
먼저,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00-1, 100-2,.., 100-n)와 캘린더 화면을 공유하는 경우, 도 5와 같이, 채팅 화면(510)의 일 영역에는 캘린더 화면(52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캘린더 화면(521)의 특정 날짜에는 사용자 또는 채팅 서비스 상대방에 의해 선택된 지점에 GUI(52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사용자와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입력한 채팅 내용은 내용 표시 영역(53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00-1, 100-2,.., 100-n)와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을 공유하는 경우, 도 6과 같이, 채팅 화면(610)의 일 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화면(62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앱 다운로드 화면(621)에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메뉴 항목(6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메뉴 항목(623)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앱이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사용자와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입력한 채팅 내용은 내용 표시 영역(63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채팅 메뉴를 고정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00-1, 100-2,.., 100-n)와 지도 화면을 공유하는 경우, 도 7(a)와 같이, 채팅 화면(710)의 일 영역에는 지도 화면(72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도 화면(710)에는 사용자 및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각각 선택한 지점에GUI(723, 725)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채팅 화면(710)에 마련된 내용 표시 영역에는 사용자와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각각 입력한 채팅 내용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도 7(a)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여기서 모이자!"(731)라는 채팅 내용 및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입력한 "좋아 한강도 가깝고"(733), "자전거 도로도 있어~"(735), "자전거 끝나고 여기서 저녁 먹자"(737)라는 채팅 내용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내용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채팅 내용 중 하나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선택하면, 선택된 채팅 내용이 내용 표시 영역의 상단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여기서 모이자!"(731)라는 채팅 내용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하는 경우, 도 7(b)와 같이, "여기서 모이자!"라는 채팅 내용이 내용 표시 영역의 상단(741)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에서도 "여기서 모이자!"(731)라는 채팅 내용이 내용 표시 영역의 상단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채팅 내용은 해당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뉴 항목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와 같이, 메뉴 항목은 "지도 보기"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c)와 같이, "지도 보기"가 선택되면, "여기서 모이자!"라는 채팅 내용과 관련된 지도 화면(72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화면(721)은 사용자가 "여기서 모이자!"라는 채팅 내용을 입력한 후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지도 화면 상에서 특정 지점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지도 화면 상에서 선택한 지점에 GUI(723)가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일 수 있다.
한편, 채팅 서비스 상대방도 자신의 단말 장치(100-1, 100-2,..., 100-n)를 통해 특정 채팅 내용이 채팅 화면 상의 고정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방법은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것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자전거 끝나고 여기서 저녁 먹자"(737)라는 채팅 내용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하는 경우, "자전거 끝나고 여기서 저녁 먹자"라는 채팅 내용은 내용 표시 영역의 상단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d)와 같이 시간 순에 따라 이전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된 채팅 내용인 "여기서 모이자!"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d)와 같이 메뉴 항목은 "지도 보기"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보기"가 선택되면, 도 7(e)와 같이, "자전거 끝나고 여기서 저녁 먹자"라는 채팅 내용과 관련된 지도 화면(72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지도 화면(721)은 "자전거 끝나고 여기서 저녁 먹자"라는 채팅 내용을 입력한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지도 화면 상에서 특정 지점을 선택하여, 채팅 서비스 상대방이 지도 화면 상에서 선택한 지점에 GUI(725)가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일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채팅 내용과 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은 별도의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f)와 같이, 사용자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플릭 조작을 입력하면, "여기서 모이자!"와 그와 관련된 지도 화면(751), "자전거 끝나고 여기서 저녁 먹자"과 그와 관련된 지도 화면(753), 하나의 스크랩 보드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따르면,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 외에, 위치 정보 생성부(140), 저장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카메라(182) 및 마이크(18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 역시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위치 정보 생성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생성부(14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미도시)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미도시)은 복수 개의 GPS 위성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송신 시간 및 수신 시간 사이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위성과 단말 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위성들 각각 과의 사이에서 연산된 거리와, 위성의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삼변 측량과 같은 연산 방법으로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위치 정보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위치 정보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지역 내의 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단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등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5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50)는 채팅 서비스와 함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공유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및 공유 결과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5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입력된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버튼(181)은 단말 장치(100)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182)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2)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83)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30)는 마이크(18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에, 단말 장치(100)는 헤드셋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133)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즉, 응용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의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화면 상에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910).
이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한다(S920).
구체적으로,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지도 화면인 경우, 지도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지점에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GUI가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캘린더 화면인 경우, 캘린더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날짜에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GUI가 디스플레이된 캘린더 화면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채팅 서비스 상대방에 의해 공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포함된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주소를 액세스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은 일 예일 뿐이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공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각각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을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채팅 화면에 입력된 채팅 내용을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채팅 화면에 입력된 채팅 내용 중 기설정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채팅 내용을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한 선택 메뉴 항목을 선택된 채팅 내용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채팅 내용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각각을 스크랩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공유하는 구체적인 방법 및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바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유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단말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단말 장치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단말 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Claims (22)
- 채팅(chatt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채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채팅 서비스의 상대방의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채팅 화면에 포함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의 단말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의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GUI가 디스플레이 된 상기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지도 화면인 경우, 상기 지도 화면의 복수의 영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영역에 상기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GUI가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캘린더 화면인 경우, 상기 캘린더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날짜 중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날짜에 상기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GUI가 디스플레이된 캘린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의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 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의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 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포함된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변경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주소에 액세스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채팅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채팅 화면을 통해 입력된 채팅 내용을 상기 채팅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팅 화면에 입력된 채팅 내용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팅 내용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채팅 내용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스크랩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채팅(chatt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의 공유 방법에 있어서,
채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채팅 화면에 포함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채팅 서비스의 상대방의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의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GUI가 디스플레이 된 상기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지도 화면인 경우, 상기 지도 화면의 복수의 영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영역에 상기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GUI가 디스플레이된 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캘린더 화면인 경우, 상기 캘린더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날짜 중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된 날짜에 상기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GUI가 디스플레이된 캘린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채팅 서비스 상대방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 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의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 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포함된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변경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항목에 대응되는 주소에 액세스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통합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상기 채팅 화면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채팅 화면을 통해 입력된 채팅 내용을 상기 채팅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화면에 입력된 채팅 내용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채팅 내용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채팅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채팅 내용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스크랩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2139A KR102057944B1 (ko) | 2013-09-17 | 2013-09-17 | 단말 장치 및 그의 공유 방법 |
EP14183398.8A EP2849391B1 (en) | 2013-09-17 | 2014-09-03 | Terminal device and sharing method thereof |
US14/479,493 US20150082201A1 (en) | 2013-09-17 | 2014-09-08 | Terminal device and sharing method thereof |
US15/441,461 US11003315B2 (en) | 2013-09-17 | 2017-02-24 | Terminal device and sha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2139A KR102057944B1 (ko) | 2013-09-17 | 2013-09-17 | 단말 장치 및 그의 공유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2095A KR20150032095A (ko) | 2015-03-25 |
KR102057944B1 true KR102057944B1 (ko) | 2019-12-23 |
Family
ID=5149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2139A KR102057944B1 (ko) | 2013-09-17 | 2013-09-17 | 단말 장치 및 그의 공유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2) | US20150082201A1 (ko) |
EP (1) | EP2849391B1 (ko) |
KR (1) | KR1020579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05457B (zh) * | 2014-04-25 | 2019-04-09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地理位置展示方法及装置 |
KR101641424B1 (ko) * | 2014-09-11 | 2016-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CN104765791A (zh) * | 2015-03-24 | 2015-07-08 |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信息输入方法和装置 |
US10838613B2 (en) * | 2016-02-17 | 2020-11-17 | Trufan Llc | Consumer electronic entertainment and display system |
US11320982B2 (en) | 2016-05-18 | 2022-05-03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
KR102338357B1 (ko) | 2016-05-18 | 2021-12-13 | 애플 인크. | 그래픽 메시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확인응답 옵션들의 적용 |
DK201670641A1 (en) * | 2016-05-18 | 2017-12-04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
US10368208B2 (en) | 2016-06-12 | 2019-07-30 | Apple Inc. | Layers in messaging applications |
USD950587S1 (en) | 2018-08-31 | 2022-05-03 | Zoox, Inc. |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
CN109857297B (zh) * | 2019-01-31 | 2020-08-2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信息处理方法及终端设备 |
KR20210106651A (ko) * | 2020-02-21 | 2021-08-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1253048A1 (en) * | 2020-06-10 | 2021-12-16 | Snap Inc. | Contextual sending menu |
US11165734B1 (en) | 2020-06-10 | 2021-11-02 | Snap Inc. | Messaging system share-to-chat |
Family Cites Families (1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48318B1 (en) * | 1993-05-18 | 2004-06-08 | Arrivalstar, Inc. | Advanced no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a computer network |
US5848373A (en) * | 1994-06-24 | 1998-12-08 | Delorme Publishing Company | Computer aided map location system |
US6321158B1 (en) * | 1994-06-24 | 2001-11-20 | Delorme Publishing Company | Integrated routing/mapping information |
US6219045B1 (en) * | 1995-11-13 | 2001-04-17 | Worlds, Inc. | Scalable virtual world chat client-server system |
US20070294229A1 (en) * | 1998-05-28 | 2007-12-20 | Q-Phrase Llc | Chat conversation methods traversing a provisional scaffold of meanings |
US6683538B1 (en) * | 1998-08-29 | 2004-01-27 | Robert D Wilkes, Jr. | Position dependent messaging system |
US7089278B1 (en) * | 1999-09-07 | 2006-08-08 | Fuji Xerox Co., Ltd. | Anchored conversations: adhesive, in-context, virtual discussion forums |
EP1102510A1 (en) * | 1999-10-12 | 2001-05-23 | Taskin Sakarya | Location system for mobile telephones |
US20060184886A1 (en) * | 1999-12-22 | 2006-08-17 | Urbanpixel Inc. | Spatial chat in a multiple browser environment |
US6784901B1 (en) * | 2000-05-09 | 2004-08-31 | There |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he delivery of a chat message in a 3D multi-user environment |
US6981223B2 (en) * | 2001-03-19 | 2005-12-27 | Ecrio, Inc.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multiple messaging session management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
JP2003058482A (ja) * | 2001-08-14 | 2003-02-28 | Fujitsu Ltd | エリアチャットルーム提供方法,端末側エリアチャット処理方法,エリアチャットルーム提供処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エリアチャットルーム提供装置 |
US7370269B1 (en) * | 2001-08-31 | 2008-05-06 |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annotation of a co-browsed document |
JP2003150527A (ja) * | 2001-11-05 | 2003-05-23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チャットシステム、その端末装置及びチャットサーバ並びにプログラム |
JP3876702B2 (ja) * | 2001-12-11 | 2007-02-07 | ソニー株式会社 |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US20030163525A1 (en) * | 2002-02-22 | 2003-08-2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Ink instant messaging with active message annotation |
DE60334974D1 (de) * | 2002-03-01 | 2010-12-30 | Telecomm Systems Inc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enden, empfangen und planen von ortsrelevanten informationen |
US20030210265A1 (en) * | 2002-05-10 | 2003-11-13 | Haimberg Nadav Y. | Interactive chat messaging |
US7386799B1 (en) * | 2002-11-21 | 2008-06-10 | Forterra Systems, Inc. | Cinematic techniques in avatar-centric communication during a multi-user online simulation |
US8869043B2 (en) * | 2004-06-07 | 2014-10-21 | Avaya Inc. | System for presenting applications on instant messaging clients |
US8555203B1 (en) * | 2004-06-18 | 2013-10-08 | Verizon Laboratories Inc. | Stackable icons |
US7669135B2 (en) * | 2004-07-15 | 2010-02-23 | At&T Mobility Ii Llc | Using emoticons, such as for wireless devices |
US7031728B2 (en) * | 2004-09-21 | 2006-04-18 | Beyer Jr Malcolm K | Cellular phone/PDA communication system |
US20130226453A1 (en) * | 2005-02-08 | 2013-08-29 | Bryan Gardner Trussel |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integration |
US7433324B2 (en) * | 2005-04-01 | 2008-10-07 | Microsoft Corporation | User experience for collaborative ad-hoc networks |
US7353034B2 (en) * | 2005-04-04 | 2008-04-01 | X One, Inc. | Location sharing and tracking using mobile phones or other wireless devices |
US7991764B2 (en) * | 2005-07-22 | 2011-08-02 | Yogesh Chunilal Rathod |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publishing, searching, sharing and dynamically providing a journal feed |
US20070032945A1 (en) * | 2005-08-02 | 2007-02-08 | Jason Kaufma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to a network user |
US7899468B2 (en) * | 2005-09-30 | 2011-03-01 |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 Location sensitive messaging |
US8702506B2 (en) * | 2005-11-30 | 2014-04-22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Geogame for mobile device |
US7797642B1 (en) * | 2005-12-30 | 2010-09-14 | Google Inc. |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eeting-spot-related contact lists |
US7917866B1 (en) * | 2005-12-30 | 2011-03-29 | Google Inc. |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eeting-spot-related online communications |
US20070161382A1 (en) * | 2006-01-09 | 2007-07-12 | Melinger Daniel J |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synchronous location-based messaging |
US20070192168A1 (en) * | 2006-02-15 | 2007-08-16 | Leviathan Entertainment, Llc | Map and Inventory-Based On-Line Purchases |
US8145719B2 (en) * | 2006-03-03 | 2012-03-27 | Gogroups | Method and system for messaging and communication based on groups |
US9098545B2 (en) * | 2007-07-10 | 2015-08-04 | Raj Abhyanker | Hot news neighborhood banter in a geo-spatial social network |
US7899162B2 (en) * | 2006-03-31 | 2011-03-01 | Business Objects Software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 sharing within an instant messaging framework |
US7991838B2 (en) * | 2006-03-31 | 2011-08-02 | Business Objects Software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 sharing within an instant messaging framework |
US8571580B2 (en) * | 2006-06-01 | 2013-10-29 | Loopt Llc. | Displaying the location of individuals on an interactive map display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US20070288164A1 (en) * | 2006-06-08 | 2007-12-13 | Microsoft Corporation | Interactive map application |
US7646296B2 (en) * | 2006-08-11 | 2010-01-12 | Honda Motor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nd sending navigational data via a wireless messaging service on a navigation system |
US20080086368A1 (en) * | 2006-10-05 | 2008-04-10 | Google Inc. | Location Based, Content Targeted Online Advertising |
US9020542B2 (en) * | 2006-11-21 | 2015-04-28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user-initiated location-based services through messaging |
US10416838B2 (en) * | 2006-12-11 | 2019-09-17 | Oath Inc. | Graphical messages |
WO2009075689A2 (en) * | 2006-12-21 | 2009-06-18 | Metacarta, Inc. | Methods of systems of using geographic meta-metadata in information retrieval and document displays |
US7742774B2 (en) * | 2007-01-11 | 2010-06-22 | Virgin Mobile Usa, L.P. | Location-based text messaging |
JP4982505B2 (ja) * | 2007-01-25 | 2012-07-25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マルチウィンドウ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並びに情報処理装置 |
US8996045B2 (en) * | 2007-01-29 | 2015-03-31 | Blackberry Limited | Method of e-mailing a map location using predefined context-sensitive messages |
KR100791958B1 (ko) * | 2007-04-27 | 2008-01-04 | (주)엠비즈코리아 | 에스엠에스 메시지를 이용한 열람위치확인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
US20090005018A1 (en) * | 2007-06-28 | 2009-01-01 | Apple Inc. | Route Sharing and Location |
US9175964B2 (en) * | 2007-06-28 | 2015-11-03 | Apple Inc. | Integrated calendar and map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
US8774825B2 (en) * | 2007-06-28 | 2014-07-08 | Apple Inc. | Integration of map services with user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
US9109904B2 (en) * | 2007-06-28 | 2015-08-18 | Apple Inc. | Integration of map services and user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
US8724789B2 (en) * | 2007-08-06 | 2014-05-13 | Yellow Pages | Systems and methods to connect people for real time communications via directory assistance |
US20090061833A1 (en) * | 2007-08-30 | 2009-03-05 | Junius Ho | System, method and device to use messaging to implement programmatic actions |
US9532164B2 (en) * | 2007-10-12 | 2016-12-27 | Empire Ip Llc | Mashing mapping content displayed on mobile devices |
US20090125228A1 (en) * | 2007-11-09 | 2009-05-14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route information to users of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
US8170872B2 (en) * | 2007-12-04 | 2012-05-0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Incorporating user emotion in a chat transcript |
US20090204885A1 (en) * | 2008-02-13 | 2009-08-13 | Ellsworth Thomas N | Automated management and publication of electronic content from mobile nodes |
EP2156652B1 (en) * | 2008-02-28 | 2012-04-25 | Leeds, Richard | Method and system for notification and 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
US8312380B2 (en) * | 2008-04-04 | 2012-11-13 | Yahoo! Inc. | Local map chat |
WO2009126591A1 (en) * | 2008-04-07 | 2009-10-15 | Express Mobi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mobile devices |
US20090253512A1 (en) * | 2008-04-07 | 2009-10-08 |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justable Attenuation Of Location-Based Communication In An Online Game |
US8099462B2 (en) * | 2008-04-28 | 2012-01-17 | Cyberlink Corp. | Method of displaying interactive effects in web camera communication |
CA2820983C (en) * | 2008-05-18 | 2019-02-05 | Google Inc. | Secured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 |
US8369867B2 (en) * | 2008-06-30 | 2013-02-05 | Apple Inc. | Location sharing |
US10747952B2 (en) * | 2008-09-15 | 2020-08-18 | Palantir Technologies, Inc. | Automatic creation and server push of multiple distinct drafts |
US20100110105A1 (en) * | 2008-10-31 | 2010-05-06 | Nokia Corporatio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synchronized navigation |
US8493408B2 (en) * | 2008-11-19 | 2013-07-23 | Apple Inc. | Techniques for manipulating panoramas |
US8584031B2 (en) * | 2008-11-19 | 2013-11-12 | Apple Inc. |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ing emoji characters |
ES2347402B1 (es) * | 2008-11-26 | 2011-09-01 | Vodafone España, S.A.U. | Inclusion de informacion en un mensaje. |
US8214433B2 (en) * | 2008-12-15 | 2012-07-0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context for an automated agent to service multiple avatars within a virtual universe |
US8799820B2 (en) * | 2008-12-23 | 2014-08-05 | At&T Mobility Ii Llc | Dynamically scaled messaging content |
KR20100083234A (ko) * | 2009-01-13 | 2010-07-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지도 정보제공 장치 및 방법 |
US8539359B2 (en) * | 2009-02-11 | 2013-09-17 | Jeffrey A. Rapaport | Social network driven indexing system for instantly clustering people with concurrent focus on same topic into on-topic chat rooms and/or for generating on-topic search results tailored to user preferences regarding topic |
CN102318375A (zh) * | 2009-02-16 | 2012-01-11 | 康维有限公司 | 第一移动电话用户为调用向第二移动电话用户提供信息的过程而对文本信息的利用 |
JP5534469B2 (ja) * | 2009-03-23 | 2014-07-02 |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 チャットシステム、チャット方法、チャット実行プログラム、チャット実行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
US9756170B2 (en) * | 2009-06-29 | 2017-09-05 |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 Keyword based message handling |
US20110010656A1 (en) * | 2009-07-13 | 2011-01-13 | Ta Ke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user interface |
CN102474671B (zh) * | 2009-08-12 | 2015-11-25 | 索尼计算机娱乐公司 | 信息处理系统及信息处理装置 |
WO2011021908A2 (en) * | 2009-08-21 | 2011-02-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lication downloading method,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
US20110053578A1 (en) * | 2009-09-01 | 2011-03-03 | Nokia Corporation | Centralized control of multiple services |
KR101651128B1 (ko) * | 2009-10-05 | 2016-08-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
US9424444B2 (en) * | 2009-10-14 | 2016-08-23 | At&T Mobility Ii Llc | Systems,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facilitating integrated messaging, contacts and social media for a selected entity |
KR101635615B1 (ko) * | 2009-10-30 | 2016-07-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모바일 기기 및 모바일 기기의 제어 방법 |
US9118428B2 (en) * | 2009-11-04 | 2015-08-25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Geographic advertising using a scalable wireless geocast protocol |
KR101614270B1 (ko) * | 2009-12-04 | 2016-04-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 약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US20110173337A1 (en) * | 2010-01-13 | 2011-07-14 | Oto Technologies, Llc | Proactive pre-provisioning for a content sharing session |
US20110238762A1 (en) * | 2010-02-09 | 2011-09-29 | Google Inc. | Geo-coded comments in a messaging service |
US8606297B1 (en) * | 2010-03-24 | 2013-12-10 | Grindr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tion-based cascading displays |
CN103983271A (zh) * | 2010-03-29 | 2014-08-13 |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 周围兴趣点的显示方法及移动装置 |
US20110246490A1 (en) * | 2010-04-01 | 2011-10-06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Updates with context information |
US8880624B2 (en) * | 2010-04-23 | 2014-11-04 | Blackberry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from a plurality of feed sources |
US9800705B2 (en) * | 2010-06-02 | 2017-10-24 | Apple Inc. | Remote user status indicators |
US8284748B2 (en) * | 2010-07-07 | 2012-10-09 | Apple Inc. | Ad hoc formation and tracking of location-sharing groups |
US20120166281A1 (en) * | 2010-12-23 | 2012-06-28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
KR101453411B1 (ko) * | 2010-12-24 | 2014-10-23 | 주식회사 케이티 | 복수의 스크린 장치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US20120226757A1 (en) * | 2011-03-01 | 2012-09-06 | Mcfarland Keith | Location Filtered Messaging |
US8763153B2 (en) * | 2011-05-10 | 2014-06-24 | Microsoft Corporation | Presenting messages associated with locations |
US8676937B2 (en) * | 2011-05-12 | 2014-03-18 | Jeffrey Alan Rapaport | Social-topical adaptive networking (STAN) system allowing for group based contextual transaction offers and acceptances and hot topic watchdogging |
WO2012170446A2 (en) * | 2011-06-05 | 2012-12-13 | App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notifications received from multiple applications |
KR101311520B1 (ko) * | 2011-06-15 | 2013-09-25 | 주식회사 케이티 | 인앱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인앱 서비스 서버 장치 |
KR101552194B1 (ko) * | 2011-07-20 | 2015-09-11 | 네이버 주식회사 | 영상을 앨범 단위로 관리 및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
KR101860341B1 (ko) * | 2011-09-09 | 2018-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US10096033B2 (en) * | 2011-09-15 | 2018-10-09 | Stephan HEATH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related social/geo/promo link promotional data sets for end user display of interactive ad links, promotions and sale of products, goods, and/or services integrated with 3D spatial geomapping, company and local information for selected worldwide locations and social networking |
KR101521332B1 (ko) * | 2011-11-08 | 2015-05-20 |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로부터 확장된 복수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방법 |
KR102008495B1 (ko) * | 2012-02-24 | 2019-08-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
KR101383529B1 (ko) * | 2012-02-29 | 2014-04-08 | 주식회사 팬택 | 어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이동단말장치 및 이동단말장치에서의 어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
KR101899548B1 (ko) * | 2012-04-16 | 2018-09-1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에서 피드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
US8913099B2 (en) * | 2012-05-02 | 2014-12-16 | Blackberry Limited | Systems and methods to manage video chat contacts |
US9198010B2 (en) * | 2012-05-08 | 2015-11-24 | 24/7 Customer, Inc. | Data assistance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s |
CN110266877B (zh) * | 2012-06-11 | 2021-11-05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用户终端装置、服务器及其控制方法 |
KR102039553B1 (ko) * | 2012-08-31 | 2019-11-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입력 문자를 이용한 지능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US20140101553A1 (en) * | 2012-10-10 | 2014-04-10 | Jens Nagel | Media insertion interface |
KR101390228B1 (ko) * | 2012-10-22 | 2014-05-07 | (주)카카오 | 채팅 영역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채팅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 |
WO2014078598A1 (en) * | 2012-11-14 | 2014-05-22 | invi Labs, Inc. | System for and method of embedding rich media into text messages |
US9374327B2 (en) * | 2013-01-08 | 2016-06-21 | Vmware, Inc. | Intelligent chat system |
KR101720940B1 (ko) * | 2013-01-28 | 2017-04-10 | 네이버 주식회사 | 메신저 채팅창을 통한 실시간 영상 공유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JP6097679B2 (ja) * | 2013-02-28 | 2017-03-15 | エルジー アプ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 | 端末間機能共有方法及びその端末 |
US10346621B2 (en) * | 2013-05-23 | 2019-07-09 | yTrre, Inc. | End-to-end situation aware operations solution for customer experience centric businesses |
US10325102B2 (en) * | 2013-05-23 | 2019-06-18 | yTrre, Inc. | Real-time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
KR20140143971A (ko) * | 2013-06-10 | 2014-12-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홈 화면 공유 장치 및 방법 |
US20150033149A1 (en) * | 2013-07-23 | 2015-01-29 | Saleforce.com, inc. | Recording and playback of screen sharing sessions in an information networking environment |
KR102084507B1 (ko) * | 2013-09-05 | 2020-03-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KR20150030406A (ko) * | 2013-09-12 | 2015-03-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 입력 또는 그의 조합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US10338793B2 (en) * | 2014-04-25 | 2019-07-02 | Timothy Isaac FISHER | Messaging with drawn graphic input |
US10404636B2 (en) * | 2017-06-15 | 2019-09-03 | Google Llc | Embedded programs and interfaces for chat conversations |
US10348658B2 (en) * | 2017-06-15 | 2019-07-09 | Google Llc | Suggested items for use with embedded applications in chat conversations |
-
2013
- 2013-09-17 KR KR1020130112139A patent/KR10205794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9-03 EP EP14183398.8A patent/EP2849391B1/en active Active
- 2014-09-08 US US14/479,493 patent/US2015008220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
- 2017-02-24 US US15/441,461 patent/US11003315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160890A1 (en) | 2017-06-08 |
US11003315B2 (en) | 2021-05-11 |
US20150082201A1 (en) | 2015-03-19 |
EP2849391A2 (en) | 2015-03-18 |
EP2849391B1 (en) | 2018-08-15 |
EP2849391A3 (en) | 2015-04-01 |
KR20150032095A (ko) | 2015-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7944B1 (ko) | 단말 장치 및 그의 공유 방법 | |
US1084126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 |
US10452333B2 (en) |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 |
CN108027706B (zh) | 一种应用界面显示方法以及终端设备 | |
US11159922B2 (en) | Layers in messaging applications | |
EP2989534B1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 |
EP3105657B1 (en) |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 |
KR102150514B1 (ko) |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 |
US1050258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 |
KR20140144104A (ko) | 전자기기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 |
CN103593116A (zh) | 便携式终端工具栏的显示和控制方法、及其装置 | |
KR20150071252A (ko) | 전자장치에서 화면 구성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
CN110168487B (zh) | 一种触摸控制方法及装置 | |
KR101832394B1 (ko) | 단말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 |
WO2019127439A1 (zh) | 一种计算器的运行方法以及终端 | |
KR20140034100A (ko) |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
CN107408004B (zh) | 一种在锁屏界面呈现信息的方法、信息处理装置、便携式电子设备以及便携式电子设备上的图形用户界面 | |
EP4124052A1 (en) | Video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 |
US10652105B2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106233237A (zh) | 一种处理与应用关联的新消息的方法和装置 | |
US20150283903A1 (en) | Restric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and restric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 |
KR20170046669A (ko) |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에서 애니메이션을 익스포트하는 기법 | |
KR101875485B1 (ko) | 전자기기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 |
KR102425957B1 (ko) | 종료 효과를 표시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140090321A (ko) | 트리거를 기반으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