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440B1 -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440B1
KR101964440B1 KR1020180068561A KR20180068561A KR101964440B1 KR 101964440 B1 KR101964440 B1 KR 101964440B1 KR 1020180068561 A KR1020180068561 A KR 1020180068561A KR 20180068561 A KR20180068561 A KR 20180068561A KR 101964440 B1 KR101964440 B1 KR 101964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portion
bent
lower plat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순
Original Assignee
임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광순 filed Critical 임광순
Priority to KR1020180068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12Lateral beam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 A47B2200/003Assembly of tables or desks with a common le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을 조립하기 위한 부품을 단순화시켜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한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일정길이의 판재 한 쌍을 일정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판재를 절곡하는 단계; 절곡된 판재를 서로 용접하여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테이블 상판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에 다리를 형성하기 위한 각 파이프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테이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Table assembly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을 조립하기 위한 부품을 단순화시켜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한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은 테이블 상판과 테이블 다리로 구성된다. 테이블 상판과 테이블 다리의 강도가 부족할 경우에는 보강판을 테이블의 하부에 부착하여 강도를 보충하기도 한다.
테이블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테이블 다리를 테이블 상판에 결합하는 방식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데, 다리를 조립하는 과정과 부품들이 상당히 많아서 조립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15056호는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식 테이블을 구성하되, 테이블을 분해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분해시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서, 보관 및 적재공간을 줄여 물류비용을 절감케 하며, 또한 현장에서 누구나 간편하게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한 것으로서, 받침대와 상판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테이블을 구성하되, 받침대를 수직다리와 수직다리를 연결하는 연결간으로 구성하여 좌우측 받침대를 구성하고, 상기 좌우측 받침대를 구성하는 연결간 내측에 삽입공을 형성한 다음 연결바를 끼워 체결볼트로 조립하고 연결바 양측 하단부에는 보강연결구를 용접하여 연결바가 연결간의 삽입공에 조립된 상태에서 보강연결구를 통하여 연결간 및 상판과 볼트로 고정하는 조립식 테이블을 제공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11373호는 지지력을 강화한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가정용 식탁, 사무용 테이블을 사용하기 위하여 테이블 상단의 하중을 지지하고, 고정수단이 상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 판재홈을 포함하는 판재와, 판재의 하단부와 결합되고,지지프레임과 결합되어 소정의 틈이 없도록 구성된 결속부와, 판재와 지지프레임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상단고정홈과, 고정프레임의 측면과 지지프레임의 측면이 결합되도록 구성된 측면고정홈과, 상단부에 구성되고 돌출부재와 결합되며 돌출부재 내측에 고정수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1 결속홈과, 하단부에 구성되고 고정수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2 결속홈을 포함하는 고정프레임과, 판재 각각의 모서리와 결합되고, 판재에서 발생되는 물품의 하중으로 인해 마모 및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된 프레임 받침대와, 일체로 구성되고 책상다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레임 지지대와, 고정프레임이 삽입되어 판재를 지지 및 고정되도록 구성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력을 강화한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31812호는 조립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과 상기 상판을 받침하도록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다리와 연결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다리와 연결프레임이 상호 고정되도록 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됨으로써, 테이블의 프레임을 완전 조립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조립형 테이블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03689호는 테이블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목재로 된 상판과, 하부프레임으로 구성하되, 상기 하부프레임은 3방향으로 연결부가 구비된 외측 코너연결브라캐트와, 좌우 2방향으로 연결편이 구비된 ㄱ형의 내측 코너연결브라캐트를 이용하여 소정의 길이로 재단된 가로파이프와 세로파이프, 그리고 다리를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로서 연결 조립하여 구성되는 테이블 조립구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기술들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구조가 복잡하고 다수의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립이 쉽지 않은 점과, 조립 부품이 많기 때문에 분실가능성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1505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51137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531812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0368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테이블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조립시간 및 제조비용을 절감한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일정길이의 판재 한 쌍을 일정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판재를 절곡하는 단계; 절곡된 판재를 서로 용접하여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테이블 상판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에 다리를 형성하기 위한 각 파이프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 한 쌍을 일정형태로 가공하는 단계는, 프레임의 가로와 세로를 형성하도록 두 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부분은 프레임의 상부면을 형성하여 테이블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의 하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판부로 구성되도록 가공하고, 상기 상판부는, 테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피스 고정홀이 형성되는 상판부 본체와, 상판부 본체가 90°로 절곡되는 경우 경사면이 서로 접촉하여 용접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 본체의 양단에 45°로 경사져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측면부와의 절곡을 위한 상판부 길이방향 절곡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는, 측면부 본체와, 상기 하판부와의 절곡을 위한 측면부 길이방향 절곡선과, 상기 측면부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파이프 피스 고정홀과, 양측의 측면부가 절곡되는 폭방향 절곡선과, 상기 측면부 본체의 양단이 절곡시 서로 접촉하여 용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용접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부는, 하판부 본체와, 상기 하판부 본체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판부 본체의 형태에 의한 질량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하여 강성을 크게 함과 아울러 판재에 손을 베는 등의 사용자의 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강성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판부 길이방향 절곡선과, 상기 하판부 본체의 양단에 상기 측면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각파이프가 삽입되는 사각홀을 형성하기 위해 90°의 각도로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하판부 길이방향 절곡선에 의해 상부로 절곡되는 부분인 강성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테이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판재를 절곡하는 단계는, 상기 상판부 길이방향 절곡선과 상기 측면부 길이방향 절곡선과 상기 하판부 길이방향 절곡선을 따라 절곡하여 상판부와 측면부와 하판부 및 강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의 폭방향 절곡선을 절곡하여 상기 상판부의 경사면과 상기 측면부의 용접면이 서로 접촉하게 하고, 상기 하판부의 단턱부가 절곡되어 상기 각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한 사각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절곡된 판재를 용접하여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는, 서로 접촉하는 상기 경사면과, 서로 접촉하는 상기 용접면을 용접함으로써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각파이프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사각홀에 각파이프를 삽입하고, 피스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프레임과 상기 각파이프를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된 프레임과 각파이프를 도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테이블 상판과, 상기 테이블 상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사각 프레임과, 상기 사각 프레임에 결합되는 각파이프로 구성되는 조립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사각 프레임은, 가로 부분과 세로 부분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은,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절곡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와 같은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는 하판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부는, 테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피스 고정홀이 형성되는 상판부 본체와, 상판부 본체가 90°로 절곡되는 경우 경사면이 서로 접촉하여 용접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 본체의 양단에 45°로 경사져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는, 측면부 본체와, 상기 측면부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파이프 피스 고정홀과, 양측 측면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폭방향 절곡선과, 상기 측면부 본체의 양단이 절곡시 서로 접촉하여 용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용접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부는, 하판부 본체와, 상기 하판부 본체의 양단에 상기 측면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각파이프가 삽입되는 사각홀을 형성하기 위해 90°의 각도로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하판부 본체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판부 본체의 형태에 의한 질량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하여 강성을 크게 함과 아울러 판재에 손을 베는 등의 사용자의 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판부 본체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부분인 강성부로 구성되고, 상기 사각홀에 상기 각파이프가 장착되어 다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테이블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은 테이블을 조립하기 위한 구성들을 단순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테이블의 조립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형 테이블의 제조방법을 제시하여 구성의 단순화를 통해 테이블을 조립하기 위한 구성 부품을 획기적으로 줄였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구나 쉽게 테이블을 조립할 수 있음과 아울러, 테이블의 강도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판재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판재를 일정형태로 가공한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판재를 일정형태로 가공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일정형태로 가공된 판재의 일실시예를 절곡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일정형태로 가공된 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절곡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일정형태로 가공된 판재의 일실시예를 용접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일정형태로 가공된 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용접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의 프레임에 각파이프를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서 테이블 상판을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조립형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판재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판재를 일정형태로 가공한 일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판재를 일정형태로 가공한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일정형태로 가공된 판재의 일실시예를 절곡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일정형태로 가공된 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절곡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일정형태로 가공된 판재의 일실시예를 용접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 사용되는 일정형태로 가공된 판재의 다른 실시예를 용접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의 프레임에 각파이프를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테이블에서 테이블 상판을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조립형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판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가진 판재(10)를 일정형태로 가공하여 도 2 또는 도 3의 판재로 제작한다. 일정형태로 가공하는 방법은 직접가공, 사출가공, NC가공, 프레스 가공 또는 레이저 가공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일정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작방법의 선택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불과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일정형태로 가공된 판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형태로 가공된 판재(100)는 측면부(120)의 가로 부분과 세로 부분이 폭방향 절곡선(124)으로 나누어진다. 폭방향 절곡선(124)에서 두 부분은 서로 절곡된다. 각 부분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각 부분을 살펴보면, 상판부(110)와, 상판부(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부(120)와, 측면부(120)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판부(130)로 구성된다. 절곡된 후에 상판부(110)와 측면부(120) 및 하판부(130)는 'ㄷ'형태가 될 수 있다. 상판부(110)는 테이블 상판(30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상판부(110)의 양단은 45°로 경사진 경사면(112)이 형성되고, 상판부 본체(111)에는 테이블 상판(300)을 피스(piece)로 고정하기 위한 피스 고정홀(113)이 다수 형성되고, 측면부(120)와 절곡을 위해 형성되는 상판부 길이방향 절곡선(114)이 형성된다. 상판부(110)의 양단은 45°의 경사면이 있어서 상판부(110)가 절곡된 후에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이 폭방향 절곡선(124)을 따라 절곡되는 경우 가로부분 및 세로부분 경사면(112)은 서로 접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판부(110)의 하부측에 일체로 측면부(120)가 형성된다. 측면부(120)는 절곡되어 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경우 프레임의 측면부를 형성한다. 측면부(120)는 측면부 본체(121)와, 하판부(130)와 절곡을 위한 하판부 길이방향 절곡선(122)과, 본체(121)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파이프 피스 고정홀(123)과,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이 절곡되는 폭방향 절곡선(124)과,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이 서로 용접되는 용접면(125)으로 구성된다. 측면부(120)의 하부측에 일체로 하판부(130)가 형성된다. 하판부(130)는 하판부 본체(131)와, 본체의 형태에 의한 질량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하여 강성을 크게 함과 아울러 판재에 손을 베는 등의 사용자의 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로 절곡하기 위한 하판부 길이방향 절곡선(133)과, 하판부 본체(131)의 양단에 측면부(120)보다 짧게 형성되어 사각홀을 형성하기 위한 단턱부(132)와, 하판부 길이방향 절곡선(133)에 의해 절곡되는 부분인 강성부(134)로 구성된다. 절곡은 우선 상판부(110)와 측면부(120)와의 절곡이 이루어지고, 다음으로 측면부(120)와 하판부(130)의 절곡이 이루어진다. 하판부(130)의 강성부(134)를 절곡해야 하는 경우는 먼저 하판부(130)의 강성부(134)를 절곡한 후에 측면부(120)와 하판부(130)를 절곡한다. 다음으로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을 절곡하기 위한 절곡선(124)을 따라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을 절곡하여 절곡을 마무리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가로부분과 세로부분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가공 판재(100)가 한 세트가 된다. 2개의 가공 판재(100)는 절곡된 후 프레임(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의 일정형태로 가공된 판재(100')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의 가공판재(100)는 한 쌍의 가로부분과 한 쌍의 세로부분을 동시에 형성한 예이다. 따라서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이 절곡되는 폭방향 절곡선(124)은 세 곳에 형성되고,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이 절곡되어 접촉하는 용접면(125)은 한 곳만 형성된다.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을 형성하는 상판부(110)와, 측면부(120) 및 하판부(130)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의 경우는, 먼저 상판부(110)와 측면부(120) 및 하판부(130)를 절곡하고,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이 만나는 세 곳의 폭방향 절곡선(124)을 절곡하여 프레임(10')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도 4는 도 2의 일실시예의 프레임(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이 절곡된 판재(100)에 프레임의 가로와 세로를 형성하고, 절곡된 동일한 판재(100) 두 개가 한 세트가 되어 서로 용접됨으로써 프레임(10)을 형성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의 두 부분의 단턱부(132)가 서로 폭방향 절곡선(124)에 의해 절곡됨으로써 각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사각홀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부(134)가 형성되는 경우 사각홀은 내측으로 개방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의 프레임(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판재(100')로 세 곳의 폭방향 절곡선(124)에서 절곡하여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을 모두 형성한 프레임(10')을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의 양단부인 용접면(125)을 용접함으로써 프레임(10')을 형성하게 된다. 폭방향 절곡선(124)에 따라 판재(100')가 절곡됨으로써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의 단턱부(132)는 사각홀을 형성하게 된다.
도 6은 프레임(10)의 일실시예에 대한 용접(W)으로 프레임(10)을 완성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되는 부분은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이 절곡됨으로써 경사면(112)이 서로 접촉하게 되는데, 서로 접촉하는 경사면(112)을 용접(W)하게 된다. 경사면(112)이 용접됨에 따라서 프레임의 강도는 더 크지게 된다. 또한, 두 개의 판재(100)가 서로 만나서 프레임을 형성하는 부분인 용접면(125)이 용접(W)되어 프레임(10)을 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용접되는 포인트는 6 곳이 된다.
도 7은 프레임(1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용접(W)으로 프레임(10')을 완성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12)이 접촉하는 부분과 판재(100')의 양 단부가 만나는 용접면(125)에서 용접(W)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 용접되는 포인트는 5곳이 된다. 용접으로 인해 프레임(10')의 강도가 크지게 되고, 또한 프레임(10')의 형태가 고정된다.
도 8은 프레임(10, 10')에 각파이프(20)를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에 형성되는 피스 고정홀(123)과 각파이프(20)에 형성된 피스 고정홀(22)을 통해 피스(126)가 체결되어 프레임(10, 10')에 각파이프(20)를 고정하게 된다. 각파이프(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각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L'자형 또는 'ㄷ'자형의 각 파이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각 파이프(20)는 각 파이프 본체(21)와 피스 고정홀(22)로 이루어진다. 각 파이프(20)의 단부에는 발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각 파이프(20)와 프레임(10, 10')은 체결전에, 프레임(10, 10')과 각파이프(20)를 세척하는 단계와, 세척된 프레임(10, 10')과 각파이프(20)를 도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세척은 도색을 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물로 세척하거나 다른 용제로 세척을 할 수 있다. 또한, 세척 후에는 프레임과 각파이프에 프라이머를 바른 후에 원하는 색상으로 도색을 할 수 있다.
도 9는 프레임(10, 10')과 각파이프(20)가 조립된 상태에서 테이블 상판(30)을 피스(115)를 이용하여 장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테이블 상판(30)은 도색 후에 조립하거나 조립 후에 도색을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각 파이프(20)를 결합한 후에 테이블 상판(30)을 결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품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테이블 상판(30)을 프레임(10, 10')에 결합한 후,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소에서 각 파이프(20)를 장착하여 테이블 조립을 완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립 순서를 변경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에 불과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조립 방법에 따라 조립된 조립형 테이블(1)을 도시하고 있다. 조립형 테이블(1)은 다양한 순서에 따라 조립할 수 있으며, 순서에 상관없이 조립이 완성될 수도 있다.
도 10의 조립형 테이블(1)은, 테이블 상판(30)과, 상기 테이블 상판(30)의 저면에 결합되는 사각 프레임(10, 10')과, 상기 사각 프레임(10, 10')에 결합되는 각파이프(20)로 구성된다. 사각 프레임(10, 10')은, 가로 부분과 세로 부분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은, 상판부(110)와, 상기 상판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절곡되는 측면부(120)와, 상기 측면부(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110)와 같은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는 하판부(130)로 구성된다. 상판부(110)는,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의 단부는 45°의 경사면(112)을 이루어 서로 접촉하고, 하판부(130)는, 측면부(120)보다 일정거리 짧게 형성되는 단턱부(132)로 이루어지고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이 절곡되면서 두 단턱부(132)가 사각홀을 형성하게 된다. 사각홀에 각파이프(20)가 장착되어 다리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하판부는, 상부 수직 방향으로 더 절곡될 수 있는데, 상부로 한번 더 절곡됨으로써, 강성을 크게 하고 사용자의 손이 베이는 등의 위험성이 없기 때문에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 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 : 조립형 테이블
10, 10' : 프레임
20 : 각파이프
30 : 테이블 상판
100, 100' : 일정형태로 가공된 판재
110 : 상판부 120 : 측면부
130 : 하판부

Claims (11)

  1.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일정길이의 판재 한 쌍을 일정형태로 가공하는 단계; 상기 가공된 판재를 절곡하는 단계; 절곡된 판재를 서로 용접하여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테이블 상판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에 다리를 형성하기 위한 각 파이프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 한 쌍을 일정형태로 가공하는 단계는, 프레임의 가로와 세로를 형성하도록 두 부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 부분 중 각 부분은 프레임의 상부면을 형성하여 테이블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의 하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판부로 구성되도록 가공하고,
    상기 상판부는, 테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피스 고정홀이 형성되는 상판부 본체와, 상판부 본체가 90°로 절곡되는 경우 경사면이 서로 접촉하여 용접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 본체의 양단에 45°로 경사져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측면부와의 절곡을 위한 상판부 길이방향 절곡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는, 측면부 본체와, 상기 하판부와의 절곡을 위한 측면부 길이방향 절곡선과, 상기 측면부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파이프 피스 고정홀과, 양측의 측면부가 절곡되는 폭방향 절곡선과, 상기 측면부 본체의 양단이 절곡시 서로 접촉하여 용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용접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부는, 하판부 본체와, 상기 하판부 본체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판부 본체의 형태에 의한 질량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하여 강성을 크게 함과 아울러 판재에 손을 베는 등의 사용자의 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강성부를 형성하기 위한 하판부 길이방향 절곡선과, 상기 하판부 본체의 양단에 상기 측면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각파이프가 삽입되는 사각홀을 형성하기 위해 90°의 각도로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하판부 길이방향 절곡선에 의해 상부로 절곡되는 부분인 강성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테이블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를 절곡하는 단계는,
    상기 상판부 길이방향 절곡선과 상기 측면부 길이방향 절곡선과 상기 하판부 길이방향 절곡선을 따라 절곡하여 상판부와 측면부와 하판부 및 강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의 폭방향 절곡선을 절곡하여 상기 상판부의 경사면과 상기 측면부의 용접면이 서로 접촉하게 하고,
    상기 하판부의 단턱부가 절곡되어 상기 각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한 사각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테이블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된 판재를 서로 용접하여 프레임을 형성하는 단계는,
    서로 접촉하는 상기 경사면과, 서로 접촉하는 상기 용접면을 용접함으로써 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테이블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파이프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사각홀에 각파이프를 삽입하고, 피스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테이블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각파이프를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된 프레임과 각파이프를 도색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테이블 제조방법.
  10. 테이블 상판과, 상기 테이블 상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사각 프레임과, 상기 사각 프레임에 결합되는 각파이프로 구성되는 조립형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사각 프레임은, 가로 부분과 세로 부분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부분과 세로부분은,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절곡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와 같은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는 하판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부는, 테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피스 고정홀이 형성되는 상판부 본체와, 상판부 본체가 90°로 절곡되는 경우 경사면이 서로 접촉하여 용접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부 본체의 양단에 45°로 경사져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부는, 측면부 본체와, 상기 측면부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파이프 피스 고정홀과, 양측 측면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폭방향 절곡선과, 상기 측면부 본체의 양단이 절곡시 서로 접촉하여 용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용접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부는, 하판부 본체와, 상기 하판부 본체의 양단에 상기 측면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각파이프가 삽입되는 사각홀을 형성하기 위해 90°의 각도로 형성되는 단턱부와, 상기 하판부 본체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판부 본체의 형태에 의한 질량 관성 모멘트를 크게 하여 강성을 크게 함과 아울러 판재에 손을 베는 등의 사용자의 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판부 본체에서 상부로 절곡된 부분인 강성부로 구성되고,
    상기 사각홀에 상기 각파이프가 장착되어 다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테이블.
  11. 삭제
KR1020180068561A 2018-06-15 2018-06-15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 KR101964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561A KR101964440B1 (ko) 2018-06-15 2018-06-15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561A KR101964440B1 (ko) 2018-06-15 2018-06-15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440B1 true KR101964440B1 (ko) 2019-07-31

Family

ID=6747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561A KR101964440B1 (ko) 2018-06-15 2018-06-15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4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958B1 (ko) * 2019-11-28 2020-04-01 주식회사 우드메탈 용접이 필요 없는 파이프 철 구조의 결합 체계를 갖는 멀티 테이블
KR20210004692A (ko) * 2019-07-05 2021-01-13 김은선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KR102347574B1 (ko) * 2021-07-01 2022-01-06 이정관 다리 분리형 테이블
CN114227170A (zh) * 2021-12-23 2022-03-25 广东奥菱电梯有限公司 一种井道框架的副轨横支架制造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050A (ko) * 2002-06-14 2002-07-04 현대기전 주식회사 금속박스용 프레임
KR200323673Y1 (ko) * 2003-05-14 2003-08-21 박용주 조립식 진찰대
KR101415056B1 (ko) 2013-06-20 2014-08-06 고운길 조립식 테이블
KR101511373B1 (ko) 2015-01-12 2015-04-09 (주)캠퍼스라인 지지력을 강화한 조립식 테이블
KR101531812B1 (ko) 2015-03-13 2015-06-25 (주)대우가구 조립형 테이블
JP2015142679A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岡村製作所 脚体及びテーブル
KR101803689B1 (ko) 2017-09-21 2017-12-28 이상걸 테이블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050A (ko) * 2002-06-14 2002-07-04 현대기전 주식회사 금속박스용 프레임
KR200323673Y1 (ko) * 2003-05-14 2003-08-21 박용주 조립식 진찰대
KR101415056B1 (ko) 2013-06-20 2014-08-06 고운길 조립식 테이블
JP2015142679A (ja) * 2014-01-31 2015-08-06 株式会社岡村製作所 脚体及びテーブル
KR101511373B1 (ko) 2015-01-12 2015-04-09 (주)캠퍼스라인 지지력을 강화한 조립식 테이블
KR101531812B1 (ko) 2015-03-13 2015-06-25 (주)대우가구 조립형 테이블
KR101803689B1 (ko) 2017-09-21 2017-12-28 이상걸 테이블 조립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692A (ko) * 2019-07-05 2021-01-13 김은선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KR102280483B1 (ko) * 2019-07-05 2021-07-21 김은선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KR102095958B1 (ko) * 2019-11-28 2020-04-01 주식회사 우드메탈 용접이 필요 없는 파이프 철 구조의 결합 체계를 갖는 멀티 테이블
KR102347574B1 (ko) * 2021-07-01 2022-01-06 이정관 다리 분리형 테이블
CN114227170A (zh) * 2021-12-23 2022-03-25 广东奥菱电梯有限公司 一种井道框架的副轨横支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440B1 (ko) 조립형 테이블 및 그 테이블 제조방법
KR920004234A (ko) 대형구조물 모듈 프레임워크, 모듈 프레임 워크 조립방법과 장치 및, 모듈 프레임 워크용 커플러
CN111715972B (zh) 用于框架模板面板的承载结构
JP6731726B2 (ja) 複合卓上板の構造
CN215983170U (zh) 一种新型空调箱体型材结构
KR102003181B1 (ko) 절곡 판재 형상의 다리프레임을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200473695Y1 (ko) 일체형 하부체결구조를 가지는 테이블
KR101440044B1 (ko) 가구 하부프레임
KR20100013457A (ko) 조립형 랙의 프레임 접속장치
KR101440045B1 (ko) 가구 하부프레임
CN212415086U (zh) 一种组装式桌架以及办公桌
KR200494494Y1 (ko)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KR101952514B1 (ko) 다목적 접이식 작업테이블
JP2959401B2 (ja) 支柱取付け部材および支柱取付け部材使用の枠組棚
KR101440034B1 (ko) 가구 하부프레임
JPH022007Y2 (ko)
KR102280483B1 (ko)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CN209733007U (zh) 一种拼接架体
KR101440043B1 (ko) 가구 하부프레임
CN111405805B (zh) 结构件连接结构、机柜及其支撑架
CN211533666U (zh) 一种连接稳固性更好的货架
CN211253356U (zh) 一种折叠包装箱
CN208293751U (zh) 一种具有抗震性能的钢结构
CN217853776U (zh) 一种稳固的骨架型材
KR200404125Y1 (ko) 조립형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