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289B1 -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289B1
KR101964289B1 KR1020170116796A KR20170116796A KR101964289B1 KR 101964289 B1 KR101964289 B1 KR 101964289B1 KR 1020170116796 A KR1020170116796 A KR 1020170116796A KR 20170116796 A KR20170116796 A KR 20170116796A KR 101964289 B1 KR101964289 B1 KR 101964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loading
raw material
segrega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356A (ko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1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28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F27D3/026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transport or conveyor rolls for furnaces; roller r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62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using devices for tilting or rocking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83Means for stirring the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입 장치는, 소결 배합원료를 저장하는 서지호퍼, 배합원료를 하방으로 공급하는 공급기, 배합원료를 소결기 대차로 장입하는 다수개의 장입롤, 및 편석을 증가시키기 위한 편석 증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RAW MATERIALS FEE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SINTER ORE,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공장에서는 소결광 제조용 원료(이하, 배합원료)를 장입 장치를 이용하여 소결기 대차 내 장입하여 소결광을 제조한다.
종래의 소결광 제조공정은 통상 8mm 이하의 분철광석과 반광, 그리고 부원료인 석회석과 생석회, 연료인 분코크스와 무연탄 등을 혼합한 배합원료를 1, 2차 드럼 믹서를 이용하여 물과 혼합 및 조립과정을 거친 후 서지호퍼에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배합원료는 서지호퍼 하부에 설치된 드럼형 절출기의 회전에 의해 서지호퍼의 하단부 설치된 주 게이트, 및 보조 게이트를 거쳐 소결기 대차 내 배합원료를 공급한다.
드럼형 절출기에서 소결기 대차 내 생산과 품질을 고려하여 균일 장입하기 위해서는 공급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공급장치를 통상 장입 장치라 말하며, 장입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장입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결 과정에서는 소결기 대차 내 배합원료의 장입 공정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장입이 이루어지고 나면 흡인 소성과정이 곧바로 이루어지는데 통상 동일한 소결 완료점 제어를 실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소결광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더더욱 장입 공정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위 면적당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입 층후를 높게 유지할 필요성이 있으나, 층후를 높이게 되면 통기성이 나빠져 소결기 속도를 낮춰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장입 공정에서 배합원료의 큰 입자일수록 하층부로 유도하고, 가는 입자일수록 상층부로 유도하여 수직 편석을 강화하는 것이 통기성은 물론 원료 입자들 간의 반응도에서도 최상인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므로, 소결광 제조 분야에서는 원료의 장입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각적으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는 주로 상기 장입 장치 또는 장입 방법의 개선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합원료를 소결기 대차 내에 장입 시 입자간 분급율을 증대하여 소결기 대차 내 장입시 수직 편석도를 증대하기 위한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는, 소결 배합원료를 저장하는 서지호퍼와, 서지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합원료를 하방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는 공급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합원료를 소결기 대차로 장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장입롤, 및 공급기와 장입롤의 사이에 제공되어 편석을 증가시키기 위한 편석 증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편석 증대부는 장입롤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합원료를 상기 장입롤로 낙하시키기 위한 편석 증대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장입롤의 각 장입롤간 간격은 5~10mm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다수의 장입롤과 소결기 대차가 이루는 각도는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다수의 장입롤의 최상단부에는 편석 증대롤을 통하여 낙하되는 배합원료를 장입롤로 흘러내리게 하기 위한 리시브 롤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리시브 롤의 직경은 장입롤의 직경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장입롤의 하단부에는 진동체가 고정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진동체에는 진동 부가 장치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진동체의 하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프레임이 설치되고, 진동체와 프레임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프레임에 제공되어 소결기 대차에 대한 진동체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각도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각도 조정부는 프레임과 제1 힌지부재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 및 프레임과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류 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스크류 잭의 일단부는 프레임과 제2 힌지부재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고, 스크류 잭의 타단부는 받침대와 제3 힌지부재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받침대와 상기 프레임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스크류 잭에 의하여 예각 범위 내로 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방법은, 서지호퍼에 저장된 배합원료를 공급기로 공급하는 배합원료 공급 단계를 포함한다.
공급기로 공급된 배합원료를 공급기의 하부에 설치된 편석 증대롤로 낙하시켜 배합원료의 편석을 증대시키는 편석 증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석 증대롤의 회전력에 의하여 배합원료를 편석 증대롤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장입롤로 장입하는 배합원료 장입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장입롤에 설치된 진동체의 진동에 의하여 장입롤 상부를 배합원료가 구동하면서 흘러 내려 배합원료를 입자별로 분급시키는 배합원료 입자 분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급된 입자별로 상기 장입롤의 하부에 설치된 소결기 대차 내부에 적층되는 배합원료 적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합원료 입자 분급 단계는 진동체에 진동을 부가하는 진동 부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합원료 입자 분급 단계는 장입롤과 소결기 대차가 이루는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정 단계에서 상기 장입롤과 상기 소결기 대차가 이루는 각도는 40~60도 범위 내인 것일 수 있다.
배합원료 입자 분급 단계는 진동체의 진동을 방진 또는 감쇄하는 진동 방진 및 감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공급기 하부에 편석 증대롤을 추가함으로써, 장입 수직 편석도를 향상시켜 소결광 품질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에서 배합원료의 편석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에서 배합원료의 편석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는 소결 배합원료를 저장하는 서지호퍼(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지호퍼(100)의 하부에는 서지호퍼(100)에 저장된 배합원료를 서지호퍼(100)의 하방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기(feeder)(200)가 설치될 수 있다.
서지호퍼(100)의 하단부에는 공급기(200)에 배합원료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110)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공급기(200)는 회전에 의하여 배합원료를 그 하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드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기(200)의 하부에는 공급기(200)로부터 공급되는 배합원료를 소결기 대차(10)로 낙하시켜 장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장입롤(300)이 설치될 수 있다.
다수개의 장입롤(300)은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정회전(시계 방향 회전) 또는 역회전(반시계 방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급기(200)와 장입롤(300)의 사이에는 편석을 증가시키기 위한 편석 증대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편석 증대부(400)는 장입롤(300)의 상부에 설치되고, 공급기(200)로부터 공급되는 배합원료를 낙광의 발생 없이 장입롤(300)로 낙하시키기 위한 편석 증대롤(410)을 포함할 수 있다.
편석 증대롤(410)의 내마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경도를 초과하는 표면 처리 작업이 실행될 수 있다.
편석 증대부(400)는 편석 증대롤(410)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편석 증대롤(410)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석 증대롤(410)에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동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방향은 도 1에서 좌우 방향을 가리키며, 수직 방향은 도 1에서 상하 방향을 가리킨다.
다수개의 장입롤(300)은 통상 직경 150mm 정도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경 100mm 미만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수개의 장입롤(300)의 내마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경도 55~60을 초과하는 표면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다수개의 장입롤(300)의 양측면에는 장입롤(300)의 용이한 회전을 위하여 베어링(320)이 설치될 수 있다.
다수개의 장입롤(300)에는 각 장입롤(300)을 정회전(시계 방향 회전) 또는 역회전(반시계 방향 회전)시켜 주기 위한 구동장치(미도시)가 설치되고, 구동장치(미도시)는 장입롤(300)의 회전수를 조정할 수 있다.
다수개의 장입롤(300)과 소결기 대차(10)가 이루는 각도는, 편석 증대롤(410)로부터 소결기 대차(10) 내에 소결 배합원료의 장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의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장입롤(300)의 각 장입롤(300)간 간격은 이 간격(틈새)로 낙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5~10mm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입롤(300)의 최상단부에는 편석 증대롤(310)을 통하여 낙하되는 배합원료를 장입롤(300)로 흘러내리게 하기 위한 리시브 롤(310)이 설치될 수 있다.
편석 증대롤(410)은 공급기(200)로부터 공급되는 배합원료를 낙광의 발생 없이 리시브 롤(310)에 전달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리시브 롤(310)은 다수의 장입롤(300)의 직경보다 큰 200~250mm의 직경을 갖는데, 그 이유는 편석 증대롤(410)에서 배합원료가 낙하되어 마모가 제일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장입롤(300)의 하단부에는 장입롤(300)에 진동을 부가할 수 있는 진동체(50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진동체(500)는 비틀림이 없는 눈목(目)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진동체(500)의 하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프레임(600)이 설치되고, 진동체(500)에는 진동체(500)에 진동을 부가하기 위한 진동 부가 장치(610)가 설치될 수 있다.
진동 부가 장치(610)는 동력원을 전기 또는 전자력을 이용한 가진력 200kg을 초과하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600)은 진동체(500)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제작될 수 있지만, 진동체와 다른 형상과 다른 크기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진동체(500)와 프레임(600)의 사이에는 진동체(500)의 진동을 방진 또는 감쇄하기 위한 스프링(620)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620)은 진동체(500)의 진동을 용이하게 방진 또는 감쇄할 수 있도록 브라켓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600)에는 소결기 대차(10)에 대한 진동체(500)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각도 조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정부(700)는 프레임(600)과 제1 힌지부재(711)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710), 및 프레임(600)과 받침대(710) 사이에 설치되어 받침대(710)와 프레임(600)이 이루는 각도(θ)를 조절하기 위한 스크류 잭(72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잭(720)의 일단부는 프레임(600)과 제2 힌지부재(721)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고, 스크류 잭(720)의 타단부는 받침대(710)와 제3 힌지부재(723)에 의하여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 힌지부재(721)는 스크류 잭(720)의 용이한 각도 조정을 위하여, 제1 힌지부재(711)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진동 부가 장치(610)보다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힌지부재(721)는 스크류 잭(720)의 보다 용이한 각도 조정을 위하여 프레임(600)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상부쪽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힌지부재는 스크류 잭(720)의 용이한 각도 조정을 위하여, 받침대(710)의 일단부(도 2에서 표면 우측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받침대(710)와 프레임(600)이 이루는 각도(θ)는 스크류 잭(720)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의 예각, 예컨대, 40~60도 범위 내로 조정될 수 있다.
받침대(710)의 하단부에는 받침대(710)의 이동을 위한 다수개의 휠(713)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받침대(710)의 휠(713)은 이동레일(730) 상에 전, 후 방향(도 1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20은 점화로를 가리키며, 30은 풍상을 가리키며, 40은 메인덕트를 가리키며, 50은 컷 오브 플레이트를 가리킨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는, 서지호퍼(100)에 저장된 배합원료가 드럼형 공급기(200)에 의해 공급기(200)의 하부로 배광된다.
공급기(200)로부터 공급되는 배합원료는 공급기(200)의 하부에 설치된 편석 증대부(400)의 편석 증대롤(410)로 자유 낙하된다.
그리고, 편석 증대롤(410)로 자유 낙하된 배합원료는, 편석 증대롤(410)의 회전력에 의해 다수개의 장입롤(300)의 최상단에 위치한 리시브 롤(310)에 흘러내리도록 유도된다.
리시브 롤(310)의 최상단에 배합원료가 접촉되면서 집중적으로 마모가 발생되므로 다수개의 장입롤(300) 중 최상단의 리시브 롤(310)은 장입롤(3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제작된다.
또한, 다수개 장입롤(300)은 소결기 대차(10)에 대하여 40~60도 범위의 예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장입롤(300)에 진동을 부가하기 위해 진동체(500) 위에 장입롤(300)이 안착되어 있다.
장입롤(300)의 각도 조정은 각도 조정부(70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도 조정부(700)의 스크류 잭(720)을 예컨대, 일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2 힌지부재(721)와 제3 힌지부재(723)의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600)과 받침대(710)가 이루는 각도(θ)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각도 조정부(700)의 스크류 잭(720)을 예컨대, 타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2 힌지부재(721)와 제3 힌지부재(723)의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600)과 받침대(710)가 이루는 각도(θ)가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리시브 롤(310)에 유도된 배합원로는 다수개의 장입롤(300)의 상부로 유도된다.
따라서, 회전하는 다수개의 장입롤(300) 상부에서 배합원료가 회전하면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고 다수개의 장입롤의 상부로부터 하부쪽으로 흘러 내리게 된다.
이때, 진동 부가 장치(610)에 의하여 진동체(500)에 진동이 부가되므로, 진동체(500)의 진동에 의하여 다수개의 장입롤(300)에 진동이 부가된다.
다수개의 장입롤(300)에 진동이 부가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된 진동에 의해 다수개의 장입롤(300)로 유도된 배합원료의 가는 입자는 아래로 모이고, 배합원료의 큰 입자는 상부에 유도된다.
또한, 배합원료의 큰 입자는 다수개의 장입롤(300) 상부에서 구동 시 구동(이동) 속도가 증가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다수개의 장입롤(300)의 최하단까지 흘러내리게 되는 것이다.
즉, 배합원료의 큰 입자는 배합원료의 작은 입자보다 구동(이동) 속도가 증가하여 배합원로의 큰 입자가 먼저 소결기 대차(10) 내에 도달하여 소결기 대차(10) 내의 하부에 적층된다.
그리고, 배합원료의 가는 입자는 배합원료의 큰 입자보다 늦게 소결기 대차(10) 내에 도달하게 되므로, 소결기 대차(10) 내의 상부, 즉 배합원료의 큰 입자의 적층부 위에 적층된다.
따라서, 소결기 대차(10) 내 적층될 때에는 하층부는 배압원료의 큰 입자가 형성되고, 상층부는 배합원료의 가는 입자가 형성되어 최적의 입도별 장입으로 적층된다.
그러므로, 베드 내 통기성 및 원료층 내에서 열전달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급기(200) 하부에 편석 증대롤(410)을 추가함으로써, 다수개의 장입롤(300) 상부에서의 배합원료 구동거리가 짧아져 입자별 분급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장입롤의 수량이 적어 배합원료 구동 시 체분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장입 수직 편석도를 향상시켜 소결광 품질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방법은 하기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사항 이외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에서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방법은, 서지호퍼(100)에 저장된 배합원료를 공급기(200)로 공급하는 배합원료 공급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기(200)로 공급된 배합원료를 공급기(200)의 하부에 편석 증대롤(410)로 낙하시켜 배합원료의 편석을 증대시키는 편석 증대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편석 증대롤(410)의 회전력에 의하여 배합원료를 편석 증대롤(410)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장입롤(300)로 장입하는 배합원료 장입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개의 장입롤(300)에 설치된 진동체(500)의 진동에 의하여 장입롤(300) 상부를 배합원료가 구동하면서 일정한 두께를 형성하고 흘러 내려 배합원료 입자별로 분급시키는 배합원료 입자 분급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합원료 입자 분급 단계(S40)에서 분급된 입자별로 장입롤(300)의 하부에 설치된 소결기 대차 내부에 분급 적층되는 배합원료 적층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합원료 입자 분급 단계(S40)는 진동체(500)에 설치된 진동 부가 장치(610)에 의하여 진동체(500)에 일정한 크기의 진동을 부가하는 진동 부가 단계(S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합원료 입자 분급 단계(S40)는 배합원료의 입자 분급과 흘러 내림을 위하여 장입롤과 소결기 대차가 이루는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단계(S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합원료 입자 분급 단계(S40)는 진동체(500)와 프레임(60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620)에 의하여 진동체(500)의 진동을 방진 또는 감쇄하는 진동 방진 및 감쇄 단계(S43)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정 단계(S42)에서 장입롤(300)과 소결기 대차(10)가 이루는 각도는 배합원료의 원활한 입자 분급과 용이한 흘러 내림을 위하여 일정한 각도의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입롤(300)과 소결기 대차(10)가 이루는 각도는 프레임(600)과 받침대(710) 사이에 설치된 스크류 잭(720)에 의하여 예컨대, 40~60도 범위 내로 조정될 수 있다.
100: 서지호퍼
200: 공급기
300: 장입롤
400: 편석 증대부
500: 진동체
600: 프레임
700: 각도 조정부

Claims (18)

  1. 소결 배합원료를 저장하는 서지호퍼,
    상기 서지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합원료를 하방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기,
    상기 공급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합원료를 소결기 대차로 장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장입롤, 및
    상기 공급기와 상기 장입롤의 사이에 제공되어 편석을 증가시키기 위한 편석 증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장입롤의 하단부에는 진동체가 고정 설치되는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석 증대부는 상기 장입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합원료를 상기 장입롤로 낙하시키기 위한 편석 증대롤을 포함하는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장입롤의 각 장입롤간 간격은 5~10mm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장입롤과 상기 소결기 대차가 이루는 각도는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장입롤의 최상단부에는 상기 편석 증대롤을 통하여 낙하되는 배합원료를 장입롤로 흘러내리게 하기 위한 리시브 롤이 설치되는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브 롤의 직경은 상기 장입롤의 직경보다 큰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에는 진동 부가 장치가 설치되는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의 하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진동체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어 상기 소결기 대차에 대한 상기 진동체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각도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부는 상기 프레임과 제1 힌지부재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류 잭을 포함하는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잭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과 제2 힌지부재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 잭의 타단부는 상기 받침대와 제3 힌지부재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는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상기 프레임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스크류 잭에 의하여 예각 범위 내로 조정되는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14. 서지호퍼에 저장된 배합원료를 공급기로 공급하는 배합원료 공급 단계
    상기 공급기로 공급된 배합원료를 공급기의 하부에 설치된 편석 증대롤로 낙하시켜 배합원료의 편석을 증대시키는 편석 증대 단계,
    상기 편석 증대롤의 회전력에 의하여 배합원료를 편석 증대롤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장입롤로 장입하는 배합원료 장입 단계,
    상기 장입롤에 설치된 진동체의 진동에 의하여 상기 장입롤 상부를 배합원료가 구동하면서 흘러 내려 배합원료를 입자별로 분급시키는 배합원료 입자 분급 단계, 및
    상기 분급된 입자별로 상기 장입롤의 하부에 설치된 소결기 대차 내부에 적층되는 배합원료 적층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원료 입자 분급 단계는 상기 진동체에 진동을 부가하는 진동 부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방법.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원료 입자 분급 단계는 상기 장입롤과 상기 소결기 대차가 이루는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 단계에서 상기 장입롤과 상기 소결기 대차가 이루는 각도는 40~60도 범위 내인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원료 입자 분급 단계는 상기 진동체의 진동을 방진 또는 감쇄하는 진동 방진 및 감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방법.
KR1020170116796A 2017-09-12 2017-09-12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 KR101964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796A KR101964289B1 (ko) 2017-09-12 2017-09-12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796A KR101964289B1 (ko) 2017-09-12 2017-09-12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356A KR20190029356A (ko) 2019-03-20
KR101964289B1 true KR101964289B1 (ko) 2019-04-01

Family

ID=6603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796A KR101964289B1 (ko) 2017-09-12 2017-09-12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1948B (zh) * 2020-09-22 2023-07-25 中冶长天国际工程有限责任公司 烧结燃料偏析布料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1538A (ja) * 2004-03-31 2005-10-20 Jfe Steel Kk 焼結原料の装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2360B2 (ja) * 1997-03-24 2005-03-2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焼結機の原料装入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2792113B (zh) * 2010-03-12 2014-11-05 新日铁住金株式会社 烧结机的原料装入装置
KR101820685B1 (ko) * 2015-10-22 2018-01-23 (주)포스코 소결광 원료 장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1538A (ja) * 2004-03-31 2005-10-20 Jfe Steel Kk 焼結原料の装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356A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37591U (zh) 一种风力选砂设备
US201202800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a milled product
KR101964289B1 (ko) 소결광 제조용 배합원료 장입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6052B1 (ko) 원료의 장입장치 및 장입방법
CN205820279U (zh) 一种振动喂料装置
KR101751286B1 (ko) 원료 장입장치
KR101719517B1 (ko) 원료 장입 장치
KR101375561B1 (ko) 소결 롤의 갭 차이를 이용한 장입 장치
CN103206859A (zh) 一种烧结机偏析布料装置及其偏析布料方法
KR101723447B1 (ko) 표면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료처리설비
KR101892149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CN108351172A (zh) 用于装载原材料的装置和方法
JP2005226113A (ja) 焼結原料の装入方法
KR101534126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원료 장입 방법
CN206717625U (zh) 涡流式成套研磨设备的磨料回流装置
CN106733581B (zh) 一种电磁振动筛选机
KR101384632B1 (ko) 소결기 및 소결방법
KR101622286B1 (ko)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KR101735002B1 (ko) 운송물 장입장치
KR101892150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장입 방법
KR20120074770A (ko) 셔틀 컨베이어용 원료분포 조절장치
KR100396073B1 (ko) 소결광제조시스템
KR20040042543A (ko) 소결표층부 열원첨가를 위한 장입장치
KR20130060075A (ko) 소결광 원료 저장 호퍼
KR101365526B1 (ko) 소결 배합 원료 장입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