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201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201B1
KR101964201B1 KR1020170079220A KR20170079220A KR101964201B1 KR 101964201 B1 KR101964201 B1 KR 101964201B1 KR 1020170079220 A KR1020170079220 A KR 1020170079220A KR 20170079220 A KR20170079220 A KR 20170079220A KR 101964201 B1 KR101964201 B1 KR 101964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water
target point
ballast tank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192A (ko
Inventor
윤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9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2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선박을 제공한다. 선박은 선체와, 상기 선체에 구비된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각각에 대한 유로를 제공하는 유로 시스템, 및 상기 유로 시스템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중 선택된 일부에 물을 유입시키고, 나머지 일부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선체를 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비교적 규모가 큰 선박은 다양한 과정을 통하여 제작된다. 특히, 선체의 형성 과정은 소조립 공정, 중조립 공정 및 대조립 공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소조립 공정은 판재 등을 조립하여 소규모의 블록을 제작하는 공정이고, 중조립 공정은 소규모의 블록을 조립하여 중규모의 블록을 제작하는 공정이며, 대조립 공정은 중규모의 블록을 조립하여 대규모의 블록을 조립하는 공정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블록의 조립은 진수 이후에도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대규모 블록은 진수 이후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2218호 (2017.05.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의 일 면(aspect)은 선체와, 상기 선체에 구비된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각각에 대한 유로를 제공하는 유로 시스템, 및 상기 유로 시스템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중 선택된 일부에 물을 유입시키고, 나머지 일부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선체를 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각각에 연결된 배관, 펌프 및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선체의 목표 지점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상기 목표 지점이 동등한 높이를 갖는 상기 선체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선체를 휘게 하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물 수용 패턴을 판단하는 패턴 판단부, 및 상기 물 수용 패턴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각각이 물을 유입하거나 배출하도록 상기 유로 시스템으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 수용 패턴은, 상기 목표 지점에서 상대적으로 먼 밸러스트 탱크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목표 지점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밸러스트 탱크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목표 지점은 하강하는 블록이 설치되는 지점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에 연결된 유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박의 목표 지점으로 블록이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된 밸러스트 탱크 중 일부에 물이 수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체가 휘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박의 목표 지점으로 블록이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체가 복원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중 일부에 물이 유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 탱크에 연결된 유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10)은 선체(100), 밸러스트 탱크(200), 유로 시스템(300) 및 제어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체(100)는 선박(10)의 골격을 구성하고, 선박(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200), 유로 시스템(300) 및 제어 장치(400)는 선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선체(100)는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선박(10)은 건조 중이거나 보수 중인 선박일 수 있다. 이에, 선체(100)는 선박(10)을 구성하는 전체 블록 중 일부가 누락된 상태의 블록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개의 블록이 조합되어 완전한 선박이 구성된다고 할 때 선체(100)는 99개의 블록만을 포함하고, 나머지 하나의 블록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200)는 물을 유입하거나 배출하여 부력을 발생시키거나 침수될 수 있다. 선체(100)는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00)를 구비할 수 있는데, 각 밸러스트 탱크(200)별로 물을 유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밸러스트 탱크(200)에 수용되는 물은 해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유로 시스템(300)은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00) 각각에 대한 유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로 시스템(300)의 동작에 의하여 밸러스트 탱크(200)에 대한 물의 흐름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시스템(300)의 동작에 의하여 밸러스트 탱크(200)에 물이 유입되거나 밸러스트 탱크(200)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로 시스템(300)은 밸러스트 탱크(200)에 연결된 배관(311, 321), 펌프(312, 322) 및 밸브(313, 3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관(311, 321)은 밸러스트 탱크(200)에 연결되어 밸러스트 탱크(200)로 유입되거나 밸러스트 탱크(200)에서 배출되는 물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2개의 배관(311, 321)이 밸러스트 탱크(200)에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2개의 배관(311, 321) 중 하나는 물의 유입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물의 배출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물의 유입을 위한 배관(311)에는 제 1 펌프(312) 및 제 1 밸브(313)가 구비되고, 물의 배출을 위한 배관(321)에는 제 2 펌프(322) 및 제 2 밸브(323)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펌프(312)가 동작하고, 제 1 밸브(313)가 개방됨에 따라 밸러스트 탱크(200)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펌프(322)가 동작하고, 제 2 밸브(323)가 개방됨에 따라 밸러스트 탱크(200)의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제 1 펌프(312) 및 제 2 펌프(322) 중 하나가 동작하는 도중에는 다른 하나의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밸브(313) 및 제 2 밸브(323) 중 하나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다른 하나가 폐쇄될 수 있다.
도 2는 하나의 밸러스트 탱크(200)에 연결된 유로 시스템(300)을 도시한 것으로서, 모든 밸러스트 탱크(200)에 유로 시스템(300)이 연결되어 각 밸러스트 탱크(200)로 물이 유입되거나 해당 밸러스트 탱크(200)에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설명하면, 제어 장치(400)는 유로 시스템(300)을 제어하여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00) 중 선택된 일부에 물이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선체(100)가 휘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선체(100)는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00)를 포함하고 있고,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00) 각각은 선체(1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특정 밸러스트 탱크(200)에 물이 유입된 경우 해당 밸러스트 탱크(200)는 침수되고, 다른 밸러스트 탱크(200)에서 물이 배출된 경우 해당 밸러스트 탱크(200)는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부 밸러스트 탱크(200)가 침수되고, 나머지 일부 밸러스트 탱크(200)가 부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선체(100)는 휘어질 수 있다. 즉, 부력이 작용한 선체(100)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상승하고, 침수된 선체(100)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전체적으로 선체(100)가 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침수되는 밸러스트 탱크(200)와 부력을 제공하는 밸러스트 탱크(200)는 제어 장치(40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선체(100)의 특정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침수될 밸러스트 탱크(200)와 부력을 제공할 밸러스트 탱크(200)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 장치(400)의 선택에 의하여 각 밸러스트 탱크(200)는 물을 유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으며, 이에 선체(100)가 휘어지면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부분이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400)는 입력부(410), 제어부(420), 패턴 판단부(430) 및 송신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41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 명령에는 선체(100)의 목표 지점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체(100)의 목표 지점을 나타내는 좌표 또는 식별정보가 사용자 명령으로서 입력될 수 있다.
목표 지점은 작업 대상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선체(100)의 특정 지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표 지점은 인접 블록의 사이에 블록이 삽입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 블록의 사이에 새로운 블록이 삽입될 수 있는데, 목표 지점은 해당 지점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패턴 판단부(430)는 목표 지점이 동등한 높이를 갖는 선체(10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도록 선체(100)를 휘게 하는 밸러스트 탱크(200)의 물 수용 패턴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선체(100)가 휘어지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목표 지점과 동등한 높이를 갖는 선체(100)의 다른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밸러스트 탱크(200)의 물 수용 패턴에 따라 다른 부분과 목표 지점간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밸러스트 탱크(200)에 물이 유입되고 다른 밸러스트 탱크(200)에서 물이 배출됨에 따라 목표 지점의 높이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패턴 판단부(430)는 목표 지점의 높이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도록 특정 밸러스트 탱크(200)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다른 밸러스트 탱크(200)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물 수용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물 수용 패턴은 목표 지점에서 상대적으로 먼 밸러스트 탱크(200)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목표 지점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밸러스트 탱크(200)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 수용 패턴으로 밸러스트 탱크(200)에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목표 지점의 높이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높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송신부(440)는 패턴 판단부(430)에 의하여 판단된 물 수용 패턴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200) 각각이 물을 유입하거나 배출하도록 유로 시스템(300)으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로 시스템(300)이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각 밸러스트 탱크(200)에 연결된 펌프(312, 322) 및 밸브(313, 323)는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여 자신에 연결된 밸러스트 탱크(200)에 물을 유입시키거나 해당 밸러스트 탱크(200)에 수용된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입력부(410), 패턴 판단부(430) 및 송신부(44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박의 목표 지점으로 블록이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박(10)은 블록(B) 및 밸러스트 탱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B) 및 밸러스트 탱크(200)는 선체(100)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선박(10)은 건조 중이거나 보수 중인 것일 수 있으며, 선박(10)을 구성하는 전체 블록(B) 중 일부가 누락되어 선체(100)가 구성될 수 있다.
누락된 블록은 크레인(미도시) 등의 의하여 운반되어 선체(100)로 하강한 이후에 선체(100)에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목표 지점(TA)인 복수의 인접 블록(NB)의 사이에 블록이 삽입되어야 하는 경우 인접 블록(NB)의 상측 말단에 간섭되어 블록이 인접 블록(NB)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선박(10)의 목표 지점(TA)으로 블록(이하, 목표 블록이라 한다)(TB)이 하강할 수 있다.
한편, 목표 지점(TA)의 양측에는 다른 인접 블록(NB)이 존재할 수 있다. 인접 블록(NB)의 사이를 통하여 목표 블록(TB)을 목표 지점(TA)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체(100)를 휘게 함으로써 인접 블록(NB)의 사이에 목표 블록(TB)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즉, 목표 블록(TB)이 삽입되어야 하는 선체(100)의 해당 부분 즉, 목표 지점(TA)이 상대적으로 상승하고, 선체(100)의 다른 부분이 상대적으로 하강한 경우 인접 블록(NB)간의 간격이 증가할 수 있는 것이다. 인접 블록(NB)간의 간격이 증가함으로써 인접 블록(NB)의 사이에 목표 블록(TB)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된 밸러스트 탱크 중 일부에 물이 수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체가 휘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선박의 목표 지점으로 블록이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체가 복원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선박(10)에 구비된 밸러스트 탱크(200) 중 일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선박(10)의 밸러스트 탱크(200) 중 일부에 물이 수용되고, 나머지 일부에서 물이 배출됨에 따라 선체(100)는 휘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수용된 밸러스트 탱크(200)가 존재하는 선체(100)의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하강하도록 선체(100)가 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선체(100)가 휘어짐에 따라 목표 지점(TA)의 양측에 존재하는 인접 블록(NB)간의 간격이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 블록(NB)의 상측간의 간격이 증가할 수 있다. 인접 블록(NB)에 의하여 목표 지점(TA)의 상측면에는 개구(OP)가 형성되는데, 인접 블록(NB)의 상측간의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개구(OP)의 넓이가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목표 지점(TA)의 개구(OP)가 증가함에 따라 목표 블록(TB)을 목표 지점(TA)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넓어진 개구(OP)를 통하여 목표 블록(TB)이 목표 지점(TA)에 삽입될 수 있다.
목표 블록(TB)은 크레인 등에 의하여 하강하여 목표 지점(TA)에 삽입될 수 있는데, 목표 지점(TA)의 개구(OP)가 넓어짐에 따라 목표 블록(TB)의 삽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밸러스트 탱크(200)의 물을 배출함에 따라 선박(10)의 선체(100)는 복원될 수 있다.
목표 블록(TB)을 삽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밸러스트 탱크(200)에 물이 수용되도록 하였는데, 목표 블록(TB)이 삽입된 이후에 해당 밸러스트 탱크(200)에서 물을 배출함으로써 선체(100)가 복원될 수 있다.
한편, 물을 수용하고 있지 않은 다른 밸러스트 탱크(200)에 물을 유입함으로써 선체(100)를 복원시킬 수도 있다.
이상은 선체(100)의 양측에 배치된 밸러스트 탱크(200)에 물이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선체(100)를 휘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0)의 선체(100)는 이러한 2차원적인 변형뿐만 아니라 3차원적인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통하여 선체(100)의 3차원적인 변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선박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중 일부에 물이 유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블록(B)은 복수의 행과 열을 따라 선박(10)의 평면상에 배치되고, 밸러스트 탱크(200)는 선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선체(100)의 특정 지점에서 블록의 설치가 완료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지점에서의 블록 설치 작업이 수반될 수 있다. 한편, 해당 지점은 인접 블록(NB)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블록 즉, 목표 블록(TB)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목표 블록(TB)의 삽입을 위하여 밸러스트 탱크(200) 중 일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선박(10)의 밸러스트 탱크(200) 중 일부에 물이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물을 수용하는 밸러스트 탱크(200)는 목표 지점(TA)과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목표 지점(TA)에서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된 밸러스트 탱크(200)에 물이 수용되고, 나머지 밸러스트 탱크(200)에는 물이 수용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물 수용 패턴은 전술한 제어 장치(400)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지점(TA)에서 먼 밸러스트 탱크(200)에 물이 수용된 경우 선체(100)가 휘어지면서 목표 지점(TA)의 상측 개구(OP)는 넓어질 수 있다. 즉, 목표 지점(TA)에 인접하여 배치된 인접 블록(NB)간의 간격이 증가하도록 선체(100)가 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선체(100)는 목표 지점(TA)의 높이가 다른 부분의 높이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도록 3차원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목표 지점(TA)의 상측 개구(OP)가 넓어짐에 따라 목표 블록(TB)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선박
100: 선체
200: 밸러스트 탱크
300: 유로 시스템
311, 321: 배관
312, 322: 펌프
313, 323: 밸브
400: 제어 장치
410: 입력부
420: 제어부
430: 패턴 판단부
440: 송신부
B: 블록
NB: 인접 블록
TB: 목표 블록

Claims (5)

  1. 선체;
    상기 선체에 구비된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각각에 대한 유로를 제공하는 유로 시스템; 및
    상기 유로 시스템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중 선택된 일부에 물을 유입시키고, 나머지 일부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선체를 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선체의 목표 지점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목표 지점이 동등한 높이를 갖는 상기 선체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선체를 휘게 하여 상기 목표 지점의 상측면에 형성된 개구가 확장되도록 하는 상기 밸러스트 탱크의 물 수용 패턴을 판단하는 패턴 판단부; 및
    상기 물 수용 패턴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각각이 물을 유입하거나 배출하도록 상기 유로 시스템으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선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 각각에 연결된 배관, 펌프 및 밸브를 포함하는 선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수용 패턴은,
    상기 목표 지점에서 상대적으로 먼 밸러스트 탱크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목표 지점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밸러스트 탱크에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패턴을 포함하는 선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지점은 하강하는 블록이 설치되는 지점을 포함하는 선박.
KR1020170079220A 2017-06-22 2017-06-22 선박 KR101964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20A KR101964201B1 (ko) 2017-06-22 2017-06-22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220A KR101964201B1 (ko) 2017-06-22 2017-06-22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92A KR20190000192A (ko) 2019-01-02
KR101964201B1 true KR101964201B1 (ko) 2019-04-02

Family

ID=6502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220A KR101964201B1 (ko) 2017-06-22 2017-06-22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2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097A (ko) * 2009-03-25 2010-10-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FI122659B (fi) 2010-11-25 2012-05-15 Waertsilae Finland Oy Lastia kuljettava vesialus sekä menetelmä sen lastaamiseksi ja purkamiseksi
KR20130068306A (ko) * 2011-12-15 2013-06-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체블록의 해상 교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92A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374B1 (ko) 잠수정용 가변부력 제어장치
KR101964201B1 (ko) 선박
CY1108350T1 (el) Ευκαμπτο θαλασσιο σκαφος κλειστου χωρου για ρευστα
KR102292821B1 (ko)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US20200040706A1 (en) Handling Heavy Subsea Structures
CN110056055A (zh) 进水阀及具有该进水阀的马桶冲刷系统
CN112478052A (zh) 船舶压载舱左右互驳系统以及采用其实现倾斜试验的方法
US20200128799A1 (en) Aquaculture ballast anchor, mooring and control systems
CN101817393B (zh) 利用浮船坞造船的方法
KR101144014B1 (ko) 수중운동체
JP6436449B1 (ja) 制御可能なフロートモジュール、少なくとも1つの制御可能なフロートモジュールを含むモジュール式オフショア構造アセンブリ、および現場でのモジュール式オフショア構造の組立て方法
CN103732848A (zh) 刚性壳体气罐浮筒可变浮力
CN113353218A (zh) 海底节点
KR20110130018A (ko) 선박 건조방법
KR20100082979A (ko) 부양식 도크를 이용한 2척 선박 건조 방법
KR101390493B1 (ko) 평형수 처리용 선박
KR101222729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해상 시공 및 진수방법
CA1109783A (en) Control system for subsea well-heads
FI128875B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NECTING PIPES IN WATERS
KR102070838B1 (ko) 계류 장치
KR20080005277U (ko) 공기관의 자동 폐쇄 장치의 개폐 구조
JP3977188B2 (ja) 海象再現水槽
WO2005073470A1 (en) Sinkable device provided with operating gates for use as barrier in a channel, and barrier installation
AU618907B2 (en) Floating boom
KR100914843B1 (ko) 잠수바지선을 이용한 선체 블록 건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