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848B1 - 심장 판막 고리 내로의 이식을 위한 신칭 코드 - Google Patents

심장 판막 고리 내로의 이식을 위한 신칭 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848B1
KR101963848B1 KR1020187033998A KR20187033998A KR101963848B1 KR 101963848 B1 KR101963848 B1 KR 101963848B1 KR 1020187033998 A KR1020187033998 A KR 1020187033998A KR 20187033998 A KR20187033998 A KR 20187033998A KR 101963848 B1 KR101963848 B1 KR 101963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anchor
anchors
sliding
di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2928A (ko
Inventor
데이비드 아론
드로르 코르만
Original Assignee
카디악 임플란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디악 임플란츠 엘엘씨 filed Critical 카디악 임플란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132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09Support rings therefor, e.g. for connecting valves to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45Annuloplasty rings in direct contact with the valve annu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66Delivery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43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cardi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78Operations on blood vessels
    • A61B2017/00783Valvuloplas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2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nchoring barbs or pins extending outwardly from suture anchor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 suture-receiving opening, e.g. lateral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27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nchoring barbs or pin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anchor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6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for soft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61B2017/0647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having one single leg, e.g. t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61F2220/0016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with sharp anchoring protrusions, e.g. barbs, pins,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06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circ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a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해부학적 통로 (예를 들어, 승모 판막 또는 다른 심장 판막의 고리)를 신칭하는 장치는 신칭 코드(33), 슬롯식 앵커(40) 및 앵커의 슬롯 내에 배치된 대응하는 슬라이딩 부재(50)를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딩 부재는 슬롯의 일측 상의 돌출부에 의하여 그리고 슬롯의 다른 측 상의 슬라이딩 부재의 구멍 내의 신칭 코드의 존재에 의하여 슬롯 내에서 억류 상태로 유지되며, 이는 신칭 코드가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슬롯의 구멍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직 내성장을 수용하는 물질의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가 신칭 코드 위에 배치된다. 코드의 폐루프는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신칭 코드 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식 후에 코드의 폐루프는 해부학적 고리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심장 판막 고리 내로의 이식을 위한 신칭 코드
본 발명은 심장 판막의 고리를 신칭(cinching)하기 위한, 다른 유형의 해부학 통로를 신칭하기 위한, 그리고 해부학적 고리의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대안적인 접근 방법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되는, 본 출원의 선 출원인 WO 2013/088327호 및 WO 2014/195786호는 심장 판막의 고리에 신칭 코드를 부착하고 심장 판막의 고리에 폐루프 또는 링을 부착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신칭 실시예에서, 신칭 코드는 임플란트에 포함되고, 임플란트는 고리 또는 통로 내로 또는 인접한 조직 내로 이식된다. 신칭 코드를 갖는 임플란트가 이식된 후, 신칭 코드를 신칭함으로써 고리의 직경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폐루프 실시예에서, 코드의 폐루프는 임플란트에 포함되고, 임플란트는 해부학적 고리 내로 또는 인접 조직 내로 (예를 들어, 심장 판막 고리 내로 또는 판막첨의 기저부 근처의 심장 판막의 판막첨 내로) 이식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심장 판막의 고리를 신칭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리는 초기 원주를 갖고 있다. 본 장치는 적어도 4개의 앵커를 포함하고 있다. 앵커 각각은 뾰족한 원위 말단 및 근위 말단을 가지며, 앵커 각각은 근위 방향에서 원위 방향으로 나아가는 슬롯을 갖고 있다. 앵커 각각은 원위 방향으로의 조직 내로의 이식을 위하여 구성되고 또한 이식 후에 조직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의 추출에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본 장치는 또한 적어도 4개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딩 부재 각각은 앵커 각각의 슬롯 내에 배치되며, 슬라이딩 부재의 제1 부분은 제1 방향으로 슬롯 밖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부분은 제2 방향으로 슬롯 밖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딩 부재와 슬롯은 앵커가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딩 부재 각각은 슬라이딩 부재의 제1 부분 상에 슬라이딩 부재가 제2 방향으로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고 있다.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제2 부분은 구멍을 갖고 있다.
본 장치는 또한 제1 말단 영역과 제2 말단 영역을 갖는 원위 루프 부분을 갖는 신칭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신칭 코드는 제1 말단 영역과 연결된 제1 근위 부분 및 제2 말단 영역에 연결된 제2 근위 부분을 갖고 있으며,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은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한다. 구멍 내의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의 존재가 슬라이딩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멍들 각각은 구멍 내에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을 유지한다. 앵커와 슬라이딩 부재는 고리 내로의 또는 고리에 인접한 심장 판막의 판막첨 내로의 앵커의 이식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위치에서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 주위에 분포되면서 제1 말단 영역은 제2 말단 영역 바로 옆에 위치되며, 따라서 이식 후에 제1 말단 영역이 제2 말단 영역 바로 옆에 유지되는 동안에 제1 근위 부분과 제2 근위 부분 모두를 근위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고리의 원주를 감소시킬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장치는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 위에 배치되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을 수용한다.
선택적으로, 본 장치는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을 수용한다.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는 선택적으로 조직 내성장에 저항하는 물질로 라이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은 조직 내성장에 저항하는 물질로 코팅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앵커 각각은 조직으로부터 앵커의 추출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브를 포함하고 있다. 앵커 각각은 슬롯의 제1 측 상에 원통형 곡선부를 갖는 제1 패널 및 슬롯의 제2 측 상에 배치된 원통형 곡선부를 갖는 제2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적어도 8개의 앵커 및 적어도 8개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적어도 16개의 앵커 및 적어도 16개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부재는 얇은 금속시트를 포함하며, 돌출부는 T-형상이다.
선택적으로, 본 장치는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 위에 배치되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을 수용한다. 신칭 코드는 조직 내성장에 저항하는 물질로 코팅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앵커 각각은 조직으로부터 앵커의 추출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앵커 각각은 슬롯의 제1 측 상에 원통형 곡선부를 갖는 제1 패널 및 슬롯의 제2 측 상에 배치된 원통형 곡선부를 갖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8개의 앵커 및 적어도 8개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초기 원주를 갖는 해부학적 통로를 신칭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적어도 4개의 앵커를 포함하고 있다. 앵커 각각은 뾰족한 원위 말단 및 근위 말단을 갖고 있으며, 앵커 각각은 근위 방향에서 원위 방향으로 나아가는 슬롯을 갖고 있다. 앵커 각각은 조직 내로 원위 방향으로의 이식을 위하여 구성되고 또한 이식 후에 조직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의 추출에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본 장치는 또한 적어도 4개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딩 부재 각각은 앵커 각각의 슬롯 내에 배치되며, 슬라이딩 부재의 제1 부분은 제1 방향으로 슬롯 밖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부분은 제2 방향으로 상기 슬롯 밖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딩 부재와 슬롯은 앵커가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딩 부재 각각은 슬라이딩 부재의 제1 부분 상에 슬라이딩 부재가 제2 방향으로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고 있다.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제2 부분은 구멍을 갖고 있다.
본 장치는 또한 원위 루프 부분을 갖는 신칭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원위 루프 부분은 제1 말단 영역과 제2 말단 영역을 가지며, 신칭 코드는 제1 말단 영역과 연결된 제1 근위 부분 및 제2 말단 영역에 연결된 제2 근위 부분을 갖고 있다.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은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한다.
본 장치는 또한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을 수용한다. 구멍 내의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의 존재가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멍들 각각은 구멍 내에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을 유지한다.
앵커와 슬라이딩 부재는 해부학적 통로 내로의 또는 해부학적 통로에 인접한 조직 내로의 앵커의 이식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위치에서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 주위에 분포되면서 제1 말단 영역은 제2 말단 영역 바로 옆에 위치되며, 따라서 이식 후에 제1 말단 영역이 제2 말단 영역 바로 옆에 유지되는 동안에 제1 근위 부분과 제2 근위 부분 모두를 근위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해부학적 통로의 원주가 감소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는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 위에 배치되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에 저항하는 물질로 라이닝된다.
선택적으로,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은 조직 내성장에 저항하는 물질로 코팅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적어도 8개의 앵커 및 적어도 8개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해부학적 고리의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적어도 4개의 앵커를 포함하고 있다. 앵커 각각은 뾰족한 원위 말단 및 근위 말단을 갖고 있으며, 앵커 각각은 근위 방향에서 원위 방향으로 나아가는 슬롯을 갖고 있다. 앵커 각각은 조직 내로 원위 방향으로의 이식을 위하여 구성되고 또한 이식 후에 조직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의 추출에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본 장치는 적어도 4개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딩 부재 각각은 앵커 각각의 슬롯 내에 배치되며, 슬라이딩 부재의 제1 부분은 제1 방향으로 슬롯 밖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딩 부재의 제2 부분은 제2 방향으로 상기 슬롯 밖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딩 부재와 슬롯은 앵커가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은 슬라이딩 부재의 제1 부분 상에 슬라이딩 부재가 제2 방향으로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고 있다. 슬라이딩 부재들 각각의 제2 부분은 구멍을 갖고 있다.
본 장치는 또한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코드의 폐루프를 포함하고 있다.
구멍 내의 코드의 존재가 슬라이딩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멍 각각은 구멍 내에 코드를 유지한다. 앵커와 슬라이딩 부재는 해부학적 고리 내로의 또는 해부학적 고리에 인접한 조직 내로의 앵커의 이식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위치에서 코드의 폐루프 주위에 분포되며, 따라서 이식 후에 코드의 폐루프는 해부학적 고리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해부학적 고리는 심장 판막 고리이며, 해부학적 고리에 인접한 조직은 심장 판막의 판막첨을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본 장치는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 상에 배치되고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을 수용한다.
선택적으로, 본 장치는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을 수용한다.
선택적으로, 앵커 각각은 조직으로부터의 앵커의 추출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브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적어도 8개의 앵커 및 적어도 8개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칭 코드를 갖는 임플란트가 이식된 후, 신칭 코드를 신칭함으로써 해부학적 고리의 직경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심장 판막의 고리 내로의 이식을 위한 신칭 임플란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심장 판막의 고리 내로의 이식을 위한 신칭 임플란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도 2a의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앵커의 상세도이다.
도 4a는 전개 전의 앵커와 슬라이딩 부재 간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b는 앵커가 발사기에 의하여 원위적으로 구동된 후 이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도 5a는 앵커의 발사 전에 각각의 앵커를 조직 내로 밀어 넣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발사기를 보여주고 있다.
도 5b는 앵커가 발사된 후의 도 5a의 발사기를 보여주고 있다.
도 6a는 표적 고리 근처로 신칭 임플란트를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기반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발사기가 작동되기 전의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을 둘러싸는 슬리브와 슬라이딩 부재 간의 경계부의 상세도이다.
도 6c는 발사기의 본체가 빠져나오고 있을 때의 경계부의 상세도이다.
도 7은 신칭 코드의 신칭이 푸시 튜브를 이용하여 어떻게 실행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도 8a는 앵커를 임플란트에 연결하기 위한 대안적인 접근을 보여주고 있다.
도 8b는 도 8a의 임플란트의 상세도이다.
도 9는 심장 판막 고리와 같은 해부학적 고리의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승모판막과 같은 심장 판막의 고리 내로 이식하기 위해 설계된 신칭 임플란트(30)를 도시하고 있다. 신칭 임플란트(30)는 고리 자체로 또는 판막첨(leaflet)의 기저부 부근의 심장 판막의 판막첨에 직접적으로 이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가 승모 판막에 설치될 때, 심방 측으로부터 카테터를 통해 승모 판막에 또는 심실 측으로부터 카테터를 통해 판막첨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임플란트를 고리 또는 판막첨에 부착하기 위한 이 2가지 대안적인 접근 방법이 (상이한 구성을 갖는 임플란트와 관련하여) 출원 WO2014/195786에 설명되어 있다.
신칭(cinching) 임플란트(30)는 원위 루프 부분(33)을 갖는 신칭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원위 루프 부분은 제1 말단 영역(33a)과 제2 말단 영역(33b)을 갖고 있다. 제1 말단 영역은 신칭 코드의 제1 근위 부분(31)에 연결되고, 제2 말단 영역은 신칭 코드의 제2 근위 부분(32)에 연결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3부분(31, 32, 33) 모두는 단일의 연속 코드로부터 형성되며, 이 경우 다양한 영역 사이의 연결은 단일 연속 코드의 고유 특성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코드"는 모노필라멘트 코드, 멀티-필라멘트 코드, 편조 코드, 와이어 및 기타 코드형 가요성 구조체를 포함하고 있다. 신칭 코드에 적절한 물질은 스테인리스 강, Dyneema, 초고 분자량 폴리에틸렌, LCP, 나일론, PET, Dacron 및 기타 고강도 고분자를 포함하며, 이 모두는 생체 적합성이며 신칭을 견딜 만큼 충분히 강하다. 코드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이다. 원위 루프 부분(33)의 길이는 임플란트가 부착될 고리의 직경과 일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신칭은 카테터를 통해 환자의 몸 외부에서 시행되며, 이 경우 제1 및 제2 근위 부분(31, 32)은 충분하게 길어(예를 들어, 각각 25 내지 100 ㎝) 환자의 혈관계를 통하여 고리로부터 환자의 몸 밖으로 도달한다.
대안적인 실시예 (미도시)에서, 단일 연속 코드로부터 3개의 부분(31, 32, 33) 모두를 형성하는 대신에, 복합 신칭 코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들 부분 각각은 (예를 들어, 용접, 클립, 매듭, 본드 또는 대안적인 연결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 코드의 3개의 개별 조각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a의 실시예는 도 1과 유사하지만, 부가적인 구성 요소를 추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a의 실시예에서, 원위 루프 부분(33)은 슬리브(3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원위 루프 부분이 슬리브(36)에 의해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원위 루프 부분(33)은 도 2a에서 보이지 않는다.) 슬리브(36)는 PET 편조물, 나일론 편조물, 양모, 실크 또는 부직 중합체와 같은 조직 내성장을 수용하는 물질로 제조된다. 결과적으로, 임플란트(30)가 고리에 이식된 후에, 임플란트(30)와 접촉하게 되는 조직은 슬리브(36) 내로 천천히 내성장할 것이다. 조직 내성장 과정이 충분한 시간 동안(예를 들어, 이식 후 1 내지 3개월) 계속된 후에, 임플란트는 신칭을 견딜 수 있는 매우 강한 연결부로 고리에 부착될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리브(36)는 연속적이고 관형이며 원위 루프 부분(33)의 전체 길이로 나아간다. 대안적인 실시예 (미도시)에서, 연속 슬리브 대신에 2개 이상의 개별 슬리빙 조각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 개의 앵커(40)를 갖는 시스템에서, 별개의 관상 슬리빙 조각이 N 개의 앵커(40) 각각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N-1 개의 별개의 슬리빙 조각들이 사용될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비관형 슬리빙이 사용될 수 있다.
원위 루프 부분(33)은 또한 조직 내성장에 저항하는 코팅부(34)로 코팅된다. 원위 루프 부분(33) 상의 코팅부(34)는 임플란트 내로 성장하는 조직이 원위 루프 부분(33)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원위 루프 부분(33)은 신칭이 최종적으로 실행될 때 슬리브(36)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내성장으로 인해 원위 루프 부분(33)이 주위 조직에 의해 제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한다. 코팅부(34)에 적절한 물질은 테프론 및 확장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를 포함하고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코팅부(34)는 생략되고, 이는 조직 내성장에 저항하는 슬리브(36) (미도시)의 내부 표면 상의 라이닝(lining)으로 대체된다. 이 내성장 방지 라이닝은 신칭이 최종적으로 실행될 때 원위 루프 부분(33)이 슬리브(36)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하는 것을 도와주며, 조직 내성장으로 인해 원위 루프 부분(33)이 주변 조직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슬리브(36)의 내부 표면 상의 내성장 방지 라이닝에 적절한 물질은 테프론 및 ePTFE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원위 루프 부분(33)의 표면이 코팅부 또는 라이닝의 도움없이 충분히 내성장에 저항하는 경우, 코팅부와 라이닝 모두는 생략될 수 있다.
임플란트(30)는 적어도 4개의 앵커(40) 및 고리 내로의 (또는 고리에 인접한 심장 판막의 판막첨 내로의) 앵커(40)의 이식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위치에서의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33) 주위에 분포된 슬라이딩 부재(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원위 루프 부분(33)의 제1 말단 영역은 원위 루프 부분(33)의 제2 말단 영역 바로 옆에 위치된다. 앵커(40)와 슬라이딩 부재(50)에 적절한 물질은 생체 적합성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및 강성 플라스틱 또는 생체 적합성 복합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식 후 (바람직하게는 조직 내성장이 일어난 후), 제1 말단 영역이 제2 말단 영역 바로 옆에 유지되는 동안 제1 근위 부분(31)과 제2 근위 부분(32) 모두를 근위 방향으로 당기는 것은 임플란트가 이식된 고리의 원주를 감소시킬 것이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 각각은 8개의 앵커(40) 및 8개의 대응하는 슬라이딩 부재(50)를 갖고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이한 개수의 앵커(40)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더 많은 수의 소형 앵커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4 내지 8 ㎜ 길이의 앵커 20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16개 이상의 앵커 (예를 들어, 16 내지 24개)가 사용된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8개 이상의 앵커가 사용된다. 후자의 경우, 앵커는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6 내지 12 ㎜ 길이). 임플란트(30)를 고리 상에 효과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최소 4개의 앵커가 필요하다는 것이 예상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에 사용된 앵커(40) 및 슬라이딩 부재(50)의 상세도이다. 앵커(40) 각각은 뾰족한 원위 말단(42) 및 근위 말단(48)을 갖고 있으며, 각각의 앵커(40)는 근위 방향에서 원위 방향으로 나아가는 슬롯(45)을 갖고 있다. 각각의 앵커(40)는 원위 방향으로 조직 (예를 들어, 판막첨의 고리 또는 기저부) 내로의 이식을 위하여 구성되며, 또한 이식 후 근위 방향으로의 조직으로부터의 추출에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뾰족한 원위 말단(42)은 앵커(40)가 앵커 발사기에 의하여 조직 내로 발사될 때 앵커(40)가 조직을 관통하는 것을 도우며, 복수의 바브(barb; 44)는 이식 후에 근위 방향으로 조직으로부터의 앵커(40)의 추출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앵커는 4개의 바브(44)를 갖고 있으나, 다른 개수의 바브 (예를 들어, 1 내지 6개)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임플란트(30)는 또한 적어도 4개의 슬라이딩 부재(50)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슬라이딩 부재(50)는 앵커(40) 각각의 슬롯(45)에 배치되면서, 슬라이딩 부재(50)의 제1 부분(51)은 제1 방향으로 슬롯(45) 밖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딩 부재(50)의 제2 부분(52)은 제2 방향으로 슬롯(45) 밖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딩 부재(50) 및 슬롯(45)은 앵커(40)가 슬라이딩 부재(50)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딩 부재(50) 각각은 슬라이딩 부재(50)의 제1 부분(51)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54)를 갖고 있으며, 이 돌출부(54)는 슬라이딩 부재(50)가 제2 방향으로 슬롯(45)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돌출부(54)는 T 형상이지만, 돌출부를 위한 대안적인 형상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50) 각각의 제2 부분(52)은 구멍(56)을 갖고 있다. 슬라이딩 부재(50)의 제1 부분(51) 및 제2 부분(52)은 얇은 금속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멍(56)은 얇은 금속 시트를 관통하는 구멍일 것이다.
이제 도 1 및 도 2a로 돌아가면,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33)은 슬라이딩 부재(50)들 각각의 구멍(56)을 통과하며, 구멍(56)들 각각은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33)이 구멍(56) 내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원위 루프 부분(33) 위에 배치된 연속 슬리브(36)를 갖고 있는) 도 2a의 실시예에서, 슬리브(36)는 또한 슬라이딩 부재(50)들 각각의 구멍(56)을 통과한다. 앵커들 사이에 슬리브의 개별 부분을 사용하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슬리브는 구멍(56)을 통과하지 않을 것이다.
구멍(56) 내의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33)의 존재는 슬라이딩 부재(50)가 제1 방향으로 슬롯(45)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의 맥락에서, 이는 슬라이딩 부재(50) 각각의 구멍(56) 내의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33)의 존재가 슬라이딩 부재(50)가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즉, 루프의 중심을 향하여) 슬롯(45)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문맥에서 슬라이딩 부재(50)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54)는 각각의 슬라이딩 부재(50)가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슬롯(45)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멍(56)의 크기가 슬리브(36)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할 때 구멍(56)의 어떠한 부분도 앵커(40) 내의 슬롯(45)을 통해 연장할 수 없을 것이며 이는 구멍(56)이 슬라이딩 부재(50)의 제1 부분(51)으로 완전히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구멍(56)의 크기가 슬리브(36)보다 클 때, 구멍(56)의 일부분은 슬롯(45)을 통해 미끄러질 수 있으며, 이는 구멍(56)이 슬라이딩 부재(50)의 제2 부분(52) (즉, 슬롯(45)의 다른 슬라이드 상의 슬라이딩 부재(50)의 부분) 내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이는 신칭 코드 (및 슬리브(36))의 원위 루프 부분(33)이 제1 방향으로 슬롯(45)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들은 슬라이딩 부재(50)의 제1 부분(51)에 대응하는 구멍(56)의 일측에 남아 있을 것이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 (미도시)에서, 슬라이딩 부재는 2개의 아암과 베이스를 갖는 U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U형 부재의 각 아암의 말단은 슬라이딩 부재가 제2 방향으로 슬롯(45)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돌출된 엔드 캡(end cap)에 연결되어 있다. 이 상황에서, 구멍은 U형 부재의 베이스로부터 엔드 캡까지 내내 연장될 것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전개 단계에서의 앵커(40), 앵커(40) 내의 슬롯(45) 및 슬라이딩 부재(50)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전개 이전에, 앵커(40)의 본체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칭 코드(33) (및 선택적 슬리브(36))의 근위 측에 배치될 것이다. 슬라이딩 부재(50)는 슬롯(45)의 원위 말단에서 앵커(40)의 슬롯(45)을 통과하며, 신칭 코드(33)는 슬라이딩 부재(50)의 구멍(56)을 통과한다. 전개 전에, 신칭 임플란트(30)는 임플란트가 이식될 조직에 대해 위로 위치되며, 앵커의 뾰족한 원위 말단(42)은 조직을 향한다.
전개 동안, (도 5a 및 도 5b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논의될) 발사기(60)는 앵커(40)를 원위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 과정이 발생할 때, 앵커(40)는 슬롯(45)에서 앵커(40)와 슬라이딩 부재(50) 사이의 슬라이딩 경계부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50)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것이다. 앵커(40)의 뾰족한 원위 말단(42)은 조직 내로 밀어 넣어지며, 바브(44)는 조직 내로 매립된다.
도 4b는 앵커(40)가 발사기에 의하여 원위적으로 구동된 후의 동일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앵커(40)는 슬라이딩 부재(50)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50)는 앵커(40)의 슬롯(45)의 근위 말단에 배치된다. 이 위치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45)의 뾰족한 원위 말단(42) 및 바브(44)는 신칭 코드(33) (및 선택적 슬리브(36))의 원위측 상에 배치될 것이다. 앵커(40)가 조직 내로 밀어 넣어졌을 때 신칭 임플란트(30)는 전개 전에 조직에 대해 위로 위치되었기 때문에, 앵커(40)의 바브(44)는 조직 내에 매립될 것이며, 이는 신칭 임플란트(30)를 조직에 부착시킬 것이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슬롯(45)의 양측 상의 앵커(40)의 부분은 원통형 곡선을 가지며,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앵커(40)의 근위 헤드 부분(48)은 링 형상이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앵커는 팁(42)의 원위 말단에서 헤드 부분(48)의 근위 말단까지 4㎜ 내지 7㎜ 사이이고, 링형 헤드 부분(48)은 0.5㎜ 내지 2㎜ 사이의 직경을 가지며, 브래킷과 발사기는 앵커(40)의 치수에 맞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의 앵커(40)를 조직 내로 밀어 넣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발사기(60)의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 도면들은 발사기(60), 앵커(40) 및 브래킷(50)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앵커의 발사 직전의 3개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b는 앵커의 발사 직후의 3개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임플란트의 각 앵커(40)는 그 자신의 개별적인 발사기(60)를 갖고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도 5a로부터 시작하면, 발사기(60)는 발사기 본체(62)의 중간 정도에 위치된 트리거 슬롯(63)을 갖는 발사기 본체(62) 및 발사기 본체(62)의 원위 말단에 위치된 원위 슬롯(64)을 포함하고 있다. 발사기 본체(62)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다. 압축 스프링(68)은 발사기(60)의 근위 말단에 배치되고, 앵커(40)는 압축 스프링(68) 바로 아래의 발사기(60)의 원위 말단에 배치되며, 따라서 압축 스프링(68)의 원위 말단은 앵커(40)의 헤드 부분(48)을 민다. (앵커의 헤드 부분(48)은 앵커(40)의 근위 말단에 있다). 풀 와이어(66)는 압축 스프링(68)의 중심을 통해 아래로 연장되고, 풀 와이어(66)의 원위 말단(67)은 트리거 슬롯(63)을 통해 밖으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풀 와이어의 원위 말단(67)은 풀 와이어의 원위 말단(67)이 트리거 슬롯(63)을 빠져나가기 직전에 앵커의 헤드 부분(48) 아래를 통과할 것이다. 이 구성으로 인해, 풀 와이어의 원위 말단(67)이 트리거 슬롯(63)을 통해 튀어나오면, 풀 와이어는 스프링(68)이 팽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단계에서, 앵커(40)와 슬라이딩 부재(50) 사이의 관계는 도 4a에 나타나 있는 것과 동일하다.
발사기(60)는 풀 와이어(66)를 근위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트리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리거링 동작은 풀 와이어(66)가 신속 당김 동작 (예를 들어, 와이어의 근위 말단을 근위 방향으로 급격하게 움직임으로써)을 사용하여 당겨질 때 가장 잘 작용한다. 이러한 신속 당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한 적절한 장치의 예가 WO2014/195786 A2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원용된다.
풀 와이어(66)의 근위 말단을 당기는 것은 풀 와이어(66)의 원위 말단(67)이 트리거 슬롯(63)으로부터 인출되게 한다. 이것이 발생하자마자, 스프링(68)은 팽창되기 시작할 것이다. 스프링(68)의 근위 말단은 스프링 리테이너(69)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며, 따라서 스프링(68)의 원위 말단은 스프링(68)이 팽창할 때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팽창하는 스프링(68)은 앵커(40)의 근위 헤드 부분(48)을 원위 방향으로 밀 것이며, 이는 앵커(40)를 조직 내로 밀어 넣을 것이다. 이 발사 단계 동안, 앵커(40)는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래킷(50)에 대해 슬라이딩한다. 앵커의 원위 말단은 발사기 본체(62)의 원위 말단 밖으로 슬라이딩하기 시작할 것이다. 앵커(40)의 뾰족한 원위 말단(42)은 조직을 관통할 것이며, 앵커의 근위 헤드 부분(48)이 슬라이딩 부재(50)를 만날 때까지 앵커(40)는 원위 방향으로 계속 이동할 것이다. 이 작동이 일어날 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40)와 슬라이딩 부재(50) 모두가 발사기 본체(62)의 원위 말단에서 밖으로 튀어나갈 때까지 팽창하는 스프링(68)은 앵커(40)와 슬라이딩 부재(50) 모두를 원위 방향으로 밀기 시작할 것이다. (브래킷(50)은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슬롯(45) 내에 억류된 상태로 남아 있다). 이 시점에서, 앵커(40)는 조직 내에 매립될 것이다. 앵커(40) 상의 바브는 앵커가 조직 밖으로 근위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6a는 신칭 임플란트가 고리 내로 (또는 판막첨의 기저부 내로) 이식될 수 있도록 표적 판막 고리 근처에 신칭 임플란트(30)를 전달하기 위한 카테터 기반 장치(70)를 도시하고 있다. 이 장치는 신칭 임플란트(30) 상에 나타나는 각 앵커에 대해 하나의 발사기(60)를 갖고 있다. 각 발사기(60)는 사전 성형된 아암(72) 중 하나에 의하여 지지된다. 신칭 임플란트(30) 및 사전 형성된 아암(72)은 카테터 기반 장치(70)의 샤프트(75)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접을 수 있지만, 카테터의 원위 말단을 지나 연장된 후의 구성 요소는 도 6a에 도시되어 있다. 발사기(60)를 트리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도 5a에 나타나 있는) 풀 와이어(66)가 그러한 것처럼, 신칭 코드의 제1 근위 부분(31)과 신칭 코드의 제2 근위 부분(32)도 샤프트(75)를 통하여 나아간다. 신칭 임플란트(30)는 고리 상의 위치로 이동되고, 발사기(60)의 트리거가 작동된다.
발사기(60)와 신칭 임플란트(30) 사이의 경계부의 상세도인 도 6b 및 도 6c에 나타나 있으며, 이 도면은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33)을 둘러싸는 슬리브(36)와 슬라이딩 부재(50)와 사이의 전술한 경계부를 보여주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b는 발사기(60)가 작동되기 전의 경계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c는 앵커(40)가 발사기(60)의 발사기 본체(62)를 빠져나올 때의 경계부를 도시하고 있다. 발사된 후, 앵커(40)는 고리 내에 (또는 판막첨 내로) 매립되며, 앵커(40)와 슬라이딩 부재(50) 모두는 (도 5b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발사기 본체(62)로부터 튀어나갈 것이다.
다음에, 사전 성형된 아암(72) 및 발사기(60)가 카테터의 샤프트(75) 내로 후퇴되며, 카테터가 인출된다. 신칭 임플란트(30) 및 신칭 코드의 제1 및 제2 근위 부분(31, 32)만이 환자의 체내에 잔류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는 임플란트와 고리 사이의 접합을 강화시키기 위해 조직 내성장에 의존한다. 이 실시예에서, 신칭 단계는 임플란트가 이식된 직후에 수행되지 않는다. 대신에, 내성장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기 위해, 상당한 대기 기간 (예를 들어, 1 내지 3개월)이 이식 단계와 신칭 단계 사이에서 경과한다. 그 대기 기간 동안, 임플란트 내로의 인접 연조직의 조직 내성장은 임플란트와 고리 사이의 접합을 강화시킨다. 조직 내성장 과정이 접합을 충분히 강화하면 (즉, 충분한 신뢰 수준으로 신칭을 견디는 지점까지), 신칭 코드는 고리의 직경을 줄이기 위해 조여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임플란트의 부착 메커니즘은 임플란트가 이식된 직후에 신칭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히 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임플란트가 이식된 직후에 신칭 코드는 조여질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 외과 의사는 임플란트가 이식된 직후에 임플란트와 고리 사이의 접합이 신칭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히 강한지 여부를 모를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접합이 충분히 강하지 않을 때, 신칭 작용이 임플란트를 고리에서 떼어 놓을 수 있기 때문에 이식 직후에 신칭 코드를 매어 놓은 것이 위험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임플란트가 임플란트와 고리 사이의 접합을 강화시키는 조직 내성장을 수용하도록 설계될 때, 조직 내성장이 임플란트와 고리 사이의 접합을 강화시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조직 내성장 과정이 충분한 신뢰 수준으로 신칭을 견디는 지점까지 접합을 강화시킨 후에, 신칭 코드는 고리의 직경을 줄이기 위해 조여진다(cinched).
도 7은 푸시-관의 원위 말단이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33)의 제1 말단 영역(33a) 및 제2 말단 영역(33b)에 도달할 때까지 푸시-관(80)을 신칭 코드의 제1 근위 부분(31)과 제2 근위 부분(32) 위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신칭 코드의 신칭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도 1과 가장 유사하지만, 도 2a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동일한 공정이 작동할 것이라는 점을 유의한다). 제1 및 제2 근위 부분(31, 32)이 신칭 임플란트(30)와 출구 지점 사이에서 환자의 혈관계를 통해 연장되기 때문에, 이들 근위 부분(31, 32)은 푸시-관(80)이 그의 목적지로 안내될 수 있는 가이드 와이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푸시-관(80)이 이 위치에 있고 원위 방향으로 밀리면, 이는 제2 말단 영역(33b) 바로 옆의 제 위치에 제1 말단 영역(33a)을 유지할 것이며 신칭 과정 동안에 이 2개의 영역이 서로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신칭 코드의 제1 및 제2 근위 부분(31, 32)은 그후 (화살표 81로 표시된) 근위 방향으로 당겨진다.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33)이 고리 내에 강하게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신칭 코드의 제1 및 제2 근위 부분(31, 32)이 근위 방향으로 당겨질 때 신칭 코드는 고리를 단단히 잡을 것이며, 그에 의하여 고리의 원주를 감소시킨다. 제1 및 제2 근위 부분(31, 32)의 원위 말단들은 그후 (예를 들어, 매듭, 패스너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함께 체결되어 고리가 다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신칭 코드의 제1 및 제2 근위 부분(31, 32)들은 이들이 함께 체결되는 위치에 인접한 지점에서 클립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는 심장 판막(예를 들어, 승모판)의 고리 상에 또는 판막첨의 기저부에 가까운 심장 판막의 판막첨 내로 신칭 임플란트를 설치하고 그후 고리를 조이는 맥락에서 위에서 설명되었다는 점을 주목하자. 그러나 동일한 장치가 (관련 해부학에 의해 지시된 대로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적절한 변형으로) 다른 해부학적 통로 또는 기타 해부학적 고리들을 조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다른 해부학적 맥락에서, 앵커는 해부학적 통로 내로 또는 해부학적 통로에 인접한 조직으로 이식될 것이다. 임플란트와 조직 사이의 접합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 치유를 기다린 후에, (예를 들어, 푸시-관을 이용하여)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의 제1 말단 영역 및 제2 말단 영역을 서로 바로 옆에서 유지하면서 신칭 코드의 제1 근위 부분과 제2 근위 부분을 잡아당기는 것은 해부학적 통로의 원주를 줄일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앵커를 임플란트에 연결하기 위한 대안적인 접근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위에서 논의된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신칭 임플란트의 원위 루프 부분(33)을 둘러싸는 구멍(56)을 갖는 슬라이딩 부재(50)를 사용하는 대신에, 도 8a/도 8b의 임플란트 내의 대안적인 슬라이딩 부재(50')는 슬리브(36')에 체결되며, 앵커(40')는 이 대안적인 슬라이딩 부재(50')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앵커(40')와 대안적인 슬라이딩 부재(50') 사이의 슬라이딩 가능한 관계의 세부 사항이 도 8b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앵커와 임플란트 사이의 연결부가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에서보다 덜 경직될 것이기 때문에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가 도 8a/도 8b의 임플란트보다 우수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것은 각 대안적인 슬라이딩 부재(50')와 슬리브(36') 사이의 연결부가 신칭 임플란트의 원주를 따라 상당한 거리에 걸쳐 연장된다는 사실에 부분적으로 기인한다. 그에 반해서,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에서 각 슬라이딩 부재(50)와 슬리브(36) 간의 연결부는 원주를 따라 매우 짧은 거리만큼 연장되며, 이 연결부는 단단한 연결부일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에서의 강성도 감소는 앵커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더 쉽게 하며, 임플란트를 조립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고, 전달을 위해 임플란트가 카테터 내로 초기에 끼워질 때 임플란트의 접힘성을 개선하며, 또한 임플란트가 카테터를 빠져나갈 때 임플란트의 확장성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더 작은 앵커의 사용은 앵커의 개수를 늘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각 개별 앵커가 임플란트를 제자리에 유지시킬 만큼 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리고 적은 개수의 앵커(예를 들어, 한 개 또는 2개)가 적절하게 이식되지 않은 경우에 시스템이 계속 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도 8a/도 8b의 임플란트에 대한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의 다른 이점은 도 8a/도 8b의 임플란트에서 슬리브(36')가 슬라이딩 부재(50')(예를 들어, PET 편조물 또는 나일론 편조물)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강한 물질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발생한다. 이 강도 요구 조건은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선택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모직(wool)은 찢어짐이 없이 슬라이딩 부재(50')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모직(wool)은 도 8a/도 8b의 임플란트에 내의 슬리브(36')를 위한 적절한 물질이 아닐 것이다. 이와 반대로,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에서, 슬리브(36)의 기계적인 강도는 훨씬 낮아질 수 있다. 이는 신칭 코드의 원위 루프 부분(33)이 슬라이딩 부재(50) 내의 구멍(56)을 통하여 나아가기 때문이며 또한 신칭 코드가 비교적 강하기 때문이다.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는 따라서 임플란트를 함께 유지하기 위해 이 구성 요소들의 기계적 강도에 의존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강한 슬리브가 요구되지 않는다.
식으로부터 슬리브의 기계적 강도 특성을 제거함으로써, 슬리브(36)를 위한 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슬리브(36)의 물질은 조직 내성장을 수용하기에 더 잘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 내성장을 촉진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양모, 양모류 및 스폰지류 물질이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도 8a/도 8b의 임플란트에서의 사용에는 적절하지 않을 것이다. 슬리브(36)는 또한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슬리브(36)는 (연속 슬리브를 요구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다수의 세그먼트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옵션 모두 장치의 소형화에 더 기여한다.
도 9는 해부학적 고리(예를 들어, 심장 판막 환상)의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의 앵커(40)와 슬라이딩 부재(50)는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 내의 대응 구성요소와 유사하다. 그러나 신칭 코드를 사용하는 대신, 도 9의 실시예는 슬라이딩 부재(50)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코드(133)의 폐루프를 갖고 있다. (위에서 설명된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 내의 신칭 코드와 동일하게) 구멍 내의 코드(133)의 존재가 슬라이딩 부재(50)가 제1 방향으로 앵커 내의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멍들 각각은 구멍 내에 코드(133)를 유지한다. 앵커(40)와 슬라이딩 부재(50)는 해부학적 고리 내로 또는 해부학적 고리에 인접한 조직 내로의 앵커(40)의 이식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위치에서 코드(133)의 폐루프 주위에 분포되며, 따라서 이식 이후 코드(133)의 폐루프는 해부학적 고리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한다.
코드(133)의 폐루프는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의 신칭 코드를 위하여 사용된 동일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조직 내성장을 수용하는 물질의 하나 이상의 슬리브가 (도 1 및 도 2a의 실시예 내의 슬리브(36)와 유사한) 코드(133)의 폐루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속적인 물질의 슬리브가 코드(133)의 폐루프 상에 배치될 때, 연속적인 슬리브는 슬라이딩 부재(50) 각각의 구멍을 통과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역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많은 수정, 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언어 및 그 등가물에 의하여 한정된 전체 범위를 갖고 있다.

Claims (26)

  1. 초기 원주를 갖는, 심장 판막의 고리를 신칭(cinching)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각은 뾰족한 원위 말단 및 근위 말단을 갖는 적어도 4개의 앵커로서, 앵커 각각은 근위 방향에서 원위 방향으로 나아가는 슬롯을 가지며, 앵커 각각은 조직 내로의 원위 방향으로의 이식을 위하여 구성되고 또한 이식 후에 조직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의 추출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4개의 앵커;
    각각이 상기 앵커 각각의 슬롯 내에 배치되며, 제1 부분은 제1 방향으로 상기 슬롯 밖으로 연장되고 제2 부분은 제2 방향으로 상기 슬롯 밖으로 연장된, 적어도 4개의 슬라이딩 부재로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롯은 상기 앵커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제1 부분 상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상기 제2 부분은 구멍을 갖는, 적어도 4개의 슬라이딩 부재; 및
    제1 말단 영역과 제2 말단 영역을 갖는 원위 루프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말단 영역과 연결된 제1 근위 부분 및 상기 제2 말단 영역에 연결된 제2 근위 부분을 갖는 신칭 코드로서,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신칭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구멍 내의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의 존재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멍들 각각은 상기 구멍 내에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을 유지하며,
    상기 앵커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고리 내로의 또는 상기 고리에 인접한 상기 심장 판막의 판막첨 내로의 상기 앵커의 이식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위치에서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 주위에 분포되면서 상기 제1 말단 영역은 상기 제2 말단 영역 바로 옆에 위치되며, 따라서 이식 후에 상기 제1 말단 영역이 상기 제2 말단 영역 바로 옆에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제1 근위 부분과 상기 제2 근위 부분 모두를 근위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고리의 원주가 감소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을 수용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을 수용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에 저항하는 물질로 라이닝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은 조직 내성장에 저항하는 물질로 코팅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각각은 상기 조직으로부터의 상기 앵커의 추출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브를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각각은 상기 슬롯의 제1 측 상에 원통형 곡선부를 갖는 제1 패널 및 상기 슬롯의 제2 측 상에 배치된 원통형 곡선부를 갖는 제2 패널을 포함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8개의 앵커 및 적어도 8개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16개의 앵커 및 적어도 16개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금속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T형상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을 수용하고, 상기 신칭 코드는 조직 내성장에 저항하는 물질로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앵커 각각은 상기 조직으로부터 상기 앵커의 추출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브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 각각은 상기 슬롯의 제1 측 상에 원통형 곡선부를 갖는 제1 패널 및 상기 슬롯의 제2 측 상에 배치된 원통형 곡선부를 갖는 제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적어도 8개의 앵커 및 적어도 8개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12. 초기 원주를 갖는, 해부학적 통로를 신칭(cinching)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각은 뾰족한 원위 말단 및 근위 말단을 갖는 적어도 4개의 앵커로서, 앵커 각각은 근위 방향에서 원위 방향으로 나아가는 슬롯을 가지며, 앵커 각각은 원위 방향으로의 조직 내로의 이식을 위하여 구성되고 또한 이식 후에 조직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의 추출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4개의 앵커;
    각각이 상기 앵커 각각의 슬롯 내에 배치되며, 제1 부분은 제1 방향으로 상기 슬롯 밖으로 연장되고 제2 부분은 제2 방향으로 상기 슬롯 밖으로 연장된, 적어도 4개의 슬라이딩 부재로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롯은 상기 앵커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제1 부분 상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상기 제2 부분은 구멍을 갖는, 적어도 4개의 슬라이딩 부재;
    제1 말단 영역과 제2 말단 영역을 갖는 원위 루프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말단 영역과 연결된 제1 근위 부분 및 상기 제2 말단 영역에 연결된 제2 근위 부분을 갖는 신칭 코드로서, 상기 원위 루프 부분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신칭 코드; 및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 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로서, 조직 내성장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구멍 내의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의 존재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멍들 각각은 상기 구멍 내에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을 유지하며,
    상기 앵커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해부학적 통로 내로의 또는 상기 해부학적 통로에 인접한 조직 내로의 상기 앵커의 이식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위치에서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 주위에 분포되면서 상기 제1 말단 영역은 상기 제2 말단 영역 바로 옆에 위치되며, 따라서 이식 후에 상기 제1 말단 영역이 상기 제2 말단 영역 바로 옆에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제1 근위 부분과 상기 제2 근위 부분 모두를 근위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해부학적 통로의 원주가 감소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는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를 포함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에 저항하는 물질로 라이닝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칭 코드의 상기 원위 루프 부분은 조직 내성장에 저항하는 물질로 코팅된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8개의 앵커 및 적어도 8개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17. 초기 원주를 갖는 해부학적 통로를 신칭(cinching)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조직 내로 이식하기 위한 그리고 이식 후에 조직으로부터 추출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4개의 앵커 수단으로서, 앵커 수단 각각은 근위 방향에서 원위 방향으로 나아가는 슬롯을 갖는 적어도 4개의 앵커 수단;
    상기 슬롯에 대하여 슬라이딩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슬롯 내에 억류된 상태로 남아 있기 위한 적어도 4개의 슬라이딩 수단으로서, 슬라이딩 수단 각각은 구멍을 갖는 적어도 4개의 슬라이딩 수단; 및
    상기 구멍을 통과하며, 상기 슬롯 내에 상기 슬라이딩 수단을 유지시키고, 상기 장치를 신칭하기 위한 신칭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은 상기 신칭 수단을 유지시키고, 상기 앵커 수단과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해부학적 통로 내로의 또는 상기 해부학적 통로에 인접한 조직 내로의 상기 앵커 수단의 이식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위치에서 상기 신칭 수단 주위에 분포되며, 따라서 이식 후에 상기 신칭 수단을 조이는 것은 상기 해부학적 통로의 원주를 줄이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해부학적 통로는 심장 판막의 고리인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칭 수단의 원위 부분 주변에 배치된 내성장 수용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8개의 앵커 수단 및 적어도 8개의 슬라이딩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1. 해부학적 고리의 팽창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각은 뾰족한 원위 말단 및 근위 말단을 갖는 적어도 4개의 앵커로서, 앵커 각각은 근위 방향에서 원위 방향으로 나아가는 슬롯을 가지며, 앵커 각각은 원위 방향으로의 조직 내로의 이식을 위하여 구성되고 또한 이식 후에 조직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의 추출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4개의 앵커;
    각각이 상기 앵커 각각의 슬롯 내에 배치되며, 제1 부분은 제1 방향으로 상기 슬롯 밖으로 연장되고 제2 부분은 제2 방향으로 상기 슬롯 밖으로 연장된, 적어도 4개의 슬라이딩 부재로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롯은 상기 앵커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하여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제1 부분 상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상기 제2 부분은 구멍을 갖는, 적어도 4개의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코드의 폐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구멍 내의 상기 코드의 존재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슬롯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멍 각각은 상기 구멍 내에 코드를 유지하며,
    상기 앵커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해부학적 고리 내로의 또는 상기 해부학적 고리에 인접한 조직 내로의 상기 앵커의 이식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위치에서 상기 코드의 상기 폐루프 주위에 분포되며, 따라서 이식 후에 상기 코드의 폐루프는 상기 해부학적 고리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해부학적 고리는 심장 판막 고리이며, 상기 해부학적 고리에 인접한 조직은 심장 판막의 판막첨을 포함하는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의 상기 폐루프 위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질의 연속적인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을 수용하는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의 폐루프 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질의 슬리브는 조직 내성장을 수용하는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각각은 상기 조직으로부터의 상기 앵커의 추출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브를 포함하는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8개의 앵커 및 적어도 8개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87033998A 2016-05-24 2016-11-08 심장 판막 고리 내로의 이식을 위한 신칭 코드 KR101963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63,453 2016-05-24
US15/163,453 US9517130B1 (en) 2016-05-24 2016-05-24 Implanting a cinching cord into a cardiac valve annulus
PCT/US2016/060948 WO2017204848A1 (en) 2016-05-24 2016-11-08 A cinching cord for implantation into a cardiac valve annul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928A KR20180132928A (ko) 2018-12-12
KR101963848B1 true KR101963848B1 (ko) 2019-04-02

Family

ID=5734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998A KR101963848B1 (ko) 2016-05-24 2016-11-08 심장 판막 고리 내로의 이식을 위한 신칭 코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17130B1 (ko)
EP (1) EP3463191A1 (ko)
JP (1) JP6560466B2 (ko)
KR (1) KR101963848B1 (ko)
CN (1) CN109310496B (ko)
CA (1) CA3024628C (ko)
WO (1) WO20172048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3857B2 (en) * 2013-10-29 2018-02-06 Entourage Medical Technologies, Inc. System for providing surgical access
US20200146854A1 (en) 2016-05-16 2020-05-14 Elixir Medical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heart valve repair
KR102381701B1 (ko) 2016-09-15 2022-04-04 카디악 임플란츠 엘엘씨 심장 판막륜 수축 및 심장 판막륜 상에 링 설치
JP6619122B2 (ja) 2016-10-31 2019-12-11 カーディアック・インプランツ・エルエルシー 心臓弁輪上に取り付ける前に狭窄コードまたは円環の位置を明らかにするための可撓性の放射線不透過性突出部
FR3060292B1 (fr) * 2016-12-15 2019-01-25 Cmi'nov Dispositif pour realiser ou preparer une annuloplastie mitrale par voie transfemorale
EP3838166A1 (en) 2018-01-03 2021-06-23 Cardiac Implants LLC Fastener for holding a constricting cord in a reduced-diameter state around a cardiac valve annulus, and installation of the fastener
US10980635B2 (en) * 2018-01-07 2021-04-20 William Joseph Drasler Annuloplasty device and methods
SG11202013066PA (en) * 2018-07-12 2021-01-28 Valtech Cardio Ltd Annuloplasty systems and locking tools therefor
US11517434B2 (en) 2018-12-13 2022-12-06 Medtronic Vascular, Inc. Annuloplasty device including tube-like structure
US11452601B2 (en) 2018-12-13 2022-09-27 Medtronic Vascular, Inc. Wire annuloplasty ring
JP2022551425A (ja) 2019-09-25 2022-12-09 カーディアック・インプランツ・エルエルシー 心臓弁輪縮小システム
EP4051182A1 (en) * 2019-10-29 2022-09-07 Edwards Lifesciences Innovation (Israel) Ltd. Annuloplasty and tissue anchor technologies
CN110742662A (zh) * 2019-11-22 2020-02-04 茵络(无锡)医疗器械有限公司 用于植入组织的锚件结构
US11944288B2 (en) * 2020-04-29 2024-04-02 Coloplast A/S Tissue anchor system including a fixation device and a delivery tool
CA3183115A1 (en) 2020-05-20 2021-11-25 Cardiac Implants Llc Reducing the diameter of a cardiac valve annulus with independent control over each of the anchors that are launched into the annulus
US11173028B1 (en) 2020-09-09 2021-11-16 Cardiac Implants Llc Positioning a medical device in the right atrium or right ventricle using a non-flexible cathe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7277A1 (en) 2001-12-21 2009-07-09 Simcha Milo Implantation system for annuloplasty rings
US20130131723A1 (en) 2009-11-16 2013-05-23 Douglas B. Snell Bone implant with convertible suture attachment
WO2013088327A1 (en) 2011-12-12 2013-06-20 David Alon Heart valve repair device
US20160120645A1 (en) 2013-06-06 2016-05-05 David Alon Heart Valve Repair and Replace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2979A (en) 1976-07-12 1977-08-23 Angell William W Valvuloplasty ring and prosthetic method
US7666193B2 (en) 2002-06-13 2010-02-23 Guided Delivery Sytems, Inc.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for heart valve repair
US8394114B2 (en) 2003-09-26 2013-03-12 Medtronic, Inc. Surgical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s
US8430926B2 (en) 2006-08-11 2013-04-30 Japd Consulting Inc. Annuloplasty with enhanced anchoring to the annulus based on tissue healing
US8926695B2 (en) 2006-12-05 2015-01-06 Valtech Cardio, Ltd. Segmented ring placement
US20100249920A1 (en) 2007-01-08 2010-09-30 Millipede Llc Reconfiguring heart features
WO2010073246A2 (en) * 2008-12-22 2010-07-01 Valtech Cardio, Ltd. Adjustable annuloplasty devices and adjustment mechanisms therefor
EP2393442A4 (en) 2009-02-09 2017-08-09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Inflatable minimally invasive system for delivering and securing an annular implant
US20110160849A1 (en) * 2009-12-22 2011-06-30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Bimodal tricuspid annuloplasty ring
US8845717B2 (en) * 2011-01-28 2014-09-30 Middle Park Medical, Inc. Coaptation enhancement implant, system, and method
US8900295B2 (en) * 2011-09-26 2014-12-02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Prosthetic valve with ventricular teth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77277A1 (en) 2001-12-21 2009-07-09 Simcha Milo Implantation system for annuloplasty rings
US20130131723A1 (en) 2009-11-16 2013-05-23 Douglas B. Snell Bone implant with convertible suture attachment
WO2013088327A1 (en) 2011-12-12 2013-06-20 David Alon Heart valve repair device
US20160120645A1 (en) 2013-06-06 2016-05-05 David Alon Heart Valve Repair and Repla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17130B1 (en) 2016-12-13
CA3024628A1 (en) 2017-11-30
CN109310496A (zh) 2019-02-05
JP2019516523A (ja) 2019-06-20
CN109310496B (zh) 2019-11-29
EP3463191A1 (en) 2019-04-10
CA3024628C (en) 2019-12-24
WO2017204848A1 (en) 2017-11-30
KR20180132928A (ko) 2018-12-12
JP6560466B2 (ja)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848B1 (ko) 심장 판막 고리 내로의 이식을 위한 신칭 코드
US20210085461A1 (en) Constricting a Cardiac Valve Annulus Using a Cord That Has a Loop Portion and a Single Second Portion
JP7229238B2 (ja) 調整可能自動ロック式乳頭筋バンド
US9744039B2 (en) Delivery system for vascular implant
EP2204141B1 (en) Prosthesis deployment system retention device
CN104135973B (zh) 用于植入物的无结缝线锚定装置和工具
JP2018075430A (ja) 脈管または心臓ステントおよび送給装置
JP2015518761A (ja) 内蔵式人工器官、およびそのような内蔵式人工器官を移植するための送給装置
CN111787888A (zh) 递送装置、递送系统、支架移植体和支撑结构
US20220133513A1 (en) Crimping devices for prosthetic heart valves
US1040632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eath ret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