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757B1 - 석재 정렬 기구 - Google Patents

석재 정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757B1
KR101963757B1 KR1020190003146A KR20190003146A KR101963757B1 KR 101963757 B1 KR101963757 B1 KR 101963757B1 KR 1020190003146 A KR1020190003146 A KR 1020190003146A KR 20190003146 A KR20190003146 A KR 20190003146A KR 101963757 B1 KR101963757 B1 KR 101963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and
fixing shaft
support
ban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희
Original Assignee
이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희 filed Critical 이수희
Priority to KR102019000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 조형물 제작 시 위아래 석재가 받듯하게 적층되도록 정렬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량물인 석재를 쌓아 올린 후에 위아래 석재의 가로 및 세로를 받듯하게 맞출 때, 석재 양면에 밀착되는 지지체 및 그 사이에 연결되는 밴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정렬 기구를 이용하여 석재를 손쉽게 당기거나 밀어가면서 반듯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1∼2명의 작업자만으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을 빠르고 안전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석재의 파손을 막을 수 있으며,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여 석재 정렬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석재 정렬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석재 정렬 기구{STONE ALIGNING DEVICE}
본 발명은 석재 정렬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재 조형물 제작 시 위아래 석재가 받듯하게 적층되도록 정렬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등, 석탑 등과 같은 석재 조형물은 일정 규모 이상의 크기를 갖는 암석, 돌 등과 같은 석재, 즉 가로와 세로가 일정한 크기 이상인 통석을 정이나 석공구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형태나 형상으로 만든 물체이다.
이러한 석재 조형물의 석물(石物)의 크기는 가로와 세로가 수십 센티미터로부터 수 미터까지 다양하며, 중량은 보통 수백 킬로그램 내지 수 톤 또는 수십 톤으로 매우 무겁다.
또한, 큰 크기의 조형물은 통석을 적층하여 가공하는 것이 일반화된 경향이어서 통석의 상부에 또 다른 통석을 쌓는 것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일정한 크기의 통석을 여러 개 적층하여 높이가 높은 석재 조형물을 제작하는 경우, 상하 적층되어 있는 통석을 사면이 맞도록 반듯하게 정렬시키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보통 중량감이 있는 통석을 적층할 때에는 밧줄 또는 와이어를 통석에 묶어서 크레인으로 들어 올린 다음, 선(先) 적층되어 있는 통석의 상부에 또 다른 통석을 대충 엇비슷하게 가로 및 세로를 맞춰서 쌓아 올리고, 최종적으로 여러 명의 작업자들이 달라붙어 밀거나 당기거나 하면서 위아래에 적층되어 있는 통석을 반듯하게 맞추는 방법으로 통석을 정렬한다.
그러나, 기존의 통석(석재) 정렬방법은 10∼20ton 정도의 중량물인 통석을 5∼6명의 작업자가 밀거나 당기면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음은 물론, 작업이 매우 어렵고 작업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통석을 밀거나 당기는 과정에서 위아래 통석 간의 면압에 의해 통석이 깨지는 등 손상의 우려가 높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 작업자의 안전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25006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중량물인 석재를 쌓아 올린 후에 위아래 석재의 가로 및 세로를 받듯하게 맞출 때, 석재 양면에 밀착되는 지지체 및 그 사이에 연결되는 밴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정렬 기구를 이용하여 석재를 손쉽게 당기거나 밀어가면서 반듯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1∼2명의 작업자만으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을 빠르고 안전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석재의 파손을 막을 수 있으며,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여 석재 정렬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석재 정렬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석재 정렬 기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석재 정렬 기구는 밴드의 길이 중간이 고정되는 제1밴드 고정축을 가지면서 상하 적층되어 있는 석재의 한쪽면에 밀착되는 제1지지체와, 밴드의 단부가 고정됨과 더불어 회전 가능한 제2밴드 고정축을 가지면서 상하 적층되어 있는 석재의 반대쪽면에 밀착되는 제2지지체와, 위아래 석재의 사이를 가로질러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 사이에 연결되는 밴드와, 상기 제2지지체의 제2밴드 고정축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석재 정렬 기구는 레버 조작 시 제2밴드 고정축이 회전하면서 밴드를 감아줌으로써 윗쪽의 석재를 당겨서 아래쪽의 석재에 맞게 반듯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체는 제2밴드 고정축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래칫과, 상기 래칫의 주변에 위치되어 래칫을 선택적으로 걸어주는 폴로 구성되어, 래칫을 포함하는 제2밴드 고정축을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켜주는 역전방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지지체는 제2지지체 몸체부에 나사 체결구조로 설치되어 레버의 조작에 따른 전진 이동을 통해 윗쪽의 석재를 밀어서 아래쪽의 석재에 맞게 반듯하게 정렬시켜주는 미세조절용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체는 중심부에 밴드 홀을 가지면서 석재의 표면에 밀착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2지지체 몸체부와, 상기 제2지지체 몸체부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사각틀 형태의 제2지지체 벽체부와, 상기 제2밴드 고정축의 설치를 위하여 축 홀을 가지면서 제2지지체 벽체부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ㄷ"자 형태의 제2지지체 축설치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밴드는 제1밴드 고정축과 제2밴드 고정축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슬릿에 끼워져 감겨지는 구조로 제1밴드 고정축측과 제2밴드 고정축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석재 조형물의 제작 시 중량물인 석재를 쌓아 올린 후, 위아래 석재의 가로 및 세로를 받듯하게 맞출 때, 밴드로 연결되어 있는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를 석재의 양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2지지체측의 레버를 조작하여 밴드를 당기거나 볼트를 미는 방법으로 석재를 정렬시키는 메카니즘을 채택한 본 발명의 석재 정렬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1∼2명의 작업자만으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레버 조작으로 중량물인 석재를 손쉽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정렬 작업을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레버 조작만으로 석재를 적당하게 조금씩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작업자가 힘 조절을 못해 석재를 과도하게 밀거나 하는 등의 사례를 예방할 수 있고, 따라서 작업자를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레버 조작에 따른 밴드의 당김력 및 볼트의 체결력으로 석재를 미세하게 당기거나 밀 수 있기 때문에 위아래 석재를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등 석재 정렬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석재를 조금씩 천천히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석재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정렬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정렬 기구의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정렬 기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정렬 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정렬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정렬 기구의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석재 정렬 기구는 석재(통석)의 한쪽면에 밀착되어 밴드(10)의 길이 중간을 걸어주는 수단으로 제1지지체(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체(12)는 제1지지체 몸체부(24)와 제1지지체 벽체부(25), 그리고 제1밴드 고정축(11)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지지체 몸체부(24)는 밴드(10)의 통과를 위한 중심부의 밴드 홀(19a)을 가지면서 위아래 석재의 표면에 밀착되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지지체 벽체부(25)는 제1지지체 몸체부(24)의 전면 양쪽에서 90°의 각도로 일체 절곡 형성되면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판체 형태로서, 이러한 제1지지체 벽체부(25)에는 제1밴드 고정축(11)의 양단부가 끼워지게 되는 축 홀(2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밴드 고정축(11)은 밴드(10)의 길이 중간 부분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1밴드 고정축(11)의 양단부는 양쪽의 제1지지체 벽체부(25)에 형성되어 있는 축 홀(21a)에 끼워져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제1밴드 고정축(11)은 제1지지체 벽체부(25)에 양단부를 통해 지지되는 구조로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밴드 고정축(11)에는 축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일정구간 절개된 형태의 슬릿(23a)이 형성되고, 이때의 슬릿(23a)에는 밴드(1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밴드(10)의 한쪽 단부가 제1밴드 고정축(11)의 슬릿(23a)에 끼워진 후, 이렇게 끼워진 한쪽 단부가 재차 밴드(10)의 다른 한쪽 단부가 있는 쪽으로 연장되므로서, 이때의 밴드(10)는 제1밴드 고정축(11)에 길이 중간 부분이 걸쳐지는 상태로 제1밴드 고정축(11) 상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밴드(10)는 제1밴드 고정축(11)에 있는 슬릿(23a)에 끼워지지 않고 제1밴드 고정축(11)의 외주면 상에 길이 중간 부분이 그대로 걸쳐지는 상태로 연결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석재 정렬 기구는 석재(통석)의 다른 한쪽면(제1지지체가 밀착되어 있는 석재의 한쪽면에 대해 마주대하는 반대쪽 면)에 밀착되어 밴드(10)의 단부를 걸어주는 수단으로 제2지지체(1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체(14)는 제2지지체 몸체부(17)와 제2지지체 벽체부(20), 그리고 제2밴드 고정축(13)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지지체 몸체부(17)는 밴드(10)의 통과를 위한 중심부의 밴드 홀(19b)을 가지면서 위아래 석재의 표면에 밀착되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지지체 벽체부(22)는 제2지지체 몸체부(17)의 전면에서 90°의 각도로 세워지면서 사각틀을 이루는 판체 형태로서, 이러한 제2지지체 벽체부(22)의 내측으로 밴드 홀(19b)이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2지지체 벽체부(20)의 가장자리 단부(테두리 전면)에는 "ㄷ"자 형태의 제2지지체 축설치부(22)가 연장 형성된다.
이때의 제2지지체 축설치부(22)는 용접 등에 의해 제2지지체 벽체부(20) 상에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지지체 축설치부(22)의 양쪽 벽체에는 제2밴드 고정축(13)의 양단부가 끼워지게 되는 축 홀(2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밴드 고정축(13)은 밴드(10)의 양쪽 단부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2밴드 고정축(13)의 양단부는 제2지지체 축설치부(22)의 양쪽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축 홀(21a)에 끼워져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제2밴드 고정축(13)은 제2지지체 축설치부(22)에 양단부를 통해 지지되면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밴드 고정축(13)에는 축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일정구간 절개된 형태의 슬릿(23b)이 형성되고, 이때의 슬릿(23b)에는 밴드(10)의 양쪽 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지지체(12)측에서 연장되어 오는 2줄의 밴드(10)의 단부가 제2밴드 고정축(13)의 슬릿(23b)에 끼워진 후, 슬릿(23b)을 빠져나와 역방향으로 제2밴드 고정축(13)의 외주면을 수 회 감싸게 되므로서, 제2밴드 고정축(13) 상에 밴드(10)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밴드 고정축(13)이 회전하게 되면, 밴드(10)가 제2밴드 고정축(13)에 감기게 되고, 결과적으로 밴드(10)에 연결되어 있는 반대쪽의 제1지지체(12)가 당겨지게 되므로서, 이때의 제1지지체(12)에 밀착되어 있는 윗쪽의 석재 또한 당겨지는 쪽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석재 정렬 기구는 제1지지체(12)측에 감겨지면서 견인력을 발휘하는 수단으로 밴드(10)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10)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띠 모양의 밴드로서, 이러한 밴드(10)의 길이 중간 부분은 제1지지체(12)측에, 양쪽 단부는 제2지지체(14)측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상기 제1지지체(12)의 제1밴드 고정축(11)에 길이 중간 부분이 고정되는 밴드(10)의 양쪽 단부는 위아래 석재 사이에 조성되어 있는 틈새, 예를 들면 위아래 석재를 밀착시켜서 적층시키면 면압이 걸려 석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위아래 석재 사이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2∼3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소재의 패드를 고여줌으로써 자연스럽게 조성되는 틈새 사이를 가로질러 통과한 후에 제2지지체(14)의 제2밴드 고정축(13)에 고정되므로서, 밴드(10)는 양편의 제1지지체(12)측과 제2지지체(14)측 사이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밴드(10)의 폭은 제1밴드 고정축(11)과 제2밴드 고정축(13)에 있는 슬릿(23a,23b)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석재 정렬 기구는 작업자가 제2지지체(14)의 제2밴드 고정축(13)을 회전 조작할 때 사용하는 레버(15)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15)는 볼트나 너트 등을 끼워서 돌릴 수 있는 헤드부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지는 일종의 소켓 렌치 형태로서, 제2지지체(14)의 제2밴드 고정축(13)의 헤드부, 예를 들면 육각머리 형태의 헤드부는 물론 후술하는 미세조절용 볼트(18)의 헤드부에 걸어서 돌리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석재 정렬 기구는 제2밴드 고정축(13)의 역회전을 막아서 밴드(1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역전방지기(16)를 포함한다.
상기 역전방지기(16)는 제2지지체(14)의 제2밴드 고정축(13)과 함께 회전하는 래칫(16a)과, 상기 래칫(16a)의 한쪽 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폴(16b)을 포함한다.
상기 래칫(16a)은 제2지지체 축설치부(22)의 바깥쪽에 위치되면서 제2밴드 고정축(13)의 한쪽 단부에 결합되고, 이러한 래칫(16a)은 제2밴드 고정축(13)과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폴(16b)은 래칫(16a)의 일측에 위치되면서 폴 축(16c)을 이용하여 제2지지체 축설치부(22)의 바깥면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폴(16)의 이빨은 래칫(16a)의 치형이 이루는 궤적 안쪽으로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래칫 치형과 간섭을 일으키면서 래칫(16a)의 한쪽 방향 회전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폴(16)의 이빨(래칫 치형과 맞물리는 부분)은 폴 축(16c)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상에 대해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폴(16)은 경사진 자세를 취하면서 그 이빨을 통해 래칫(16a)의 치형에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칫(16a)의 한쪽 방향(예를 들면, 시계 방향) 회전 시 래칫(16a)의 치형은 폴(16)의 이빨을 타고 넘어가게 되고, 결국 래칫(16a)은 시계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래칫(16a)의 반대쪽 방향(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 회전 시 래칫(16a)의 치형은 폴(16)의 이빨과 꽉 물리게 되므로, 즉 폴(16b)의 이빨이 래칫(16a)의 치형 골 내에 꽉 물리게 되므로, 결국 래칫(16a)은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석재 정렬 기구는 위아래 석재의 4면을 반듯하게 정렬시켜주는 수단으로 미세조절용 볼트(18)를 포함한다.
상기 미세조절용 볼트(18)는 아래쪽 석재 대비 앞쪽(제2지지체가 설치되는 쪽)으로 튀어나와 있는 윗쪽 석재를 뒷쪽으로 밀어서 맞출 때 나사 피치이동을 통해 미세하게 석재를 움직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지지체(14)의 제2지지체 몸체부(17)에는 몸체부 상단 및/또는 몸체부 하단에 너트(26)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너트(26)에 미세조절용 볼트(18)가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미세조절용 볼트(18)를 돌려주게 되면, 너트(26)측과의 체결이 진행되면서 미세조절용 볼트(18)가 전진 이동되고, 이렇게 이동되는 미세조절용 볼트(18)에 의해 볼트 끝에 닿아 있는 윗쪽의 석재가 뒷쪽으로 미세하게 이동되면서 아래쪽 석재와 반듯하게 맞춰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미세조절용 볼트(18)는 제2지지체(14)의 상단측과 하단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한쌍의 이루어지는 미세조절용 볼트(18)를 적용하는 경우, 석재 정렬 기구를 옆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눕힌 상태에서 사용할 때, 양쪽 옆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석재를 정렬시키는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정렬 기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석재(100b)의 상면에 몇 개의 굄돌(미도시)을 배치함과 더불어 제1지지체(미도시)와 제2지지체(14)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밴드(10)를 걸쳐 놓은 후, 크레인(미도시)으로 상부 석재(100a)를 들어 올려서 하부 석재(100b) 위에 내려 놓는다.
이때, 상기 크레인 조정을 통해 상부 석재(100a)와 하부 석재(100b)를 대략적으로 정렬시키면서 상부 석재(100a)를 내려 놓는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체(14)의 제2밴드 고정축(13)에 레버(15)를 건 상태에서 레버(15)의 조작을 통해 제2밴드 고정축(13)을 어느 정도 돌려서 밴드(10)를 팽팽한 상태로 만든다.
이때, 상기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14)는 위아래 석재(100a,100b)의 양면에 밀착된다.
이렇게 위아래 석재(100a,100b)의 양면에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14)를 밀착시키고, 밴드(10)가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하면 석재 정렬 기구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정렬 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상부의 석재(100a)가 하부의 석재(100b)에 대해 도면의 좌측으로 치우쳐 놓여진 상태에서 상부의 석재(100a)를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하부의 석재(100a,100b)를 반듯하게 정렬시키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가 레버(15)를 제2지지체(14)의 제2밴드 고정축(13)에 끼운 다음, 레버(15)를 아래로 젖히게 되면, 제2밴드 고정축(13)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밴드(10)가 제2밴드 고정축(13)에 감겨지면서 반대쪽에 있는 제1지지체(12)가 당겨지게 되며, 결국 이러한 조작의 반복을 통해 상부의 석재(100a)가 도면의 오른쪽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되므로서, 상부의 석재(100a)를 하부의 석재(100b)에 맞게 반듯하게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하부의 석재(100a,100b)의 정렬 작업을 완료한 후에 제2지지체(14)측의 밴드(10)를 푼 다음, 상하부의 석재(100a,100b) 사이에서 밴드(10)를 빼내면 모든 작업을 마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부의 석재(100a)를 하부의 석재(100b) 위에 올려 놓기 전에 두세트의 석재 정렬 기구의 각 밴드(10)를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배치하게 되면, 상하부의 석재(100a,100b)를 좌우 방향 뿐만 아니라 전추 방향으로도 정렬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상하부의 석재(100a,100b)의 사면을 모두 반듯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상부의 석재(100a)가 하부의 석재(100b)에 대해 도면의 우측으로 치우쳐 놓여진 상태에서 상부의 석재(100a)를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시켜 상하부의 석재(100a,100b)를 반듯하게 정렬시키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가 레버(15)를 미세조절용 볼트(18)의 헤드부에 끼운 다음, 레버(15)를 돌려주게 되면, 미세조절용 볼트(18)가 너트(26)에 체결되면서 전진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미세조절용 볼트(18)의 끝에 닿아 있던 상부의 석재(100a)가 미세조절용 볼트(18)의 전진 이동에 밀려서 도면의 왼쪽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되므로서, 상부의 석재(100a)를 하부의 석재(100b)에 맞게 반듯하게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상하부의 석재(100a,100b)의 정렬 작업을 완료한 후에 제2지지체(14)측의 밴드(10)를 푼 다음, 상하부의 석재(100a,100b) 사이에서 밴드(10)를 빼내면 모든 작업을 마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미세조절용 볼트(18)를 조작하여 상하부의 석재(100a,100b)를 정렬시키는 경우, 볼트와 너트 간의 나사 피치에 상응하는 거리만큼씩 상부의 석재(100a)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하부의 석재(100a,100b)를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밴드(10)를 당겨서 상부의 석재(100a)를 정렬시키는 작업을 할 때 상부의 석재(100a)가 하부의 석재(100b) 보다 도면의 오른쪽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도 미세조절용 볼트(18)를 조작하여 재차 상하부의 석재(100a,100b)를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석재 조형물 제작을 위하여 중량물인 석재를 쌓아 올린 후, 위아래 석재의 가로 및 세로를 받듯하게 맞추는 작업 시, 석재 양면에 밀착되는 지지체 및 그 사이에 연결되는 밴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형태의 석재 정렬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1∼2명의 작업자만으로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고, 작업을 빠르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석재의 파손을 막을 수 있으며, 위아래 석재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어 석재 정렬 품질은 물론 석재 조형물의 제작 품질을 높일 수 있다.
10 : 밴드
11 : 제1밴드 고정축
12 : 제1지지체
13 : 제2밴드 고정축
14 : 제2지지체
15 : 레버
16 : 역전방지기
16a : 래칫
16b : 폴
16c : 폴 축
17 : 제2지지체 몸체부
18 : 미세조절용 볼트
19a,19b : 밴드 홀
20 : 제2지지체 벽체부
21a,21b : 축 홀
22 : 제2지지체 축설치부
23a,23b : 슬릿
24 : 제1지지체 몸체부
25 : 제1지지체 벽체부
26 : 너트

Claims (5)

  1. 밴드(10)의 길이 중간이 고정되는 제1밴드 고정축(11)을 가지면서 상하 적층되어 있는 석재의 한쪽면에 밀착되는 제1지지체(12);
    밴드(10)의 단부가 고정됨과 더불어 회전 가능한 제2밴드 고정축(13)을 가지면서 상하 적층되어 있는 석재의 반대쪽면에 밀착되는 제2지지체(14);
    위아래 석재의 사이를 가로질러 제1지지체(12)와 제2지지체(14) 사이에 연결되는 밴드(10);
    상기 제2지지체(14)의 제2밴드 고정축(13)을 회전 조작하기 위한 레버(15);
    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 조작 시 제2밴드 고정축이 회전하면서 밴드를 감아줌으로써 윗쪽의 석재를 당겨서 아래쪽의 석재에 맞게 반듯하게 정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정렬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14)는 제2밴드 고정축(13)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래칫(16a)과, 상기 래칫(16a)의 주변에 위치되어 래칫(16a)을 선택적으로 걸어주는 폴(16b)로 구성되어, 래칫(16a)을 포함하는 제2밴드 고정축(13)을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켜주는 역전방지기(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정렬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14)는 제2지지체 몸체부(17)에 나사 체결구조로 설치되어 레버(15)의 조작에 따른 전진 이동을 통해 윗쪽의 석재를 밀어서 아래쪽의 석재에 맞게 반듯하게 정렬시켜주는 미세조절용 볼트(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정렬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14)는 중심부에 밴드 홀(19b)을 가지면서 석재의 표면에 밀착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2지지체 몸체부(17)와, 상기 제2지지체 몸체부(17)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사각틀 형태의 제2지지체 벽체부(20)와, 상기 제2밴드 고정축(13)의 설치를 위하여 축 홀(21b)을 가지면서 제2지지체 벽체부(20)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ㄷ"자 형태의 제2지지체 축설치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정렬 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10)는 제1밴드 고정축(11)과 제2밴드 고정축(13)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슬릿(23a,23b)에 끼워져 감겨지는 구조로 제1밴드 고정축(11)측과 제2밴드 고정축(13)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정렬 기구.
KR1020190003146A 2019-01-10 2019-01-10 석재 정렬 기구 KR101963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46A KR101963757B1 (ko) 2019-01-10 2019-01-10 석재 정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146A KR101963757B1 (ko) 2019-01-10 2019-01-10 석재 정렬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757B1 true KR101963757B1 (ko) 2019-03-29

Family

ID=6589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146A KR101963757B1 (ko) 2019-01-10 2019-01-10 석재 정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7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069B1 (ko) 2011-12-26 2013-04-09 김동철 석재 인양 루프 플레이트
KR20130084063A (ko) * 2012-01-16 2013-07-24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사파이어 실린더 마운팅 장치
KR101602254B1 (ko) * 2008-03-12 2016-03-10 밴드-잇-아이덱스, 인코포레이티드 고정식 밴드 클램핑 장치
KR101844171B1 (ko) * 2014-12-17 2018-03-30 외티커 슈비츠 아게 인장 클램프 장착용 공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254B1 (ko) * 2008-03-12 2016-03-10 밴드-잇-아이덱스, 인코포레이티드 고정식 밴드 클램핑 장치
KR101250069B1 (ko) 2011-12-26 2013-04-09 김동철 석재 인양 루프 플레이트
KR20130084063A (ko) * 2012-01-16 2013-07-24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사파이어 실린더 마운팅 장치
KR101844171B1 (ko) * 2014-12-17 2018-03-30 외티커 슈비츠 아게 인장 클램프 장착용 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771B1 (ko) 정밀설비 하부고정식 안전운반트롤리
KR101641335B1 (ko) 우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963757B1 (ko) 석재 정렬 기구
JP5190622B2 (ja) 筒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と内側型枠装置および落下防止装置
US11141821B2 (en) Automated screw driving machine
EP2969868B1 (en) Stillage for sheet materials
KR101635454B1 (ko) 물류운반용 도킹지그이동형 안전곤돌라
KR101006742B1 (ko) 갠트리의 벨트장력조절장치
KR101527564B1 (ko)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JP6066156B1 (ja) 法丁張装置及び法丁張方法
KR101795972B1 (ko) 유로폼 적재 운반장치
EP2947031B1 (de) Wandung zur aufnahme von schleissplatten und verfahren zum wechseln von schleissplatten
CN101983867B (zh) 卷轴框绷网器装置及其绷网方法
JP3124728B2 (ja) 基礎コンクリートの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
AU2006220397B9 (en) A twist on truss controller
US6871839B2 (en) Strand feeder device
US6842960B2 (en) Method of feeding strand into a mold
KR20120009071A (ko) 핸드 드릴
JPH01317919A (ja) 鉄筋格子の吊り上げ分配工具
US10442079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pparatus for taking out molded product
JP3235453U (ja) コンクリート打設装置
KR20140004562U (ko) 러그 취부용 장치
CN218108124U (zh) 一种转运料架喷漆的吊运工装
EP2597056B1 (en) Transport unit with support arrangement for supporting load
JPH0547226U (ja) 水平ネット張設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