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687B1 -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 - Google Patents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687B1
KR101963687B1 KR1020180086656A KR20180086656A KR101963687B1 KR 101963687 B1 KR101963687 B1 KR 101963687B1 KR 1020180086656 A KR1020180086656 A KR 1020180086656A KR 20180086656 A KR20180086656 A KR 20180086656A KR 101963687 B1 KR101963687 B1 KR 101963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fabric
nonwoven fabric
thickness
den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락
Original Assignee
(유)이안지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이안지오텍 filed Critical (유)이안지오텍
Priority to KR1020180086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00Manual implements, other than sprayers or powder distributor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e.g. butterfly nets
    • A01M3/002Insect ne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소나무 재선충병에 감염된 목재를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재선충의 매개충을 사멸시키는 동시에 소나무 재선충병의 외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이 개시된다. 상기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직물;을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 및 직물은 니들 펀칭 또는 본딩을 통하여 부착되고, 상기 부직포는 섬유 가닥 하나의 길이가 45 내지 75 mm인 단섬유 부직포 또는 섬유 가닥 하나의 길이가 1,000 m 이상인 장섬유 부직포이며, 상기 단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의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는 3 데니아(denier) 이하이고, 상기 직물의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는 2,000 데니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Composite fabric for prevent bursaphelenchus xylophilus and composite fabric ba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나무 재선충병에 감염된 목재를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재선충의 매개충을 사멸시키는 동시에 소나무 재선충병의 외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에 관한 것이다.
소나무 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소나무, 해송, 잣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히말리야시다 및 낙엽송 등에 소나무 재선충병(Pine Wilt Disease; 소나무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해충으로서 소나무 에이즈로도 불리우며, 감염된 나무는 잎이 처지고 시들기 시작한 후 급속히 붉게 변색되며 완전히 고사하는 치명적인 병이다.
소나무 재선충과 같은 선충류는 자체 이동능력이 매우 떨어지는 해충으로서, 소나무 재선충 또한 나무 밖에서의 이동능력이 부족하여 매개충을 통해 나무와 나무 사이를 이동하며, 대표적인 매개충으로는 솔수염하늘소(Monochamusaternatus) 등의 하늘소 속 곤충을 예로 들 수 있다. 소나무 재선충은 이러한 매개충에 기생하여, 매개충이 건전한 나뭇가지의 수피를 후식(Maturation feeding, 성충섭식) 할 때와 수피를 찢어서 산란할 때 생기는 상처를 통하여 건전한 나무로 옮겨진다.
소나무 재선충의 크기는 1 ㎜ 이하로서, 25 ℃에서 1세대 경과 소요 일수는 4 ~ 5일에 불과하며, 한 쌍이 20일 후면 20만 마리로 증식하여 기주식물의 가도관을 막아 수분 상승을 차단하고, 독소인 셀룰라아제(Cellulase)를 분비하여 조직을 파괴시킴으로써 기주식물을 고사시키는데, 이는 솔수염하늘소의 유충, 번데기를 거쳐 솔수염하늘소 몸 속으로 이동하여 다른 나무로 전염된다. 이렇게 솔수염하늘소는 자력이동 능력이 없는 재선충을 기주식물에 옮겨주고, 재선충은 나무를 고사시켜 솔수염하늘소의 산란처를 제공해 주는 특수한 공생 관계를 가진다.
소나무 재선충병의 방제법으로 제안되고 있는 것으로는, 벌채 및 파쇄, 벌채 및 소각, 벌채 및 훈증 등 의 방식이 있다. 하지만 이들 방식은, 분쇄를 위한 기계가 있는 곳 또는 소각로가 설치된 곳까지 벌채한 나무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매개충의 유충과 재선충이 다른 나무로 전파될 위험이 있거나, 산불 우려에 의해 방제시기가 극히 제한적이고 임지에서 태울 경우에는 열해목이 발생하여 주위의 나무를 죽이는 문제가 있거나, 수피와 비닐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밀봉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험준한 산악 지형에서 병해충의 침투 가능성이 높은 뿌리 부분이 그대로 노출되어 방제 효과가 저하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들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법 이외에, 솔수염하늘소 등의 매개충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포획할 수 있는 망지, 그물망 등의 물품 또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54329호(출원인: 주식회사 시내&들)는, 소나무 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를 포획 및 사멸시키고 다양한 외부환경에서 장기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소나무 재선충 방제용 피복망지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망지, 그물망이 직조된 직물 형태여서 결국에는 매개충이 망지, 그물망을 뚫고 나와 소나무 재선충 방제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기존의 소나무 재선충 방제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재선충 방제법의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나무 재선충병에 감염된 목재를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재선충의 매개충을 사멸시키는 동시에 소나무 재선충병의 외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직물;을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 및 직물은 니들 펀칭 또는 본딩을 통하여 부착되고, 상기 부직포는 섬유 가닥 하나의 길이가 45 내지 75 mm인 단섬유 부직포 또는 섬유 가닥 하나의 길이가 1,000 m 이상인 장섬유 부직포이며, 상기 단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의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는 3 데니아(denier) 이하이고, 상기 직물의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는 2,000 데니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로 이루어지며 재선충 감염된 수목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최소 어느 일단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며, 재선충의 이동을 매개하는 매개충의 외부 이탈이 불가능하여 재선충병의 외부 확산 방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은, 소나무 재선충병에 감염된 목재를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재선충의 매개충을 사멸시키는 동시에 소나무 재선충병의 외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측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실물 이미지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를 구성하는 직물의 실물 이미지이며,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실물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부직포와 직물을 니들 펀칭 방식으로 부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측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에 재선충 감염된 목재를 넣은 후 개구부를 닫은 이미지이고, 도 6의 b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에 재선충 감염된 목재를 넣은 후 개구부를 오픈시킨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측단면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실물 이미지이고,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를 구성하는 직물의 실물 이미지이며,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실물 이미지이다. 하기할 복합포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중 하나일 뿐, 본 발명의 모든 것을 포함하지는 않는 것이며, 본 발명의 복합포는 본딩(bonding) 또는 멀티 카딩(carding) 방식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10)는, 부직포(12) 및 상기 부직포(12)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직물(14)을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12) 및 직물(14)은 니들 펀칭 또는 본딩을 통하여 부착되고, 상기 부직포(12)는 섬유 가닥 하나의 길이가 45 내지 75 mm인 단섬유 부직포 또는 섬유 가닥 하나의 길이가 1,000 m 이상인 장섬유 부직포이며, 상기 단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의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는 3 데니아(denier) 이하이고, 상기 직물(14)의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는 2,000 데니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나무 재선충은 자체 이동능력이 매우 떨어지는 해충으로서, 특히 나무 밖에서의 이동능력이 부족하여 솔수염하늘소(Monochamusaternatus) 등의 매개충에 기생함으로써, 매개충이 건전한 나뭇가지의 수피를 후식(Maturation feeding, 성충섭식) 할 때와 수피를 찢어서 산란할 때 생기는 상처를 통하여 건전한 나무로 옮겨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소나무 재선충병의 다양한 방제법이 알려져 있으나, 모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적극적으로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소나무 재선충병에 감염된 목재를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재선충의 매개충을 사멸시키는 동시에 소나무 재선충병의 외부 확산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을 발명해 낸 것이다.
상기 부직포(12)는 섬유를 , 제직 또는 편조하지 않고 화학적 또는 기계적 방법(, 융착, 포락 등)으로 박층상 섬유 집합체(웹; web)의 섬유끼리를 시킨 포상(布狀)의 것으로서, 그 재질은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틸렌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 중 폴리프로필렌을 적용하는 것이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강도 향상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직포(12)는 단섬유의 부직포 또는 장섬유의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단섬유 부직포는 섬유 가닥 하나의 길이가 약 45 내지 75 mm인 것으로서,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는 3 데니아(denier)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데니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데니아일 수 있다. 상기 단섬유 부직포의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가 3 데니아를 초과할 경우, 매개충이 갉아 먹거나 부직포의 촘촘함 밀도가 저하되어 매개충이 외부로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섬유 가닥 하나의 길이가 약 1,000 m 이상인 것으로서,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는 3 데니아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데니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데니아일 수 있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의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가 3 데니아를 초과할 경우, 상기 단섬유 부직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매개충이 갉아 먹거나 부직포의 촘촘함 밀도가 저하되어 매개충이 외부로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12)의 인장강도는, 시험방법 KS K 0743:2016, C.R.E, 그래브법 기준 경사(길이) 및 위사(폭) 모두 250 N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부직포(12)의 인장신도는 시험방법 KS K 0743:2016, C.R.E, 그래브법 기준 경사(길이) 및 위사(폭) 모두 50 %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부직포(12)의 수직투수계수는 시험방법 KS K ISO 11058:2011, 정수두법 기준 a(1 이상) × 10-1 cm/s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12)의 두께는 1 내지 4 m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mm로서, 상기 부직포(12)의 두께가 1 mm 미만이면 섬유올의 양이 적어 매개충이 (갉아먹음으로써) 통과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4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게가 과도하여 운반이 어려울 수 있다(예를 들어, 산악 지역에의 운반). 이상과 같은 부직포(12)는 얽히고 설킨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매개충이 갉아먹은 후 외부로 이탈할 가능성을 없애거나 낮출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직물(또는 고강력 섬유사 또는 고강력 매트, 14)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직물(14)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소재를 직조하여 제작된 매트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는 2,000 데니아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500 데니아,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 데니아일 수 있다. 상기 직물(14)의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가 과도하게 가늘 경우, 매개충이 뚫고 외부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직물(14)의 인장강도는, 시험방법 KS K ISO 10319 기준 경사(길이) 및 위사(폭) 모두 10 KN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직물(14)의 인장신도는 시험방법 KS K ISO 10319 기준 경사(길이) 및 위사(폭) 모두 10 %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직물(14)의 봉합강도는 시험방법 KS K 0530 기준 100 N 이상이고, 상기 직물(14)의 수직투수계수는 시험방법 KS K ISO 11058:2011, 정수두법 기준 a(1~9 이상) × 10-3 cm/s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직물(14)의 두께는 0.2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8 mm로서, 상기 직물(14)의 두께가 0.2 mm 미만이면, 복합포를 이용한 복합포 팩에 나무를 담았을 때 강도가 약하여 찢어질 우려가 있고, 1.5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무게에 의해 운반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부직포(12)와 직물(14)을 니들 펀칭 방식으로 부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이상과 같은 부직포(12) 및 직물(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니들 펀칭(needle punching) 방식에 의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bonding) 등의 방식에 의함으로써,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10)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상기 니들 펀칭 방식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카딩기(도시되지 않음)로 부직포(12)와 직물(14)을 추출하는 동시에 니들 펀칭기(20)를 통과시킴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본딩 방식의 경우에는, 유성본드, 수성본드, 유성스프레이식본드, 수성스프레이식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10)를 니들 펀칭 방식을 통하여 제조하는 경우, 상기 부직포(12)와 직물(14)의 접합 경계면(16)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체결부(16)가 형성되는데, (재선충의) 매개충은 상기 부직포(12)와 직물(14)의 복합 구조체는 물론, 상기와 같은 체결부(16)에 의해 복합포(10)를 (갉아먹는 등의 방법에 의해) 통과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것이다. 그밖에,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니들 펀칭에 관한 부분은 통상적인 니들 펀칭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상기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10)의 두께는 1.2 내지 5.5 mm,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mm로서, 상기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10)의 두께가 1.2 mm 미만이면 매개충이 복합포를 섭식하여 통과할 우려가 있고, 5.5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두께 상승에 따른 이점이 더 이상 없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는, 도 1과 다른 형태로의 제조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측단면 모식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12)의 양면에 직물(14)을 부착시킨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부직포(12)와 직물(14)이 교차로 적층되거나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회 반복 적층되는 등의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매개충의 적정 차단률을 만족하기만 한다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상과 같은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10, 20)의 인장강도는, 시험방법 KS K 0743, 그래브법 기준 경사(길이) 및 위사(폭) 모두 350 N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복합포(10, 20)의 인장신도는 시험방법 KS K 0743, 그래브법 기준 경사(길이) 및 위사(폭) 모두 10 %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복합포(10, 20)의 인열강도는 시험방법 KS K 0796 기준 100 N 이상이고, 상기 복합포(10, 20)의 봉합강도는 시험방법 KS K 0530 기준 100 N 이상이고, 상기 복합포(10, 20)의 수직투수계수는 시험방법 KS K ISO 11058:2011, 정수두법 기준 a(1~9 이상) × 10-2 cm/s 이하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를 이용한 복합포 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에 재선충 감염된 목재를 넣은 후 개구부를 닫은 이미지이고, 도 6의 b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에 재선충 감염된 목재를 넣은 후 개구부를 오픈시킨 이미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로 이루어지며 재선충 감염된 수목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최소 어느 일단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며, 재선충의 이동을 매개하는 매개충의 외부 이탈이 불가능하여 재선충병의 외부 확산 방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은, 재선충 감염된 수목 또는 재선충의 이동을 매개하는 매개충이 포함된 수목을 내부에 수용 또는 구비함으로써, 소나무 재선충병(Pine Wilt Disease; 소나무 시들음병)의 외부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상기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은, 도 6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듯이, 팩의 전체 면적에 제한이 없고, 또한, 개폐 수단이 제한 없이 팩에 형성되기 때문에, 그 면적 등의 크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따라서, 상기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의 수목 수용량에도 제한이 없다.
상기 개폐 수단은, 재선충 감염된 수목 또는 재선충의 이동을 매개하는 매개충이 포함된 수목을 하우징 내부에 수용한 후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고, 매개충의 외부 이탈을 불가능하게 하는 부재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은 개폐 수단으로는, 지퍼(zipper) 또는 벨크로(velcro) 방식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 중 내부와 외부의 분리가 철저하고 매개충의 외부 이탈 또한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지퍼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선충 복합포 백은, 정육면체, 직육면체,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형상일 수 있고, 재선충 감염된 수목 또는 재선충의 이동을 매개하는 매개충이 포함된 수목을 하우징 내부에 수용하거나 꺼낼 수 있는 지퍼 등의 개폐 수단이 그 어떠한 면에도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제조
먼저, 폴리에스터를 이용하여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가 3 데니아이고, 섬유 가닥 하나의 길이가 64 mm인 가로 350 cm × 세로 500 cm × 두께 2.5 mm의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가 800 데니아이고, 섬유 가닥 하나의 길이가 25,000 m인 가로 350 cm × 세로 500 cm × 두께 0.5 mm의 직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니들 펀칭기(SW(4,500T/P), 삼화)로 상기 제조된 부직포와 직물을 부착하여,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제조
폴리에스터 대신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고, 폴리프로필렌 대신 나일론을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제조
부직포 섬유 한 가닥의 굵기를 3 데니아 대신 1 데니아로 변경하고, 직물의 섬유 한 가닥 굵기를 800 데니아 대신 500 데니아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제조
부직포 섬유 한 가닥의 굵기를 3 데니아 대신 4 데니아로 변경하고, 직물의 섬유 한 가닥 굵기를 800 데니아 대신 2,500 데니아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제조
부직포 섬유 한 가닥의 굵기를 3 데니아 대신 7 데니아로 변경하고, 직물의 섬유 한 가닥 굵기를 800 데니아 대신 3,000 데니아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신뢰성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시편을 대상으로 신뢰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하기 표 1과 같은 높은 신뢰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항목 시험방법 시험결과
1 재질 KS K 0210-1:2015 폴리에스터 + 폴리프로필렌
2 중량 KS K ISO 9864:2007 250 g/m2 이상
3 두께 KS K ISO 9863-1 5 mm 이하
4 인장강도 KS K 0743 경사: 350 N 이상
위사: 350 N 이상
5 인장신도 KS K 0743 경사: 10 % 이상
위사: 10 % 이상
6 인열강도 KS K 0796 100 N
7 봉합강도 KS K 0530 100 N 이상
8 수직투수계수 KS K ISO 11058:2011
정수두법
a(1~9이상) × 10-2 cm/s 이하
[실험예 1]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인장강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시편을 한국표준정보망 KS K 0743, 그래브법에 규정한 내용에 따라 시험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포 인장강도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섬유 굵기에 따라 강도에 영향이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인장신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시편을 한국표준정보망 KS K 0743, 그래브법에 규정한 내용에 따라 시험하였다(육안검사 및 현미경).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포 인장신도 또한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인열강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시편을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에 규정한 내용에 따라 시험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포 인열강도 또한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6, 비교예 3~4]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를 이용하여, 가로 2,100 cm × 1,600 cm × 높이 700 cm 크기의 육면체 하우징을 제작하였으며, 상부에 개구부 형성이 가능한 지퍼를 설치하여,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4]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의 매개충 탈출 억제 평가
상기 실시예 4 내지 6, 비교예 3 및 4에서 제조된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에 20 마리의 솔수염하늘소(매개충)를 투입한 후 개구부를 밀폐시키고 약 230 시간 동안 매개충의 탈출 및 폐사 여부를 관찰하였다.
약 230 시간이 경과한 후 복합포 백의 개구부를 개봉하고 매개충의 탈출 및 폐사 여부를 관찰한 결과, 상기 실시예 4 내지 6의 복합포 백에서는 매개충이 단 한 마리도 탈출하지 못 하였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폐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3 및 4의 복합포 백에 있던 매개충 대부분은, 복합포 백을 갉아 먹고 복합포 백의 외부로 탈출하였으며, 단 한 마리도 폐사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또는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은, 그 소재가 동일하더라도 섬유 굵기에 따라 재선충병의 외부 확산 여부에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2)

  1.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직물;을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 및 직물은 니들 펀칭 또는 본딩을 통하여 부착되고, 상기 부직포는 섬유 가닥 하나의 길이가 45 내지 75 mm인 단섬유 부직포 또는 섬유 가닥 하나의 길이가 1,000 m 이상인 장섬유 부직포이며, 상기 단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의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는 3 데니아(denier) 이하이고, 상기 직물의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는 2,000 데니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단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의 섬유 가닥 하나당 굵기는 1 내지 3 데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두께는 1 내지 4 mm이고, 상기 직물의 두께는 0.2 내지 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와 직물의 접합 경계면에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인장강도는 경사 및 위사 모두 350 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의 인열강도는 100 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틸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11. 청구항 1의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로 이루어지며 재선충 감염된 수목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최소 어느 일단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개폐 수단;을 포함하며,
    재선충의 이동을 매개하는 매개충의 외부 이탈이 불가능하여 재선충병의 외부 확산 방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은 지퍼(zipper) 또는 벨크로(velcr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백.
KR1020180086656A 2018-07-25 2018-07-25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 KR10196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56A KR101963687B1 (ko) 2018-07-25 2018-07-25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56A KR101963687B1 (ko) 2018-07-25 2018-07-25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687B1 true KR101963687B1 (ko) 2019-03-29

Family

ID=6589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656A KR101963687B1 (ko) 2018-07-25 2018-07-25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321A (ja) * 1994-12-19 1996-07-02 Tajima Shoji Kk 樹木用害虫捕殺帯
KR20000013561A (ko) * 1998-08-11 2000-03-06 이종구 병해충 방제용 수목보호대
KR200317012Y1 (ko) * 2003-03-11 2003-06-19 남일산업주식회사 복합부직포
KR101282428B1 (ko) * 2012-10-25 2013-07-04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폴리에틸렌 섬유층을 포함하는 수목 보호용 매트
KR20160020150A (ko) * 2014-08-13 2016-02-23 (주)세안티에스피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321A (ja) * 1994-12-19 1996-07-02 Tajima Shoji Kk 樹木用害虫捕殺帯
KR20000013561A (ko) * 1998-08-11 2000-03-06 이종구 병해충 방제용 수목보호대
KR200317012Y1 (ko) * 2003-03-11 2003-06-19 남일산업주식회사 복합부직포
KR101282428B1 (ko) * 2012-10-25 2013-07-04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폴리에틸렌 섬유층을 포함하는 수목 보호용 매트
KR20160020150A (ko) * 2014-08-13 2016-02-23 (주)세안티에스피 복합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9438B (zh) 虫害防治材料
CN102149860B (zh) 灭除昆虫的纺织品
JP5237367B2 (ja) 殺虫スレッド
US11582968B2 (en) 3D spacer textiles for crop protection and insect control
WO2013171118A2 (en) A strong insecticidal net
KR101963687B1 (ko) 재선충 방제용 복합포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 백
TW201700003A (zh) 植物之保護方法及網狀結構體
US6987075B2 (en) Mattress cover fabric with barrier effect
KR100990650B1 (ko) 해충 방제용 수목 보호대
AU717872B2 (en) Pesticidal barrier
KR20110042186A (ko) 피비오 및 디엠을 포함하는 살충성 중합체 매트릭스
Liesch et al. Evaluation of chemical controls and entomopathogenic nematodes for control of Phyllophaga white grubs in a Fraser fir production field
WO2008009632A1 (de) Vorrichtung zum schutz von tieren vor insekten
KR101654329B1 (ko) 소나무 재선충 방제용 망지 제작방법 및 그 제작방법에 의해 제조된 피복망지
JP6356078B2 (ja) 防蟻・防草シート及び建物の防蟻構造
KR20210019692A (ko) 내절단성이 강화된 섬유사를 이용하는 망 구조의 해충 방제용 수목 보호대
SHIN et al. Insecticide Susceptibilities of Anopheles sinensis (Diptera: Culicidae) Larvae from Paju‐shi, Korea
Van den Berg et al. Exclusion cage studies on the impact of predation on Helicoverpa armigera in cotton
JPH11225648A (ja) 樹木用害虫駆除帯
Nasruddin et al. Effectiveness of nylon exclusion net for preventing chili fruit damage by the oriental fruit fly, Bactrocera dorsalis Hendel (Diptera: Tephritidae)
KR20170006993A (ko)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2069049A1 (en) A product with low density polymer resin releasing fipronil in a controlled way and use of such a product
KR101897530B1 (ko) 겨자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공충 방제용 살충제 조성물
JP2588159Y2 (ja) 害虫駆除帯
RU61294U1 (ru) Текстильный материал для одежды и защит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одежда краткосрочного пользования из этого материа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