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135B1 -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135B1
KR101963135B1 KR1020170061628A KR20170061628A KR101963135B1 KR 101963135 B1 KR101963135 B1 KR 101963135B1 KR 1020170061628 A KR1020170061628 A KR 1020170061628A KR 20170061628 A KR20170061628 A KR 20170061628A KR 101963135 B1 KR101963135 B1 KR 101963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dish
container cover
coupl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573A (ko
Inventor
윤재민
김영호
김은지
유장영
이경림
김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코스
Priority to KR1020170061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13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3Powder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2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for compacts, vanity boxe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에 회전중심홈이 형성된 화장료접시가 여러층으로 적층되며, 상기 화장료접시의 회전중심홈에 회전축이 결합되고, 상기 화장료접시 상단에 용기커버가 형성되되, 상기 용기커버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단에 형성된 가압판 및 상기 프레임 상단과 결합되며 중심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된 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판 일측은 상기 회전축의 상단과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써, 손가락을 용기커버의 손가락삽입홈에 삽입하면 상기 가압판은 하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가압판과 결합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 아래에 결합된 회전축들도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들의 가이드돌기의 잠금이 해제되고,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들의 가이드돌기에 의해 여러개의 화장료접시가 순차적으로 펼쳐지게 되는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측에 화장료가 수용되고, 일측에 회전중심홈이 형성되며,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 상기 화장료접시의 회전중심홈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돌기가 구비된 회전축; 상기 화장료접시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측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회전축을 가압하는 가압판이 구비된 용기커버 및 상기 용기커버의 가압판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또는 탄성편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커버의 손가락삽입홈을 통해 가압판을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Multistage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rotary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회전중심홈이 형성된 화장료접시가 여러층으로 적층되며, 상기 화장료접시의 회전중심홈에 결합되며 가이드돌기를 구비한 회전축이 여러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화장료접시 상단에 용기커버가 형성되되, 상기 용기커버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단에 형성된 가압판 및 상기 프레임 상단과 결합되며 중심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된 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판 일측은 상기 회전축의 상단과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써, 손가락을 용기커버의 손가락삽입홈에 삽입하면 상기 가압판은 하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가압판과 결합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 아래에 결합된 회전축들도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들의 가이드돌기의 잠금이 해제되고,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들의 가이드돌기에 의해 여러개의 화장료접시가 순차적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편리하고 재미있게 용기를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에 다양한 색상의 화장료가 수납되어 있어 다양한 색상의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색조화장은 기초화장이 끝난 후 더욱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화장품으로 미적, 색채, 유행 감각을 고려해야 하는 실용적인 화장이라 할 수 있으므로 사용방법이나 숙련도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많이 나는 화장이다.
상기 색조화장은 피부색을 균일하게 하고 결점을 커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입술, 눈, 손톱 등 부분적으로 입체감을 높이는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구분된다.
사용자는 평균적으로 3 내지 4 가지 색상의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을 사용하는데 외출 시에는 항상 여러 색상의 화장품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 종류의 화장품을 보관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수납공간이 협소하고 복잡해질 뿐 아니라, 원하는 색상의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 일일이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케이스에 서로 다른 색의 여러 개의 화장품을 담아 사용하는 파레트형 화장품 케이스가 개발되었는데, 종래의 파레트형 화장품 케이스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개로 구획되어 서로 다른 색의 화장품이 담겨지는 공간들이 형성되며 화장도구를 내장하고, 커버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케이스 내부에 여러 가지 색상이 인접하게 수납되어 있는 것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각기 다른 색상이 섞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7925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용기중앙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다수의 용기 돌출부를 갖는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중앙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중심축(2)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중앙부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커버중앙부 및 상기 커버중앙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돌출부의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돌출부를 가지는 커버본체(3)로 이루어진 구조로써, 사용자는 용기본체(1)를 파지한 후 커버본체(3)를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용기본체의 중심축 내부에 탄성부재로 탄력지지되는 걸림핀이 커버 본체의 걸림홈에 걸려 체결되는 구조로써, 커버본체를 열기위해서는 강제로 커버본체를 회전시켜서 걸림핀이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해야 하는 것으로 비교적 힘이 약한 여성들이 개폐하기엔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고, 부드럽게 열리지 않아 사용감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회전중심홈이 형성된 화장료접시가 여러층으로 적층되며, 상기 화장료접시의 회전중심홈에 결합되며 가이드돌기를 구비한 회전축이 여러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화장료접시 상단에 용기커버가 형성되되, 상기 용기커버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단에 형성된 가압판 및 상기 프레임 상단과 결합되며 중심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된 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판 일측은 상기 회전축의 상단과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써, 손가락을 용기커버의 손가락삽입홈에 삽입하면 상기 가압판은 하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가압판과 결합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 아래에 결합된 회전축들도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들의 가이드돌기의 잠금이 해제되고,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들의 가이드돌기에 의해 여러개의 화장료접시가 순차적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편리하고 재미있게 용기를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에 다양한 색상의 화장료가 수납되어 있어 다양한 색상의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측에 화장료가 수용되고, 일측에 회전중심홈이 형성되며,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
상기 화장료접시의 회전중심홈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돌기가 구비된 회전축;
상기 화장료접시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측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회전축을 가압하는 가압판이 구비된 용기커버 및
상기 용기커버의 가압판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또는 탄성편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커버의 손가락삽입홈을 통해 가압판을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접시의 회전중심홈에는 회전축잠금홈과 회전축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이동홈은 회전중심홈과 인접하여 일정 각도를 갖는 원주(circumference) 형태로 형성되되,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 중 최상층에 결합된 화장료접시로부터 최하층에 결합된 화장료접시로 갈수록 회전축이동홈의 각도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와 대응되도록 다층으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커버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된 캡 및 상기 프레임과 캡의 사이에 형성되고 탄성부재 또는 탄성편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가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커버의 가압판 하부면에는 회전축끼움홈이 형성되어 회전축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커버의 가압판을 가압하면 회전축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회전축의 가이드돌기가 화장료접시의 회전축잠금홈에서 회전축이동홈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커버의 가압판이 눌려진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이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축의 가이드돌기가 화장료접시의 회전축이동홈의 일측 단부를 밀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는 다수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회전중심홈이 형성된 화장료접시가 여러층으로 적층되며, 상기 화장료접시의 회전중심홈에 결합되며 가이드돌기를 구비한 회전축이 여러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화장료접시 상단에 용기커버가 형성되되, 상기 용기커버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단에 형성된 가압판 및 상기 프레임 상단과 결합되며 중심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된 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판 일측은 상기 회전축의 상단과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써, 손가락을 용기커버의 손가락삽입홈에 삽입하면 상기 가압판은 하부로 가압되면서 상기 가압판과 결합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 아래에 결합된 회전축들도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들의 가이드돌기의 잠금이 해제되고,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들의 가이드돌기에 의해 여러개의 화장료접시가 순차적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편리하고 재미있게 용기를 개방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에 다양한 색상의 화장료가 수납되어 있어 다양한 색상의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레트형 화장품 케이스.
도 2는 종래의 회전형 화장품 케이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가압판을 누르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가압판을 누르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커버를 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커버를 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커버를 회전시켜 제1 화장료접시가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커버를 회전시켜 제1 화장료접시가 회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커버를 회전시켜 화장료접시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커버를 회전시켜 화장료접시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가압판에 탄성편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는 내측에 화장료가 수용되고, 일측에 회전중심홈(12)이 형성되며,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10)와; 상기 화장료접시(10)의 회전중심홈(12)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돌기(22)가 구비된 회전축(20)과; 상기 화장료접시(10)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측에 손가락삽입홈(342)이 형성되고, 내측에 회전축(20)을 가압하는 가압판(36)이 구비된 용기커버(30) 및 상기 용기커버(30)의 가압판(36)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40) 또는 탄성편(363)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커버(30)의 손가락삽입홈(342)을 통해 가압판(36)을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10)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접시(10)는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층으로 적층되며,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상기 화장료접시(10)에는 화장료가 수용되는 화장료 수용공간(11)이 형성되되, 상기 화장료 수용공간(11)에 구획벽(14)이 형성되어 이종의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접시(10)의 일측에는 회전축(20)이 관통되는 회전중심홈(12)이 형성된다.
도 4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장료접시(10)의 회전중심홈(12)에는 회전축잠금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잠금홈(122)의 하측에는 회전축이동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잠금홈(122)에는 회전축(20)의 가이드돌기(22)가 끼워져 상기 회전축(20)의 회전이 제한되며, 회전축(20)이 하측으로 이동할 때 회전축(20)의 가이드돌기(22)가 상기 회전축이동홈(124)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축(20)이 일정 구간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축이동홈(124)은 회전중심홈(12)과 인접하여 일정 각도를 갖는 원주(circumference) 형태로 형성되되,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10) 중 최상층에 결합된 화장료접시(10)로부터 최하층에 결합된 화장료접시(10)로 갈수록 회전축이동홈(124)의 각도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용기커버(30)를 회전시키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10) 중 최상층에 결합된 화장료접시(10)부터 하부에 결합된 화장료접시(10)까지 순차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축(20)은 화장료접시(10)의 회전중심홈(12)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20)은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10)와 대응되도록 다층으로 적층되어 각각 화장료접시(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20) 상부에는 회전축 결합부(2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다른 회전축(20)의 회전축 결합부(21)가 삽입되는 회전축 결합홈(2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에서는 상기 회전축 결합부(21)와 회전축 결합홈(23)이 강제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언더컷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결합부(21)와 회전축 결합홈(23)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다각형 또는 일자 또는 톱니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0)의 외주연에는 가이드돌기(22)가 형성되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료접시(10)의 회전축잠금홈(122)에 삽입 또는 회전축이동홈(124)에 위치된다.
즉, 상기 회전축(20)의 가이드돌기(22)는 화장료접시(10)의 회전축잠금홈(122)에 삽입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가압판(36)을 누르면 회전축(20)이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20)의 가이드돌기(22)가 화장료접시(10)의 회전축이동홈(124)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축(20)이 회전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용기커버(30)는 화장료접시(10)의 상단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10) 중 최상층에 결합된 화장료접시(10)를 덮어 밀폐하는 것은 물론,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10)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용기커버(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32)과, 상기 프레임(32)의 상부에 결합되며 손가락삽입홈(342)이 형성된 캡(34) 및 상기 프레임(32)과 캡(34)의 사이에 형성되고 탄성부재(40)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가압판(36)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커버(30)의 프레임(32)에는 탄성부재 장착부(322)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결합돌륜(324)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2)의 일측에는 회전축(20)이 관통되는 회전축 관통홀(326)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커버(30)의 캡(34) 중앙에는 손가락삽입홈(342)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며, 하부 내주연에는 결합요홈(344)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32)의 결합돌륜(324)과 결합된다.
상기 캡(34)의 내주연 일측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판(36)의 일측이 걸려있게 되는 지지턱(346)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커버(30)의 가압판(36)은 프레임(32)과 캡(34)의 사이에서 탄성부재(40)에 의해 탄력적 지지되어 상기 지지턱(346)을 중심으로 상, 하 피봇(pivot) 회전 이동된다.
상기 가압판(36)의 일측에는 회전축끼움홈(361)이 형성되어 다층으로 적층된 회전축(20) 중 최상층에 위치한 회전축(20)의 회전축 결합부(21)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에서는 상기 회전축끼움홈(361)과 회전축 결합부(21)가 강제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언더컷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36)의 회전축끼움홈(361) 맞은편은 캡(34)의 지지턱(346)에 걸려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삽입홈(342)을 통해 가압판(36)을 누를 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판(36)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가압판(36)의 회전축끼움홈(361)이 용이하게 하측으로 눌려지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프레임(32)의 탄성부재 장착부(322)에 장착되어 가압판(36)을 탄력 지지한다.
즉, 상기 용기커버(30)의 가압판(36)이 가압되면 상기 가압판(36)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가압판(36)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축(20)이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축(20)의 가이드돌기(22)가 화장료접시(10)의 회전축잠금홈(122)에서 회전축이동홈(124)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돌기(22)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회전축(20)이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용기커버(30)의 가압판(36)이 눌려진 상태로 회전되면, 상기 가압판(36)과 함께 회전축(20)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축(20)의 가이드돌기(22)가 화장료접시(10)의 회전축이동홈(124)의 일측 단부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10) 중 최상층에 결합된 화장료접시(10)부터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가압판에 탄성편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판(36)에는 탄성편(363)이 하측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탄성편(363)은 탄성부재(40)를 대신하여 가압판(36)을 탄력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의 조립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화장료접시(10)의 화장료 수용공간(11)에 화장품을 충전한다.
다음으로,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장료접시(10)의 회전중심홈(12)에 회전축(20)을 삽입하되, 상기 회전축(20)의 가이드돌기(22)가 화장료접시(10)의 회전축잠금홈(122)에 끼워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회전축(20)이 결합된 화장료접시(10)를 다층으로 적층하는데, 회전축(20)의 회전축 결합부(21)가 다른 회전축(20)의 회전축 결합홈(23)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화장료접시(10)의 상단에 용기커버(30)의 프레임(32)을 결합하되, 상기 화장료접시(10)에 결합된 회전축(20)의 회전축 결합부(21)가 프레임(32)의 회전축 관통홀(326)로 관통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32)의 탄성부재 장착부(322)에 탄성부재(40)를 장착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용기커버(30)의 캡(34) 내측에 가압판(36)을 결합한 후, 상기 캡(34)을 프레임(32)의 상부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32)의 회전축 관통홀(326)을 관통한 회전축 결합부(21)가 가압판(36)의 회전축끼움홈(261)에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의 사용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가압판을 누르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가압판을 누르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커버를 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커버를 회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커버를 회전시켜 제1 화장료접시가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커버를 회전시켜 제1 화장료접시가 회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커버를 회전시켜 화장료접시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용기커버를 회전시켜 화장료접시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10) 중 최상층에 결합된 화장료접시(10)를 제1 화장료접시(10a)라고 하고, 상기 제1 화장료접시(10a)의 하부에 결합된 화장료접시(10)를 순서대로 제2 화장료접시(10b), 제3 화장료접시(10c)라 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화장료접시(10a, 10b, 10c)에 각각 형성된 회전축이동홈(124)을 제 1 내지 제3 회전축이동홈(124a, 124b, 124c)이라 한다. 또한, 다층으로 적층된 회전캡(20) 중 제1 화장료접시(10a)에 결합된 회전캡(20)을 제1 회전캡(20a)이라 하고, 제2 화장료접시(10b)에 결합된 회전캡(20)을 제2 회전캡(20b)이라 하며, 제3 화장료접시(10c)에 결합된 회전캡(20)을 제3 회전캡(20c)이라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회전캡(20a, 20b, 20c)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돌기(22)를 제1 내지 제3 가이드돌기(22a, 22b, 22c)라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용기커버(30)의 캡(34)에 형성된 손가락삽입홈(342)에 손가락을 끼워 가압판(36)을 가압한다.
상기 가압판(36)이 가압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판(36)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가압판(36)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축(20)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0)의 가이드돌기(22)가 화장료접시(10)의 회전축잠금홈(122)에서 회전축이동홈(124)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돌기(22)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회전축(20)이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용기커버(30)의 가압판(36)을 누른 상태로 회전시키면, 상기 가압판(36)과 함께 회전축(20)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축(20)의 가이드돌기(22)가 화장료접시(10)의 회전축이동홈(124)에서 이동되어 용기커버(30)가 열리게 되며, 더 회전시키면 회전축(20)의 가이드돌기(22)가 화장료접시(10)의 회전축이동홈(124)의 일측 단부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10)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10)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커버(30)의 가압판(36)을 누른 상태에서 용기커버(30)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면 제1 내지 제3 화장료접시(10a, 10b, 10c)는 회전되지 않고 용기커버(30)만 수평으로 회전되어 제1 화장료접시(10a)가 개방된다.
즉, 상기 용기커버(30)와 함께 제1 내지 제3 회전축(20a, 20b, 20c)도 수평으로 회전되면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축(20a)의 제1 가이드돌기(22a)가 제1 화장료접시(10a)의 제1 회전축이동홈(124a) 내에서 수평으로 회전되어 용기커버(30)가 개방되고, 제1가이드돌기(22a)는 제1 회전축이동홈(124a)의 일측 단부에 닿게 된다.
이후,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커버(30)의 가압판(36)을 누른 상태에서 용기커버(30)를 더 회전시키면 제2 내지 제3 화장료접시(10b, 10c)는 회전되지 않고, 제1 화장료접시(10a)만 수평으로 일정 구간 회전되어 제2 화장료접시(10b)가 개방된다.
즉, 상기 용기커버(30)와 함께 제1 내지 제3 회전축(20a, 20b, 20c)도 수평으로 더 회전되면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축(20a)의 제1 가이드돌기(22a)가 제1 화장료접시(10a)의 제1 회전축이동홈(124a)의 일측 단부를 밀어 제1 화장료접시(10a)를 수평으로 일정 구간 회전시키게 되고, 제2 회전축(20b)은 제2 화장료접시(10b)의 제2 회전축이동홈(124b) 내에서 수평으로 회전되어 제2 회전축이동홈(124b)의 일측 단부에 닿게 된다.
이후,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커버(30)의 가압판(36)을 누른 상태에서 용기커버(30)를 더 회전시키면 제3 화장료접시(10b, 10c)는 회전되지 않고, 제1 내지 제2 화장료접시(10a, 10b)만 수평으로 일정 구간 더 회전되어 제3 화장료접시(10c)가 개방된다.
즉, 상기 용기커버(30)와 함께 제1 내지 제3 회전축(20a, 20b, 20c)도 수평으로 더 회전되면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2 회전축(20a, 20b)의 제1, 2 가이드돌기(22a, 22b)가 각각 제1, 2 화장료접시(10a, 10b)의 제1, 2 회전축이동홈(124a, 124b)의 일측 단부를 밀어 제1, 2 화장료접시(10a, 10b)를 수평으로 일정 구간 더 회전시키게 되고, 제3 회전축(20c)은 제3 화장료접시(10c)의 제3 회전축이동홈(124c) 내에서 수평으로 회전되어 제3 회전축이동홈(124c)의 일측 단부에 닿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10)가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화장이 끝난 후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역순으로 거치면서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10)가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화장료접시 12: 회전중심홈
20: 회전축 22: 가이드돌기
30: 용기커버 32: 프레임
34: 캡 36: 가압판
40: 탄성부재 122: 회전축잠금홈
124: 회전축이동홈 342: 손가락삽입홈
361: 회전축끼움홈 363: 탄성편

Claims (8)

  1. 내측에 화장료가 수용되고, 일측에 회전중심홈이 형성되며,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
    상기 화장료접시의 회전중심홈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돌기가 구비된 회전축;
    상기 화장료접시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측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회전축을 가압하는 가압판이 구비된 용기커버 및
    상기 용기커버의 가압판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또는 탄성편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커버의 손가락삽입홈을 통해 가압판을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며,
    상기 화장료접시의 회전중심홈에는 회전축잠금홈과 회전축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2. 내측에 화장료가 수용되고, 일측에 회전중심홈이 형성되며,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
    상기 화장료접시의 회전중심홈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돌기가 구비된 회전축;
    상기 화장료접시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측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회전축을 가압하는 가압판이 구비된 용기커버 및
    상기 용기커버의 가압판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또는 탄성편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커버의 손가락삽입홈을 통해 가압판을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며,
    상기 용기커버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된 캡 및 상기 프레임과 캡의 사이에 형성되고 탄성부재 또는 탄성편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가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3. 내측에 화장료가 수용되고, 일측에 회전중심홈이 형성되며,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
    상기 화장료접시의 회전중심홈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돌기가 구비된 회전축;
    상기 화장료접시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측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회전축을 가압하는 가압판이 구비된 용기커버 및
    상기 용기커버의 가압판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또는 탄성편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커버의 손가락삽입홈을 통해 가압판을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며,
    상기 용기커버의 가압판 하부면에는 회전축끼움홈이 형성되어 회전축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4. 내측에 화장료가 수용되고, 일측에 회전중심홈이 형성되며,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
    상기 화장료접시의 회전중심홈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돌기가 구비된 회전축;
    상기 화장료접시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측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회전축을 가압하는 가압판이 구비된 용기커버 및
    상기 용기커버의 가압판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또는 탄성편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커버의 손가락삽입홈을 통해 가압판을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며,
    상기 용기커버의 가압판을 가압하면 회전축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회전축의 가이드돌기가 화장료접시의 회전축잠금홈에서 회전축이동홈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돌기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5. 내측에 화장료가 수용되고, 일측에 회전중심홈이 형성되며,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
    상기 화장료접시의 회전중심홈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돌기가 구비된 회전축;
    상기 화장료접시의 상단에 결합되며, 일측에 손가락삽입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회전축을 가압하는 가압판이 구비된 용기커버 및
    상기 용기커버의 가압판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또는 탄성편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커버의 손가락삽입홈을 통해 가압판을 가압한 상태로 회전시키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개방되며,
    상기 용기커버의 가압판이 눌려진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이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축의 가이드돌기가 화장료접시의 회전축이동홈의 일측 단부를 밀어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가 순차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동홈은 회전중심홈과 인접하여 일정 각도를 갖는 원주(circumference) 형태로 형성되되,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 중 최상층에 결합된 화장료접시로부터 최하층에 결합된 화장료접시로 갈수록 회전축이동홈의 각도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7. 제 1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다층으로 적층된 화장료접시와 대응되도록 다층으로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8. 삭제
KR1020170061628A 2017-05-18 2017-05-18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KR101963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628A KR101963135B1 (ko) 2017-05-18 2017-05-18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628A KR101963135B1 (ko) 2017-05-18 2017-05-18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573A KR20180127573A (ko) 2018-11-29
KR101963135B1 true KR101963135B1 (ko) 2019-03-28

Family

ID=6456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628A KR101963135B1 (ko) 2017-05-18 2017-05-18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106B1 (ko) 2019-06-20 2019-11-1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회전식 용기
KR102043105B1 (ko) 2019-06-20 2019-11-1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슬라이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821U (ko) * 2007-12-31 2009-07-03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수납트레이가 적층 형성된 다단용기
KR200483271Y1 (ko) * 2015-03-05 2017-05-04 (주)아모레퍼시픽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573A (ko)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614B2 (en) Multiple foundation stick container
US6041935A (en) Stackable case assembly
JP4391936B2 (ja) スティック状化粧料用容器
KR101963135B1 (ko)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KR200438483Y1 (ko) 고형 파우더 케이스
CN209346245U (zh) 化妆品盒
KR200442207Y1 (ko) 멀티 팔레트와 다이얼 회전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70078280A (ko)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회전식 콤팩트 용기
US5425971A (en) Structure for cosmetic case
KR20170069323A (ko)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케이스
KR200483271Y1 (ko)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용기
KR101896281B1 (ko) 회전식 색조화장품 케이스
KR101947711B1 (ko) 다단 색조화장품 용기
KR100768494B1 (ko) 회동 인출되는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90006821U (ko) 화장품수납트레이가 적층 형성된 다단용기
KR20190125636A (ko) 듀얼 화장품 용기
JP2004001832A (ja) パレット型容器
KR101765710B1 (ko) 버튼식 개폐 화장품 케이스
JPS637140Y2 (ko)
KR101787343B1 (ko) 회전 개폐형 다색 립메이크업 용기
CN114291414A (zh) 具有装饰部的一键式盖
KR101794513B1 (ko) 화장도구에 의해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
USD473681S1 (en) Cosmetic container with slidable tray
KR20200001656U (ko) 포장 장치
JPH045169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