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483Y1 - 고형 파우더 케이스 - Google Patents

고형 파우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483Y1
KR200438483Y1 KR2020060031607U KR20060031607U KR200438483Y1 KR 200438483 Y1 KR200438483 Y1 KR 200438483Y1 KR 2020060031607 U KR2020060031607 U KR 2020060031607U KR 20060031607 U KR20060031607 U KR 20060031607U KR 200438483 Y1 KR200438483 Y1 KR 200438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olid
groove
solid powder
soli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휘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riority to KR2020060031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4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3Powder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개시된 고형 파우더 케이스는 락돌기와 힌지면이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뚜껑과; 뚜껑이 회전되도록 힌지 구조로 설치된 베이스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받침 스프링과; 상기 받침 스프링 상부에 탄지되도록 설치되는 고형분케이스와; 상기 고형분케이스 내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형분을 깍아내도록 조립되는 긁개 케이스와; 상기 긁개 케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긁개 케이스에 조립되는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 긁개 케이스가 회전되도록 베이스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형 파우더 케이스는 기존의 2중 구조가 아닌 1겹구조로 베이스케이스가 제작되므로 부품 수 감소가 이루어져 공정이 생략되고, 경량 제작이 이루어져 원가절감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더불어 고형분 케이스의 승강 폭 확대로 고형 파우더 케이스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케이스의 미려한 제작이 가능케 되는 등 디자인 개발 확장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회전판, 고형분, 분쇄식, 파우더용기,

Description

고형 파우더 케이스{SOLID POWER CAS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분쇄식 고형 파우더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분쇄식 고형 파우더 케이스를 도시한 결합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형 파우더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고형 파우더 케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고형 파우더 케이스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회전휠에 조립된 긁개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A-A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에서 긁개 케이스의 회전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3에서 고형 파우더 케이스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회전휠에 조립된 긁개 케이스의 분리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고형 파우더 케이스 11:락돌기
12:힌지면 13:퍼프
20:뚜껑 30:베이스 케이스
31:케이스내면바닥 32:승강 안내핀
321:슬릿홀 322:분리방지턱
33:누름버턴 331:탄지편
332:누름부 333:걸림턱
34:조립지주 35:고정날개
36:링홈 37:버턴홈
38:턱홈 39:힌지홈
40:받침 스프링 50:고형분케이스
51:수용부 52:고형분 고정턱
53:역삼각돌기 60:긁개 케이스
61:둘레면 62:바닥면
63:배출구멍 64:긁는 날
70:회전휠 71:퍼프 인출 홀
72:고정돌기 73:파지 면
74:회전 안내턱 80:고정링
82:락홀 83:링힌지홈
84:환테 85:삽입치
86:돌기턱 87:조립돌기
본 고안은 고형 파우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2 중 구조가 아닌 1겹구조로 베이스케이스가 제작되므로 부품 수 감소가 이루어져 공정이 생략되고, 경량 제작이 이루어져 원가절감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더불어 고형분 케이스의 승강 폭 확대로 고형 파우더 케이스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케이스의 미련한 제작이 가능케 되는 등 디자인 개발 확장성이 뛰어난 고형 파우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더 케이스와 같은 화장품용기는 그 형태나 뚜껑의 개폐 방식 등의 구조에 따라 여러 종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된다. 여성들은 핸드백이나 가방에 파우더를 휴대하면서 적절한 때에 그것들을 사용하여 자신의 미를 가꾸고자 한다.
그래서 콤팩트하고 실용성을 두루 갖추어 휴대와 사용이 편리하도록 제작된 화장품 용기를 소비자들이 요구한다. 이에 따라 화장품업체들은 실용성에 주안을 둔 제품을 생산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분쇄식 고형 파우더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고형 파우더 케이스를 도시한 결합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분쇄식 고형 파우더 케이스(100)는 고형분을 분쇄하여 배출하는 것으로, 상단에 톱니(101)가 형성된 걸림돌기(102)가 돌출되어 형성된 하부몸체(103)와; 외측벽에 안내돌기(104)가 형성되고, 하부몸체(103)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사출접시(105)와; 사출접시(105)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고형분이 저장되는 접시(106)와; 원형의 링형상으로 내측 상단에 돌기고정부(107)가 형성되고, 내측 하단 둘레에 일방향 톱니(101)가 형성된 스톱판(108)과; 바닥면에 다수개의 절삭홈(109)을 형성하여 고형분 위에 놓이는 회전절삭접시(110)와; 회전절삭접시(110)가 하부몸체(10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판(111); 사출접시(105)와 하부몸체(103) 사이에 고정되는 스프링(112);으로 구성된다.
분쇄식 파우더 케이스(100)는, 7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하부몸체(103)는 2중구조로 제조가 복잡하며, 따라서 많은 공정을 거쳐 제조되어야됨에 따라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사용시 소정의 간격만큼 이동하면서 딸깍거리기 때문에 사용시마다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회전절삭접시는 고형분을 긁은 후 역으로 회전킬 수 없게 되어 있어 긁혀있는 상태 그대로 방치한 상태에서 뚜껑을 닫고 휴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중 내,외부의 진동을 받아 긁힌 고형분에서 가루 등이 떨어져 나와 고형 파우더 케이스 내부를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2중 구조가 아닌 1겹구조로 베이스케이스를 제작하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어 공정이 생략되고, 경량 제작이 이루어져 원가절감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더불어 고형분 케이스의 승강 폭 확대로 고형 파우더 케이스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케이스의 미려(美麗)한 제작이 가능케 되는 등 디자인 개발 확장성이 뛰어난 고형 파우더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뚜껑이 있는 베이스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 내에 받침 스프링으로 탄지되도록 설치되는 고형분케이스와; 상기 고형분케이스 내에서 회전하여 고형분을 긁어내도록 조립 설치되는 긁개 케이스로 구성되는 고형 파우더 케이스에 있어서,
락돌기와 힌지면이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뚜껑과; 뚜껑이 회전되도록 힌지 구조로 설치된 베이스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받침 스프링과;
상기 받침 스프링 상부에 탄지되도록 설치되는 고형분케이스와;
상기 고형분케이스 내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형분을 깍아내도록 조립되는 긁개 케이스와;
상기 긁개 케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긁개 케이스에 조립되는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 긁개 케이스가 회전되도록 베이스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파우더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 케이스는 케이스내면바닥에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된 승강 안내핀과, 일측에 누름버턴이 조립되도록 돌출 설치된 조립지주와, 케이스둘레면 내벽에 간격을 두고 일체로 다수 개 형성된 고정날개와, 이 고정날개의 사이에 형성된 링홈과, 이 고정날개의 바깥 측 케이스 둘레면에 형성된 버턴홈과, 이 버턴홈의 아래에 턱홈이 형성되고, 버턴홈 타측에 형성된 힌지홈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안내핀은 절개된 슬릿홀이 형성되고, 이 슬릿홀의 입구에 분리방 지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버턴은 버턴홈 내측 양측에 형성된 조립지주에 조립되는 탄지편과, 이 탄지편의 중심에 형성되고 고정링의 버턴구멍에 삽입되는 누름부로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에는 안쪽 면에 락돌기가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스프링은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고형분케이스는 받침부에 개재되는 받침 스프링으로 탄지되고, 고형분이 담기게 되는 수용부와, 이 수용부의 둘레면 내주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형성된 고형분 고정턱과, 상기 수용부의 둘레면 외주에 가이드 돌기를 따라 승강이 안내되도록 형성된 역삼각돌기로 형성된다.
긁개 케이스는 회전 휠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둘레면과, 둘레면의 안쪽 고형분 상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바닥면과, 이 바닥면에 배치되도록 다수 천공된 배출구멍과, 이 배출구멍의 단면에 고형분을 긁도록 형성된 긁는 날로 구성된다.
회전 휠은 퍼프의 수납이 용이하게 형성된 퍼프 인출 홀과, 이 퍼프 인출 홀의 저면에 접시날 케이스가 조립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퍼프 인출 홀이 형성되고, 그 둘레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파지 면과, 이 파지 면의 하단 둘레에 분리가 방지되고 회전이 안내되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 회전 안내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링은 뚜껑의 락돌기가 삽입되는 락홀과, 락홀의 타측에 힌지홈과 일치되도록 링힌지홈이 형성된 환테와, 상기 힌지홈의 저면 양측에 형성된 삽입치 와, 이 삽입치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턱과, 상기 힌지홈의 타측에 형성된 락홀 저부에 누름버턴이 조립되는 버턴구멍과, 그 아래에 형성되는 조립돌기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형 파우더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고형 파우더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고형 파우더 케이스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에서 회전휠에 조립된 긁개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A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6에서 긁개 케이스의 회전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9는 도 3에서 고형 파우더 케이스의 뚜껑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회전휠에 조립된 긁개 케이스의 분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형 파우더 케이스(10)는 락돌기(11)와 힌지면(12)이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뚜껑(20)과; 뚜껑(20)이 회전되도록 힌지구조로 설치된 베이스 케이스(30)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30) 내에 설치되는 받침 스프링(40)과; 상기 받침 스프링(40) 상부에 탄지되도록 설치되는 고형분케이스(50)와; 상기 고형분케이스(50) 내에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고형분(55)을 깍아내도록 조립 설치되는 긁개 케이스(60)와; 상기 긁개 케이스(60) 상단에 회전 조작시 파지되도록 조립되는 회전휠(70)과; 상기 회전휠(70), 긁개 케이스(60)를 베이스 케이스(30)에 조립 고정시키는 고정링(8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케이스(30)는 케이스 내면 바닥(31)에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된 승강 안내핀(32)과, 일측에 누름버턴(33)이 조립되도록 돌출 설치된 조립지주(34)와, 케이스둘레 내면에 간격을 두고 일체로 다수 개 형성된 고정날개(35)와, 이 고정날개(35)의 사이에 형성된 링홈(36)과, 이 고정날개(35)의 바깥 측 케이스 둘레면에 형성된 버턴홈(37)과, 이 버턴홈(37)의 아래에 턱홈(38)이 형성되고, 버턴홈(37) 타측에 형성된 힌지홈(39)으로 구성된다. 이 버턴홈(37)은 후술하는 고정링(80)의 조립돌기(87)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고정링(80)이 베이스 케이스(30)에 더욱 확실히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 안내핀(32)은 절개된 슬릿홀(321)이 형성되고, 이 슬릿홀(321)의 입구에 분리방지턱(3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버턴(33)은 버턴홈(37) 내측 양측에 형성된 조립지주(34)에 조립되는 탄지편(331)과, 이 탄지편(331)의 중심에 형성되고 고정링(80)의 버턴구멍(81)에 삽입되는 누름부(332)로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332)에는 안쪽 면에 락돌기(11)가 걸리도록 걸림턱(333)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스프링(40)은 원뿔 형으로 형성된다. 받침스프링(40)은 고형분케이스(50)와 베이스 케이스(30) 사이에 개재되어 고형분 케이스(50)를 항상 상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리고 받침스프링(40)은 원뿔형으로 형성하므로써 고형분 케이스(50)의 조립시 스프링 개재 공간만 두고 최대한 바닥에 밀착시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고형분 케이스(50)가 베이스 케이스(30) 측으로 최대로 하부로 이동됐을 때 고형분 케이스(50)에 의해 베이스 케이스(30) 측으로 압축되는 받침스프링(40)의 상,하부가 층을 이루도록 상호 겹쳐치지 않고 케이스내면바닥(31)에 동일 평면상으로 포개질 수 있게 되므로 케이스의 구조상 높이를 최대한 낮아지게 설계할 수 있다.
고형분케이스(50)는 케이스내면 바닥(31) 받침부(41)에 개재되는 받침 스프링(40)으로 탄지되고, 고형분이 담기게 되는 수용부(51)와, 이 수용부(51)의 둘레면 내주에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형성된 고형분 고정턱(52)과, 상기 수용부(51)의 둘레면 외주에 승강이 안내되도록 형성된 역삼각돌기(53)로 형성된다.
긁개 케이스(60)는 회전 휠(70)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둘레면(61)과, 고형분 상에 접촉되도록 둘레면(61)의 안쪽에 형성된 바닥면(62)과, 이 바닥면(62)에 배치된 다수의 천공된 배출구멍(63)과, 이 배출구멍(63)의 단면에 고형분을 긁도록 형성된 긁는 날(64)로 구성된다.
긁는 날(64)은 일방향으로 회전시에만 고형분을 긁어낼 수 있도록 배출구멍(63)의 한쪽에만 날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멍(63)은 육각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팔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일자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변에는 긁는 날(64)이 형성된다.
회전 휠(70)은 퍼프(13)의 수납이 용이하게 형성된 퍼프 인출 홀(71)과, 이 퍼프 인출 홀(71)의 저면에 긁개 케이스(60)가 조립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돌기(72)와, 상기 퍼프 인출 홀(71)이 형성되고, 그 둘레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파지 면(73)과, 이 파지 면(73)의 하단 둘레에 분리가 방지되고 회전이 안내되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 회전 안내턱(74)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링(80)은 뚜껑(20)의 락돌기(11)가 삽입되는 락홀(82)과, 락홀(82)의 타측에 힌지홈(39)과 일치되도록 링힌지홈(83)이 형성된 환테(84)와, 상기 링힌지홈(83)의 저면 양측에 형성된 삽입치(85)와, 이 삽입치(85)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턱(86)과, 상기 링힌지홈(83)의 타측에 형성된 락홀(82) 저부에 누름버턴(33)이 조립되는 버턴구멍(81)과, 그 아래에 형성되는 조립돌기(87)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 휠(70)과 긁개 케이스(60)는 고정링(80)에 의해 베이스 케이스(30)에 회전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조립과 사용예를 설명하면, 베이스 케이스(30)의 중심에 받침 스프링(40)을 먼저 배치시켜 둔 상태에서 베이스 케이스(30)에 역삼각돌기(53)를 이용하여 고형분 케이스(50)를 승강 안내핀(32)에 밀어 넣어 조립한다. 역삼각돌기(53)는 분리방지턱(322)에 걸리게 되고, 슬릿홀(321)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상기 고형분 케이스(50)가 조립되면 그 위에 회전 휠(70)이 조립된 긁개 케이스(60)를 올려놓고 회전 휠(70)에 고정링(80)을 끼운 후, 눌러 고정 링(80)의 돌기턱(86)을 베이스 케이스(30)의 내면 둘레에 형성된 링홈(36)에 조립시킨다.
이후, 베이스 케이스(30)의 힌지홈(39)에 뚜껑(20)을 조립하고, 고정링(80)이 베이스 케이스(30)에 조립되면 조립지주(34)에 걸쳐지게 버턴구멍(81)을 통해 누름버튼(33)을 조립한다.
상기 베이스 케이스(30) 내부의 승강 안내핀(32)을 통해 고형분 케이스(50)를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된다. 즉, 승강안내핀(32)만 구조 변경하면 고형케이스(50)의 조립구조도 쉽게 변경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변경은 종래처럼 2중 구조인 케이스 내벽에 상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용기 자체를 변경하여야 하는 등 구조 설계변경이 쉽지 않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 완성된 고형 파우더 케이스(2)는 누름버턴(33)을 눌러 뚜껑(20)의 락돌기(11)와 결합을 해제하여 뚜껑(20)을 열고, 긁개 케이스(60)에 수납되어 있던 퍼프(13)를 들어낸다.
그리고 나서 회전 휠(70)을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긁개 케이스(60)도 동시에 회전되며, 이때 긁는 날(64)은 고형분(55)을 긁개 되고, 긁혀진 고형분(55)은 배출구멍(63)을 통해 배출되어 긁개 케이스(60) 상에 쌓이게 된다.
고형분이 적당량 긁개 케이스(60) 내에 쌓이면 퍼프(1)를 사용하여 화장을 하면 된다. 그리고 나서 회전 휠(7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긁는 날(64)에 고형분의 표면이 눌러지게 되어 휴대시 고형분의 가루가 내부에서 분산 이동되지 않고 청결이 유지된다.
본 고안은 기존의 2중 구조가 아닌 1겹구조로 베이스케이스가 제작됨에 따라 부품 수가 감소되어 공정이 생략되고, 경량 제작이 이루어져 원가절감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승강 안내핀으로 고형분 케이스의 안내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어 조립과 승강 높이의 변경 제작이 용이하여 디자인 전환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고형분 케이스를 사용하여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형분을 긁어서 사용할 수 있고, 반대로 회전시키면 긁었던 고형분의 표면을 눌러주게 되어 휴대시 가루가 분산되던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기존 고형분 케이스의 승강 유격보다 본 고안의 고형분 케이스의 승강 유격 이 크기 때문에 공간이용성 최대화됨에 따라 그 만큼에 전체적인 케이스의 두께를 얇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고형 파우더 케이스의 디자인 개발 확장성이 뛰어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뚜껑(20)이 있는 베이스 케이스(30)와; 상기 베이스 케이스(30) 내에 받침 스프링(40)으로 탄지되도록 설치되는 고형분케이스(50)와;
    상기 고형분케이스(50) 내에서 회전하여 고형분을 긁어내도록 조립 설치되는 긁개 케이스(60)와;
    베이스 케이스(30)에 힌지 구조로 설치된 회전되는 뚜껑(20)과;
    긁개 케이스(6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긁개 케이스(60)에 조립되는 회전휠(70)로 구성되는 고형 파우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케이스(30)는 케이스내면바닥(31)에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된 승강 안내핀(32)과, 일측에 누름버턴(33)이 조립되도록 돌출 설치된 조립지주(34)와, 베이스 케이스(30) 둘레 내면에 다수 개 형성된 고정날개(35)와, 이 고정날개(35)의 사이에 형성된 링홈(36)과, 이 고정날개(35)의 바깥 측 케이스 둘레면에 형성된 버턴홈(37)과, 이 버턴홈(37)의 아래에 턱홈(38)이 형성되고, 버턴홈(37) 타측에 형성된 힌지홈(39)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 휠(70)과 긁개 케이스(60)는 고정링(80)에 의해 베이스 케이스(30)에 회전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파우더 케이스.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케이스(50)는 베이스 케이스(30)의 케이스내면바닥(31)에 설치된 받침부(41)에 개재되는 받침 스프링(40)으로 탄지되고, 고형분(55)이 담기게 되는 수용부(51)와, 이 수용부(51)의 둘레면 내주에 수직으로 형성된 고형분 고정턱(52)과, 상기 수용부(51)의 둘레면 외주에 승강이 안내되도록 형성된 역삼각돌기(53)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파우더 케이스.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80)은 환테(84)의 일측에 뚜껑(20)의 락돌기(11)가 삽입되는 락홀(82)이 형성되고, 락홀(82)의 타측에 베이스 케이스(30)의 힌지홈(39)과 일치되도록 링힌지홈(83)이 형성되며,
    상기 링힌지홈(83)의 저면 양측에 고정링(80)을 베이스케이스(30)에 고정하기 위해 삽입치(85)가 형성되고, 이 삽입치(85)와 협력하여 고정링(80)을 베이스케이스(30)에 고정하기 위해 일측에 돌기턱(86)이 돌출 형성되며,
    락홀(82) 저부에 누름버턴(33)이 조립되도록 버턴구멍(81)과 이 버턴구멍(81) 아래에 조립돌기(8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파우더 케이스.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 안내핀(32)은 절개된 슬릿홀(321)이 형성되고, 이 슬릿홀(321)의 입구에 분리방지턱(3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파우더 케이스.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턴(33)은 버턴홈(37) 내측 양측에 형성된 조립지주(34)에 조립되는 탄지편(331)과, 이 탄지편(331)의 중심에 형성되고 고정링(80)의 버턴구멍(81)에 삽입되는 누름부(33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파우더 케이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332)에는 안쪽 면에 락돌기(11)가 걸리도록 걸림턱(3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파우더 케이스.
KR2020060031607U 2006-12-13 2006-12-13 고형 파우더 케이스 KR200438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607U KR200438483Y1 (ko) 2006-12-13 2006-12-13 고형 파우더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607U KR200438483Y1 (ko) 2006-12-13 2006-12-13 고형 파우더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483Y1 true KR200438483Y1 (ko) 2008-02-20

Family

ID=4134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607U KR200438483Y1 (ko) 2006-12-13 2006-12-13 고형 파우더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483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10B1 (ko) 2009-03-25 2009-08-19 이성환 화장품 케이스
KR101006209B1 (ko) 2008-09-12 2011-01-07 이중배 분쇄식 고형 파우더 케이스
KR200452597Y1 (ko) 2009-04-02 2011-03-14 (주)아모레퍼시픽 기밀부재를 갖는 고형 파우더 분쇄용기
WO2011068369A2 (ko) * 2009-12-02 2011-06-09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파우더 용기
KR200458211Y1 (ko) * 2009-03-20 2012-01-30 (주)아모레퍼시픽 고형 파우더 분쇄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158910B1 (ko) 2009-10-26 2012-06-25 (주)에스엔피월드 그라인딩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13066035A1 (ko) * 2011-11-02 2013-05-10 Byeon Jae-Sam 기밀 화장품용기
KR101424591B1 (ko) 2014-04-03 2014-08-01 (주)그로우 콤팩트
KR101840122B1 (ko) * 2016-09-09 2018-03-20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용 파우더 용기
CN111031841A (zh) * 2017-08-30 2020-04-17 株式会社高丝 化妆品容器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209B1 (ko) 2008-09-12 2011-01-07 이중배 분쇄식 고형 파우더 케이스
KR200458211Y1 (ko) * 2009-03-20 2012-01-30 (주)아모레퍼시픽 고형 파우더 분쇄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0913110B1 (ko) 2009-03-25 2009-08-19 이성환 화장품 케이스
KR200452597Y1 (ko) 2009-04-02 2011-03-14 (주)아모레퍼시픽 기밀부재를 갖는 고형 파우더 분쇄용기
KR101158910B1 (ko) 2009-10-26 2012-06-25 (주)에스엔피월드 그라인딩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11068369A2 (ko) * 2009-12-02 2011-06-09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파우더 용기
WO2011068369A3 (ko) * 2009-12-02 2011-11-03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파우더 용기
WO2013066035A1 (ko) * 2011-11-02 2013-05-10 Byeon Jae-Sam 기밀 화장품용기
US9210984B2 (en) 2011-11-02 2015-12-15 Jae Sam BYEON Airtight cosmetic container
USRE46305E1 (en) 2011-11-02 2017-02-14 Jae Sam BYEON Airtight cosmetic container
USRE46854E1 (en) 2011-11-02 2018-05-22 Kr. Co., Ltd. Airtight cosmetic container
KR101424591B1 (ko) 2014-04-03 2014-08-01 (주)그로우 콤팩트
KR101840122B1 (ko) * 2016-09-09 2018-03-20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용 파우더 용기
CN111031841A (zh) * 2017-08-30 2020-04-17 株式会社高丝 化妆品容器
CN111031841B (zh) * 2017-08-30 2023-09-05 株式会社高丝 化妆品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483Y1 (ko) 고형 파우더 케이스
KR200404009Y1 (ko) 분쇄식 기능성 파우더 용기
JP6613510B2 (ja) ワンタッチ方式でキャップが開閉操作される化粧品容器
KR200441858Y1 (ko) 화장품 케이스
US8387627B2 (en) Compact powder case
KR100913110B1 (ko) 화장품 케이스
CN104058164A (zh) 可拆卸可密封的盖,包括所述盖的容器和用于所述盖的密封圈
KR101006209B1 (ko) 분쇄식 고형 파우더 케이스
KR200436252Y1 (ko) 콤팩트 케이스
KR200442207Y1 (ko) 멀티 팔레트와 다이얼 회전판을 갖는 화장품 용기
JP5629142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KR20090006714U (ko) 화장품 케이스
KR101963135B1 (ko) 회전 개폐형 다단 화장품 용기
KR101329450B1 (ko) 그라인더 파운데이션 용기
KR101378985B1 (ko) 파운데이션 팩트 화장품 용기
KR200438527Y1 (ko) 스윙 형태의 개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200493171Y1 (ko) 쿠션 파운데이션용 화장품 케이스
KR200409765Y1 (ko) 볼터치 화장품 용기
KR20090006821U (ko) 화장품수납트레이가 적층 형성된 다단용기
KR20080006124U (ko) 출몰식 기름종이 수납부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20019151A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KR100768494B1 (ko) 회동 인출되는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5241297B2 (ja) 化粧料容器
JPH0730909U (ja) 化粧用コンパクト
KR200155213Y1 (ko) 반짇고리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