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048B1 - 수확용 장갑 - Google Patents

수확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048B1
KR101963048B1 KR1020170155447A KR20170155447A KR101963048B1 KR 101963048 B1 KR101963048 B1 KR 101963048B1 KR 1020170155447 A KR1020170155447 A KR 1020170155447A KR 20170155447 A KR20170155447 A KR 20170155447A KR 101963048 B1 KR101963048 B1 KR 101963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tting
glove
cutter blade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욱
문성준
Original Assignee
박정욱
문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욱, 문성준 filed Critical 박정욱
Priority to KR1020170155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3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manual picking, e.g. ladders,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B26B27/007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with handles specific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human hand or finger, e.g. thim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확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갑에 절단날이 마련되되, 기설정된 조건에서만 칼날이 돌출되어 안전하게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여 수확할 수 있게 개선된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은,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형태로 손에 씌워지는 장갑형태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엄지 및 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의 마찰 시, 컷팅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컷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은, 작물의 줄기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은, 장갑에 칼날이 형성되되, 작업시에만 칼날이 돌출될 수 있게 구성하여 부상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확용 장갑{Harvesting gloves}
본 발명은 수확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갑에 절단날이 마련되되, 기설정된 조건에서만 칼날이 돌출되어 안전하게 농작물의 줄기를 절단하여 수확할 수 있게 개선된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 고추, 파프리카, 피망, 오이, 가지, 사과, 배, 복숭아, 참외, 수박 등의 농작물을 재배할 때나 수확할 때 필요에 따라 칼이나 가위, 손톱을 이용하거나 손으로 비틀어서 가지, 잎, 순, 꼭지 등을 절단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므로 힘이 많이 들고 작업능률도 좋지 못하였다.
특히 손으로 비틀어서 딸기, 사과, 배, 고추 등의 꼭지를 절단 작업할 때 사과, 배, 고추 등의 열매에 상처가 발생하게 되고, 고추나무의 경우 가지가 꺾이게 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농장체험을 실시하는 경험이 미숙한 사람들은 수확 시, 작물에 손상을 입혀 차후 농작물의 재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또한, 절단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절단되는 부위의 위치가 각각 다르며, 절단부분이 매끈하지 못하여 농작물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신선도 유지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농작물을 쉽게 절단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1990-0007505호 (공고일자: 1990.08.20)의 농작물 꼭지따기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81095호(공고일자: 2000.05.15)의 골무절단 칼에 골무 형태의 농작물 절단칼이 개시되어 있다.
전자의 농작물 꼭지따기는 컵형 꼭지따기 본체의 일측에 통기공을 형성하고 상단 체결요구에 고정한 브라켓트의 체결부에 경사형 카터를 착설하여 경사날부 하단에돌출 안내편이 위치되게 한 구성이다.
이는 손에 장갑을 끼운 상태로 엄지에 꼭지따기 본체를 끼우고 작물을 손아귀에 잡으면서 엄지로 꼭지를 밀어주면 농작물을 쉽게 절단할 수 있는 것이나, 상기 꼭지따기 본체가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엄지에 착용감이 좋지 못하여 손에 장갑을 끼운 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고, 일일이 작물을 손아귀에 잡고 엄지로 꼭지를 밀어주게 되므로 작물의 크기에 따라 손아귀에 잡히지 않는 대형의 작물은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며, 작물을 손아귀에 잡고 있더라도 절단 작업할 때 꼭지와 연결된 나뭇가지가 동시에 움직이게 되는 농작물이 있으므로 절단작업을 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어 극소수의 농작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후자의 골무절단 칼은 골무에 절단칼을 삽입할 수 있게 삽입요홈을 요설하고 절단칼에 고정요홈을 천공하고 골무에 요설된 삽입요홈에 절단칼을 삽입하여 고정한 구성으로, 이는 골무를 엄지에 삽입하고 다른 손가락으로 순을 잡고 절단칼을 누르면 순, 가지 등을 한 손으로 절단할 수 있는 것이나, 상기 골무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한 것이므로 엄지에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골무에 통기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으므로 엄지의 관절부위를 구부리는데 무리가 발생하게 되며, 결국 누르는 힘이 약하고, 손가락이 쉽게 피로하며, 절단작업 시 힘이 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0-0007505호 (1990.08.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81095호 (2000.05.1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물을 줄기를 용이하게 컷팅할 수 있는 장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갑에 형성된 칼날이 작업시에만 돌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장갑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은,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형태로 손에 씌워지는 장갑형태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엄지 및 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의 마찰 시, 컷팅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컷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은, 작물의 줄기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은, 장갑에 칼날이 형성되되, 작업시에만 칼날이 돌출될 수 있게 구성하여 부상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전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을 이용하여, 엄지와 검지를 접촉하여 작물의 줄기를 절단하기 위한 동작 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커터날수용부의 형상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커터날부의 형상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커터날수용부와 커터날부가 결합되는 형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커터날수용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커터날수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커터날수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컷팅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날부 및 커터날받침부의 비접촉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컷팅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터날부 및 커터날받침부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컷팅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날부 및 커터날받침부에 돌출받침부가 더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컷팅부가 골무형태로 탈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컷팅부가 골무형태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커터날부에서 칼날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의 커터날부에서 칼날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형태로 손에 씌워지는 장갑형태의 바디부(1), 상기 바디부(1)의 엄지 및 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의 마찰 시, 컷팅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컷팅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바디부(1)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형태로 손에 씌워지는 장갑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바디부(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갑형태로 손가락이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형태의 장갑이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컷팅부(2)는, 상기 바디부(1)의 엄지 및 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의 마찰 시, 컷팅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컷팅부(2)는, 상기 바디부(1)의 손가락 부위 중 서로 맞닿아 압력을 가하기 용이한 손가락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컷팅부(2)는,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의 엄지와 검지에 마련되어, 서로 맞닿는 형태로 작물의 컷팅을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컷팅부(2)는, 상기 바디부(1)의 엄지와 중지에 마련되어, 서로 맞닿는 형태로 작물의 컷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컷팅부(2)는, 상기 바디부(1)의 엄지부 및 검지부를 서로 맞닿게 하는 형태로 소정의 압력을 가했을 때에만, 작물의 컷팅이 용이해지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컷팅부(2)가 서로 접촉되지 않거나 소정압력 이하로 힘이 가해졌을 시, 상기 컷팅부(2) 내에 형성되는 칼날(211)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평상시에 상기 컷팅부(2)에 형성되는 하기의 칼날(211)에 의해 베이는 등의 위협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 언급되는 상기 컷팅부(2)의 구성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디부(1)의 엄지부 및 검지부에 형성되는 것을 바탕으로 설명되되, 상기 컷팅부(2)가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에만 한정되어 구성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한 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컷팅부(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날부(21) 및 커터날수용부(22)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커터날부(21)는,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당연히 상기 커터날수용부(22)는,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 중 상기 커터날부(2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상기 커터날부(21)와 접촉되기 용이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터날부(21)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211) 및 베임방지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칼날(211)은, 손가락면으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칼날(211)의 단면은, 작물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을 정도의 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날(21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칼날(211)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칼날의 손상 시, 교체 가능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베임방지부(212)는, 상기 칼날(2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마련되되, 상기 칼날(21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칼날(211)에 비해 높이가 미세하게 높은 형태로 마련되는 단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임방지부(212)는, 상기 칼날(211)이 일반적인 상황에서 날이 형성되는 단면이 돌출되지 못하게 하여 위협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베임방지부(212)의 단면은 둔면이 형성되거나 평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날(211)의 양측에 마련되는 상기 베임방지부(212) 끼리의 간격은 소정 간격 이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임방지부(212) 끼리의 간격은 1~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베임방지부(212) 끼리의 간격이 1mm 미만으로 형성되면, 상기 칼날(211)이 형성될 공간이 부족하고, 상기 칼날(211)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칼날(211)이 하기의 커터날수용부(22)와의 접촉을 통해 작물의 커팅을 실시해야 하나 상기 베임방지부(212) 끼리의 거리가 좁아 상기 베임방지부(212) 사이에 상기 커터날수용부(22)가 정확히 삽입되어 상기 칼날(211)과의 접촉이 실시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베임방지부(212) 끼리의 간격이 5mm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다른 손가락 및 신체의 타 부위의 피부가 상기 칼날(211)에 접촉 시, 피부의 탄력적인 성질에 의해 상기 베임방지부(212) 사이에 파고들어 상기 칼날(211)과 접촉이 용이해져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베임방지부(212) 끼리의 간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커터날수용부(22)는,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 중 상기 커터날부(21)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상기 커터날부(21)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커터날수용부(22)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터날부(21)에 형성되는, 상기 칼날(211) 및 베임방지부(212)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마련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터날수용부(22)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터날부(21)와 접촉 시, 상기 커터날수용부(22)의 내측면과 상기 칼날(211)의 날이 형성되는 단부가 접촉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는, 상기 칼날(211)의 단부와 상기 커터날수용부(22)의 내측면이 접촉됨에 따라 작물의 컷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으로, 상기 커터날수용부(22)는, 내측단부가 상기 칼날(211)의 형상과 상관없이, 상기 칼날(211)의 단부가 접촉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터날수용부(22)의 내측면은 원호가 형성되는 내주면 형태나 평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팅부(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컷팅부(2)는, 컷팅부(31) 및 커터날받침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컷팅부(31)는, 칼날(311) 및 베임방지부(312)로 구성된다.
상기 칼날(311)은, 손가락면으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형태로 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칼날(311)의 단면은, 작물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을 정도의 날이 형성된다.
상기 베임방지부(312)는, 상기 칼날(311)이 일반적인 상황에서 날이 형성되는 단면이 돌출되지 못하게 하여 위협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베임방지부(312)의 단면은 둔면이 형성되거나 평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베임방지부(312)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날(3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마련되되, 상기 칼날(311)에 비해 높이가 미세하게 높은 형태로 마련되고, 비교적 원형의 단면이 형성되는 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임방지부(312)는, 실리콘 및 고무와 같이, 탄력적인 유동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하기의 커터날받침부(32)와 접촉을 통해 압력이 가해질 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높이가 줄어들어 상기 칼날(311)이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커터날받침부(32)는,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 중 상기 컷팅부(31)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판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베임방지부(312)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상기 칼날(311)에 수직하게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커터날받침부(32)의 단부 표면에는 복수개의 미세한 돌기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커터날받침부(32)와 상기 컷팅부(31)의 마찰 시, 미끄러짐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상기 커터날받침부(32)는, 상기 베임방지부(312)에 용이하게 압력을 가하며, 상기 칼날(311)과 접촉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동일한 목적으로, 상기 커터날받침부(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받침부(32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받침부(321)는, 상기 커터날받침부(32)의 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받침부(321)는, 상기 칼날(311)과의 접촉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구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커터날받침부(32)의 단부에서 보다 돌출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칼날(311)과의 접촉이 용이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칼날(311)의 위험을 보다 낮출 수 있게 상기 칼날(311)의 높이를 보다 낮추거나 상기 베임방지부(312)의 높이를 보다 높이는 구성이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받침부(321)는, 상기 칼날(311)과의 접촉이 용이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돌기 형태로 구성되거나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컷팅부(2)는, 상기 바디부(1)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컷팅부(2)는, 저면에 접착이 가능한 재질 또는 구성물질에 의해 상기 바디부(1)의 손가락 부위에 접착되거나 해제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컷팅부(2)는, 링형태의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1)의 손가락부위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팅부(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무형태의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1)의 손가락 부위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컷팅부(2)는, 링 또는 골무형태의 몸체로 구성 시, 맨손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확용 장갑은, 장갑형태의 상기 바디부(1)에 상기 컷팅부(2)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접착면이 형성된 상기 컷팅부(2)가 선택적으로 부착되거나, 링형태로 형성된 상기 컷팅부(2)가 선택적으로 끼워지거나, 골무형태로 형성된 상기 컷팅부(2)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이용된다.
이때, 상기 컷팅부(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디부(1)의 엄지부 및 검지부에 형성되어 수확하고자 하는 작물의 줄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를 서로 접촉 시, 상기 커터날부(21)가 상기 커터날수용부(22)에 수용되며, 상기 작물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커터날부(21)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상기 베임방지부(212)에 의해 상기 칼날(211)이 돌출되지 않아 위협이 되지 않으나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의 접촉 시, 상기 커터날수용부(22)에 상기 커터날부(21)가 수용되며, 상기 칼날(211)의 단부가 상기 커터날수용부(22)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작물의 줄기에 힘을 가하여 절단이 실시된다.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의 접촉 시, 상기 작물의 줄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커터날부(31)와 상기 커터날받침부(32)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터날받침부(32)에 탄성재질의 상기 베임방지부(312)가 먼저 접촉되어 눌려지며 자연스레 높이가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돌출되는 상기 칼날(311)이 상기 커터날받침부(32)의 단면에 접촉되며, 상기 작물에 힘을 가하여 절단 시킨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바디부
2 : 컷팅부
21 : 커터날부
211 : 칼날
212 : 베임방지부
22 : 커터날수용부
31 : 커터날부
311 : 칼날
312 : 베임방지부
32 : 커터날받침부
321 : 돌출받침부

Claims (6)

  1.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형태로 손에 씌워지는 장갑형태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엄지 및 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의 마찰 시, 컷팅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컷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컷팅부는,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칼날;이 형성되는 커터날부; 및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 중 상기 커터날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판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칼날에 수직하게 접촉면이 형성되는 커터날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터날부는,
    상기 칼날 양측에 상기 칼날에 비해 높이가 미세하게 높은 바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칼날에 의한 베임을 방지하는 베임방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베임방지부는,
    상기 커터날받침부와 접촉을 통해 압력이 가해질 시, 탄력적으로 높이가 줄어들어 상기 칼날이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용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부는,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 중 어느 하나에 칼날;이 형성되는 커터날부; 및
    상기 엄지부 및 검지부 중 상기 커터날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상기 커터날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커터날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용 장갑.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부는,
    링 및 골무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된 형태로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바디부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확용 장갑.
KR1020170155447A 2017-11-21 2017-11-21 수확용 장갑 KR101963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47A KR101963048B1 (ko) 2017-11-21 2017-11-21 수확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47A KR101963048B1 (ko) 2017-11-21 2017-11-21 수확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048B1 true KR101963048B1 (ko) 2019-03-27

Family

ID=6590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447A KR101963048B1 (ko) 2017-11-21 2017-11-21 수확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0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408A (ko) 2022-08-30 2024-03-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작물 작업용 기능성 장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505B1 (ko) 1987-12-29 1990-10-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열전사식 프린터의 양방향 인자를 가능하게 한 리본구동 방법과 리본장치
KR0181095B1 (ko) 1995-04-11 1999-05-15 안시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US20020069536A1 (en) * 2000-12-07 2002-06-13 Chomiak Bryant D. Safety utility razor knife
KR20030035949A (ko) * 2001-10-26 2003-05-09 가부시키가이샤 벨텍스 손가락 장착식 절단기
KR20120105177A (ko) * 2011-03-15 2012-09-25 소정우 농작물 절단칼이 부설된 골무
CN106888686A (zh) * 2015-12-18 2017-06-27 巴东县丰太农业专业合作社 一种提高采茶效率的手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505B1 (ko) 1987-12-29 1990-10-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열전사식 프린터의 양방향 인자를 가능하게 한 리본구동 방법과 리본장치
KR0181095B1 (ko) 1995-04-11 1999-05-15 안시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US20020069536A1 (en) * 2000-12-07 2002-06-13 Chomiak Bryant D. Safety utility razor knife
KR20030035949A (ko) * 2001-10-26 2003-05-09 가부시키가이샤 벨텍스 손가락 장착식 절단기
KR20120105177A (ko) * 2011-03-15 2012-09-25 소정우 농작물 절단칼이 부설된 골무
CN106888686A (zh) * 2015-12-18 2017-06-27 巴东县丰太农业专业合作社 一种提高采茶效率的手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408A (ko) 2022-08-30 2024-03-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작물 작업용 기능성 장갑
KR102656797B1 (ko) * 2022-08-30 2024-04-15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작물 작업용 기능성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048B1 (ko) 수확용 장갑
US20050150029A1 (en) Finger guard
TNSN05327A1 (en) Cutting device that is secured on the hand for picking fruit
US2549326A (en) Citrus fruit peeler
US5471746A (en) Vegetable/fruit peeler and method of use
JP3181330U (ja) 摘み取り器
KR101916672B1 (ko) 농작물 수확용 줄기 절단기
JP3181330U7 (ko)
JP3178684U (ja) 指装着形収穫爪
CN207969375U (zh) 简易果蔬采摘装置
KR20130124712A (ko) 귤 수확용 가위
JP3216878U (ja) 繭カッター
KR101192088B1 (ko) 농작물 절단칼이 부설된 골무
KR101910445B1 (ko) 칼날 커팅 장치
KR200479636Y1 (ko) 부착방지수단을 갖는 식칼
JP3200827U (ja) 調理器具
KR20190055545A (ko) 야채의 껍질을 벗기고 절단하는 박피절단기
US1369326A (en) Picking-knife
KR101905043B1 (ko) 날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가위
JPH09121678A (ja) 菜果切断用指ハサミ
KR200479327Y1 (ko) 손톱깎이
JPH02131898A (ja) 野菜保持具
JP2932241B2 (ja) 皮剥き器
JP7048069B2 (ja) 果実収穫具
CN212170509U (zh) 一种割胶布指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