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801B1 - 피부 주름 감소와 피부세포 재생 효과를 가지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피부 주름 감소와 피부세포 재생 효과를 가지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801B1
KR101962801B1 KR1020160143158A KR20160143158A KR101962801B1 KR 101962801 B1 KR101962801 B1 KR 101962801B1 KR 1020160143158 A KR1020160143158 A KR 1020160143158A KR 20160143158 A KR20160143158 A KR 20160143158A KR 101962801 B1 KR101962801 B1 KR 10196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acin
peptide
skin
niacinami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252A (ko
Inventor
강상문
김영민
차상주
이기영
신은진
김근태
김보민
Original Assignee
에이앤펩주식회사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앤펩주식회사,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에이앤펩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8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06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3, e.g. zimel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65Nicotin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5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6Vitamin B3 niac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감소와 피부세포 재생 효과가 있는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콜라겐 분해를 유도하는 효소로 본 발명을 통해 유전자 수준에서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나이아신-펩타이드는 피부세포 재생능을 향상시켜 노화피부를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나이아신-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감소와 피부세포 재생 촉진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주름 감소와 피부세포 재생 효과를 가지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 용도{Niacinamide-Peptide Fusions With the Effect of Reducing Skin Wrinkles and Skin Cell Regeneration An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감소와 피부세포 재생 효과를 가지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름개선 및 피부세포증식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피부투과효과 및 안정성이 우수한 특정서열을 가지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에서 가장 큰 조직으로 햇빛이나 물리,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신체 내부를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며 이는 인간의 생명유지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끊임없이 재생되어 항상성을 유지시킨다. 피부는 바깥쪽으로부터 진피, 진피, 피하지방 순서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얇은 조직인 진피는 피부의 보습과 보호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수분 손실, 손상과 세균 침입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피부는 신체를 전부 감싸고 있는 조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신체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장벽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랑게르한스섬에 의한 면역 체계를 갖추고 있고 진피에 의한 수분 조절기능을 가지고 있음. 또한, 적절한 햇빛으로 비타민 D를 합성하고 지질의 저장고와 땀샘으로의 배설 기능도 수행한다. 건강한 피부에서의 정상적인 분화과정에 의해 생성된 각질층은 피부의 보습을 유지하고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피부 장벽 기능이라 하며 진피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고 삶의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하고 아름다워지고자 하는 사람들의 관심이 매우 증대 되고 있으며 이는 피부노화와 관련된 기능성화장품 및 기능성식품, 미용분야의 시장이 최근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잘 알 수 있다.
피부의 노화는 외인성 노화(태양광선 등 외부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노화)와 내인성 노화(나이의 증가에 따른 자연적 노화)로 나뉘어 왔으며 노화된 피부는 주름살이 증가하며, 탄력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피부노화 증상의 발생 원인의 이해와 예방, 치료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결과적으로 피부노화 현상은 세포의 비균질화, 엘라스틴의 소실, 콜라겐의 파괴, 콜라겐 합성의 감소 및 지연 등에 의해 나타나며, 따라서 피부노화 현상은 피부 진피에서도 일어나지만 이보다는 진피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피부노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고,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는 일부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피부주름 및 기미, 색소침착 개선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레티노이드류, 그 중에서도 레티놀(retinol)에 대한 피부주름 제거 임상 결과들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고, 레티놀을 함유한 화장료는 일광에 의해 형성된 피부주름살이나 피부처짐, 탄력감소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레티놀은 주름 기능성 고시원료로 등재될 정도로 효과에 대해 검증이 된 원료이나 특유의 피부자극 문제, 안정성 문제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제기가 되어 오고 있으며 높은 가격으로 고가의 제품군에서 활용이 되며 보편적 소재로 활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개선하기 위해서는, 효능이 정확하게 검증된 원료를 이용한 신규 원료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비타민의 일종인 나이아신아마이드 (niacinamide)는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승인된 미백 기능성 효능물질로서 니코틴아마이드 (nicotinamide) 라고도 알려진 수용성 비타민 B3이며, 이것은 우리 몸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녹색 채소나 씨리얼과 같은 식품에도 포함되어 있다. 건강한 피부를 위한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필요성은 20세기 초부터 인지되어 왔다. 식이에서 비타민 B3가 부족할 경우, 심각한 피부 병변을 일으키는 전염병인 펠라그라(pellagra)가 나타나는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이를 예방하는 비타민(Vitamin PP)으로 알려져 왔다.
나이아신아마이드의 경우 미백효과외에도 인체와 피부에 다양한 약리효과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혈중의 고지질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시키며 혈관 확장 작용을 통해 혈압 강화효과를 보이며 또한 소화계의 건강을 촉진시켜서 위장장해를 회복시키는 효능을 보인다. 그리고 피부에는 피지 억제 및 트러블 피부 개선, 피부 내 세라마이드와 지방산 증가, 콜라겐 생성 촉진을 통한 주름 개선 및 항노화 효과 등이 있다.
하지만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미백에는 우수한 효능을 보이나 주름 개선, 피부세포 재생에는 다소 부족한 효능을 보이고 있다. 부족한 효능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특허에서는 펩타이드를 활용하였다. 펩타이드는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이 아마이드 결합(amide bonds)을 이루면서 생성되는 물질로 기초임상 연구 분야, 의약품분야, 생활용품 등 광범위한 분야에 사용되는 핵심 기초소재이다.
또한 간염, AIDS을 비롯한 각종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에 대해 펩타이드를 이용한 진단법 및 예방, 치료약의 개발은 종래의 고가의 단백질을 이용한 것보다 비용을 낮출 수가 있으며, 단백질보다 높은 감도, 선택적 특이성 및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생물소재이다.
펩타이드는 필요에 따라 합성되고 그 역할이 끝나면 자연스럽게 소멸되므로, 펩타이드가 의약품, 화장품으로 사용되면 부작용이 거의 없고 작용도 탁월하며 특히 펩타이드를 화장품에 적용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반부터 프랑스에서 최초로 시도되어 왔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화장품용 펩타이드 소재의 장점은 안정성과 안전성에 있는데, 예를 들면 기존의 주름개선 성분인 레티놀이 빛과 열에 약하고 불안정한 반면, 펩타이드 제제인 아지렐린의 경우 이러한 제한이 없어 낮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생체유래물질로 많은 양을 사용해도 부작용이 없어 민감한 눈가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능성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서열의 다양성에 따라 세포증식, 세포이동, 염증반응, 혈관신생, 피부착색 등 피부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리간드-수용체 결합을 조정하는 데에 있어서 유용하며, 생체유래 물질이므로 면역관용성이 있고, 작은 크기에 따른 높은 경피투과성과 체외배출도, 합성과 변형이 용이하다는 장점 있는 주요 화장품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기능성 펩타이드는 기존의 단백질 소재에 비해 효능은 유사한 반면에 크기가 월등히 작으므로 피부투과율이 뛰어나고, 순도 및 가격 등 경제적 생산측면에도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었으며, 분해와 배출이 잘되므로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은 등의 장점을 두루 갖춘 소재들이다. 즉, 현재 펩타이드 기능성화장품 시장에서 요구하는 기술의 유용성을 확보하고 있고, 다른 경쟁기술들과 비교하여 차별화되고 경쟁 우위에 있는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펩타이드 소재의 최신 트렌드는 효과가 있는 물질에 다른 화합물을 연결하여 효능이 향상되거나 추가적인 기능을 가지는 하나의 합성물을 만드는 시도이며 다른 원료에서는 화장품 업계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 대표적인 예로 지방산에 당을 결합하여 수용성, 유용성의 특징을 모두 가지는 계면활성제로 합성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나 불안정한 비타민 C (아스코르빈 산)에 당을 결합하여 비타민 C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아스코르빈산 2 글루코사이드 (AA2G), 주름에 효과가 있는 레티놀에 팔미토일 산을 결합하여 피부투과율과 안정성을 향상시킨 레티놀팔미테이트 등이 존재한다. 이들 합성물들의 특징은 두 분자 간 결합을 통해 안정성 향상, 효능 증진, 추가 효능 발현 등의 장점이 추가가 된 화장품 소재이며, 폴리페놀, 나이아신아마이드 등 다른 물질과의 화학적 결합을 통해 제품의 안정성과 안전성, 효능 증대를 기대하고 개발되었으며 최종 제품의 효능이 결합 전 펩타이드에 비해 증가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시장에 큰 반응을 얻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나이아신-펩타이드의 효능과 화장품 제형 개발을 진행하여 기존 주름 개선, 항 노화소재의 단점을 보완한 신규한 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나이아신-펩타이드의 기능 향상을 시험하고, 융합체에 적합한 화장품 제형을 개발하여 새로운 개념의 기능성 화장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01577호 (2013.08.2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50173호 (2016.05.1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128452호 (2016.07.1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의 부족한 주름개선, 피부세포 증식 능 개선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펩타이드를 선별함과 더불어, 나이아신-펩타이드의 피부 진피층 흡수성을 실험하는 것으로 피부층의 진피세포 증식 및 이에 따른 주름개선효과를 가지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양태는 나이아신-AS, 나이아신-AT, 나이아신-ET, 나이아신-GP, 나이아신-ES, 나이아신-KK, 나이아신-VS, 나이아신-MY, 나이아신-GH, 나이아신-MA, 나이아신-AH, 나이아신-CC, 나이아신-SA, 나이아신-WA, 나이아신-WE, 나이아신-KD, 나이아신-NA, 나이아신-TS, 나이아신-SS, 나이아신-EC, 나이아신-TA, 나이아신-PF, 나이아신-PS, 나이아신-VV, 나이아신-VP, 나이아신-AA, 나이아신-VS, 나이아신-HA, 나이아신-GK, 나이아신-KV, 나이아신-AR, 나이아신-RP, 나이아신-PQ, 나이아신-QG, 나이아신-PP, 나이아신-VR, 나이아신-SV, 나이아신-ET, 나이아신-CG 및 나이아신-N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피부 주름 감소 및 피부세포 재생 활성을 나타내는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나이아신-펩타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제공한다.
Figure 112016105986998-pat00001
[화학식 1]
(상기 A는 AS, AT, ET, GP, ES, KK, VS, MY, GH, MA, AH, CC, SA, WA, WE, KD, NA, TS, SS, EC, TA, PF, PS, VV, VP, AA, VS, HA, GK, KV, AR, RP, PQ, QG, PP,VR, SV, ET, CG 및 N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디펩타이드)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피부 주름개선, 피부세포 재생 활성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나이아신-펩타이드는 콜라겐 분해 효소 (MMP-1)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나이아신-펩타이드는 0.001% ~ 10.0% 농도에서 주름개선 및 피부세포 재생 활성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나이아신-펩타이드는 N-말단의 나이아신에 의해 증가된 안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양태는 나이아신-AS, 나이아신-AT, 나이아신-ET, 나이아신-GP, 나이아신-ES, 나이아신-KK, 나이아신-VS, 나이아신-MY, 나이아신-GH, 나이아신-MA, 나이아신-AH, 나이아신-CC, 나이아신-SA, 나이아신-WA, 나이아신-WE, 나이아신-KD, 나이아신-NA, 나이아신-TS, 나이아신-SS, 나이아신-EC, 나이아신-TA, 나이아신-PF, 나이아신-PS, 나이아신-VV, 나이아신-VP, 나이아신-AA, 나이아신-VS, 나이아신-HA, 나이아신-GK, 나이아신-KV, 나이아신-AR, 나이아신-RP, 나이아신-PQ, 나이아신-QG, 나이아신-PP, 나이아신-VR, 나이아신-SV, 나이아신-ET, 나이아신-CG 및 나이아신-N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나이아신-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피부세포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의약, 식품,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 및 피부세포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서열을 가지는 나이아신-펩타이드는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억제시켜 피부세포 재생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안정성 및 피부투과도가 매우 우수함에 따라, 피부 주름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므로,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효과적인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생산에 유용하다.
도 1은 나이아신-펩타이드에 대한 고성능 액상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a)는 NA-dipeptide 3, (b)는 NA-dipeptide 7, (c)는 NA-dipeptide 23, (d)는 NA-dipeptide 27의 그래프,
도 2는 나이아신-펩타이드의 열안정성 분석결과 그래프,
도 3은 나이아신-펩타이드의 광안정성 분석결과 그래프,
도 4는 나이아신-펩타이드의 MMP-1저해능 실험결과 그래프,
도 5는 RT-PCR을 이용한 MMP-1,2,3,9의 mRNA 발현 확인 실험 결과,
도 6은 상처회복분석(Wound healing assay)를 통한 인간 각질세포에 대한 나이아신-펩타이드의 세포 재생유도효과 실험 결과,
도 7은 in vivo CAM 분석을 이용한 혈관재생능 확인 실험 결과.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나이아신아마이드와 펩타이드가 결합된 나이아신-디펩타이드 (Nicotinoyl dipeptid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주름개선 및 피부세포 재생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양태는 나이아신-AS, 나이아신-AT, 나이아신-ET, 나이아신-GP, 나이아신-ES, 나이아신-KK, 나이아신-VS, 나이아신-MY, 나이아신-GH, 나이아신-MA, 나이아신-AH, 나이아신-CC, 나이아신-SA, 나이아신-WA, 나이아신-WE, 나이아신-KD, 나이아신-NA, 나이아신-TS, 나이아신-SS, 나이아신-EC, 나이아신-TA, 나이아신-PF, 나이아신-PS, 나이아신-VV, 나이아신-VP, 나이아신-AA, 나이아신-VS, 나이아신-HA, 나이아신-GK, 나이아신-KV, 나이아신-AR, 나이아신-RP, 나이아신-PQ, 나이아신-QG, 나이아신-PP, 나이아신-VR, 나이아신-SV, 나이아신-ET, 나이아신-CG 및 나이아신-N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피부 주름 감소 및 피부세포 재생 활성을 나타내는 나이아신-펩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나이아신아마이드에 펩타이드를 화학적 연결을 통해 융합하여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라이브러리에서 기존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주름개선, 피부세포 증식 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찾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나이아신아마이드가 결합된 일부 펩타이드가 나이아신아마이드의 주름 개선, 피부세포 재생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나이아신아마이드와 펩타이드를 융합한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조하고 후보 군들을 준비한 후, 후보 군들 중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이 우수한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스크리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나이아신-펩타이드가 기능성 화장료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펩타이드”는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아미노산 잔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선형의 분자를 의미하며, 나이아신-펩타이드는 나이아신의 카르복실기와 펩타이드의 N-말단을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합성된 융합체의 형태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나이아신-펩타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05986998-pat00002
(상기 A는 AS, AT, ET, GP, ES, KK, VS, MY, GH, MA, AH, CC, SA, WA, WE, KD, NA, TS, SS, EC, TA, PF, PS, VV, VP, AA, VS, HA, GK, KV, AR, RP, PQ, QG, PP,VR, SV, ET, CG 및 N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디펩타이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N-말단에 나이아신을 결합하여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을 통해 본 발명의 펩타이드와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생체 내 투여시 안정성이 증가되어 높은 반감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펩타이드의 C-말단에 아미노기(-NH2)결합하여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아미노산의 변형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안정성을 크게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안정성”은 인 비보(in vivo) 안정성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예컨대, 상온 저장 안정성)도 의미한다. 상술한 보호기는 생체 내의 단백질 절단효소의 공격으로부터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사람 유래의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화장료용 펩타이드로서 활용도가 매우 높다. 본 발명에 따르면, 100ng/ml-1000μg/ml의 농도로 HaCat 세포 및 NIH3T3 세포에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처리한 결과, 현저한 세포 독성은 측정되지 않았으며 육안으로 세포의 형태를 확인하였을 때도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이아신-펩타이드는 50℃ 온도에서도 우수한 열안정성을 나타내며, 일광조건에서도 안정함을 확인하였다(도 2, 도 3). 본 발명의 나이아신-펩타이드는 의약품, 의약외품 및 화장품과 같은 장기간 저장이 요구되는 제품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나이아신-펩타이드는 주름개선, 피부세포 증식 능 개선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이아신아마이드와 나이아신-펩타이드는 콜라게나제 (Collagenase) 저해 능을 보이며 특정 서열의 나이아신-펩타이드의 경우 순수 나이아신아마이드에 비해 월등한 저해능을 보인다. (표 1) 특히 나이아신-펩타이드의 경우 피부세포 중 주름과 관련된 진피세포에 작용하여 진피를 포함한 피부세포의 재생과 더불어 주름개선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나이아신-펩타이드는 콜라겐 분해 효소 (MMP-1)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나이아신이 결합되어 있지 않은 펩타이드를 1mg/ml농도로 세포에 처리하고 배양한 후 MMP-1 발현 저해 능을 확인한 결과,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MMP-1 생성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또한, 나이아신-펩타이드 4종, 나이아신이 결합되어 있지 않은 펩타이드를 농도별(1 μml, 10 μ100 μ250 μ로 처리하고 배양한 후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펩타이드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순수 나이아신아마이드에 비해 나이아신-펩타이드에서 MMP-1, 2, 3, 9의 유전자 발현량 (RNA)이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5).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나이아신-펩타이드는 피부세포의 세포 재생 능을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간 피부 각질세포(HaCaT)에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처리에 따른 피부 세포의 회복 능을 확인한 결과나이아신-펩타이드 처리 시 시간 의존적으로 음성 대조군에 비해 세포 성장이 활발한 것을 통해 세포 재생 유도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도 6).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나이아신-펩타이드는 대조군에 비해 혈관 신생 작용을 통한 피부재생능 확인 (CAM assay)을 통해 혈관 신생 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도 7).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다양한 제형을 이용하여 주름 개선과 피부세포 재생에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양태는 제2양태는 나이아신-AS, 나이아신-AT, 나이아신-ET, 나이아신-GP, 나이아신-ES, 나이아신-KK, 나이아신-VS, 나이아신-MY, 나이아신-GH, 나이아신-MA, 나이아신-AH, 나이아신-CC, 나이아신-SA, 나이아신-WA, 나이아신-WE, 나이아신-KD, 나이아신-NA, 나이아신-TS, 나이아신-SS, 나이아신-EC, 나이아신-TA, 나이아신-PF, 나이아신-PS, 나이아신-VV, 나이아신-VP, 나이아신-AA, 나이아신-VS, 나이아신-HA, 나이아신-GK, 나이아신-KV, 나이아신-AR, 나이아신-RP, 나이아신-PQ, 나이아신-QG, 나이아신-PP, 나이아신-VR, 나이아신-SV, 나이아신-ET, 나이아신-CG 및 나이아신-N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나이아신-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피부세포 재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나이아신-펩타이드는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어 매우 분자량이 작아 피부 침투율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높은 피부 침투율로 인해 주름 개선과 피부세포 재생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게나제 활성을 억제하므로 피부의 주름을 예방 또는 방지하고 진피세포를 포함하는 피부세포의 재생에 효과가 있어 안티에이징 등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나이아신-펩타이드는 피부세포에서 콜라게나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피부세포의 재생을 활성화시켜 광노화 증상을 완화하는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젤 타입, 스킨 타입, 크림 타입, 연고 타입 등의 의약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조성물은 그것의 타입에 따라 적절한 통상의 연화제, 유화제, 증점제 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기타 물질들을 첨가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젤 타입 조성물은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연화제, 프로필렌 글리콜, 에탄올, 이소세틱알콜 등의 용매, 정제주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스킨 타입 조성물은 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베헤닐 알콜, 아라키딜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이소세틸 알콜 등의 지방 알콜, 부틸렌 글라이콜, 글리세린, 알란토인, 메틸 파라벤, 이디티에이-2-소디움, 잔탄검, 디메티콘, 폴리 에틸렌 글라이콜-60 하이드로제네이트 카스톨 오일, 폴리 소르베이트 60 및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 할 수 있다.
상기 크림 타입 조성물은 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베헤닐 알콜, 아라키딜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이소세틸 알콜 등의 지방 알콜, 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소프파티질세린, 소프파티딜이노시톨 등의 리피드, 이들의 유도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소리비탄 스테아레이트 등의 유화제, 아보카도 오일, 살구 오일, 바바수 오일, 유리지치 오일, 동백 오일 등의 천연 지방 또는 오일,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용매 및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 할 수 있다.
상기 연고 타입 조성물은 연화제, 유화제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파라핀, 세레신, 밀납, 경납, 바세린 등의 왁스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들과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제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제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생물체 내로 활성 성분의 투여를 용이하게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은 젤 타입, 스킨 타입, 크림 타입, 연고 타입 등의 의약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펩타이드 라이브러리의 합성
펩타이드의 라이브러리를 합성하기 위해 19개의 NSC-아미노산(NSC-Ala, NSC-Arg(pbf), NSC-Asp(OtBu), NSC-Asn(trt), NSC-Gly, NSC-Glu(OtBu), NSC-Gln(trt), NSC-His(trt), NSC-Ser(tBu), NSC-Thr(tBu), NSC-Tyr(tBu), NSC-Trp(Boc), NSC-Leu, NSC-Ile, NSC-Val, NSC-Phe, NSC-Met, NSC-Lys(Boc), NSC-Pro)이 부착된 클로로 트리틸 클로라이드 레진(Chloro trityl chloride resin: CTL resin, Novabiochem Cat No. 01-64-0021)을 96웰 테프론 반응기에 시리즈 별로 각 19 라인에 50 mg을 넣고 메틸렌 클로라이드(MC) 1 ml를 가하여 3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제거하고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1 ml를 넣어 3분간 교반한 후 다시 용매를 제거하였다. 20%의 피페리딘/DMF 1 ml를 반응용기에 넣고 10분간 상온에서 교반한 후 용액을 제거한뒤, 동량의 탈보호 용액을 넣고 다시 10분간 반응을 유지한 후 용액을 제거하고 DMF로 2회, MC로 1회, 다시 DMF로 3분씩 1회 세척하여 NSC-보호기를 제거하였다. 각 96웰 반응기에 1 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용액을 넣고, 이어 각 시리즈 별로 20μmole의 19개 N-α-나이아신-아미노산(또는 서열에 부합되는 NSC-아미노산) 및 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DIPEA, diisopropyl ethylamine) 40μmole, N-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OBt, N-Hydroxybenzotriazole) 20μmole 및 벤조트리아졸-1-일록시-트리스(디메틸 아미노)-포스포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OP, Benzotriazole-1-yloxy-tris(dimethyl amino)-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20μmole을 넣은 후 교반하여 잘 용해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제거하고 DMF 용액으로 3회 5분씩 교반한 후 미반응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 레진을 소량 취하여 카이저 테스트(Ninhydrine test)를 이용하여 반응 정도를 점검하였다. 경우에 따라 3-6 mer의 기획된 펩타이드의 서열에 따라 탈보호와 펩타이드 합성을 반복하였다. 제조된 나이아신-펩티딜 레진은 DMF, MC 및 메탄올로 각각 3번을 세척하고, 질소 공기를 천천히 흘려 건조한 후, P2O5하에서 진공으로 감압하여 완전히 건조하였다. 제조된 레진에 루용액 [트리플로로화 초산(Trifluroacetic acid: TFA) 81.5%, 증류수 5%, 티오아니졸(Thioanisole) 5%, 페놀 5%, EDT(1,2-Ethanedithiol) 2.5% 및 TIS(Triisopropylsilane) 1% 포함] 30 ml을 넣은 후 상온에서 가끔 흔들어주며 얼음수조 안에서 1 시간 반응을 유지하였다. 레진을 여과하고, 소량의 TFA 용액으로 세척한 후 모액과 합하였다. 감압을 이용하여 전체 볼륨이 절반 정도 남도록 증류하고 5 ml의 차가운 에테르를 가하여 침전을 유도한 후, 원심 분리하여 침전을 모으고, 2번 더 차가운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모액을 제거하고 질소 하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정제 전 나이아신-펩타이드 서열 펩타이드들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 나이아신-펩타이드의 스크리닝
실시예 1에서 합성한 나이아신-펩타이드(NA-peptide) 라이브러리를 활용해 콜라게나제(Collagenase)의 생성 저해실험을 이용해 주름 저해 나이아신-펩타이드를 탐색하였다. 주름 저해 활성탐색은 라이브러리 펩타이드에 대한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를 기질로 사용하여 콜라게나제(Collagenase)의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100mM Tris-cl buffer에 100mM CaCl2용액을 넣어준 후 콜라게나제(collagenase)를 넣어 37℃에 반응시킨 후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을 넣어주어 나이아신-펩타이드의 저해능을 3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서 합성한 각 펩타이드에 대한 콜라게나제 저해능을 UV320에서 측정하였다. 억제율의 계산은 아무것도 처리 안한 대조군의 콜라게나제 저해능의 흡광도를 기준으로 하여 측정된 해당 펩타이드들의 콜라게나제 저해능의 차이를 표 1에 표시 하였다. 스크리닝에 의해 좋은 역가를 보인 후보 펩타이드는 별도 그룹으로 구분하여 100umole 단위로 대량 합성하여 이후 실험을 수행 하였다.
표 1은 나이아신-펩타이드의 스크리닝 결과를 나타내었다. 스크리닝 결과 dipeptide-3. 7, 10, 14, 20, 23, 27, 37, 38에서 좋은 역가의 유효 펩타이드 효능을 얻었다.
번호 품명 collagenase 저해능(%) 번호 품명 collagenase 저해능(%)
1 대조군(무처리) 100 22 NA-Dipeptide-21 TA 77
2 NA-Dipeptide-1 AS 97 23 NA-Dipeptide-22 PF 90
3 NA-Dipeptide-2 AT 89 24 NA-Dipeptide-23 PS 24
4 NA-Dipeptide-3 ET 41 25 NA-Dipeptide-24 VV 71
5 NA-Dipeptide-4 GP 81 26 NA-Dipeptide-25 VP 70
6 NA-Dipeptide-5 ES 86 27 NA-Dipeptide-26 AA 93
7 NA-Dipeptide-6 KK 84 28 NA-Dipeptide-27 VS 28
8 NA-Dipeptide-7 VS 32 29 NA-Dipeptide-28 HA 89
9 NA-Dipeptide-8 MY 76 30 NA-Dipeptide-29 GK 97
10 NA-Dipeptide-9 GH 69 31 NA-Dipeptide-30 KV 83
11 NA-Dipeptide-10 MA 46 32 NA-Dipeptide-31 AR 93
12 NA-Dipeptide-11 AH 83 33 NA-Dipeptide-32 RP 88
13 NA-Dipeptide-12 CC 86 34 NA-Dipeptide-33 PQ 71
14 NA-Dipeptide-13 SA 82 35 NA-Dipeptide-34 QG 83
15 NA-Dipeptide-14 WA 48 36 NA-Dipeptide-35 PP 86
16 NA-Dipeptide-15 WE 77 37 NA-Dipeptide-36 VR 70
17 NA-Dipeptide-16 KD 80 38 NA-Dipeptide-37 SV 44
18 NA-Dipeptide-17 NA 78 39 NA-Dipeptide-38 ET 49
19 NA-Dipeptide-18 TS 76 40 NA-Dipeptide-39 CG 98
20 NA-Dipeptide-19 SS 81 41 NA-Dipeptide-40 NT 89
21 NA-Dipeptide-20 EC 52 42 Niacinamide (NA) 46
실시예 3 : 나이아신-펩타이드의 안정성 확인 실험.
선정된 라이브러리-펩타이드를 대량으로 추가 합성한 다음 HPLC와 MALDI-TOF로 추가 분석하였다. 콜라게나제 저해능 효과를 나타내는 라이브러리 펩타이드 중 나이아신-펩타이드 3,나이아신-펩타이드 7, 나이아신-펩타이드 10, 나이아신-펩타이드 14, 나이아신-펩타이드 20, 나이아신-펩타이드 23, 나이아신-펩타이드 27, 나이아신-펩타이드 37 및 나이아신-펩타이드 38를 100ug/ml이 되도록 하기의 표2 및 표3과 같은 비율로 혼합하여 유리 바이알에 분주하여 넣은 후 40℃에서 7, 14, 21 및 60일 보관하며 열에 의한 나이아신-펩타이드 손실을 측정한 결과, 60일까지 단지 10% 미만의 나이아신-펩타이드 손실을 나타내어 열 및 보관기간에 있어 높은 안정성을 갖는 펩타이드 4종을 확인하였다(도 2). 또한 광안정성 실험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표 4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안정성이 우수한 4종의 펩타이드가 우수한 광안정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분 중량(%)
나이아신-펩타이드 실시예 중량(%)
스테아릴알콜 6.0
스테아린산 2.0
농글리세린 1.0
스쿠알란 9.0
1,3-부틸렌글리콜 6.0
폴리솔베이트 60 1.5
폴리에틸렌클리콜 1000 4.0
경화 라놀린 4.0
옥틸 도데카놀 10.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8
트리에탄올아민 0.5
방부제, 향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Ingredients Weight %
No. Chemical(Product) Name INCI Name
Part A 01 CETOS KD Cetearyl alcohol 1.50
02 GMS 105 Glyceryl Stearate 1.50
03 Arlacel #165 Glyceryl Stearate/PEG-100 1.50
04 Tween #60 Polysorbate 60 1.00
05 Arl #83 Sorbitan Sesquioleate 0.50
06 D-M Methyl Paraben 0.10
07 D-P Propyl Paraben 0.10
08 Phytosqualane Phytosqualane 3.00
09 Puresyn 4 Hydrogenated Polydecene 3.00
10 DC200 100cs Dimethicone 0.50
0.50
Part B 11 DI-Water DI-Water to 100.00
12 1,3 BG Butylene Glycol 5.00
13 Sepiplus #400 Phenoxyethanol 0.50
Part C 14 NA-peptide 1.00
Net.wt(%). 100.00
Figure 112016105986998-pat00003
실시예4 : 나이아신-펩타이드의 MMP 저해능 확인.
선정된 나이아신-펩타이드의 MMP-1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인간 상피 세포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Sigma)에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Sigma)을 첨가한 배지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2 X 106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하고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뒤, 대조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용매만 넣었으며, 양성대조군은 나이아신-펩타이드(100, 500, 1000, 2000μg/ml)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를 하였다. 각각의 디쉬에 시험물질을 가한 뒤 1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으로 GE amersham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ELISA kit를 이용하여 MMP-1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anit-MMP-1이 처리된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약물처리한 배양액과 무처리 배양액을 넣고 20~25℃에서 배양 후 0.0067M의 세척 버퍼(wash buffer, phosphate buffer containing 0.033% Tween20)로 씻어 준 후 안티세럼(antiserum, rabbit anti-MMP-1 in 0.1M phosphate buffer containing 0.9% shdium chloride and Bovine serum albumin)을 처리하여 20~25℃에서 배양 하였다. 배양 후 세척 버퍼(0.0067M phosphate buffer containing 0.033% Tween20)로 씻어 준 후 퍼옥시다아제 접합체(peroxidase conjugate)를 처리하여 20~25℃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척버퍼(0.0067M phosphate buffer containing 0.033% Tween20)로 씻어 준 후 TMB substrate(3,3‘,5,5’-Tetramethylbenxidine/Hydrogen peroxide)를 처리하여 발색을 유도하여 MMP-1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도 4는 나이아신-펩타이드의 MMP-1 저해능을 알아보기 위해 MMP-1 저해능 실험을 실시한 결과 그래프이다. 나이아신-펩타이드 처리시 MMP-1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통해 주름 및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 나이아신-펩타이드의 MMP 저해능 확인.
피부 노화에 따른 진피의 조직학적 변화로는 진피의 감소를 들 수 있으며 진피의 주요 구성물인 교원질의 결핍이 주름 형성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광노화 된 피부에서는 교원질을 분해하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1,2,3,9와 같은 MMPs의 발현 증가로 인해 교원질의 양이 감소되어 주름을 형성한다. 때문에,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처리한 뒤 MMP-1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인간 상피 세포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Sigma)에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Sigma)을 첨가한 배지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2 X 106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하고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뒤, 대조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용매만 넣었으며, 양성대조군은 나이아신-펩타이드 1mg/ml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를 하였다. 각각의 디쉬에 시험물질을 가한 뒤 1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실험세포에 RiboEX RNA 정화 용액(purification solution)을 첨가하여 뉴클레오티드(nucleotide)를 분리하였다. 클로로포름(Chloroforme) 및 이소프로판올(isoprophanol)을 첨가하여 냉장 원심 분리기를 통해 원심 분리한 후, RNA 만을 분리하였다. 추출한 RNA는 정량 후 reverse transcription PCR 과정을 통해 cDNA를 합성하였다. 그 후 MMP-1을 증폭시킨 후 2% 아가로오스 겔(agarose gel)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유전자 발현 여부는 분리한 gel을 통해 EtBR 염색하여 자외선 조명(UV illuminator)을 통해 확인하였다.
도 5는 나이아신-펩타이드를 1mg/ml의 처리에 따른 피부 광노화 관련 유전자의 mRNA 발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RT-PCR을 실시하여 MMP-1, 2, 3, 9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대조군(Control)과 전달체(Delivery, PBS)의 발현 정도가 비슷한 것으로 보아 전달체가 주름개선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나이아신-펩타이드 처리시 MMP-1, 2, 3, 9 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통해 주름 및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 상처 회복 분석(Wound healing assay)을 이용한 피부 재생능 확인.
피부 세포의 성장을 통한 세포 회복능을 실험하는 상처회복 분석(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나이아신-펩타이드의 세포 재생 유도 효과를 검증하였다. 6 웰 플레이트에 100% 차도록 자란 인간 피부 각질 세포주의 중간을 팁(tip)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상처를 낸 후 PBS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한 후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처리하여 회복능을 확인하였다. 실험 시간을 총 12, 24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각각의 시간동안 상처의 회복 정도를 이미지 장비를 통해 확인하고, 이를 image J 프로그램을 통해 정량적으로 확인 하였다.
도 6은 인간 피부 각질세포(HaCaT)에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처리에 따른 피부 세포의 회복능을 확인한 사진으로 나이아신-펩타이드 처리 시 시간 의존적으로 음성 대조군에 비해 세포 성장이 활발한 것을 통해 세포 재생 유도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2종의 나이아신-펩타이드 처리 결과 시간에 따라 세포 재생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타민과 시중제품에 비교하여 살펴보아도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 혈관 신생 작용을 통한 피부재생능 확인 (Cam assay)
나이아신-펩타이드 처리에 따른 혈관 신생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in vivo CAM (chick chorioallantoic membarane) 분석(assay)을 실시하였다. 수정란을 70% 에탄올로 소독한 후 부화기에 넣어 37~38℃, 습도 90% 이상으로 배양하였다. 3일째, 수정란의 공기실(air sac)에 직경 약 2cm 크기의 원형 창(window)를 내어 십자가형의 가는 혈관을 확인한 후 넓은 유리 테잎으로 막고 다시 부화기에 넣어 배양하였다. 5일째, 나이아신-펩타이드를 떨어뜨린 디스크(disk)를 CAM에 올려놓고 다시 유리 테잎으로 막고 8일째 혈관 신생 정도를 현미경으로 통해 확인하였다.
도 7은 현미경을 통해 실제 신생혈관 생성능을 확인한 모습도이다. 나이아신-펩타이드를 처리 결과 신생혈관이 생성 되었으며, 실제 비타민과 시중제품과 비교하여도 나이아신-펩타이드의 신생혈관 생성능이 떨어지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ANPEP INC. Institute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Hannam university <120> Niacinamide-Peptide Fusions With the Effect of Reducing Skin Wrinkles and Skin Cell Regeneration And Using Thereof <130> NP16-10187 <160> 4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1 Ala Ser 1 <210> 2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2 Ala Thr 1 <210> 3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3 Glu Thr 1 <210> 4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4 Gly Pro 1 <210> 5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5 Glu Ser 1 <210> 6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6 Lys Lys 1 <210> 7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7 Val Ser 1 <210> 8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8 Met Tyr 1 <210> 9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9 Gly His 1 <210> 10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10 Met Ala 1 <210> 11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11 Ala His 1 <210> 12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12 Cys Cys 1 <210> 13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13 Ser Ala 1 <210> 14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14 Trp Ala 1 <210> 15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15 Trp Glu 1 <210> 16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16 Lys Asp 1 <210> 17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17 Asn Ala 1 <210> 18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18 Thr Ser 1 <210> 19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19 Ser Ser 1 <210> 20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20 Glu Cys 1 <210> 21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21 Thr Ala 1 <210> 22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22 Pro Phe 1 <210> 23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23 Pro Ser 1 <210> 24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24 Val Val 1 <210> 25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25 Val Pro 1 <210> 26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26 Ala Ala 1 <210> 27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27 Val Ser 1 <210> 28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28 His Ala 1 <210> 29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29 Gly Lys 1 <210> 30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30 Lys Val 1 <210> 31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31 Pro Phe 1 <210> 32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32 Arg Pro 1 <210> 33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33 Pro Gln 1 <210> 34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34 Gln Gly 1 <210> 35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35 Pro Pro 1 <210> 36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36 Val Arg 1 <210> 37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37 Ser Val 1 <210> 38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38 Glu Thr 1 <210> 39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39 Cys Gly 1 <210> 40 <211> 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onded with Niacinamide <400> 40 Asn Thr 1

Claims (8)

  1. 나이아신-AS, 나이아신-AT, 나이아신-ES, 나이아신-KK, 나이아신-MY, 나이아신-GH, 나이아신-MA, 나이아신-AH, 나이아신-CC, 나이아신-SA, 나이아신-WA, 나이아신-WE, 나이아신-KD, 나이아신-NA, 나이아신-TS, 나이아신-SS, 나이아신-EC, 나이아신-TA, 나이아신-PF, 나이아신-VV, 나이아신-VP, 나이아신-AA, 나이아신-HA, 나이아신-GK, 나이아신-KV, 나이아신-AR, 나이아신-RP, 나이아신-PQ, 나이아신-QG, 나이아신-PP, 나이아신-VR, 나이아신-SV, 나이아신-CG 및 나이아신-N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피부 주름 감소 및 피부세포 재생 활성을 나타내는 나이아신-펩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아신-펩타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아신-펩타이드.
    [화학식 1]
    Figure 112018116095016-pat00004

    (상기 A는 AS, AT, ES, KK, MY, GH, MA, AH, CC, SA, WA, WE, KD, NA, TS, SS, EC, TA, PF, VV, VP, AA, HA, GK, KV, AR, RP, PQ, QG, PP,VR, SV, CG 및 N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디펩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세포 재생 활성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아신-펩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아신-펩타이드는 콜라겐 분해 효소 (MMP-1)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아신-펩타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아신-펩타이드는 0.001% ~ 10.0% 농도에서 주름개선 및 피부세포 재생 활성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아신-펩타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아신-펩타이드는 N-말단의 나이아신에 의해 증가된 안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아신-펩타이드.
  7. 나이아신-AS, 나이아신-AT, 나이아신-ET, 나이아신-ES, 나이아신-KK, 나이아신-VS, 나이아신-MY, 나이아신-GH, 나이아신-MA, 나이아신-AH, 나이아신-CC, 나이아신-SA, 나이아신-WA, 나이아신-WE, 나이아신-KD, 나이아신-NA, 나이아신-TS, 나이아신-SS, 나이아신-EC, 나이아신-TA, 나이아신-PF, 나이아신-PS, 나이아신-VV, 나이아신-VP, 나이아신-AA, 나이아신-HA, 나이아신-GK, 나이아신-KV, 나이아신-AR, 나이아신-RP, 나이아신-PQ, 나이아신-QG, 나이아신-PP, 나이아신-VR, 나이아신-SV, 나이아신-CG 및 나이아신-N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나이아신-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피부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8. 나이아신-AS, 나이아신-AT, 나이아신-ET, 나이아신-ES, 나이아신-KK, 나이아신-VS, 나이아신-MY, 나이아신-GH, 나이아신-MA, 나이아신-AH, 나이아신-CC, 나이아신-SA, 나이아신-WA, 나이아신-WE, 나이아신-KD, 나이아신-NA, 나이아신-TS, 나이아신-SS, 나이아신-EC, 나이아신-TA, 나이아신-PF, 나이아신-PS, 나이아신-VV, 나이아신-VP, 나이아신-AA, 나이아신-HA, 나이아신-GK, 나이아신-KV, 나이아신-AR, 나이아신-RP, 나이아신-PQ, 나이아신-QG, 나이아신-PP, 나이아신-VR, 나이아신-SV, 나이아신-CG 및 나이아신-N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나이아신-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피부세포 재생용 식품 조성물.
KR1020160143158A 2016-10-31 2016-10-31 피부 주름 감소와 피부세포 재생 효과를 가지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 용도 KR101962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158A KR101962801B1 (ko) 2016-10-31 2016-10-31 피부 주름 감소와 피부세포 재생 효과를 가지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158A KR101962801B1 (ko) 2016-10-31 2016-10-31 피부 주름 감소와 피부세포 재생 효과를 가지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52A KR20180047252A (ko) 2018-05-10
KR101962801B1 true KR101962801B1 (ko) 2019-07-31

Family

ID=6218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158A KR101962801B1 (ko) 2016-10-31 2016-10-31 피부 주름 감소와 피부세포 재생 효과를 가지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8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285B1 (ko) * 2011-11-18 2012-07-23 에이앤펩주식회사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KR101301577B1 (ko) * 2010-08-20 2013-08-29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니코티노일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5170064A1 (en) 2014-05-07 2015-11-12 The Boots Company Plc Skin care composition
JP2016169199A (ja) * 2015-03-12 2016-09-23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0316B2 (en) 2010-06-24 2013-05-28 Trustees Of Tufts College Niacin mimetic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679310B1 (ko) 2014-10-28 2016-11-25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신규 펩타이드 및 성장인자 콤플렉스를 함유한 상처 재생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577B1 (ko) * 2010-08-20 2013-08-29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니코티노일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67285B1 (ko) * 2011-11-18 2012-07-23 에이앤펩주식회사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WO2015170064A1 (en) 2014-05-07 2015-11-12 The Boots Company Plc Skin care composition
JP2016169199A (ja) * 2015-03-12 2016-09-23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52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5155B2 (ja) 生体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並びに生体コラーゲン合成促進用化粧品及び医薬部外品
US6337315B1 (e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comprising peptide derivatives of α-MSH/algal extracts
US20100286056A1 (en) Compositions for reducing oxidative stress and uses thereof
US11779531B2 (en)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uses thereof
US20230355704A1 (en) Growth promoting peptides, and uses thereof
KR20190101990A (ko) 펩티드 wkdeagkplvk를 포함하는 조성물
US10532018B2 (en) Method of whitening skin using tranexamic acid-peptide having skin whitening activity
KR20180089440A (ko) 멜라닌 억제 기능성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105902A (ko)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US20230365643A1 (en) Peptide, and cosmetic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1962801B1 (ko) 피부 주름 감소와 피부세포 재생 효과를 가지는 나이아신-펩타이드 및 그 용도
KR102475100B1 (ko) 각질세포 단백질 유래 고 기능성 펩타이드 제조 방법
KR102035275B1 (ko) 피부투과와 효능이 개선된 화장품 소재용 신규 펩타이드 유도체 개발
EP3329905A1 (en) Topical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n oligopeptide against anti-aging of the skin
KR102160566B1 (ko)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KR101719354B1 (ko) 성장인자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WO2015174600A1 (ko) 성장인자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그의 용도
US7737119B2 (en)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eptides, uses and treatment processes
US20230312643A1 (en) Peptide derivative with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and use thereof
WO2023077339A1 (zh) 一种四肽衍生物及其美容组合物或药用组合物和用途
US20240043471A1 (en) Preparing method of highly functional peptide derived from keratinocyte protein
KR102120981B1 (ko) 겐티스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45946B1 (ko) 겐티스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42844B1 (ko) 갈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16658B1 (ko) 살리실산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