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073B1 - Fine dust mask with hanger string adjustment - Google Patents

Fine dust mask with hanger string adjus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073B1
KR101962073B1 KR1020180099014A KR20180099014A KR101962073B1 KR 101962073 B1 KR101962073 B1 KR 101962073B1 KR 1020180099014 A KR1020180099014 A KR 1020180099014A KR 20180099014 A KR20180099014 A KR 20180099014A KR 101962073 B1 KR101962073 B1 KR 101962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wearer
pad
winding membe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락출
Original Assignee
성락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락출 filed Critical 성락출
Priority to KR102018009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0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0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blocking mask which does not cause feeling of irritation, can adjust the length of a mask hanging strap and fix the same while facilitating control of a mask hanging strap, closely attaches a mask main body unit and a face of a wearer to prevent introduction of air not filtered, can filter all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mask main body unit, and does not disturb breath of the wearer. The fine dust blocking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sk main body unit having an inner surface which is placed on the face of the wearer to cover a nose and a mouth of the wearer, and filtering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introduce the filtered air to the inside thereof; a pair of mask hanging straps each having one end combined with both upper ends of the mask main body unit and hung on ears of the wearer; and a pair of hanging strap adjustment units each combined with both lower ends of the mask main body unit such that each of the other ends of the mask hanging straps is wound,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sk hanging straps by winding or unwinding the mask hanging straps such that the mask main body unit is closely attached to the face of the wearer.

Description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FINE DUST MASK WITH HANGER STRING ADJUSTME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액상물질이 함유된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미세먼지가 걸러진 공기를 착용자에게 제공하고, 착용자의 코 및 입을 밀착 커버하면서 마스크가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탈되어 필터링되지 않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마스크걸이끈을 고정시킬 수 있는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k which filters fine dust contained in air through a filter containing a liquid substance to provide fine dust-filtered air to a wear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ne dust mask hav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ask holder so that the mask can be fixed to the wearer's face to prevent unfiltered air from entering.

일반적으로 마스크란, 위생상 병균 및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하여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물건을 지칭한다. 이러한 마스크는 1919년 유행한 스페인 감기인 인플루엔자가 발생하였을 때부터 사용되었는데, 사람이 차가운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비강이나 구강 내의 저항력이 낮아져 인플루엔자에 감염될 확률이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처음 개발된 마스크의 경우 차가운 공기가 사람의 비강이나 구강 내로 유입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었으나,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나 세균을 걸러내지 못하여 인플루엔자를 예방하지 못했다.Generally, a mask refers to a thing covering the nose and mouth of a wearer in order to prevent inhalation and scattering of hygienic germs and dust and the like. These masks have been used since 1919, when the influenza, a Spanish cold, was introduced, and it was developed with the aim of preventing a person from becoming infected with influenza because the resistance of the nasal cavity and mouth is lowered when the cold air is inhaled . In the case of the newly developed mask, cold air could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human nasal cavity or oral cavity, but the influenza could not be prevented because it could not filter out viruses or germs contained in the air.

이후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나 세균을 걸러내는 항균 기능을 가지는 마스크가 개발되었고, 이를 통하여 인플루엔자를 예방하게 되었다. 하지만,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면서 개발된 기술을 응용한 산업이 발달하게 되었고, 이는 환경오염이란 결과를 만들어냈다. 이러한 환경오염에는 대기오염, 수질오염 및 토양오염 등과 같이 나누어지게 되는데, 이중 대기오염은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납, 오존 및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입경이 10나노미터 이하의 미세먼지가 있다.A variety of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n to develop a mask with an antimicrobial function that filters viruses and germs contained in the air, thereby preventing influenza.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industries developed by applying the developed technologies have developed, resulting in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environmental pollution is classified into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and soil pollution. Double air pollution includes fine dusts with particle diameters of 10 nanometers or less, such as sulfur dioxide, nitrogen oxides, lead, ozone and carbon monoxide.

미세먼지는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194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도노라에서 20명이 사망한 대기오염사고, 1952년 약 4,000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런던스모그 사건을 통해 미세먼지의 위험성을 알 수 있다. 특히, 연구를 통하여 10나노미터 이하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미세먼지가 질병 발생률과 사망률을 높이는 등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후, 미세먼지가 사람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대기오염기준을 마련하여 미세먼지의 발생을 낮추고 있지만, 이미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없음으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Fine dust is a substance that greatly affects the human body. In 1948, 20 people died in Tonola, Pennsylvania, USA. Air pollution accident, and in 1952, about 4,000 people died in London smog. . In particular, research has shown that fine dust particles with a particle size of less than 10 nanometers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human health, such as increasing disease incidence and mortality. Since then, air pollution standards have been established to reduce the effects of fine dust on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ereby reducing the generation of fine dust. However, sinc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can not be removed,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filtered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특히, 사람이 외부활동을 하는 경우 미세먼지를 직접적으로 흡입하게 됨으로, 사람의 코와 입을 커버하면서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미세먼지 마스크가 개발되었다.Particularly, when a person performs external activities, a fine dust mask capable of filtering fine dust while covering the nose and mouth of a person has been developed.

먼저, 마스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이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도록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안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마스크본체부(10)와, 상기 마스크본체부(10)의 좌우 양측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귀에 걸림되는 마스크걸이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마스크걸이끈(20)을 착용자의 귀에 걸어 마스크본체부(10)가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마스크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신체에 따라 마스크걸이끈(20)이 짧아 마스크본체부(10)가 착용자의 안면을 가압하게 되어 착용이 불편하게 되거나 마스크걸이끈(20)이 길어 마스크본체부(10)가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흘러내리게 되어 마스크본체부(10)의 내측면이 착용자의 안면과 밀착되지 않아 외부의 공기가 직접적으로 착용자의 코 및 입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1, the mask includes a mask body 10, which is seated on the wearer's face so that the inner side covers the wearer's nose and mouth, and from which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mask hook 20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upper ends of the mask hook 20 and hooked to the wearer's ear. That is, the mask hook string 20 is hooked to the wearer's ear to prevent the mask body portion 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wearer's face. However, depending on the body of the wearer wearing the mask, the mask guiding strap 20 is short, so that the mask body portion 10 presses the wearer's face, which makes the wearer inconvenient or the mask guiding strap 20 is long, 10 is caused to flow down from the wearer's face,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10 does not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so that external air directly flows into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마스크걸이끈(20)을 일단이 마스크본체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걸이끈과, 일단이 마스크본체부(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걸이끈으로 나누어 제작하게 되었다. 여기서, 착용자가 마스크본체부(10)를 안면에 밀착시킨 후 상부걸이끈 및 하부걸이끈 각각을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귀까지 거리에 맞게 조절한 후 상부걸이끈의 타단 및 하부걸이끈 타단을 매듭지어 묶어 마스크걸이끈(20)을 형성하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mask hooking strap 20 has an upper hooking thread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sk main body 10, a lower hooking thread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sking main body 10 . After the wearer has brought the mask body 1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wearer, the upper and lower hooks are adjusted to the distance from the wearer's face to the ear, and then the other end of the upper hook string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hook are knotted So as to form a masking strap 20.

하지만, 착용자가 상부걸이끈의 타단 및 하부걸이끈의 타단을 매듭지어 묶기 위해서는 마스크본체부(10)를 안면으로부터 이탈시켜야 됨으로 정확한 마스크걸이끈(20)의 길이 조절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걸이끈의 타단 및 하부걸이끈의 타단 각각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걸이끈조절부(30)가 개발되었다.However, in order to knot and tie the other end of the upper hook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hooking member, the wearer must remove the mask main body 10 from the face, so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djust the length of the mask hooking strap 20. 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adjusting portion 30 is developed which is capable of pressing and fixing the other end of the upper and the lower ends of the lower butting.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방식의 걸이끈조절부(30)는 상부걸이끈의 타단 및 하부걸이끈 타단이 관통 삽입되도록 상부홀 및 하부홀이 관통 형성된 조절몸체와, 상기 조절몸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조절몸체의 상부홀 및 하부홀 각각과 대응되는 상부압박홀 및 하부압박홀이 관통 형성된 조절버튼과, 상기 조절몸체에 대하여 상기 조절버튼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adjusting unit 30 includes a regulating body 30 having an upper hole and a lower hole formed therethrough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catch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catch are inserted through the regulating body 30, An adjustment button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having an upper pressing hole and a lower press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holes of the adjusting body, respectively,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adjusting button with respect to the adjusting body .

즉, 가압방식의 걸이끈조절부(30)의 조작방법은 조절버튼의 상부압박홀 및 하부압박홀 각각이 조절몸체의 상부홀 및 하부홀 각각과 연통되도록 조절버튼의 상부를 푸시한 후 상부걸이끈의 타단을 조절몸체의 상부홀 및 조절버튼의 상부압박홀 각각을 삽입 관통하여 설치하고, 하부걸이끈의 타단을 조절몸체의 하부홀 및 조절버튼의 하부압박홀 각각을 삽입 관통하여 설치한 후 조절버튼의 푸시를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버튼이 조절몸체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조절버튼의 상부압박홀 및 하부압박홀 각각이 조절몸체의 상부홀 및 하부홀 각각과 이탈되면서 상부걸이끈 및 하부걸이끈을 고정하게 된다.That is,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adjusting unit 30, the upper and lower pressing holes of the adjusting button push the upper part of the adjusting butt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and lower holes of the adjusting body, The other end of the string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hole of the adjustment body and the upper pressing hole of the adjusting button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hook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hole of the adjusting body and the lower pressing hole of the adjusting button When the pushing of the adjustment button is released, the adjustment button is mov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the upper and lower pressing holes of the adjusting button are separated from the upper and lower holes of the adjusting body, And the lower hooking strap is fixed.

이러한 가압방식의 걸이끈조절부(30)는 착용자의 안면에 마스크본체부(10)가 밀착되도록 마스크걸이끈(2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지만, 걸이끈조절부(30)가 상부걸이끈의 타단 및 하부걸이끈의 타단에 위치하게 됨으로 착용자의 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즉, 착용자가 걸이끈조절부(30)로 인하여 마스크를 착용 시 이물감을 느끼게 됨으로 마스크의 착용이 불편하게 된다. 또한, 착용자가 어릴경우 걸이끈조절부(30)가 착용자의 귀에 접촉하는 이물감으로 인하여 마스크를 벗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끈조절부(30)를 통하여 마스크걸이끈(2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걸이끈조절부(30)의 후방에 돌출된 상부걸이끈의 타단 및 하부걸이끈의 타단이 고정되지 않아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다.The length of the masking strap 20 can be easily adjusted so that the mask body 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wearer by the pressing portion 30 of the pressing method, And i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string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string, thereby directly contacting the ear of the wearer. That is, when the mask is worn by the adjustment part 30 which the wearer has hooked, the wearer feels a foreign body feeling, which makes wearing of the mask inconvenient. In addition, when the wearer is young,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mask is removed due to a foreign body feeling that the pinched control portion 30 contacts the wearer's ear. 2, when the length of the mask gong strap 20 is adjusted through the adjusting unit 30, the other end of the upper gong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gong adjuster 30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gong The other end of the string is not fixed and moves freely.

이때, 고정되지 않은 상부걸이끈의 타단 및 하부걸이끈의 타단이 구조물 및 나뭇가지 등과 같은 외부물체와 접촉하게 되면 상부걸이끈의 타단 및 하부걸이끈의 타단이 외부물체에 걸리면서 마스크걸이끈(20)을 당기게 되고, 이는 마스크본체부(10)가 착용자의 안면을 가압하여 통증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마스크걸이끈(20)이 착용자의 귀를 당기게 되는 현상을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other end of the upper grip pin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grip pin come in contact with an external object such as a structure and branches, the other end of the upper grip pin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grip pin are caught by an external object, This causes a phenomenon that the mask body portion 10 presses the wearer's face to cause pain or the mask gong strap 20 pulls the wearer's ear.

따라서, 상술한 가압방식의 걸이끈조절부(30)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걸이끈(20)의 길이를 착용자의 귀 방향이 아닌 마스크본체부(10)의 방향에서 조절할 수 있는 걸이끈조절부(30)가 개발되었다. 도 3에 도시된 걸이끈조절부(30)는 마스크본체부(1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마스크걸이끈(20)이 통과하는 조절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3,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bove-described pressing type adjusting unit 30, the length of the masking gland 20 is set not to be the ear direction of the wearer but to the direction of the mask body 10 An adjustable portion 30 has been developed. 3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sk body portion 10 and through which an adjustment hole through which the mask hook string 20 passes is formed.

즉, 걸이끈조절부(30)의 조절홀을 통해 마스크걸이끈(20)을 당기게 되면 마스크걸이끈(20)이 걸이끈조절부(30)의 조절홀을 통해 빠져나오게 되면서 마스크본체부(10)로부터 착용자의 귀에 걸림되는 마스크걸이끈(20)까지의 거리가 조절된다. 이러한 도 3에 도시된 걸이끈조절부(30)의 경우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귀까지 거리에 맞게 마스크걸이끈(20)의 길이를 조절한 후 걸이끈조절부(30)의 조절홀을 통과하여 빠져나온 마스크걸이끈(20)을 고정하는 장치가 없음으로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고 활동하는 경우 걸이끈절부(30)의 조절홀을 통과하여 빠져나온 마스크걸이끈(20)이 다시 걸이끈조절부(30)의 조절홀을 통과하여 밀려들어가게 되어 마스크걸이끈(2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mask hook 20 is pull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of the adjustment unit 30, the mask hook 20 is pulled out through the adjustment hole of the adjustment unit 30, To the mask grommets 20 hooked to the wearer's ears are adjusted. 3, the length of the mask hook 2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wearer's face to the ear, and then the hook 30 is pass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of the hook 30, The mask guiding strap 20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adjustment hole of the guiding portion 30 and is in contact with the mask guiding strap 20, 30 so that the length of the mask gong strap 20 becomes longer.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걸이끈조절부(30)가 설치된 마스크의 경우 착용자가 착용 후 활동하게 되면 조절된 마스크걸이끈(20)의 길이가 다시 길어지게 됨으로 마스크본체부(10)가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외부공기가 직접적으로 착용자의 코 및 입으로 유입되게 된다.3, when the wearer wears the mask, the length of the masked gong strap 20 is adjusted to be longer, so that the mask body 10 can be worn by the wearer A phenomenon of separation from the face surface occurs, so that outside air flows directly into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즉, 종래 마스크의 경우 마스크걸이끈(20)의 조절이 어렵거나 또는 마스크걸이끈(2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조절된 마스크걸이끈(20)이 고정되지 않아 외부공기가 착용자의 코 및 입으로 유입됨으로 마스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ask,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mask hook strap 20 or the adjusted mask hook strap 20 is not fixed afte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sk hook strap 2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of the mask can not be performed.

한편,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가 개발되었다. 이때,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의 마스크본체부(10)는 벨크로로 형성된 마스크패드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있다. 즉, 마스크본체부(10)의 섬유 조직이 무작위로 조밀하게 형성됨으로 미세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벨크로 재질의 마스크패드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의 경우 미세먼지의 유입은 방지되지만, 마스크본체부(10)의 섬유조직이 미세먼지의 입자크기보다 작은 틈을 가지게 됨으로 공기의 유입이 어려워 착용자가 호흡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fine dust mask has been developed to prevent inflow of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At this time, the mask body portion 10 of the fine dust mask has a plurality of mask pads formed of Velcro. That is, since the fiber structure of the mask body 10 is formed at random, it prevents the inflow of fine dust.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ne dust mask made of the mask pad made of such a material of the velcro material, the inflow of the fine dust is prevented, but since the fiber structure of the mask body portion 10 has a gap smaller than the particle size of the fine dus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wearer to breathe.

따라서, 벨크로 재질의 마스크패드로 이루어진 마스크의 경우 장시간 착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가 마스크본체부(10)의 섬유조직에 부착됨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마스크본체부(10)의 섬유조직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세척하는 경우 마스크본체부(10)를 이루는 벨크로 재질의 마스크패드가 손상되어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Therefore, a mask made of a mask pad made of a Velcro material can not be worn for a long time, and fine dust is adhered to the fiber structure of the mask body 10,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reuse. For example, when the mask is washed to remove fine dust adhering to the fiber structure of the mask body 10, the mask pad of the velcro material constituting the mask body 10 is damaged and the fine dust blocking function is lost.

즉, 상술한 벨크로 재질의 마스크패드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의 경우 권장 착용시간이 지나게 되면 다시 재사용할 수 없게 됨으로 착용자가 마스크를 계속하여 구매해야 된다는 단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fine dust mask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mask pad of the velcro material, the wearer must purchase the mask continuously because the mask can not be reused again when the recommended wearing time has passed.

상기와 같은 벨크로 재질의 마스크패드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필터부(40)의 교체가 가능한 마스크가 개발되었다. 필터부(40)의 교체가 가능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부(10)의 내부에 필터부(4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필터부(40)는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마스크본체부(1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fine dust mask made of a mask pad of the above-described Velcro material, as shown in FIG. 4, a mask capable of replacing the filter unit 40 blocking the fine dust has been developed. 4, the filter unit 40 is detachably installed inside the mask body unit 10. In this case, the filter unit 40 includes a filter unit 40, The size of the mask body 10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mask body 10 in order to facilitate installation.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40)는 마스크본체부(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전부 필터링하는 것이 아니라 필터부(40)가 설치된 마스크본체부(10)의 위치로 유입되는 공기만을 필터링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부(40)가 설치되지 않은 곳으로부터 유입된 외부공기는 필터링되지 않고 착용자의 코 및 입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4, the filter unit 40 does not entirely filter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mask body unit 10 but allows the air to flow into the mask body unit 10 provided with the filter unit 40 Only air is filter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place where the filter unit 40 is not installed flows into the wearer's nose and mouth without being filte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감이 없고, 마스크걸이끈의 조절이 용이하면서 마스크걸이끈의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하여 마스크본체부와 착용자의 안면을 밀착시켜 필터링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마스크본체부의 외측방향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전부 필터링할 수 있으면서 착용자의 호흡을 방해하지 않는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mask for a mask, which has no foreign object and can be easily adjusted in length, And a control function of preventing the inflow of air that is not obstructed by the respiration of the wearer while filtering all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f the mask body por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는, 내측면이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도록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안착되고, 외측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내부로 유입시키는 마스크본체부와, 각각의 일단이 상기 마스크본체부의 양측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귀에 걸림되는 한 쌍의 마스크걸이끈과, 각각이 상기 마스크본체부의 양측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걸이끈 타단 각각이 권취되고, 상기 마스크본체부가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마스크걸이끈을 감거나 풀어내어 상기 마스크걸이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걸이끈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ne dust-barrier mask provided with the gait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is seated on the wearer's face so as to cover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A pair of mask guard rods each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mask main body and hooked to an ear of the wearer, And an adjust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sk holder to wind the other ends of the mask holder an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mask holder by winding or unscrewing the mask holder so that the mask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

또한, 상기 마스크본체부는, 외측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내측방향으로 유입시키고, 수분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가지는 외측패드와, 상기 외측패드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패드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액상의 물질이 함유된 액체필터패드와, 상기 액체필터패드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패드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고, 상기 액체필터패드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내측방향으로 유입시키며, 수분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가지는 내측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sk body portion may include an outer pad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so as to introduc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and to prevent moisture from permeating the pad, a detachably coupled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pad, A liquid filter pad containing a liquid substance to filter fine dust contained in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liquid filter pad; and a liquid filter pad which is coupled with an upper end of the outer pad so as to be position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iquid filter pad, And an inner pad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so as to allow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liquid filter pad to flow inward and to prevent moisture from permeating.

또한, 상기 액체필터패드는, 상기 외측패드의 내측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패드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액상의 물질을 통해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quid filter pad is formed to cover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d, and filters the fine dust flowing through the outer pad through a liquid material.

또한, 상기 외측패드, 액체필터패드 및 내측패드 각각은, 좌우 양측 하부에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걸이끈조절부는, 원반 형상으로 하면에 상기 결합홀 각각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패드, 액체필터패드 및 내측패드 각각의 하부를 걸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몸체와, 링 형상으로 상기 몸체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고, 외주면에 상기 마스크걸이끈의 타단이 삽입되는 걸이끈홀이 관통 형성되는 몸체하우징과, 상부가 개방되도록 버튼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주면에 상기 마스크걸이끈이 권취되며,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마스크걸이끈의 타단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원형의 권취부재와, 상기 권취부재의 버튼삽입홈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재의 정방향 회전을 허용하며, 상기 권취부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회전을 허용하여 상기 권취부재의 외주면에 권취된 마스크걸이끈의 풀림을 방지하는 버튼과, 상기 몸체 및 버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버튼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권취부재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outer pad, the liquid filter pad and the inner pad has a coupling hole penetratingly form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The latching adjustment portion penetrates each of the coupling holes on the lower surface in a disc shape, A fixing member for fixing 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pads and the inner pads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ly, a hole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n a ring shape, and a hole for inserting the other end of the mask- The mask hold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mask holder is formed with a body, a button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the body housing to ope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mask holder is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member is hooked and fixed, and a ring-shaped winding member provided in the button insertion groove of the winding member, A button for allowing rotation of the winding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inding member and selectively preventing rotation of the winding member when the winding member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prevent unwinding of the masking member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And an operation knob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winding member.

또한, 상기 권취부재는, 상부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걸림돌기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버튼은, 하부 외주면에 하방으로 경사진 복수의 회전제한부재 각각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ind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formed radially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restricting members inclined downwardly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is radially formed.

또한, 상기 걸이끈조절부는, 상기 조작노브를 정방향 회전 구동하는 경우 상기 권취부재의 걸림돌기 각각이 상기 버튼의 회전제한부재 각각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마스크걸이끈이 상기 권취부재의 외주면에 감겨지고, 상기 조작노브를 역방향 회전 구동하는 경우 상기 권취부재의 걸림돌기 각각이 상기 버튼의 회전제한부재 각각에 걸림되어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버튼을 푸시하는 경우 상기 권취부재의 걸림돌기 각각과 상기 버튼의 회전제한부재 각각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권취부재의 외주면에 감겨진 상기 마스크걸이끈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operation knob is driven to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hook adjusting portion moves the hooking pawls of the winding member along the inclination of each of the rotation restricting members of the button while the mask hook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When the operation knob is driven to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each of the hooking projections of the winding member is hooked on each of the rotation limiting members of the button to restrict rotation, and when pushing the button, The engagement of each of the rotation restricting members of the take-up member is released so that the mask guiding strap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ke-up member is loosened.

본 발명에 따른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는, 걸이끈조절부가 마스크본체부의 양측 하단에 결합됨으로 마스크걸이끈을 착용자의 귀에 걸어 마스크본체부를 고정하는 경우 착용자의 귀에 이물감이 없어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고, 걸이끈조절부를 통해 마스크걸이끈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마스크걸이끈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마스크걸이끈의 풀림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안면에 따라 용이하게 마스크걸이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 마스크본체부와 착용자의 안면을 밀착시켜 필터링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ne dust mask having the gai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ask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wearer's ear to fasten the mask main bod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sk main body, The length of the mask guiding strap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sk guiding strap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sk guiding strap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mask guiding strap is adjusted, So that the mask main body and the wearer's face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inflow of unfiltered air.

또한, 액체필터패드를 통하여 미세먼지를 필터링함으로써, 미세먼지의 차단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마스크본체부의 섬유조직이 무작위로 조밀하게 형성되지 않아도 됨으로 착용자의 호흡이 용이하게 된다.Further, by filtering the fine dust through the liquid filter pad, not only the blocking rate of the fine dust is improved but also the breathing of the wearer is facilitated since the fiber structure of the mask body portion is not formed at random.

또한, 액체필터패드가 외측패드의 내측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걸이끈조절부를 통해 외측패드, 액체필터패드 및 내측패드 각각을 고정함으로 마스크본체부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 모두를 필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필터패드의 교체가 용이하여 마스크를 재사용하면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Further, the liquid filter pad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d, and the outer pad, the liquid filter pad, and the inner pad are fixed through the pad adjusting portion to filter out all of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mask body. The liquid filter pad can be easily replaced and the mask can be reused while maintaining and repair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압방식의 걸이끈조절부가 설치된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걸이끈조절부의 조절홀을 통한 마스크걸이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부 교체가 가능한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 중 마스크본체부의 외측패드, 액체필터패드, 내측패드 및 걸이끈조절부를 분해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 중 외측패드, 액체필터패드 및 내측패드로 이루어진 마스크본체부를 단면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 중 액체필터패드를 통해 외측패드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필터링된 후 내측패드를 통과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 및 10은 도 5의 실시예 중 걸이끈조절부를 마스크본체부로부터 분리하여 액체필터패드를 교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5의 실시예 중 걸이끈조절부를 회전 조작하여 마스크걸이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 중 걸이끈조절부 및 마스크본체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 중 걸이끈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 중 걸이끈조절부의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실시예 중 권취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실시예 중 버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3의 실시예 중 권취부재 및 버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실시예 중 버튼의 푸시에 따른 권취부재의 걸림돌기와 버튼의 회전제한부재의 접촉 및 걸림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0은 도 13의 실시예 중 마스크걸이끈의 타단이 권취부재의 걸림부재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의 실시예 중 권취부재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마스크걸이끈이 권취부재의 외주면에 감겨 마스크걸이끈의 길이가 짧아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2는 도 21의 실시예 중 권취부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권취부재의 외주면에 감겨진 마스크걸이끈이 풀리면서 마스크걸이끈의 길이가 길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a mask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provided with a pressurizing-type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for adjusting the length of a masking gong through an adjusting hole of a latch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capable of replacing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ne dust mask having a gait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6 is an exploded view of an outer pad, a liquid filter pad, an inner pad, and a gate control portion of the mask body in FIG. 5,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sk body portion formed of an outer pad, a liquid filter pad, and an inner pad in the embodiment of FIG. 6,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ir introduced from the outer pad through the liquid filter pad in the embodiment of FIG. 7 is filtered and then passed through the inner pad,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the swinging control part from the mask body part and replacing the liquid filter pad in the embodiment of FIG. 5,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mask hook strand is adjusted by rotating the adjusting unit in the embodiment of FIG. 5,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latching adjustment portion and the mask body por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11,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dding control unit of the embodiment of FIG. 12,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mbodiment of Fig. 13 in an exploded state,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dy of the padding adjusting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14,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inding member in the embodiment of Fig. 14,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in the embodiment of Fig. 14,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winding member and the button in the embodiment of Fig. 13,
FIG. 19 is a view showing the contact and engagement release states of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winding member and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of the button according to the pushing of the button in the embodiment of FIG. 18,
Fig.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mask hook strand is hooked and fixed to the holding member of the winding member in the embodiment of Fig. 13,
FIG. 2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in the embodiment of FIG. 20, the winding member is rotated in the normal direc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mask hook is reduced by winding the mask hook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FIG. 2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length of the mask guiding strand is increased by winding the mask guiding thread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by the rotation of the winding member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21,
23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fine dust-barrier mask provided with the gai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본체부(100), 마스크걸이끈(200) 및 걸이끈조절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5, the mask dust mask having the gai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k body 100, a mask strap 200, and a strap adjuster 300, .

마스크본체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이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도록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안착되고, 외측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때, 마스크본체부(100)는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면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차단률을 높이기 위해 외측패드(110), 액체필터패드(120) 및 내측패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5, the mask body 100 is seated on the wearer's face so that the inner surface covers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and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direction is filtered and introduced into the inside do. The mask body 100 includes an outer pad 110, a liquid filter pad 120, and an inner pad 130 in order to increase the blocking rate for filtering fine dust while smoothly introducing air. The following is the composition of.

먼저, 외측패드(110)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내측방향으로 유입시키고, 수분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때, 외측패드(110)는 방수기능을 가지는 어떠한 섬유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며, 착용자의 호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내측패드(130)의 내측면과 착용자의 안면 사이에 충분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as shown in FIGS. 6 to 8, the outer pad 110 has a waterproof function to let air flow in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side and prevent moisture from permeating. At this time, the outer pad 110 may be formed of any fiber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respiration of the wearer, sufficient air may be introduc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ad 130 and the wearer's fac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be three-dimensionally formed so as to form an air layer.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패드(110)를 상부 및 하부 각각으로 나누어 제조한 후 상부에 대해 하부가 소정을 각도를 형성하도록 결합하여 측단면상 외측패드(110)가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코 및 입과 마스크본체부(10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 착용자의 호흡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outer pad 110 is manufactured by dividing the upper pad 110 and the lower pad 110, and then the lower pad 110 is formed horizontally But may be rounded or curved. Accordingly,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and the mask body 100, and an air layer is formed in the space, so that the respiration of the wearer is facilitated.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패드(110)의 좌우 양측 하부에는 후술하는 걸이끈조절부(300)가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홀(140)이 관통 형성된다.9, coupling holes 140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s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outer pad 110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later-described adjusting portions 300.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액체필터패드(120)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패드(110)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패드(11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액상의 물질이 함유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필터패드(210)의 좌우 양측 하부에는 후술하는 걸이끈조절부(300)가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홀(140)이 관통 형성되는데, 외측패드(1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홀(140)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the liquid filter pad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d 110 as shown in FIGS. 6 to 8, and includes fine dust particles contained in air flowing through the outer pad 110, A liquid substance is contained to filter the liquid. 9, a coupling hole 140 is formed through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quid filter pad 210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with a later- And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at of the coupling hole 140 formed in the base plate 110.

여기서, 액체필터패드(120)에 함유된 액상의 물질은 물 및 기름 등과 같은 액체상태의 물질을 지칭한다. 예컨대, 액체필터패드(120)에 함유된 액상의 물질이 물인 경우 액체필터패드(120)는 수분을 함유하게 된다. 즉, 외측패드(110)를 통과하여 유입된 공기가 액체필터패드(120)를 통과하는 경우 액체필터패드(120)에 함유된 수분이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필터링하게 되는 것이고, 액체필터패드(120)에 함유된 액상의 물질이 기름과 같은 물질인 경우 유막이 형성되어 외측패드(110)를 통과하여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유막을 통과하지 못하게 됨으로 외부공기가 필터링되는 것이다.Here, the liquid substance contained in the liquid filter pad 120 refers to a liquid substance such as water and oil. For example, when the liquid substance contained in the liquid filter pad 120 is water, the liquid filter pad 120 contains moisture. That is, w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outer pad 110 passes through the liquid filter pad 120,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liquid filter pad 120 sucks and filters the fine dust, and the liquid filter pad 120 When the liquid material contained in the oil is a substance such as oil, the oil film is formed, and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through the outer pad 110 can not pass through the oil film, thereby filtering the outside air.

따라서, 액체필터패드(120)가 액상의 물질을 함유하여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게 됨으로 외측패드(110) 및 후술하는 내측패드(130)의 섬유조직이 무작위로 조밀하게 형성되지 않아도 무관하게 된다. 이는 공기가 외측패드(110) 및 내측패드(130)를 통과하기 용이해짐으로 착용자가 마스크본체부(100)를 안면에 안착하여 호흡하는 경우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됨으로 안정적인 호흡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since the liquid filter pad 120 contains a liquid substance to filter the fine dust, the fibers of the outer pad 110 and the inner pad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not be randomly formed. This makes it easier for the air to pass through the outer pad 110 and the inner pad 130, so that when the wearer places the mask body 100 on the face and breathes, air can flow smoothly, will be.

또한, 액체필터패드(120)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패드(110)의 내측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패드(11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액상의 물질을 통해 필터링하게 된다. 즉, 외측패드(110)를 통과하여 유입된 외부공기 전체를 액체필터패드(120)를 통하여 필터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액체필터패드(120)는 후술하는 걸이끈조절부(300)를 통해 외측패드(110), 액체필터패드(120) 및 후술하는 내측패드(130) 각각을 걸림 고정하게 됨으로 액체필터패드(120)가 외측패드(110)의 내측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어도 액체필터패드(120)의 탈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6 to 8, the liquid filter pad 120 may be formed to cover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d 110, so that the fine dust, which flows through the outer pad 110 and flows into the liquid filter pad 120, Lt; / RTI > That is, the entire outside air flowing through the outer pad 110 can be filtered through the liquid filter pad 120. At this time, the liquid filter pad 120 fixes the outer pad 110, the liquid filter pad 120, and the inner pad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adjusting unit 300, 120 are formed to cover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d 110, the liquid filter pad 120 is easily detachable.

따라서, 액체필터패드(120)를 통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게 됨으로 미세먼지의 차단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외측패드(110) 및 후술하는 내측패드(130)의 섬유조직이 무작위로 조밀하게 형성되지 않아도 됨으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해져 착용자의 호흡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fine dust is filtered through the liquid filter pad 120, the blocking rate of the fine dust is improved, and the fibers of the outer pad 110 and the inner pad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not randomly formed So that the inflow of air is smooth and the respiration of the wearer is facilitated.

마지막으로 내측패드(130)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필터패드(120)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패드(110)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고, 상기 액체필터패드(12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내측방향으로 유입시키며, 수분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가진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패드(130)의 좌우 양측 하부에는 후술하는 걸이끈조절부(300)가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홀(140)이 관통 형성되는데, 외측패드(110) 및 액체필터패드(120)의 하부에 각각 관통 형성된 결합홀(140)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nally, the inner pad 130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outer pad 110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quid filter pad 120 as shown in FIGS. 6 to 8, covering the wearer's nose and mouth, And has a waterproof function to inflow air introduced through the liquid filter pad 120 inward and to prevent moisture from permeating. 9, a coupling hole 140 is formed through both sides of the inner pad 130 at both sides of the inner pad 130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with a later- The pad 120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oupling hole 14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d 120.

즉, 내측패드(130)가 방수기능을 가지게 됨으로 액체필터패드(120)에 함유된 액상의 물질이 흡수되지 않게 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액상의 물질이 묻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의 호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코 및 입과 내측패드(130)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 및 하부로 나누어 제조될 수 있다. 즉, 상부 및 하부를 나누어 제조한 후 상부에 대해 하부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결합하여 측단면상 내측패드(130)가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inner pad 130 has a waterproof function, the liquid material contained in the liquid filter pad 120 is not absorbed, thereby preventing the liquid material from being deposited on the wearer's face. It can also be fabricat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to form a space between the wearer's nose and mouth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ad 130 to facilitate respiration of the wearer. That is, afte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separately manufactured, the lower side inner pad 130 is formed not to be horizontally formed but to be rounded or bent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portion.

따라서, 착용자의 코 및 입과 마스크본체부(10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 착용자의 호흡의 용이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내측패드(130)의 내측면과 착용자의 안면이 밀착되도록 착용자의 안면 형상에 대응되게 내측패드(130)가 형성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패드(13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착용자 코의 형상에 대응되게 변형되는 밀착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wearer's nose and mouth and the mask body 100, and an air layer is formed in the space, so that the respiration of the wearer is facilitated. The inner pad 13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pad 130 such that the inner pad 130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ace shape of the wearer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pad 130 closely contacts the wearer's face. (Not shown) that deforms correspondingly to the shape of the base member.

즉, 착용자가 마스크본체부(100)를 안면에 밀착시킨 후 밀착부재에 압력을 가하여 착용자의 코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내측패드(130)의 상부를 변형시키게 됨으로 내측패드(130)의 상부와 착용자의 코가 밀착되어 필터링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마스크본체부(100)가 외측패드(110), 액체필터패드(120) 및 내측패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 미세먼지 필터링 효과가 향상되고, 착용자의 호흡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필터링되지 않은 외부공기의 유입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wearer presses the mask body 100 against the face and applies pressure to the contact member,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ad 130 is de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nose of the wearer, So that the inflow of the unfiltered air can be completely blocked. Accordingly, since the mask body portion 100 includes the outer pad 110, the liquid filter pad 120, and the inner pad 130, the fine dust filtering effect is improved, and the respiration of the wearer is facilitated, So that the inflow of outside air can be completely blocked.

마스크걸이끈(200)은 도 5,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일단이 상기 마스크본체부(100)의 양측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귀에 걸림되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즉, 마스크걸이끈(2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패드(110)의 상단 및 내측패드(130)의 상단을 연결하여 결합된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 마스크본체부(100)의 상단을 기준으로 외측패드(110)의 하부가 마스크본체부(100)의 외측방향이나 내측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되고, 또한 마스크본체부(100)의 상단을 기준으로 내측패드(130)의 하부가 마스크본체부(100)의 외측방향이나 내측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5, 9 and 10, the pair of mask holders 200 are provided such that one end of each of the mask holders 200 is coupled to both upper ends of the mask body 100 and hooked to the wearer's ear. 9, the upper ends of the outer pads 110 and the upper ends of the inner pads 13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mask body 100 to the reference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pad 110 can be opened in the outer direction or the inner direction of the mask body 1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pad 130 can be opened / So that it can be spread outwardly or inwardly of the part 100.

따라서, 마스크걸이끈(200)이 외측패드(110)의 상단 및 내측패드(130)의 상단을 연결하면서 결합됨으로 외측패드(110)의 하단이나 내측패드(130)의 하단을 마스크본체부(100)의 외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으로 벌려 액상필터패드(120)를 손쉽게 삽입 설치하거나 또는 액상필터패드(120)를 마스크본체부(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액상필터패드(120)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액상필터패드(120)를 세척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액상필터패드(120)를 마스크본체부(10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pad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pad 130 ar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pad 1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ad 130, So that the liquid filter pad 120 can be easily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mask body part 100. In addition, This makes it easy to install the liquid filter pad 120 and to easily separate the liquid filter pad 120 from the mask body 100 when the liquid filter pad 120 is cleaned or replaced.

걸이끈조절부(300)는 도 9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상기 마스크본체부(100)의 양측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걸이끈(200) 타단 각각이 권취되고, 상기 마스크본체부(100)가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마스크걸이끈(200)을 감거나 풀어내어 상기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의 경우 걸이끈조절부(300)가 마스크본체부(100)의 하단에 결합됨으로 착용자가 마스크걸이끈을 귀에 걸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걸이끈조절부(300)가 귀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이물감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이 사라지게 됨으로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9 to 14, the latching adjuster 300 is coupled to both lower ends of the mask body 100 so that the other ends of the mask guard 200 are wound, and the mask body 100 is attached to the face of the wearer by winding or loosening the mask hook string 20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mask hook string 200. That is, in the case of the fine dust mask having the gait adjus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it adjusting part 30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sk body part 100, so that the wearer wears the mask guiding strap to the ear, It is possible to remove a foreign object generated when the adjusting portion 3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ar. Therefore, the wearer feels a sense of foreign body and wears the mask for a long time.

더욱이, 마스크걸이끈(200)을 감거나 풀어내어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됨으로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안면에 마스크본체부(100)가 완전히 밀착되도록 마스크걸이끈(200)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urther, since the length of the mask hook string 200 is adjusted by winding or unscrewing the mask hook string 200, the length of the mask hook string 200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mask body 100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face of the wear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ask hook 200 so that the mask hook 200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mask hook 200.

이때, 걸이끈조절부(30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 몸체하우징(320), 권취부재(330), 버튼(340), 스프링(350) 및 조작노브(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고, 각각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13 and 14, the adjusting unit 300 includes a body 310, a body housing 320, a winding member 330, a button 340, a spring 350, and an operation knob 360, and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are as follows.

먼저, 몸체(310)는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 형상으로 하면에 상기 결합홀(140) 각각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패드(110), 액체필터패드(120) 및 내측패드(130) 각각의 하부를 걸림 고정하는 고정부재(31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외측패드(110) 및 내측패드(130) 사이에 액체필터패드(120)를 삽입 설치한 후 외측패드(110), 액체필터패드(120) 및 내측패드(130)의 하단에 관통 형성된 삽입홀(140)에 몸체(310)의 고정부재(311)를 관통 삽입하게 되면 외측패드(110), 액체필터패드(120) 및 내측패드(130)가 고정부재(311)에 의해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13 to 15, the body 310 is formed in a disc shape so as to penetrate each of the coupling holes 140 to form the outer pad 110, the liquid filter pad 120, and the inner pad 130, And a fixing member 311 for latching and fixing the lower portions thereof is protruded downward. That is, after the liquid filter pad 120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pad 110 and the inner pad 130, inser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lower ends of the outer pad 110, the liquid filter pad 120 and the inner pad 130 The outer pad 110, the liquid filter pad 120 and the inner pad 130 are engaged and fixed by the fixing member 311 when the fixing member 311 of the body 310 is inserted into the hole 140 .

이때, 외측패드(110)의 상단 및 내측패드(130)의 상단이 마스크걸이끈(200)을 통하여 결합됨으로 외측패드(110), 액체필터패드(120) 및 내측패드(130)의 하단만 고정하여도 마스크본체부(100)의 형상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의 상면에서는 후술하는 버튼(340)이 설치되고, 스프링(350)이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버튼지지부재(도면부호 미도시)가 돌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outer pad 110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pad 13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mask hook 200, so that only the lower ends of the outer pad 110, the liquid filter pad 120 and the inner pad 130 are fixed The shape of the mask body part 100 is formed. 15, a button 3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10, and a button supporting member (not show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button 350 is formed.

다음으로 몸체하우징(32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상기 몸체(31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고, 외주면에 상기 마스크걸이끈(200)의 타단이 삽입되는 걸이끈홀(32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몸체하우징(320)은 몸체(31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외측패드(110), 액체필터패드(120) 및 내측패드(130)의 하부에 몸체(310)가 설치되고, 몸체(310)의 상면에 몸체하우징(320)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마스크걸이끈(200)의 타단이 걸이끈홀(321)을 통해 삽입된 후 후술하는 권취부재(330)에 의해 고정됨으로 마스크걸이끈(200)의 형상이 착용자의 귀에 걸림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Next, the body housing 32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10 in a ring shape as shown in FIGS. 13 and 14, and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310 by inserting the other end of the mask- (321). At this time, the body housing 32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10, or may be detachably installed. That is, the body 310 is provided under the outer pad 110, the liquid filter pad 120 and the inner pad 130, and the body housing 32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10, The other end of the hook string 200 is inserted through the hooking hole 321 and fixed by the wrapping member 33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hape of the mask hook string 200 is formed into a ring shape .

계속하여 권취부재(330)는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버튼삽입홈(331)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몸체(3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주면에 상기 마스크걸이끈(200)이 권취되고, 상기 몸체하우징(32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마스크걸이끈(200)의 타단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재(332)가 형성된다. 즉, 권취부재(33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하우징(320)의 삽입홀(321)을 통과하여 몸체하우징(320)의 내부로 유입된 마스크걸이끈(200)의 타단을 걸림 고정한 후 회전 작동하게 되면 권취부재(330)의 외주면에 마스크걸이끈(200)이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14 and 16, a button insertion groove 331 is formed to be opened so as to open the upp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310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latching member 332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sking strap 200 and the other end of the masking strap 200 introduced into the body housing 320 is hooked and fixed. 20, the winding member 330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321 of the body housing 320, and the other end of the mask-guiding thread 200,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body housing 320, The mask hook 20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330.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부재(330)의 상부 내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걸림돌기(333) 각각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버튼(340)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권취부재(330)를 통해 마스크걸이끈(200)의 감거나 풀어내어 착용자의 안면에 마스크본체부(100)가 밀착되도록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6,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333 are protruded radially from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330 so that the rotation is selectively restricted by a button 340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length of the mask guard 200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ask guard 200 can be wound or unwound through the winding member 330 to bring the mask body 10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다음으로 버튼(340)은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재(330)의 버튼삽입홈(331)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재(330)의 정방향 회전을 허용하며, 상기 권취부재(3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회전을 허용하여 상기 권취부재(330)의 외주면에 권취된 마스크걸이끈(200)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버튼(34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외주면에 하방으로 경사진 복수의 회전제한부재(341) 각각이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버튼(340)이 권취부재(330)의 버튼삽입홈(331)에 설치되는 경우 몸체(310)의 버튼지지부재(도면부호 미도시)가 버튼(340)의 하부에 삽입 설치되면서 버튼(34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Next, the button 340 is provided in the button insertion groove 331 of the winding member 330 as shown in Figs. 14 and 17, allowing the forward rotation of the winding member 330, When the rotating member 33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rotation of the movable member 330 is selectively allowed to prevent the unwinding of the masking gown 200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und member 33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7, the button 3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otation restricting members 341, which are downwardly inclin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adially protruding from each other. When the button 340 is installed in the button insertion slot 331 of the winding member 330, the button support member (not shown) of the body 31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340, 340).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340)이 권취부재(330)의 버튼삽입홈(331)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이때 버튼(340)의 회전제한부재(341)와 권취부재(330)의 걸림돌기(333)와 접촉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권취부재(3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마스크걸이끈(200)을 권취부재(330)의 외주면에 감는 경우 권취부재(330)의 걸림돌기(333)가 버튼(340)의 회전제한부재(341) 경사를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 회전이 제한되지 않지만, 반대로 권취부재(3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마스크걸이끈(200)을 풀어내는 경우 권취부재(330)의 걸림돌기(333)가 버튼(340)의 회전제한부재(341)와 접촉하게 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다.18, the button 340 is installed inside the button insertion slot 331 of the winding member 330. At this time,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341 of the button 340 and the winding member 330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shown in Fig. When the winding member 33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o wind the mask hook 20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330, the engagement protrusion 333 of the winding member 330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When the winding member 33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mask hook 200 is loosened, the hook projection 333 of the winding member 330 is pushed by the button 340 The rotation restricting member 34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otation restricting member 341 so that the rotation is restricted.

따라서, 권취부재(330) 및 버튼(340)을 통하여 착용자가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를 조절한 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활동하여도 권취부재(330)의 역방향 회전이 제한되게 됨으로 길이가 조절된 마스크걸이끈(200)이 풀어지면서 길어지지 않게 됨으로 마스크본체부(100)가 착용자의 안면에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마스크본체부(100)의 내측면이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필터링되지 않은 공기가 착용자의 코 및 입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wearer can easily adjust the length of the mask hook 200 through the winding member 330 and the button 340, and after the length of the mask hook 200 is adjusted, Since the backward rotation of the winding member 330 is restricted even when the wearer operates, the length of the mask-guiding thread 200 whose length has been adjusted is loosened so that the mask body 100 is always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wearer's face . This i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part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earer's face to prevent the unfiltered air from flowing into the wearer's nose and mouth.

계속하여 스프링(35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310) 및 버튼(34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310)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버튼(340)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즉, 버튼(340)이 권취부재(330)의 버튼삽입홈(331) 상부에 위치하도록 몸체(310)의 상면에 대하여 탄성력을 밀어내게 됨으로 권취부재(330)가 역방향 하는 경우 권취부재(330)의 걸림돌기(333)와 버튼(340)의 회전제한부재(341)가 항상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The spring 350 is interposed between the body 310 and the button 340 to elastically support the button 340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10 as shown in FIG. That is, since the button 340 pushes the elastic force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10 so that the button 340 is positioned above the button insertion slot 331 of the winding member 330, when the winding member 330 is reversed, And the rotation restricting member 341 of the button 340 always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버튼(340)을 푸시하게 되면 버튼(340)이 권취부재(330)의 버튼삽입홈(331)의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버튼(340)의 회전제한부재(341)가 권취부재(330)의 걸림돌기(333)로부터 이탈하게 됨으로 권취부재(330)의 역방향 회전제한이 해제되는 것이다.19, when the user pushes the button 340, the button 340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button insertion slot 331 of the winding member 330 and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not shown) of the button 340 341 is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projection 333 of the winding member 330, the restriction of the rotation of the winding member 330 in the reverse direction is released.

즉, 버튼(340)을 푸시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권취부재(330)를 정방향으로만 회전 구동할 수 있고, 버튼(340)을 푸시하게 되면 권취부재(330)를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button 340 is not pushed, the winding member 330 can be rotationally driven only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when the button 340 is pushed, the winding member 330 can be rotationally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

마지막으로 조작노브(360)는 도 13 및 도 14는 상기 권취부재(3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부재(330)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버튼(340)이 권취부재(33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조작노브(360)의 외주면에는 널링이 형성되고, 몸체하우징(320)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되며, 조작노브(360)를 회전 구동하여도 몸체(310) 및 몸체하우징(320)이 회전하지 않도록 몸체하우징(320)과는 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Finally, the operation knob 360 is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33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winding member 330, and when the button 340 is detached from the winding member 330 And the like. A knurling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knob 360 to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housing 320. Even when the operation knob 360 is rotated to rotate the body 310 and the body housing 320, It is preferable not to be coupled to the body housing 320 so as not to be connected to the body housing 320.

여기서, 몸체(310), 몸체하우징(320), 권취부재(330), 버튼(340) 및 조작노브(360) 각각은 마스크본체부(100)에 설치된 경우 하중에 의해 마스크본체부(10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body 310, the body housing 320, the winding member 330, the button 340, and the operation knob 360 may be attached to the mask body 100 by a load,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sag.

즉, 걸이끈조절부(300)를 통해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조절이 완료된 마스크걸이끈(200)을 고정하게 됨으로 마스크본체부(100)의 내측면이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필터링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length of the mask hook 200 is easily adjusted through the hook adjusting unit 300, the mask hook 200 is fixed, so that the inner side of the mask body 100 is fixed to the face of the wear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filtered air from flowing completely.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는 액상의 물질이 함유된 액체필터패드(120)를 통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게 됨으로 미세먼지 차단률이 향상되게 되고, 걸이끈조절부(300)를 통해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됨으로 착용자에 따라 마스크본체부(100)의 내측면이 안면에 밀착되도록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 조절이 완료된 마스크걸이끈(200)을 고정하게 됨으로 마스크본체부(100)가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필터링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ne dust barrier mask provided with the gait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lters the fine dust through the liquid filter pad 120 containing the liquid substance, thereby improving the fine dust blocking rate, The length of the mask hook 200 can be easily adjusted so that the inner side of the mask body 1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wearer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mask hook 200, Since the length of the mask holder 200 is fix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sk body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earer's face, thereby completely blocking the inflow of unfiltered air.

이하에서는 도 20 내지 22를 참조하여 걸이끈조절부(300)를 통한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 조절 과정을 설명하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2,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sk hook 200 through the latching adjuster 300 will be described, but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먼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걸이끈(200)의 타단이 몸체하우징(320)의 걸이끈홀(321)을 통과한 후 권취부재(330)의 걸림부재(332)에 걸림된다. 이 경우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가 최대로 길어진 상태가 된다.20, the other end of the mask hook string 200 is hooked on the hooking member 332 of the winding member 330 after passing through the hooking hole 321 of the body housing 32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mask hook string 200 is maximized.

다음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노브(360)를 회전 구동하여 권취부재(330)를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권취부재(330)의 걸림부재(332)에 걸림 고정된 마스크걸이끈(200)이 권취부재(3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권취부재(330)의 외주면에 감겨지게 되어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21, the operation knob 360 is rotationally driven to rotate the winding member 330 in the forward direction. At this time, the mask hook string 200 fastened to the hooking member 332 of the wind-up member 33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face of the wind-up member 330 while rotating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wind-up member 330, 200 are shortened in length.

이후 착용자가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버튼(340)을 푸시하면서 조작노브(360)를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되면 권취부재(3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When the wearer pushes the button 340 and drives the operation knob 360 to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 22, when the wearer attempts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mask hook string 200, The length of the mask gong strap 200 becomes long while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이때, 착용자가 버튼(340)을 푸시하면서 조작노브(360)를 회전 구동하여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지만,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본체부(100)의 내측면에 안면을 가압하는 압력이 높아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 착용자가 버튼(340)을 푸시하게 되면 마스크본체부(100)의 내측면에 착용자의 안면을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권취부재(330)가 자동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At this time, the wearer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mask hook 200 by rotating the operation knob 360 while pushing the button 340. However, as shown in FIG. 23, When the user pushes the button 340 when the user presses the fa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100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mask hook 200, The length of the mask hook string 200 is increased while the winding member 330 automatically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pressure for pressing the face.

상술한 과정을 통해 착용자의 안면에 마스크본체부(100)가 밀착되도록 마스크걸이끈(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length of the mask hook 200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ask body 1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wearer through the above process.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마스크본체부
110 : 외측패드 120 : 액체필터패드
130 : 내측패드 140 : 결합홀
200 : 마스크걸이끈
300 : 걸이끈조절부
310 : 몸체 311 : 고정부재
320 : 몸체하우징 321 : 걸이끈홀
330 : 권취부재 331 : 버튼삽입홈
332 : 걸림부재 333 : 걸림돌기
340 : 버튼 341 : 회전제한부재
350 : 스프링 360 : 조작노브
100: mask body portion
110: outer pad 120: liquid filter pad
130: Inner pad 140: Coupling hole
200: Mask gusset
300:
310: body 311: fixing member
320: body housing 321: hooking hole
330: coiling member 331: button insertion groove
332: engaging member 333:
340: button 341: rotation limiting member
350: Spring 360: Operation knob

Claims (6)

내측면이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도록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안착되고, 외측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내부로 유입시키는 마스크본체부와, 각각의 일단이 상기 마스크본체부의 양측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귀에 걸림되는 한 쌍의 마스크걸이끈과, 각각이 상기 마스크본체부의 양측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걸이끈 타단 각각이 권취되고, 상기 마스크본체부가 상기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마스크걸이끈을 감거나 풀어내어 상기 마스크걸이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걸이끈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본체부는,
외측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내측방향으로 유입시키고, 수분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가지는 외측패드와, 상기 외측패드의 내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패드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액상의 물질이 함유된 액체필터패드와, 상기 액체필터패드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측패드의 상단과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고, 상기 액체필터패드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내측방향으로 유입시키며, 수분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가지는 내측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필터패드는,
상기 외측패드의 내측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패드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액상의 물질을 통해 필터링하고,
상기 외측패드, 액체필터패드 및 내측패드 각각은,
좌우 양측 하부에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걸이끈조절부는,
원반 형상으로 하면에 상기 결합홀 각각을 관통하여 상기 외측패드, 액체필터패드 및 내측패드 각각의 하부를 걸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몸체와,
링 형상으로 상기 몸체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고, 외주면에 상기 마스크걸이끈의 타단이 삽입되는 걸이끈홀이 관통 형성되는 몸체하우징과,
상부가 개방되도록 버튼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주면에 상기 마스크걸이끈이 권취되며,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마스크걸이끈의 타단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원형의 권취부재와,
상기 권취부재의 버튼삽입홈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부재의 정방향 회전을 허용하며, 상기 권취부재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회전을 허용하여 상기 권취부재의 외주면에 권취된 마스크걸이끈의 풀림을 방지하는 버튼과,
상기 몸체 및 버튼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버튼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권취부재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재는,
상부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걸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버튼은,
하부 외주면에 하방으로 경사진 복수의 회전제한부재 각각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끈조절부는,
상기 조작노브를 정방향 회전 구동하는 경우 상기 권취부재의 걸림돌기 각각이 상기 버튼의 회전제한부재 각각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마스크걸이끈이 상기 권취부재의 외주면에 감겨지고,
상기 조작노브를 역방향 회전 구동하는 경우 상기 권취부재의 걸림돌기 각각이 상기 버튼의 회전제한부재 각각에 걸림되어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버튼을 푸시하는 경우 상기 권취부재의 걸림돌기 각각과 상기 버튼의 회전제한부재 각각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권취부재의 외주면에 감겨진 상기 마스크걸이끈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끈 조절기능이 구비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A mask main body part which is seated on the wearer's face so as to cover the wearer's nose and mouth and which filters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and introduces the fine dust into the inside, A pair of mask hook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ask main body to be hooked on the ears of the wearer, and a pair of mask hooks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mask main body to wind each of the other ends of the mask hold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mask hook string by winding or unscrewing the mask hook string,
The mask body portion
An outer pad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to allow air to flow in from the outer side in an inner direction and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and an air bag,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pad, A liquid filter pad containing a liquid substance to filter fine dust; a liquid filter pa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outer pad to be position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iquid filter pad to cover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And an inner pad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so as to allow the inflow air to flow inward,
Wherein the liquid filter pad comprises:
A fine dust layer formed to cover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d and passing through the outer pad is filtered through a liquid material,
Wherein each of the outer pad, the liquid filter pad,
A coupl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Wherein,
A body having a disk-shaped lower surface formed with a fixing member protruding downward through the coupling holes to fix the lower portions of the outer pads, the liquid filter pads, and the inner pads,
A body housing fixed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in a ring shape and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mask hook string is inserted,
And the other end of the mask guiding strap introduced into the body housing is hooked and fixed to the main body housing, A circular winding member on which a latching member is formed,
Wherein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in the button insertion groove of the winding member and allows forward rotation of the winding member and permits rotation selectively when the winding member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lease the masking member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A button for preventing,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body and the butt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butt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n operation knob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winding member,
The winding member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are formed radially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respectively,
The button,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restricting members inclined downwardly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radially,
Wherein,
When the operation knob is driven to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each of the engagement projections of the winding member is moved along the inclination of each of the rotation limiting members of the button so that the mask hook strap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When the operation knob is driven to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each of the locking projections of the winding member is hooked on each of the rotation limiting members of the buttons,
Wherein when the button is pushed, each of the engagement protrusions of the winding member and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of the button is released, and the masking strap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ing member is released. The fine dust barrier mas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99014A 2018-08-24 2018-08-24 Fine dust mask with hanger string adjustment KR1019620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014A KR101962073B1 (en) 2018-08-24 2018-08-24 Fine dust mask with hanger string adjus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014A KR101962073B1 (en) 2018-08-24 2018-08-24 Fine dust mask with hanger string adjus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073B1 true KR101962073B1 (en) 2019-03-25

Family

ID=6590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014A KR101962073B1 (en) 2018-08-24 2018-08-24 Fine dust mask with hanger string adjus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073B1 (en)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726B1 (en) * 2019-07-26 2020-02-19 현한울 Adhering mask
KR102107161B1 (en) 2020-02-19 2020-05-07 이상국 Device for connecting mask strap
KR20200117737A (en) 2019-04-05 2020-10-14 김미희주 Replacement filters for fine dust cleaning
KR20200002492U (en) 2019-05-07 2020-11-17 차상범 A hat with a mask
KR20210023542A (en)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대양기술 A mask holder
KR102236062B1 (en) * 2020-08-03 2021-04-05 진대성 Strapless mask
KR20210001418U (en)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폴메이드 The adjustable straps for a mask
KR20210088322A (en) * 2020-01-06 2021-07-14 미노언 주식회사 Mask device
KR102300138B1 (en) * 2021-01-30 2021-09-09 엠플러스에프엔씨(주) Mask comprising surface for capturing moisture
KR102300139B1 (en) * 2021-01-30 2021-09-09 엠플러스에프엔씨(주) Mask comprising structure controlling moisture
KR102302295B1 (en) * 2021-01-30 2021-09-16 엠플러스에프엔씨(주) Mask wiith breathing space
KR102302296B1 (en) * 2021-02-03 2021-09-16 엠플러스에프엔씨(주) Mask comprising detachable filter
KR20210117372A (en) * 2020-03-18 2021-09-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ask Integrated Safety Helmet
CN113796603A (en) * 2021-09-23 2021-12-17 刘慧秀 Aroma mask with heating strips for heating
KR20220001995A (en) 2020-06-30 2022-01-06 이찬봉 Mask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earrings
KR20220003958A (en) 2020-07-02 2022-01-11 주식회사 소노인더스트리 Mask for Water Play
BE1028486B1 (en) * 2020-07-15 2022-02-15 Harmonie Lecomte CUSTOMIZABLE FABRIC RESPIRATORY MASK
IT202000020632A1 (en) * 2020-08-28 2022-02-28 Eurgomma Valcalepio S A S Di Gaspari Massimiliano & C PROTECTIVE MASK FOR THE AIRWAYS
WO2022048038A1 (en) * 2020-09-02 2022-03-10 苏州市江绫丝绸有限公司 Silk printing face mask with insertable piece therein
KR20220033807A (en) 2020-09-10 2022-03-17 송충섭 mask strap
KR20220000712U (en) * 2020-09-18 2022-03-28 정선순 Air respirator mask using string clamping device of simple tightening type
KR20220051448A (en) * 2020-10-19 2022-04-26 김은미 The High efficiency horizontal filter device applied to dust collection system for garlic
KR20220000935U (en) 2020-10-22 2022-04-29 안미라 Attachable mask
IT202000026684A1 (en) 2020-11-09 2022-05-09 Gvs Spa "FACE MASK WITH ADJUSTMENT OF ITS POSITION ON THE FACE"
KR20220065403A (en) 2020-11-13 2022-05-20 문재화 Mask
KR20220133444A (en) * 2021-03-25 2022-10-05 김인자 The wearing device for mask
KR20220159025A (en) 2021-05-25 2022-12-02 최한돌 A hygiene mask without earring string
WO2023054818A1 (en) * 2021-09-30 2023-04-06 채현석 Functional mask having magnet fastening part, using strip adjusting device
KR102557110B1 (en) 2022-08-23 2023-07-19 정성훈 Anti-fog mask
WO2024106727A1 (en) * 2022-11-14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Mask
KR102669936B1 (en) * 2020-12-15 2024-05-29 주식회사 테슬라앤코 User size customized functional mask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528Y1 (en) * 2006-01-12 2006-03-28 이종욱 Moisture supply mask for respiratory organs
KR20160071620A (en)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두용 Shoe's rope length controlling apparatus
KR20160121964A (en) *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Mask
KR20170031420A (en) *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Mask
KR20170131866A (en) * 2016-05-23 2017-12-01 주식회사 쓰리스타 Water filter mask
KR20180013794A (en) * 2016-07-29 2018-02-07 바이오제닉스코리아 주식회사 Antibiotic Mask
KR20180001822U (en) * 2016-12-09 2018-06-19 이용우 Facial mask for preventing fogg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528Y1 (en) * 2006-01-12 2006-03-28 이종욱 Moisture supply mask for respiratory organs
KR20160071620A (en)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두용 Shoe's rope length controlling apparatus
KR20160121964A (en) * 2015-04-13 2016-10-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Mask
KR20170031420A (en) *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Mask
KR20170131866A (en) * 2016-05-23 2017-12-01 주식회사 쓰리스타 Water filter mask
KR20180013794A (en) * 2016-07-29 2018-02-07 바이오제닉스코리아 주식회사 Antibiotic Mask
KR20180001822U (en) * 2016-12-09 2018-06-19 이용우 Facial mask for preventing fogging

Cited B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737A (en) 2019-04-05 2020-10-14 김미희주 Replacement filters for fine dust cleaning
KR20200002492U (en) 2019-05-07 2020-11-17 차상범 A hat with a mask
KR102079726B1 (en) * 2019-07-26 2020-02-19 현한울 Adhering mask
KR102277719B1 (en) * 2019-08-23 2021-07-16 주식회사 대양기술 A mask holder
KR20210023542A (en) * 2019-08-23 2021-03-04 주식회사 대양기술 A mask holder
KR20210001418U (en)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폴메이드 The adjustable straps for a mask
KR20210088322A (en) * 2020-01-06 2021-07-14 미노언 주식회사 Mask device
KR102582938B1 (en) 2020-01-06 2023-10-19 미노언 주식회사 Mask device
KR102107161B1 (en) 2020-02-19 2020-05-07 이상국 Device for connecting mask strap
KR102402100B1 (en) * 2020-03-18 2022-05-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ask Integrated Safety Helmet
KR20210117372A (en) * 2020-03-18 2021-09-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ask Integrated Safety Helmet
KR20220001995A (en) 2020-06-30 2022-01-06 이찬봉 Mask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earrings
KR20220003958A (en) 2020-07-02 2022-01-11 주식회사 소노인더스트리 Mask for Water Play
BE1028486B1 (en) * 2020-07-15 2022-02-15 Harmonie Lecomte CUSTOMIZABLE FABRIC RESPIRATORY MASK
KR102236062B1 (en) * 2020-08-03 2021-04-05 진대성 Strapless mask
IT202000020632A1 (en) * 2020-08-28 2022-02-28 Eurgomma Valcalepio S A S Di Gaspari Massimiliano & C PROTECTIVE MASK FOR THE AIRWAYS
WO2022048038A1 (en) * 2020-09-02 2022-03-10 苏州市江绫丝绸有限公司 Silk printing face mask with insertable piece therein
KR20220033807A (en) 2020-09-10 2022-03-17 송충섭 mask strap
KR200496842Y1 (en) 2020-09-18 2023-05-09 정선순 Air respirator mask using string clamping device of simple tightening type
KR20220000712U (en) * 2020-09-18 2022-03-28 정선순 Air respirator mask using string clamping device of simple tightening type
KR102481402B1 (en) 2020-10-19 2022-12-23 김은미 The High efficiency horizontal filter device applied to dust collection system for garlic
KR20220051448A (en) * 2020-10-19 2022-04-26 김은미 The High efficiency horizontal filter device applied to dust collection system for garlic
KR20220000935U (en) 2020-10-22 2022-04-29 안미라 Attachable mask
WO2022097019A1 (en) * 2020-11-09 2022-05-12 Gvs S.P.A. Face mask with control of the position thereof on the face
IT202000026684A1 (en) 2020-11-09 2022-05-09 Gvs Spa "FACE MASK WITH ADJUSTMENT OF ITS POSITION ON THE FACE"
KR20220065403A (en) 2020-11-13 2022-05-20 문재화 Mask
KR102669936B1 (en) * 2020-12-15 2024-05-29 주식회사 테슬라앤코 User size customized functional mask
KR102300139B1 (en) * 2021-01-30 2021-09-09 엠플러스에프엔씨(주) Mask comprising structure controlling moisture
KR102302295B1 (en) * 2021-01-30 2021-09-16 엠플러스에프엔씨(주) Mask wiith breathing space
KR102300138B1 (en) * 2021-01-30 2021-09-09 엠플러스에프엔씨(주) Mask comprising surface for capturing moisture
KR102302296B1 (en) * 2021-02-03 2021-09-16 엠플러스에프엔씨(주) Mask comprising detachable filter
KR20220133444A (en) * 2021-03-25 2022-10-05 김인자 The wearing device for mask
KR102537920B1 (en) * 2021-03-25 2023-05-26 김인자 The wearing device for mask
KR20220159025A (en) 2021-05-25 2022-12-02 최한돌 A hygiene mask without earring string
CN113796603A (en) * 2021-09-23 2021-12-17 刘慧秀 Aroma mask with heating strips for heating
WO2023054818A1 (en) * 2021-09-30 2023-04-06 채현석 Functional mask having magnet fastening part, using strip adjusting device
KR102557110B1 (en) 2022-08-23 2023-07-19 정성훈 Anti-fog mask
WO2024106727A1 (en) * 2022-11-14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Mas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073B1 (en) Fine dust mask with hanger string adjustment
KR101519175B1 (en) Respirator having a harness and methods of making and fitting the same
KR101788685B1 (en) Mask
TW482690B (en) Half-mask respirator with head harness assembly.
KR200485363Y1 (en) Dust mask with easy adjusiting length of band
KR101840108B1 (en) Mask for fine dust removal
KR102415360B1 (en) Mask
US20080245364A1 (en) Filtering respirator with nasal and oral separation
US20230132896A1 (en) Facemask With Facial Seal And Seal Test Device
CN107105803A (en) For adjust band length buckle and including the buckled respirator
CA2549789A1 (en) Medical face mask
KR101921186B1 (en) A mask having a wire fastening unit
JP2008520271A (en) Air-fitted helmet face seal with frictional engagement
US20220117332A1 (en) Respiratory personal protective mask
KR200493243Y1 (en) Band embedded type mask
CA3186627A1 (en) High quality mask
JP3229234U (en) Mask ear strap fasteners and masks
KR100543523B1 (en) Yellow sand and uv blocking mask
KR100474500B1 (en) A mask for screen of sunshine
JP7385961B2 (en) face mask for fire evacuation
KR102248632B1 (en) Nose respirator
KR200395352Y1 (en) yellow sand and UV blocking mask
KR102510088B1 (en) Mask with detachable earrings
KR200366429Y1 (en) A mask for screen of sunshine
KR102225421B1 (en) Hygiene shield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