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004B1 -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 Google Patents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004B1
KR101962004B1 KR1020170025241A KR20170025241A KR101962004B1 KR 101962004 B1 KR101962004 B1 KR 101962004B1 KR 1020170025241 A KR1020170025241 A KR 1020170025241A KR 20170025241 A KR20170025241 A KR 20170025241A KR 101962004 B1 KR101962004 B1 KR 101962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microcontroller
wire
pressure sensor
proces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072A (ko
Inventor
밍-푸 치앙
Original Assignee
오리온 바이오테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 바이오테크 인크. filed Critical 오리온 바이오테크 인크.
Publication of KR2017011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A61B5/031Intracranial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68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31Implanted circui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1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 A61M2025/0002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with a pressure sensor at the distal e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ur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두개내(頭蓋內)압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해당 무선 두개내 압 모니터는 본체 한 개, 무선 트랜스시버 한 개, 프로세싱 모듈 한 개, 그리고 감지 모듈 한 개로 구성되었으며, 감지 모듈에는 카테테르가 한 개 들어있다. 해당 카테테르에는 압력 센서가 한 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카테테르의 변형 또는 압력 센서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의 변형을 감지한다. 감지된 변형은 카테테르 내 와이어를 통해서 프로세싱 모듈로 전송된다.

Description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WIRELESS PRESSURE SENSOR}
본 발명의 최소한 한 가지 실시예는 두개내압(頭蓋內壓)(intracranial pressure,ICP) 모니터와 관련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최소한 한 가지 실시예는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와 관련되었다.
두개내압은 두개골 내부의 압력이다. 뇌출혈 또는 뇌종양이 발생할 때, 두개내압은 출혈량이나 종양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다.
두개내압 상승은 보통 뇌간 및 소뇌 등 여러 조직의 압박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두개내압 모니터링은 뇌병증, 두개 골절, 두개 종양, 또는 뇌출혈 환자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이다.
두개내압 모니터링은 신경외과 수술에 있어서 더더욱 중요한 주제다. 뇌외상 및 기타상태의 가장 손상성이 심한 양상 중 한 가지가 바로 높아진 두개내압이다. 높아진 두개내압은 보통 뇌혈류 차단, 뇌저산소증, 뇌압박 등 이차성 부상으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두개내압 상승이 있는 환자에게 적시에 노실조루술을 실시하기 위해서, 의료진은 반드시 신경외과 수술 중 두개내압의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한다.
수술실에서 자주 논의되는 또 다른 중요한 주제는 장비의 복잡한 구성이다. 구성이 복잡한 장비는 실제로 수술과 외과의사의 움직임을 방해한다. 기존의 두개내압 모니터는 실제 와이어를 통해서 하드웨어에 연결된다. 이는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두개 내부에 삽입된 두개내압 모니터가 우연히 움직이기라도 하면 환자에게 매우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의 두개내압 모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한 가지 실시예는 본체 한 개, 무선 트랜스시버 한 개, 프로세싱 모듈 한 개, 그리고 감지 모듈 한 개로 구성된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를 제공한다.
상기 무선 트랜스시버는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무선 트랜스시버와 상기 감지 모듈에 각각 연결된다. 더 나아가서, 해당 감지모듈은 카테테르 한 개로 이뤄진다. 해당 카테테르에는 압력센서가 한 개 있는데, 이는 외부 압력으로 유발된 카테테르의 변형 또는 압력센서에 연결된 다이아프램의 변형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었다. 감지된 변형은 카테테르 내 와이어를 통해서 프로세싱 모듈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두개내압 모니터는 수술시 의사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단순한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 선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 선도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3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3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감지모듈의 수평 단면 구성도이다.
도3d는 본 발명의 일부실시예에 따른 감지모듈의 수직 단면 구성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의 일부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4b는 본 발명의 일부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4c는 본 발명의 일부실시예에 따른 감지모듈의 수평 단면구성도이다.
도4d는 본 발명의 일부실시예에 따른 감지모듈의 센서구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부실시예에 따른 사용 중인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아래에 묘사된 예는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도면에 표시된 사양은 다만 도해용으로 제공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의 다양한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 선도이다.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10)는 본체(400) 한 개(도 3B 및도 4B에 표시됨), 무선 트랜스시버(100) 한 개, 프로세싱모듈(200) 한 개, 그리고 감지모듈(300) 한 개로 구성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트랜스시버(100)는 본체(400).내에 설치되었다. 본 실시예의 무선 트랜스시버(100)는 코일이며, RF 코일이다. 프로세싱 모듈(200)은 무선 트랜스시버(100)와 감지모듈(300)에 각각 연결되었다.
프로세싱모듈(200)은 마이크로 컨트롤러(201) 한 개,전원 장치(202) 한 개,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203) 한 개, 그리고 RF 트랜스시버(204) 한 개로 구성되었다. RF 트랜스시버(204)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01)에 연결되었으며, 전원장치(202)는 RF트랜스시버(204)와 마이크로 컨트롤러(201)에 각각 연결되었다.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203)는 또한(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이득 증폭기(201a)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203)는 감지모듈(300)이 획득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때의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203)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01)와 감지 모듈(300)에 각각 연결되었다.
도 1에서, 전원 장치(202)는 프로세싱 모듈(200)과 감지모듈(300)에 전력을 제공한다. 도 1의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한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10)의 본체(400)에 설치된 전원 장치(202)는 리튬-이온 배터리이거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다. 도 1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한 전원 장치(202)는 RF 트랜스시버(204)와 RF 리더 사이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충전 모듈로서, 프로세싱 모듈(200)과 감지 모듈(3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1의 일부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203)는 마이크로컨트롤러(201)와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일부 실시예의 마이크로컨트롤러(201)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로서의 성능을 지녔다. 유사한 실시예는 도 2에 표시되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 선도이다. 도 1과 도 2의 차이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01)와 감지 모듈(300)의 시행 방식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실시예에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203)가 없다. 그 대신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의 성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01)가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203)를 대체한다. 그러므로 도 2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201)는 감지 모듈(300)에 직접 연결된다.
도 2의 마이크로컨트롤러(201)는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이득 증폭기(201a) 한 개,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01b) 한 개, 아날로그-디지털 버퍼(201c) 한 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01d) 한 개, 전력관리진동기(201e) 한 개, 디지털 등록기(201f) 한 개, 파워 온 리셋(201g) 한 개, 그리고 I2C/SPI 인터페이스(201h) 한 개로 구성되었다. 도 2에서, 화살표는 부품 간 전력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 방향을 표시한다.
파워 온 리셋(201g)은 마이크로 컨트롤러(201)에 설치되며, 파워 온 리셋의 정확한 위치는 제조 공정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이득 증폭기(201a)는 감지 모듈(300)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더 나아가서 아날로그-디지털 버퍼(201c)에 연결된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01d)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1b)에 연결되며, 전력관리 진동기(201e)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01d)와 전원 장치(202)에 각각 연결된다(도 1에 표시됨). 다른 한편으로, 디지털 등록기(201f)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01d)에 연결된다. 전환된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01d)와 I2C/SPI인터페이스(201h) 사이의 연결을 통해서 전송된다. I2C/SPI 인터페이스(201h)는 무선 트랜스시버(204)(도 1에 표시됨) 및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01d)에 각각 연결된다.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이득 증폭기(201a)는 감지 모듈(300)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한다. 아날로그 신호는 온도 또는 압력 등 외부 요소를 전압 형식으로 감지하고 기록하여 취득된다. 이에 따라,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이득 증폭기(201a)는 체계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시킨 다음 해당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1b)로 보낼 수 있다.
도 2에서, 감지 모듈(300)은 감지 회로(301) 한 개, 온도 센서(302) 한 개, 그리고 조정기(303) 한 개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이득 증폭기(201a)는 감지 회로(301)와 온도 센서(30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정기(303)는 감지 회로(301)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에서, 감지 회로(301)는 압력 센서이며, 조정기(303)는 감지 회로(301)의 민감도와 기타 매개변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감지 회로(301)는 기타 유형의 센서일 수 있다.
도 2에서,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에는 환자의 체온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온도센서(302)가 설치된다.
도3a 및 3b를 참고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3a에 표시된 바와 같이,무선 두개내압 모니터(10)에는 어댑터(401) 한 개, 하우징(402) 한 개, 커버(404) 한 개, 그리고 카테테르(304) 한 개가 있다. 어댑터(401), 하우징(402), 그리고 커버(404)는 본체(400)의 일부분이며, 카테테르(304)는 감지모듈(300)의 일부분이다.
도 3b는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10)의 분해도이다. 도 3b에 표시된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10)의 주요 부품은 본체(400) 한 개, 무선 트랜스시버(100) 한 개, 프로세싱 모듈(200) 한 개, 그리고 감지 모듈(300) 한 개이다. 감지 모듈(300)에는 카테테르(304)가 있으며, 압력 센서(305)가 카테테르(304) 위 또는 내부에 설치된다. 이 도면의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305)는 압력으로 유발된 카테테르(304)의 변형을 감지하고, 감지된 변형을 카테테르 내 와이어(306)를 통해 프로세싱모듈(200)로 전송하도록 설치된다(도 3C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 도면의 실시예에서, 카테테르(400)는 어댑터(401) 한 개, 하우징(402) 한 개, 스페이서(403) 한 개, 그리고 커버(404) 한 개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댑터(401)는 나사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카테테르(304)에 연결되며, 하우징(402)은 어댑터(401)에 연결된다. 하지만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카테테르(304), 어댑터(401), 그리고 하우징은 한 개의 통합된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스페이서(403)는 하우징(402)에 설치되어 무선 트랜스시버(100)와 프로세싱 모듈(200)을 격리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트랜스시버(100)는 코일(즉, RF 코일)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트랜스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어떠한 모듈일 수도 있다.
이 도면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모듈(200)은 원형의 인쇄 회로판이며, 중앙에 원형 구멍이 있다. 해당 전기 회로망은 도 1 또는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행될 수 있다.
커버(404)와 하우징(402) 사이의 연결 부분은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10)의 무선 트랜스시버(100)와 프로세싱 모듈(200)을 에워싼다. 또한 이 도면의 실시예에는 하우징(400) 내의 부품과 구조를 지탱하도록 하우징(400)에 커넥터(400)를 설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넥터(500)는 첫째 와이어(501) 한 개, 제1 서포터(502) 한 개, 제2 서포터(503) 한 개, 제2 와이어(504) 한 개, 그리고 서포팅 플레이트(505) 한 개로 구성되었다. 제1 와이어(501)는 프로세싱 모듈(200)에 연결되며, 제1 서포터(502)는 스페이서(403)와 제2 서포터(503)에 각각 연결된다. 반면에, 제2 와이어(504)는 제2 서포터(503)를 관통하여 제1 와이어(501)에 연결된다. 이와 유사하게, 서포팅 플레이트(505)는 제2 와이어(504)와 무선 트랜스시버(200)에 각각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력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커넥터(500)는 옵션 사양이다. 이 도면의 실시예에서, 제1 와이어(501)와 제2 와이어(504)는 프로세싱 모듈(200)과 무선 트랜스시버(100)를 연결하는 금속선이다. 제1 서포터(502), 제2 서포터(503), 그리고 서포팅 플레이트(505)는 프로세싱 모듈(200), 제1 와이어(501), 제2 와이어(504), 그리고 무선 트랜스시버(100)에 기계적 지탱과 전기 격리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 3c 및 3d를 참고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감지 모듈의 수평 단면 구성도이다. 도3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감지 모듈의 수직 단면 구성도이다. 도 3c의 카테테르(304)는 원형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테테르(304)는 티탄 합금관으로서 바깥 지름은 2 mm이며, 안 지름은 1.5 mm이며, 벽 두께는 0.25 mm이다. 이러한 사양으로 인해 카테테르(304)는 약간 변형하는 능력이 있다. 카테테르(304)의 내부 공간은 인클로저로 모니터링되는 구역으로부터 격리된다. 해당 인클로저는 카테테르(304) 내부 공간을 대기 압력으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내부 공간과 모니터링되는 구역 사이에 압력 차이가 생긴다.
도 3D의 θ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 도면의 실시예에서 압력센서(305)는 카테테르(304)에 부착되거나 내장된 반도체 변형계이다. 카테테르(304) 중심선의 두 개의 선으로 에워싸인 θ각은 40°이다. 두 개의 화살선은 각각 카테테르(304)내부 반지름을 표시하는 두 개의 선을 대표한다. 압력센서(305)는 방사상 변형과 환상 변형을 감지하여 브리지 회로로 감지된 변형을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이 도면의 실시예에서, 카테테르 내 와이어(306)는 플립범프 FB를 통해(파선에 의해 에워싸임) 카테테르(304)에 부착된 압력 센서(305)를 감지 모듈(200)에 연결시킨다. 카테테르 내 와이어(306)는 전압신호를 압력센서(305)에서 프로세싱 모듈(200)로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압력센서(305)와 카테테르(304)의 사양(예: 길이, 모양, 재료)은 일부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부위와 목표 조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테르(304) 또는 본체(400)에 항균성 금속층을 입혀서 오염이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d까지를 참고한다. 도4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4b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4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감지 모듈의 수평 단면 구성도이다. 도4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감지 모듈의 센서구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a 및 4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 도면들의 실시예의 전반적 구조는 도 3a 및 3b와 유사하다. 다른 점 중 한가지라면 도 4a 및 4b에서는 압력 센서(307)가 다른 방법으로 시행되며, 다른 메커니즘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도 4c 및 4d에 표시된 바와 같이, 압력 센서(307)는 카테테르(304) 내부 공간의 바닥에 설치된다. 압력센서(307)는 압력으로 인해 유발된 다이아프램의 변형을 감지하며, 감지된 변형의 신호를 카테테르 내 와이어(306)를 통해서 프로세싱 모듈(200)로 전송한다. 압력 센서(307)는 실리콘 통로를 통해서 카테테르 내 와이어(306)에 연결되어 3D 통합 회로(3D IC)가 된다. 따라서 도 4d에 표시된 구조에는 통로(3071)가 있다.
도 3a 내지 3d와 유사하게, 카테테르(304)내부 공간의 압력은 대기 압력이다. 카테테르 내 와이어(306)에 통풍 구멍(3061)이 설치되어 다이어프램(309) 주위의 압력을 대기 압력으로 유지한다. 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다이어프램(309) 위에 피막(308)이 설치되어 외부압력으로 인해 다이어프램(309)에 직접적인 손상을 입히는 것을 줄인다.
피막(308)은 외부압력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지만 다이어프램(309)에 가한 직접적인 손상을 예방한다. 피막(308)은 일부변형에 저항력이 강한 재료(이에 국한되지 않고)로 제조된다. 유의할 것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이어프램(309)과 카테테르(304)의 변형을 감지하여 더욱 정확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압력 센서(307)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테르(304)는 확장 가능한 튜브이며, 마이크로 모터 또는 나사로 구동하여 착상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카테테르(304) 내부 공간을 대기 압력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카테테르(304)와 연결된 본체(400)내 부품에 압력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실시예에서, 카테테르(304)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변형 계산을 보정한다. 마이크로 튜브는 외부 온도에 반응하여 확장 및 수축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변형 유형은 외부 온도로 인해 유발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온도 센서는 변형 계산에서 온도로 인해 유발된 변형 부분을 제거할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중인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는 두개내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감지 모듈(300)은 피부(SKN)와 두개골(SKU)을 관통하며, 두개 내부(IC)에 착상하여 원하는 부위를 모니터링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체(400)의 표면은 나사 형태로 되어있어 본체(400)와 두개골(SKL) 사이의 단단한 연결을 보장한다.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본체(400)의 표면은 스내치 또는 래치 방식으로 단단히 연결할 수 있는 기타 형태로 되어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예들은 일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것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두개내압 모니터 100 : 무선 트랜스시버
200 : 프로세싱 모듈 201 : 마이크로컨트롤러
201a :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이득증폭기
201b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201c : 아날로그-디지털 버퍼(ADC buffer)
201d : 디지털 신호프로세서(DSP) 201e : 전력관리 진동기(PMO)
201f : 디지털 등록기 201g : 파워온 리셋(POR)
201h : I2C/SPI 인터페이스 202 : 전원 장치
203 :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 204 : RF 트랜스시버
300 : 감지 모듈 301 : 감지 회로
302 : 온도 센서 303 : 조정기
304 : 카테테르 305 : 압력 센서
306 : 카테테르 내 와이어 3061 : 통풍 구멍
307 : 압력 센서 3071 : 통로
308 : 필름 309 : 다이어프램
400 : 본체 401 : 어댑터
402 : 하우징 404 : 커버
403 : 스페이서 500 : 커넥터
501 : 제1 와이어 502 : 제1 서포터
503 : 제2 서포터 504 : 제2 와이어
505 : 써포팅 플레이트

Claims (12)

  1. 본체 한개, 본체에 설치된 무선 트랜스시버 한 개, 무선 트랜스시버에 연결된 프로세싱 모듈 한 개, 그리고 프로세싱 모듈에 연결된 감지 모듈 한 개로 구성된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로서,
    상기 감지 모듈은 대기압의 밀폐된 공간을 가진 원형 튜브 형상의 카테테르 한 개, 카테테르의 밀폐된 공간의 바닥에 배치되는 압력센서 한 개, 압력센서에 연결된 다이어프램, 그리고 압력 센서를 프로세싱 모듈로 연결시키는 카테테르 내 와이어 한 개로 구성되며,
    상기 압력센서는 압력으로 인해 유발된 다이어프램의 변형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며
    카테테르 내 와이어에는 다이어프램의 내부 공간의 근처에 통풍 구멍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카테테르에 연결된 어댑터 한 개, 어댑터에 연결된 하우징 한 개, 하우징에 설치되어 무선 트랜스시버와 프로세싱 모듈을 격리시키는 스페이서 한 개, 그리고 하우징에 연결된 커버 한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압력 모듈에 연결된 제1 와이어 한 개, 스페이서에 연결된 제1 서포터 한 개, 제1 서포터에 연결된 제2 서포터 한 개, 제2 서포터를 관통하여 제1 와이어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 한 개, 그리고 제2 와이어와 무선 트랜스시버에 연결되는 서포팅 플레이트로 구성된 커넥터가 한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스시버는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는 조정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한 개,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연결된 RF 트랜스시버 한 개,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RF 트랜스시버에 연결된 전원 장치 한 개,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감지 모듈에 연결된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모듈은 감지 모듈에 연결된 마이크로 컨트롤러 한 개, 마이크로컨트롤러에 연결된 RF 트랜스시버 한 개,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RF 트랜스시버에 연결된 전원 장치 한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설치되는 파워 온 리셋 한 개, 감지 모듈에 연결되는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이득 증폭기 한 개,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이득 증폭기에 연결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한 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연결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버퍼 한 개, 아날로그-디지털 버퍼에 연결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한 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전력 관리 진동기 한 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디지털 등록기 한 개, 그리고 RF 트랜스시버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에 연결되는I2C/SPI 인터페이스 한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카테테르는 티탄 합금으로 제조된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와 카테테르 내 와이어는 플립 범프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피막은 다이어프램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KR1020170025241A 2016-03-28 2017-02-27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KR101962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5109684A TWI653031B (zh) 2016-03-28 2016-03-28 無線壓力檢測儀
TW105109684 201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072A KR20170113072A (ko) 2017-10-12
KR101962004B1 true KR101962004B1 (ko) 2019-03-25

Family

ID=5846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241A KR101962004B1 (ko) 2016-03-28 2017-02-27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42398B2 (ko)
JP (1) JP6280660B2 (ko)
KR (1) KR101962004B1 (ko)
CN (1) CN107233090B (ko)
DE (1) DE102017102633A1 (ko)
FR (1) FR3049186A1 (ko)
GB (1) GB2548958B (ko)
TW (1) TWI6530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4992B (zh) * 2016-12-27 2022-12-01 美商康寧公司 無線壓力偵測器、無線壓力量測系統及壓力量測方法
US11147470B2 (en) * 2018-11-14 2021-10-19 Orion Biotech Inc. Physiological signal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21139759A (ja) 2020-03-05 2021-09-16 Tdk株式会社 圧力センサ
CN112244809A (zh) * 2020-11-16 2021-01-22 勃森生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无创式颅内脑压检测系统及方法
WO2023209895A1 (ja) 2022-04-27 2023-11-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4ストロークエンジ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9811A (ja) * 2005-04-30 2008-11-20 アエスキュラップ アーゲー 頭蓋内圧力を測定する埋め込み型装置
JP5660901B2 (ja) * 2008-02-28 2015-01-28 ラウメディック アーゲー 患者データ検出用のセン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5575A1 (en) 1989-10-11 1991-05-02 Baxter International Inc. Integral intracranial pressure monitor and drainage catheter assembly
US5133358A (en) 1990-09-07 1992-07-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pparatus for rezeroing an in vivo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rezeroing
SE506299C2 (sv) * 1996-05-20 1997-12-01 Bertil Oredsson Givare för att detektera ändringar i tvärsnitt hos en långsträckt kroppshålighet
US6537232B1 (en) 1997-05-15 2003-03-2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Intracranial pressur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MR-guided drug delivery
US6248080B1 (en) 1997-09-03 2001-06-19 Medtronic, Inc. Intracranial monitoring and therapy delivery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US6764446B2 (en) * 2000-10-16 2004-07-20 Remon Medical Technologies Ltd Implantable pressure senso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US6503208B1 (en) * 2000-12-05 2003-01-07 Holtech Medical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easurement of intra-abdominal pressure
NO20023795D0 (no) 2002-07-02 2002-08-09 Medinnova As System for utlesning av trykk
JP2004159221A (ja) * 2002-11-08 2004-06-03 Renesas Technology Corp 通信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870787B2 (en) 2003-09-16 2014-10-28 Cardiomems, Inc. Ventricular shunt system and method
JP4163098B2 (ja) 2003-12-24 2008-10-08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電磁シールド型可撓性回路基板
AU2006200951B2 (en) 2005-03-13 2012-01-19 Integra LifeSciences Switzerland Sarl Pressure sensing devices
DE102007008642B3 (de) * 2007-02-22 2008-08-14 Aesculap Ag & Co. Kg Messeinrichtung für physiologische Parameter
EP1970001B1 (de) 2007-03-16 2014-07-23 Brainlab AG Katheter mit Drucksensorik
US20090005701A1 (en) 2007-06-29 2009-01-01 Codman & Shurtleff, Inc. Cradled Sensor Assembly
CN201101746Y (zh) 2007-12-04 2008-08-20 王子敬 一种简易可控压脑室外引流和颅内压监测装置
EP2330970A1 (en) 2008-07-18 2011-06-15 Neckarate GmbH & Co. KG System for regulating intracranial pressure
CN201333032Y (zh) 2008-12-05 2009-10-28 北京奥麦特科技有限公司 一种植入式无线颅内压自动监测系统
US20110160609A1 (en) * 2009-12-29 2011-06-30 Stone Robert T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ressure in a body cavity
EP2648608A2 (en) 2010-12-10 2013-10-16 ICPCheck Inc. Implantable pressure sensor
US9713429B2 (en) * 2011-02-16 2017-07-25 Alfred E. Mann Foundation For Scientific Research Implantable shunt system and associated pressure sensors
DE102011080192A1 (de) * 2011-08-01 2013-02-07 Raumedic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Sensordaten eines implantierbaren Sensors auf ein externes datenverarbeitendes Gerät
CN202600616U (zh) 2012-03-31 2012-12-12 昆盈企业股份有限公司 感压指标控制装置
DE102012221284A1 (de) 2012-11-21 2014-05-22 Raumedic Ag Medizinische Drucksensoreinrichtung sowie Set aus einer derartigen Drucksensoreinrichtung und mindestens einem Wechsel-Katheter
CN105407954B (zh) 2013-03-13 2019-08-23 莱博瑞公司 导管组件
US9636017B2 (en) 2013-03-13 2017-05-02 DePuy Synthes Products, Inc. Telemetric docking station
CN104434081B (zh) 2014-01-20 2017-07-04 成都信息工程大学 植入式颅内压无线监护装置
US9901269B2 (en) * 2014-04-17 2018-02-27 Branchpoint Technologies, Inc. Wireless intracranial monitoring system
US9848789B2 (en) 2014-04-17 2017-12-26 Branchpoint Technologies, Inc. Wireless intracranial monitoring system
CN104352233A (zh) 2014-12-05 2015-02-18 苏州景昱医疗器械有限公司 颅内压监护系统探头触点及具有其的探头
CN104665805A (zh) 2015-03-11 2015-06-03 杭州创辉医疗电子设备有限公司 植入式无线颅内压自动监测系统及方法
CN105125201A (zh) 2015-09-29 2015-12-09 江苏爱思普医疗科技有限公司 植入式颅内压监测探头
EP3361938A1 (en) 2015-10-16 2018-08-22 Branchpoint Technologies, Inc. Wireless intracranial monitoring system
WO2017072261A1 (en) * 2015-10-29 2017-05-04 Sintef Tto As Sensor assembly
CN105286847A (zh) 2015-10-30 2016-02-03 哈尔滨工业大学 颅内压的检测系统及颅内压检测装置的植入方法
CN209360682U (zh) * 2018-09-30 2019-09-10 珠海亚特兰生命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体内压力监测仪
CN110575155B (zh) * 2019-09-26 2024-04-05 北京市神经外科研究所 一种用于颅内压测定的导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9811A (ja) * 2005-04-30 2008-11-20 アエスキュラップ アーゲー 頭蓋内圧力を測定する埋め込み型装置
JP5660901B2 (ja) * 2008-02-28 2015-01-28 ラウメディック アーゲー 患者データ検出用のセン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02633A1 (de) 2017-09-28
US10842398B2 (en) 2020-11-24
FR3049186A1 (fr) 2017-09-29
CN107233090B (zh) 2020-07-14
TWI653031B (zh) 2019-03-11
GB2548958A (en) 2017-10-04
JP6280660B2 (ja) 2018-02-14
GB201701571D0 (en) 2017-03-15
JP2017181493A (ja) 2017-10-05
CN107233090A (zh) 2017-10-10
GB2548958B (en) 2020-08-19
US20170273583A1 (en) 2017-09-28
KR20170113072A (ko) 2017-10-12
TW201733528A (zh) 201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004B1 (ko) 무선 두개내압 모니터
US11564585B2 (en) Sensor, circuitry, and method for wireless intracranial pressure monitoring
US10687719B2 (en) Implantable shunt system and associated pressure sensors
US20190082968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inuous health monitoring
US20210161398A1 (en) Intravascular devices having information stored thereon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ality, including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4344694B2 (ja) 脳の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JP2009517136A (ja) 心臓内の血圧/温度の遠隔計測用植込み型装置
US20220054808A1 (en) Device For Detecting A Malfunctioning Of A Ventriculoperitoneal Shunt For Cerebrospinal Fluid
US11583193B2 (en) Wireless intraluminal device and system
Kakaday et al. Advances in telemetric continuous intraocular pressure assessment
US20230106499A1 (en) Pressure sensor
JP2018161490A (ja) センサ素子、センサ・ワイヤ、およびセンサ素子の製造方法
US11701504B2 (en) Implantable intracranial pressure sensor
Kawoos et al. Embedded microwave system for monitoring of intracranial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