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840B1 - 음료용 추출필터 - Google Patents

음료용 추출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840B1
KR101961840B1 KR1020177028199A KR20177028199A KR101961840B1 KR 101961840 B1 KR101961840 B1 KR 101961840B1 KR 1020177028199 A KR1020177028199 A KR 1020177028199A KR 20177028199 A KR20177028199 A KR 20177028199A KR 101961840 B1 KR101961840 B1 KR 101961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mber
filter
hot water
hole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7521A (ko
Inventor
에미 우에다
노부아키 타케다
야스시 나루키
Original Assignee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7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기호품이 수용되는 필터부(10)와, 이 필터부(10)의 상부에 부착되는 평판 형상의 덮개부(11)로 구성되고, 덮개부(11)는, 필터부(10) 측에 위치하며 투수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제 1 시트부재(12)와, 이 제 1 시트부재(12)에 적층되고 투수성을 가지는 제 2 시트부재(13)의 적층구조로 구성되며, 제 1 시트부재(12)의 중앙에 온수를 통과시키는 구멍부(12a)가 형성된 음료용 추출필터(1)에 있어서, 제 1 시트부재(12)와 제 2 시트부재(13)는 주연부(周緣部)(A) 및 구멍부(12a)의 주위(C)가 접착된 상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용 추출필터
본 발명은 기호품이 수용되는 필터부와, 이 필터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평판 형상의 덮개부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필터부측에 위치하며 투수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제 1 시트부재와, 이 제 1 시트부재에 적층되고 투수성을 가지는 제 2 시트부재의 적층구조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 1 시트부재의 중앙에 온수(お湯)를 통과시키는 구멍부가 형성된 음료용 추출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음료용 추출필터로서,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필터는 덮개부의 구조에 특징이 있고, 투수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제 1 시트부재와, 투수성을 가지는 제 2 시트부재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시트부재에는 중앙에 구멍부가 형성되고, 온수는 이 구멍부를 통해서만 유입된다. 상기 추출필터는 에스프레소 머신용 및 드립 머신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어느 경우도 추출할 때에는 중앙으로부터만 주탕(注湯)되도록 필터 및 머신이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WO 2012/004878
상기 추출필터를 드립 머신에서 사용할 때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탕침(注湯針)(5)을 덮개부(11)로부터 찔러서 필터 내부에 온수를 주입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도 7(a)는 주탕침(5)을 찌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주탕침(5)을 찔러서 추출필터(1)의 하부에 재치(載置)한 컵(100)에 커피를 추출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드립 머신의 구성은 상기한 것만이 아니라 주탕침을 찌르지 않는 구성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의 위쪽에서 탄성체로 형성된 주탕부(注湯部)를 가압하여 주탕하는 방식이 있다.
이 경우, 상기 공지의 추출필터는, 제 1 시트부재와 제 2 시트부재가 주변부에서만 접착되어 있으므로, 머신 주탕부에서 나오는 온수가 주연부까지 확산하여 효율적으로 중앙에 있는 구멍부로부터 주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주탕침을 사용하지 않는 드립 머신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필터 내부에 주탕하는 것이 가능한 음료용 추출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추출필터는, 기호품이 수용되는 필터부와, 이 필터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평판 형상의 덮개부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필터부 측에 위치하며 투수성을 가지지 않은 제 1 시트부재와, 이 제 1 시트부재의 위에 적층되고 투수성을 가지는 제 2 시트부재의 적층구조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 1 시트부재의 중앙에 온수(お湯)를 통과시키는 구멍부가 형성된 음료용 추출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부재와 제 2 시트부재는 주연부(周緣部) 및 상기 구멍부의 주위가 접착된 상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음료용 추출필터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덮개부의 상방에서 주탕하는 경우, 투수성을 가지는 제 2 시트부재를 통하여 주탕되나, 제 1 시트부재와 제 2 시트부재는 구멍부의 주위도 접착되어 있으므로, 이 접착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온수가 확산할 수 없다. 따라서 온수는 효율적으로 구멍부를 향하고 효율적으로 필터 내부로의 주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에는, 소정 형상의 절단선에 의해 혀(舌片) 모양으로 형성되고, 추출시의 온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혀 모양의 구멍부가 아래쪽으로 변형하는 것으로 온수를 통과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선에 의해 혀 모양으로 형성하므로, 구멍부를 형성할 때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폐기편을 발생시키지 않고, 따라서, 제조공정에 있어서 이물질 혼입의 위험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2 시트부재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로 하는 것에 의해, 온수를 통과시킬 수 있는 동시에, 온수의 보존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본 실시형태에 따른 추출필터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추출필터를 구성하는 요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 드립 머신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 주탕부의 구성과 추출필터 덮개부와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음료용 추출필터를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음료용 추출필터를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주탕침을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용 추출필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추출필터는 드립 커피용이며, 드립 머신에 장착할 수 있다.
<추출필터의 구성>
도 1은 추출필터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추출필터를 구성하는 요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추출필터(1)는, 커피분말(기호품에 해당)이 수용되는 필터부(10)와, 이 필터부(10)의 상부에 부착되는 평판 형상의 덮개부(11)로 구성된다.
덮개부(11)는, 필터부(10) 측에 위치하며 투수성을 가지지 않은 제 1 시트부재(12)와, 이 제 1 시트부재(12) 위에 적층되고 투수성을 가지는 제 2 시트부재(13)의 2층 구조에 의해 구성된다. 필터(10)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판본드(Spunbond)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다. 필터부(10)의 상부에는 공간부(S)가 형성된다. 이 공간부(S)에 의해 온수(お湯)로 팽창한 커피가루와 온수가 체류 접촉하여, 충분한 추출을 행할 수 있다.
제 1 시트부재(12)는 1층 또는 다층의 수지필름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시트부재(13)는 스판본드 부직포 등의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다. 필터부(10)에는 플랜지(10a)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10a)에서 덮개부(11)와 접착된다.
또한, 제 1 시트부재(12)와 제 2 시트부재(13)도 주연부(周緣部)(A)(도 2의 사선부 참조) 및 구멍부(12a)의 주위(C)에서 접착되어 있다. 주위(C)(접착영역)의 형상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주위(C)의 내경은 구멍부(12a)의 외경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주연부(A)의 내측과 주위(C)의 외측의 공간(B)와, 주위(C)의 내측의 공간(D)는 접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요 최소한의 접착에 의해 제 1 시트부재(12)와 제 2 시트부재(13)를 접착할 수 있다.
제 1 시트부재(12)의 중앙에는 혀 모양의 구멍부(12a)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멍부(12a)는 제조공정에서 제 1 시트부재(12)에 절단선(CL)을 넣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절단선(CL)을 넣지 않고 펀칭에 의해 구멍부(12a)를 형성하여도 좋으나, 이 경우, 작은 폐기편이 발생하여 이물질 혼입의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절단선(CL)을 형성하는 것으로 폐기편의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문제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멍부(12a)의 크기는 직경 3mm 상당이다.
또한, 제 1 시트형부재(12)와 제 2 시트형부재(13)에는 각각 손으로 잡기 쉽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12c, 13a)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손잡이부(12c, 13a)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절단선(CL)에 대하여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C자형(소정 형상에 상당)으로 하고 있으나, V자형 등의 적절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제 1 시트부재(12)의 소재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CPP(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두께 50㎛)의 1층 구조, PE(폴리에틸렌)/PP(폴리프로필렌)/PE 필름의 3층 구조(총 두께 50㎛), PP/PP/PP 필름의 3층 구조(총 두께 50㎛)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추출액의 품질, 접착성,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소재를 선택할 수 있다.
필터부(10)를 구성하는 소재로는, 예를 들면, 아사히카세이 섬유(旭化成せんい) 주식회사제의 스펀본드 Y25200을 이용할 수 있다. 제 2 시트부재(13)를 구성하는 소재로는, 예를 들면, 오오키상사(大紀商事) 주식회사제의 오키론 CEW-30를 사용할 수 있다.
<드립 머신의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용 추출필터를 사용하는 드립 머신(5)의 구성을 도 3에 나타낸다. 또한, 드립 머신(5)의 구성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드립 머신(5)은 본체부(50), 본체부(50)에 대하여 힌지(52)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뚜껑(51)을 가진다. 또한, 본체부(50)의 전면측의 아래쪽에는 커피 컵 등을 재치하기 위한 재치부(54)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50)의 상면에는 추출필터(1)를 적재하기 위한 수용부(53)가 설치된다. 개폐뚜껑(51)의 이면 측에는 주탕부(注湯部)(4)가 설치된다. 이 주탕부(4)로부터 온수가 추출필터(1)에 대하여 공급된다. 또한, 드립 머신(5)에는 도시하지 않은 물탱크와 탱크 내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등이 설치된다.
<주탕부의 구성>
도 4는 주탕부(4)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주탕주(4)의 각 부의 구성 및 추출필터(1)의 뚜껑부(11)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탕부(4)는 고무 등의 탄성체에 의해 형성된다. 주탕부(4)의 중앙부에는 온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탕로(湯路)(4a)가 형성된다. 탕로(4a)의 주위에는 동심원상으로 제 1 링부(4b) 및 제 1 링부(4)보다 작은 직경의 제 2 링부(4c)가 형성된다. 제 1 링부(4b)와 제 2 링부(4c)는 모두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상이나, 제 1 링부(4b) 쪽이 제 2 링부(4c)보다 약간(예를 들면, 0.4mm) 돌출되어 있다.
제 1 시트부재(12)에 형성된 구멍부(12a)의 외경(d4)은 주탕부(4)의 탕로(4a)의 내경(d3)과 같거나, 또는, 거의 동일(d3 = d4 : d3 ≒ d4) 하며, 3mm이다. 주위(C)의 내경(d5)은 9mm이며, 제 2 링부(4c)의 외경(d2)은 9.4mm이다. 따라서, d2 > d5가 되도록 설정된다. 주위(C)의 외경(d6)은 16.6mm이며, 제 1 링부(4b)의 외경(d1)은 14.6mm이다. 따라서, d6 > d1이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이상의 수치는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링부(4b)와 제 2 링부(4c)가 이중의 벽을 구성하게 되므로 탕로(4a)로부터 주입된 온수가 주탕부(4)의 외측에 누설되어 확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커피 추출시의 동작>
다음으로, 도 3의 드립 머신(5) 및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용 추출필터(1)를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할 때의 동작을도 5 및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드립 머신(5)의 수용부(53)에 추출필터(1)를 세트한다. 다음으로, 개폐뚜껑(51)을 폐쇄한다. 도 5는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주탕부(4)의 제 1 링부(4b)가 뚜껑부(11)의 제 2 시트부재(13)의 상면에 압접하여 밀착한 상태이다. 도 6은 주탕부(4)의 탕로(4a)로부터 온수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온수는 제 2 링부(4c)의 내측의 공간에 퍼지나, 구멍부(12a)를 통하여 추출필터(1)의 내부에 주입된다. 온수가 직경 방향으로 크게 확산되지 않으므로, 효율적으로 온수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온수의 압력에 의해 주위(C)의 내측에 있어서 제 1 시트부재(12)와 제 2 시트부재(13) 사이의 공간(D)이 넓어지나, 주위(C)의 더욱 외측에 온수가 누설되어 확산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온수는 효율적으로 주입되게 된다. 온수의 주입압력에 의해 혀 모양의 구멍부(12)는 아래쪽으로 매달리듯이 변형한다.
<다른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호품의 예로 커피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홍차, 녹차 등의 다른 기호품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필터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주탕침(5)을 사용하는 드립 머신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제 1 시트부재(12)와 제 2 시트부재(13)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 또는 접착방법으로는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로 압접시키는 것으로 접착할 수 있다.
A. 주연부
B. 공간
C. 주위
CL. 절단선
D. 공간
1. 음료용 추출필터
10. 필터부
11. 덮개부
12. 제 1 시트부재
12a. 구멍부
13. 제 2 시트부재
4. 주탕부
4a. 탕로
4b. 제 1 링부
4c. 제 2 링부
5. 주탕침

Claims (3)

  1. 기호품이 수용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평판 형상의 덮개부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필터부 측에 위치하며 투수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제 1 시트부재와,
    상기 제 1 시트부재의 위에 적층되고 투수성을 가지는 제 2 시트부재의 적층구조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 1 시트부재의 중앙에 온수(お湯)를 통과시키는 구멍부가 형성된 음료용 추출필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부재와 상기 제 2 시트부재는, 주연부(周緣部) 및 상기 구멍부의 주위가 접착된 상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추출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는,
    소정 형상의 절단선이 혀 모양으로 형성되고, 추출시의 온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혀 모양의 구멍부가 아래쪽으로 변형하는 것으로 온수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추출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트부재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추출필터.
KR1020177028199A 2015-03-20 2016-03-18 음료용 추출필터 KR101961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57774 2015-03-20
JP2015057774A JP5869164B1 (ja) 2015-03-20 2015-03-20 飲料用抽出フィルター
PCT/JP2016/058861 WO2016152815A1 (ja) 2015-03-20 2016-03-18 飲料用抽出フィル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521A KR20170127521A (ko) 2017-11-21
KR101961840B1 true KR101961840B1 (ko) 2019-03-25

Family

ID=5536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199A KR101961840B1 (ko) 2015-03-20 2016-03-18 음료용 추출필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869164B1 (ko)
KR (1) KR101961840B1 (ko)
CN (1) CN106170233B (ko)
MY (1) MY176661A (ko)
PH (1) PH12017501386B1 (ko)
SG (1) SG11201706172TA (ko)
WO (1) WO20161528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05293A5 (ko) * 1976-12-17 1978-09-29 Nestle Sa
EP1599395B1 (en) * 2003-03-03 2007-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infusion pods containing insoluble materials
KR20110093926A (ko) * 2008-12-03 2011-08-18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원심력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는 캡슐
KR101648233B1 (ko) * 2008-12-09 2016-08-12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음료 준비 장치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캡슐 및 상기 캡슐을 이용한 장치
EP2239212B1 (en) * 2009-04-09 2015-11-11 Nestec S.A. Capsule for preparation of a beverage with a delivery wall forming a confined flowpath
US9028897B2 (en) * 2010-07-08 2015-05-12 Ucc Ueshima Coffee Co., Ltd. Beverage extraction filter
EP2668115B1 (en) * 2011-01-27 2015-10-07 Nestec S.A. Pod and package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FR2990835B1 (fr) * 2012-05-24 2016-02-19 Seb Sa Boite a infusion pour machine a boiss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70233B (zh) 2019-06-28
SG11201706172TA (en) 2017-09-28
WO2016152815A1 (ja) 2016-09-29
MY176661A (en) 2020-08-19
KR20170127521A (ko) 2017-11-21
PH12017501386A1 (en) 2018-01-15
JP2016174771A (ja) 2016-10-06
JP5869164B1 (ja) 2016-02-24
CN106170233A (zh) 2016-11-30
PH12017501386B1 (en)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3765B1 (ja) 飲料用抽出フィルター
KR101829946B1 (ko) 음료 카트리지
AU2020203080A1 (en) Pack for extracting coffee beverages
JP6863611B2 (ja) 浸出製品、特にコーヒーのためのカプセル
JP6367931B2 (ja) 密封部材を用いた可溶性製品のカートリッジ
JP6718434B2 (ja) 浸出飲料調製用パック
JP2015507975A (ja) 飲み物を得るためのカートリッジ及びアセンブリ
JP2013090958A (ja) 飲み物好ましくは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が抽出される粉末形状の材料を含んでいるチャンバー
JP2017527343A (ja) 容器の取付アセンブリ、浸出飲料調製用パック、及び浸出飲料調製用マシン
JP2015085086A (ja) 飲料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用いた飲料抽出容器
JP6661322B2 (ja) コーヒーカプセル
KR101961840B1 (ko) 음료용 추출필터
JP2019534213A (ja) 飲料調製カプセル
US11066232B2 (en) Beverage preparation capsule
WO2012004879A1 (ja) 飲料用抽出フィルター取付用アダプタ
TWI538646B (zh) 具過濾層之容器及熱結合裝置
JP3141484U (ja) ティーバッグ付きインスタントコップ
TWM464112U (zh) 飲料過濾匣(Beverage Filter Cartridge)結構改良
TWM493956U (zh) 飲料過濾匣(Beverage Filter Cartridge)結構
KR20120100562A (ko) 이중 뚜껑이 구비된 일회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