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546B1 - 회전 각도조절로 수세 및 급이가 용이한 자돈용 원형 사료급이기 - Google Patents

회전 각도조절로 수세 및 급이가 용이한 자돈용 원형 사료급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546B1
KR101961546B1 KR1020170054531A KR20170054531A KR101961546B1 KR 101961546 B1 KR101961546 B1 KR 101961546B1 KR 1020170054531 A KR1020170054531 A KR 1020170054531A KR 20170054531 A KR20170054531 A KR 20170054531A KR 101961546 B1 KR101961546 B1 KR 101961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eeder
feeding
support r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492A (ko
Inventor
이관용
Original Assignee
이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용 filed Critical 이관용
Priority to KR102017005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54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급이통의 회전 각도조절로 수세 및 급이가 가능하여 청결한 관리가 용이하여 모돈, 육성돈, 자돈, 포유자돈을 건강하고 발육이 뛰어나게 사육시킬 수 있도록 한 원형 사료급이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돈 사육실의 벽체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와 상호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 설치되는 한 쌍의 사료급이통 걸이대와; 양단이 상기 사료급이통 걸이대에 각각 회전 및 각도 조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사료급이통과; 상기 사료급이통의 회전 후 원하는 각도에서 사료급이통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 각도조절로 수세 및 급이가 용이한 자돈용 원형 사료급이기{Circle feeds feeder for cleaning and feeding easy by rotating control}
본 발명은 모돈, 육성돈, 자돈, 포유자돈 등등에게 사료를 급이할 수 있도록 한 사료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료급이통의 회전 각도조절로 청결한 수세 및 급이가 가능하여 건강하고 발육이 뛰어나게 사육시킬 있고, 면역력이 약한 포유자돈의 경우 생존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원형 사료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 사육농가의 일반적인 관리형태는 종돈장, 번식농장, 비육농장 및 단순한 위탁사육농장으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돼지관리의 주기는 분만, 포유, 이유, 육성 및 출하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주기 중 포유 및 이유시기의 자돈들은 사료에 대한 적응성 및 소화률을 높이기 위하여 미세한 입자로 구성된 자돈사료를 급여하게 된다. 포유만으로는 자돈의 소화효소를 발달시키기 어렵고, 성장잠재력을 위해 입붙이기 사료를 급여한다. 급이 한 후에는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세척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종래 사료급이기는 사각 형태의 넓은 그릇에 둘레를 따라 우묵하게 형성된 홈통에 격자 벽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사료 섭취시 포유자돈간에 밀집이 이루어져 섭취가 이루어져야 하고, 섭취 후에는 지꺼지가 그대로 남아 있어 청소하기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68582호로서, '병목현상 자동방지기능이 구비된 자돈사료급여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사료먹이통의 중앙에 사료공급구를 위치시키고 상광하협의 원추형형태로 형성되어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통과; 상기 사료공급통의 병목현상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사료공급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료공급통에 충진된 사료를 휘저울 수 있는 스크류와; 상기 사료공급통의 상부측에 설치되고 회전축에 연결된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스크류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상부측에 설치되고 센서부에 의해 사료의 공급이상상태예컨대, 병목현상이 검출될 경우 스크류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병목현상 자동방지기능이 구비된 자돈사료급여기를 구성하여, 사료먹이통의 내부에 일정형상의 스큐류를 장착한 다음 그 하단부에 병목현상을 검출하는 센서를 장착하고 급여개시후 센서에 의해 병목현상이 검출될 경우 스크류를 구동하여 병목현상을 제거하므로써, 미세한 입자로 구성된 돼지사료의 급여시 빈번하게 발생되는 병목현상을 신속히 제거하므로 그에 따라 사료급여의 원활성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사료먹이통을 회전시키거나 각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사료 섭취 후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사료먹이통의 청결한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어, 면역력이 약한 포유자돈의 생존률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68582호
본 발명은 사료급이통의 회전 각도조절로 청결한 수세 및 급이가 가능하여 건강하고 발육이 뛰어나게 사육시킬 있고, 면역력이 약한 포유자돈의 경우 생존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원형 사료급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돈 사육실의 벽체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와 상호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 설치되는 한 쌍의 사료급이통 걸이대와; 양단이 상기 사료급이통 걸이대에 각각 회전 및 각도 조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사료급이통과; 상기 사료급이통의 회전 후 원하는 각도에서 사료급이통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사료급이통 걸이대는 사료급이통 지지링과; 상기 벽체에 밀착 고정되는 걸이대 고정판과; 사료급이통 지지링을 상기 걸이대 고정판에 연결시키는 지지링 연결대를 갖되; 상기 사료급이통 지지링에는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료급이통은 일정 길이에 걸쳐 반원형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와 양쪽에 원형 측판이 구비되어 있는 사료급이통 본체와; 상기 원형 측판에 각기 접합되어 상기 사료급이통 지지링의 내측에 면접하여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고정홀에 일치되도록 상호 90도 간격을 갖는 제1 및 제2 사료급이통 각도선택홀이 형성되어 있는 호형 회전판과; 상기 사료급이통 본체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포유자돈의 사료 급이영역을 구분시키는 사료구획봉과; 상기 사료구획봉에 접합되고 사료급이통 본체 내로 돌출되어 구분된 사료 급이영역간의 침범을 방지시키는 급이영역 침범방지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사료급이기는, 고정핀의 분리시 급이동 걸이대로부터 사료급이통의 회전이 가능하고, 고정핀의 고정 위치에 따라 사료급이통의 상향 자세 및 기울임 자세를 선택적으로 갖을 수 있어 수세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청소가 편리하여 청결한 급이기 관리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모돈, 육성돈, 자돈, 포유자돈의 발육이 뛰어나고 건강한 돈 사육이 가능하며 특히 면역력이 약한 포유자돈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사료급이기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사료급이기가 조립되어 벽체에 설치된 세척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2a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일측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사료급이기가 조립되어 벽체에 설치된 사료급이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C'부 확대도.
도 7은 도 6a의 D-D선 단면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형 사료급이기(10)는 한 쌍의 사료급이통 걸이대(12,12), 사료급이통 걸이대(12,12)에 거치되는 사료급이통(14), 사료급이통(14)을 사료급이통 걸이대(12,12)측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16,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사료급이통 걸이대(12,12)는 돈 사육실(100)의 벽체(110)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와 상호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 설치된다.
한 쌍의 사료급이통 걸이대(12,12)는 사료급이통 지지링(121)과, 벽체(110)에 밀착 고정되는 걸이대 고정판(122)과, 사료급이통 지지링(121)을 상기 걸이대 고정판(122)에 연결시키는 지지링 연결대(123)를 갖는다. 또한 사료급이통 지지링(121)에는 고정핀(16)이 삽입되는 고정홀(121a)이 형성되어 있다.
사료급이통(14)은 양단이 상기 사료급이통 걸이대(12,12)에 거치되어 회전 및 각도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사료급이통(14)은 일정 길이에 걸쳐 반원형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14a)와 양쪽에 원형 측판(141a,141a)이 구비되어 있는 사료급이통 본체(141)와, 원형 측판(141a,141a)에 각기 접합되어 사료급이통 지지링(121)의 내측에 면접하여 회전 각도에 따라 고정홀(121a)에 일치되도록 상호 90도 간격을 갖는 제1 및 제2 사료급이통 각도선택홀(142a,142b)이 형성되어 있는 호형 회전판(142)과, 사료급이통 본체(141)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돈의 사료 급이영역을 구분시키는 사료구획봉(143)과, 사료구획봉(143)에 접합되고 사료급이통 본체(141) 내로 돌출되어 구분된 사료 급이영역간의 침범을 방지시키는 급이영역 침범방지구(14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사료급이통 각도선택홀(142a,142b)의 직경은 고정홀(121a)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호형 회전판(142)의 폭은 사료급이통 지지링(121)의 폭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고정핀(16)은 사료급이통(14)의 회전 후 원하는 각도에서 사료급이통(14)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고정핀(16)은 손잡이로 이용되는 원형 고리(161)와, 고정홀(121a)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핀 몸체(16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형 사료급이기(10)는 사료급이통(14)의 양단이 각기 급이통 걸이대(12,12)에 조립된 후 급이통 걸이대(12)가 도 6b와 같이 앵커 볼트(112)를 통해 벽체(110)측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사료급이통(14)은 돈 사육실(100)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만큼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료 급이를 하고자 하는 경우, 도 6 및 도 7과 같이 사료급이통(14)을 회전시켜 제2 사료급이통 각도선택홀(42b)을 급이통 걸이대(12)의 고정홀(121a)에 일치시킨다.
그 다음, 고정핀(16)을 상호 일치된 고정홀(121a)과 제2 사료급이통 각도선택홀(42b)에 삽입시켜 사료급이통(14)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한다.
이 경우, 사료급이통(14)은 개구부(14a)가 상향으로 향하게 되므로, 사료를 사료급이통(14)에 채워넣어도 소실될 염려가 없고, 포유자돈의 원할한 사료 섭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돈의 사료 섭취가 끝나면, 도 2 및 도 5와 같이 양쪽의 고정핀(16,16)을 고정홀(121a)과 제2 사료급이통 각도선택홀(42b)에서 분리시킨 후, 사료급이통(14)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사료급이통 각도선택홀(142a)을 고정홀(121a)에 일치시킨다.
그 다음, 고정핀(16)을 상호 일치된 고정홀(121a)과 제1 사료급이통 각도선택홀(42a)에 삽입시켜 사료급이통(14)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한다.
이 경우, 사료급이통(14)은 개구부(14a)가 벽체(110)의 전면을 향하게 되고, 따라서 세척수를 사료급이통(14)에 분사시키면 사료급이통(14)의 내면이 깨끗하게 세척되고 세척수는 사료급이통(14)의 바닥면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밑으로 원활하게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같이 본 발명은 고정핀(16)의 분리시 사료급이통(14)의 회전이 가능하고, 고정핀(16)의 고정 위치에 따라 사료급이통(14)의 자세가 변경되어 수세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청소가 편리하여 청결한 급이기 관리가 가능하여 모돈, 육성돈, 자돈, 포유자돈의 발육이 뛰어나고 건강한 돈 사육이 이루어지고, 특히 면역력이 약한 포유자돈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사료급이통 걸이대
121: 사료급이통 지지링
121a: 고정홀
122: 고정판 걸이대
123: 지지링 연결대
14: 사료급이통
141: 사료급이통 본체
142: 호형 회전판
143: 사료구획봉
144: 급이영역 침범방지턱
16: 고정핀

Claims (3)

  1. 고정홀(121a)이 형성되어 있는 사료급이통 지지링(121), 돈 사육실(100)의 벽체(110)에 밀착 고정되는 걸이대 고정판(122), 사료급이통 지지링(121)을 걸이대 고정판(122)에 연결시키는 지지링 연결대(123)를 갖고, 돈 사육실(100)의 벽체(1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지 설치되는 한 쌍의 사료급이통 걸이대(12,12)와;
    일정 길이에 걸쳐 반원형의 단면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14a)와 양쪽에 원형 측판(141a,141a)이 구비되어 있는 사료급이통 본체(141), 상기 원형 측판(141a,141a)에 각기 접합되어 상기 사료급이통 지지링(121)의 내측에 면접하여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고정홀(121a)에 일치되도록 상호 90도 간격을 갖는 제1 및 제2 사료급이통 각도선택홀(142a,142b)이 형성되어 있는 호형 회전판(142), 상기 사료급이통 본체(141)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포유자돈의 사료 급이영역을 구분시키는 사료구획봉(143), 상기 사료구획봉(143)에 접합되고 사료급이통 본체(141) 내로 돌출되어 구분된 사료 급이영역간의 침범을 방지시키는 급이영역 침범방지턱(144)이 구비되어 상기 사료급이통 걸이대(12,12)에 회전 및 각도 조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사료급이통(14)과;
    상기 사료급이통(14)의 회전 후 원하는 각도에서 사료급이통(14)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사료급이통 각도선택홀(142a,142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고정홀(121a)에 삽입되는 고정핀(1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조절로 수세 및 급이가 용이한 자돈용 원형 사료급이기.
  2. 삭제
  3. 삭제
KR1020170054531A 2017-04-27 2017-04-27 회전 각도조절로 수세 및 급이가 용이한 자돈용 원형 사료급이기 KR101961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531A KR101961546B1 (ko) 2017-04-27 2017-04-27 회전 각도조절로 수세 및 급이가 용이한 자돈용 원형 사료급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531A KR101961546B1 (ko) 2017-04-27 2017-04-27 회전 각도조절로 수세 및 급이가 용이한 자돈용 원형 사료급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492A KR20180120492A (ko) 2018-11-06
KR101961546B1 true KR101961546B1 (ko) 2019-03-22

Family

ID=6432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531A KR101961546B1 (ko) 2017-04-27 2017-04-27 회전 각도조절로 수세 및 급이가 용이한 자돈용 원형 사료급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5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376B1 (ko) * 2008-06-13 2008-12-18 금재호 소 사료통
KR101645866B1 (ko) * 2015-03-25 2016-08-08 장웅진 염소 급이통
JP6058517B2 (ja) 2013-10-17 2017-01-11 株式会社 鐘川製作所 餌料計量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582B1 (ko) 2007-02-27 2008-11-14 대한민국 병목현상 자동방지기능이 구비된 자돈사료급여기
KR101630603B1 (ko) * 2014-09-02 2016-06-16 박종대 모돈급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376B1 (ko) * 2008-06-13 2008-12-18 금재호 소 사료통
JP6058517B2 (ja) 2013-10-17 2017-01-11 株式会社 鐘川製作所 餌料計量機
KR101645866B1 (ko) * 2015-03-25 2016-08-08 장웅진 염소 급이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492A (ko)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419Y1 (ko) 축산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공급장치
JPS5863337A (ja) 家畜飼育用給餌機
US5758598A (en) Creep feeder device
KR101961546B1 (ko) 회전 각도조절로 수세 및 급이가 용이한 자돈용 원형 사료급이기
KR102044812B1 (ko) 액상 사료 급여기
KR101702607B1 (ko) 양계장 급이기용 급수장치
US5595139A (en) Hog feeder
WO2020190228A1 (en) A sliding feeder and broiler cage with plastic base
CN214282678U (zh) 一种便于拆卸清洗的宠物饲养笼
KR102241636B1 (ko)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받침대 분뇨투입 방지장치
US20080173252A1 (en) Automatic Pet Confinement Cleaning Device
KR102012081B1 (ko) 액상 사료 급여기
CN107667891B (zh) 一种畜牧的旋转进食装置
KR101509912B1 (ko) 염소 또는 양용 주사료 및 조사료 급이기
KR101794671B1 (ko) 급이기의 인근에 구비되는 먹이활동 장애방지장치
KR100657505B1 (ko) 청소가 용이한 축산용 먹이통
EP1234497A2 (en) An apparatus for feeding and/or watering animals
KR102016234B1 (ko) 애완동물 급이기
KR20170002650U (ko) 축산용 자동 급이기
CN113145587A (zh) 一种畜牧业用饲养维护一体化装置
KR102634335B1 (ko) 내구성이 높고 안전한 먹이 공급이 가능한 가축 급이기의 사료배출장치
KR102131547B1 (ko) 습식 급이기의 사료 허실 방지장치
KR20200067086A (ko) 액상사료 급여기의 사료조
US7096822B2 (en) Animal feeding apparatus
CN216018446U (zh) 一种畜牧用畜牧食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