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447B1 -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447B1
KR101961447B1 KR1020130164914A KR20130164914A KR101961447B1 KR 101961447 B1 KR101961447 B1 KR 101961447B1 KR 1020130164914 A KR1020130164914 A KR 1020130164914A KR 20130164914 A KR20130164914 A KR 20130164914A KR 101961447 B1 KR101961447 B1 KR 101961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leather
coated
nonwoven fabric
fibers
silicon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6557A (ko
Inventor
이응민
고경철
정대영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4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ultra-fine two-component fibres, e.g. island/sea, or ultra-fine one component fibres (< 1 deni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11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flocked webs or pile fabrics upon which a resin is applied; Teasing, raising web before resin applic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28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silic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3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leather sk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16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other properties
    • D06N2209/1685Wea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피혁의 표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코팅하고 비극성이면서 발수성을 지닌 고분자를 용제를 이용하지 않고 코팅함으로써,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섬유와 섬유 사이의 접착구조를 형성하여 섬유의 탈락과 폴리우레탄 탄성체에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므로 마모강도 및 마찰견뢰도가 향상되어 내마모성이 우수해지며, 섬유와 폴리우레탄 탄성체에 염색 이후에 잔류염료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하여 표면 색상 차이의 발생을 억제하여 우수한 외관 색상 품위를 지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공피혁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rtificial leather}
본 발명은 인공피혁에서 외관 품위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내마모성과 마찰견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을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인공피혁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극세사 부직포 인공피혁은 극세섬유의 교락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마모강도가 우수하지 못하며, 염색 후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염료 오염으로 견뢰도가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탄성체를 개질하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등의 강직한 구조를 부여하거나 밀도를 높여 마모강도를 향상시키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탄성체 내에 염료가 적게 잔존할 수 있도록 인공피혁의 제조공정 중 염색공정에서 염색 후 세정할 때에 염료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마찰견뢰도를 향상시키려는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마모강도를 향상시키려는 기술은, 강직한 구조로 인공피혁의 품위가 저하되고 통상제품과 비교하여 고가로 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며, 극세사의 마모 저항성 향상에 한계가 있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잔존 염료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성능이 우수한 염료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염료 제거 후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색상과 염색된 섬유의 색상 차이가 발생하여 품위가 저하되고 마찰에 의한 섬유의 낙모로 견뢰도가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 2001-214376에는 염색한 시트물 표면에 고분자 수지를 코팅하는 방법이 게재되어있다
마모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표면에 고분자 수지를 코팅하는 상기 방법은 마모강도는 우수하지만 표면에 스웨드 효과가 없고 코팅된 고분자 수지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촉감이 딱딱하여 용도에 제한을 받고, 또한 코팅에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가 용제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코팅시 용제에 의하여 인공피혁에 존재하는 염료의 용해로 인해 이차적인 오염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인체에 유해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피혁에 있어서 유연성 및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하면서도 내마모성 및 외관 색상 품위가 우수해지도록 인공피혁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도형 복합사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폴리우레탄 탄성체를 함침시키고 상기 부직포에서 교락된 섬유들을 0.3 데니어 이하의 극세섬유화 되도록 용출가공한 이후에 표면에 입모(立毛)를 형성하고 염색하는 것을 포함한 인공피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색 이후에 인공피혁의 표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코팅하고 비극성이면서 발수성을 지닌 고분자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피혁에 실리콘 접착제와 고분자가 코팅되어 섬유간 접지력(接地力, grip force)을 향상시키고 폴리우레탄의 마찰 방지로 마모강도와 마찰견뢰도를 향상시켜 내마모성이 우수해 지면서도 유연성과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탄성체인 폴리우레탄에 오염된 잔류 염료가 2차 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무용제형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용제의 휘발에 의한 염료의 이동(migration)이 근본적으로 차단됨으로써 잔류 염료에 의한 2차 오염의 발생을 방지하며, 인공피혁을 구성하는 섬유와 탄성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우수한 외관 색상 품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공피혁에 실리콘 접착제를 코팅하고 비극성이면서 발수성을 지닌 고분자를 코팅함으로써,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섬유와 섬유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하여 섬유의 탈락과 폴리우레탄 탄성체에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므로 마모강도 및 마찰견뢰도가 향상되어 내마모성이 우수해지며, 섬유와 폴리우레탄 탄성체에 염색 이후에 잔류염료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하여 표면 색상 차이의 발생을 억제하여 우수한 외관 색상 품위를 지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인공피혁 제조방법은 (ⅰ)알칼리에 용해되어 용출되는 해(海)성분의 폴리머와 알칼리에 용해되지 않고 잔존하는 도(島)성분의 폴리머를 사용하여 복합방사하고 이 복합방사된 섬유의 단섬유를 개섬, 카딩 및 크로스 래핑하여 웹(Web)을 제조한 다음, 이를 니들펀칭하여 부직포를 제조하고, (ⅱ)부직포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침시킨 후 응고조에서 응고, 수세하고, (ⅲ)부직포를 알칼리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복합섬유에서 용출성분을 제거하여 단사섬도가 0.3 데니어 이하가 되도록 극세섬유화 하고 건조와 동시에 열처리하고, (ⅳ)열처리된 부직포를 버핑하여 부직포의 표면에 입모(立毛)를 형성하고 원하는 색상으로 염색하고, (ⅴ)염색된 인공피혁의 표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코팅하고 비극성이면서 발수성을 지닌 고분자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복합섬유는 연속 피브릴 형성이 가능한 고분자 물질인 섬유형성성 성분과 피브릴을 결합하는 바인더 역할을 하는 고분자 물질인 용출성분이 복합방사된 섬유이다. 본 발명에서는 해도형 복합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해도형 복합섬유의 경우 도성분(섬유형성성 성분)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등이 사용되고, 해성분(용출성분)으로는 도성분과 알칼리 용해성이 상이한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이 사용되는데, 알칼리 용해성이 우수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좀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극세화 후 도성분의 섬도는 0.3 데니어 이하인 것이 인공피혁의 유연성 및 표면 외관 향상에 좋다. 또한, 이것은 극세화 처리 후에 극세 섬유가 3차원적으로 상호 미세한 교락을 이루어 강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섬유는 단섬유화 되고 통상의 방법으로 카딩, 크로스래핑, 니들펀칭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3차원적으로 상호 교락된 부직포로 제조된다.
그 다음에, 부직포를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와 같은 유기 용매에 폴리우레탄을 용해시킨 폴리우레탄 용액에 침지하여 폴리우레탄을 함침시킨 후 응고조에서 수세한다.
이때, 인공피혁에서 상기 폴리우레탄의 함량은 20 ~ 40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탄성 및 신축성을 비롯한 인공피혁이 요구하는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응고조의 온도는 20 ~ 40 ℃, 응고조에서 DMF농도는 10 ~ 40 중량%로 하고 80 ~ 90 ℃에서 충분히 수세를 한다.
그 다음에, 폴리우레탄을 함침한 부직포를 알칼리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복합섬유에서 용출성분을 제거하여 0.3 데니어 이하가 되도록 극세섬유화 한 후 건조와 동시에 열처리한다.
이때, 알칼리 수용액으로는 1 ~ 20 %의 가성소다 수용액을 사용하며 용출시 감량시간은 5 ~ 30 분이 바람직하다.
용출 후에는 신축성을 부여하기 위해 건조와 동시에 열처리를 실시하는데 열처리 온도는 130 ~ 180 ℃가 적당하다. 만약 열처리 온도가 130 ℃ 미만이면 열처리 효과가 부족하여 바람직한 신축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열처리 온도가 180 ℃를 초과하면, 촉감이 너무 딱딱하여 원하는 용도에 적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온도의 조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다음에, 열처리된 부직포를 버핑하여 부직포의 표면에 입모(立毛)를 형성한 하고 원하는 색상으로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염색한다.
그 다음에, 입모가 형성된 부직포의 표면을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하여 코팅한 이후에 비극성이면서 발수성을 지닌 고분자를 사용하여 다시 코팅한다.
상기 극세섬유화 하는 과정에서 폴리머 섬유가 용출되어 없어짐에 따라 섬유간 교락에 의한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는데, 실리콘 접착제 코팅함으로써, 섬유와 섬유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접착제는 축합형 유동성 중점도 초산형 액상 실리콘 접착제인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
이는 축합형이므로 가열 등의 조작이 없어도 상온에서 축합반응에 의해 고무상으로 경화하여 접착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동성이 우수하여 부직포에 도포가 용이하고 특히 입모가 형성된 부직포의 3차원 입체구조 속으로 용이하게 스며들어 인공피혁을 구성하는 섬유 및 폴리우레탄의 전체면에 골고루 도포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부직포에서 극세섬유간 접착을 강화하여 입모의 부직포에서 접지력을 향상시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섬유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에너지가 낮은 소재에도 접착력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표면에너지가 낮다는 것은 그 값이 35 ~ 40 dyne/㎝ 이하인 것을 말하며 여기에 속하는 소재로는 실리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등이 있으며, 이들은 비극성을 지닌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이후에 다시 코팅되는 비극성이면서 발수성을 지니는 고분자가 인공피혁에서 단단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접착제는 입모가 형성된 부직포에 5 ~ 20 g/㎡의 도포량으로 도포되는 것이 유연성 및 신축성의 손실이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극세섬유간 접착의 향상을 부여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비극성이면서 발수성을 지닌 고분자는 실리콘 고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스티렌 등이 있으며, 실리콘 고무가 바람직 한데, 특히 무용제형의 액상 실리콘 고무가 좀더 바람직하다.
이들 고분자는 인공피혁의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부직포에서 극세섬유간 접착을 강화하여 부직포에서 입모의 접지력을 향상시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섬유가 이탈되지 않고 표면을 보호하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염색 이후에 폴리우레탄에 오염된 잔류 염료들이 인공피혁에서 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용제형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용제의 휘발에 의한 염료의 이동(migration)이 근본적으로 차단됨으로써 잔류 염료에 의한 2차 오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표면을 보호함으로써 고분자 탄성체인 폴리우레탄과 섬유를 보호하여 외부의 빛, 마찰, 충격 등의 환경변화에도 색상의 변화가 발생하기 어려워 색상차에 기인하는 외관 색상 품위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고무는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액상 실리콘 고무는 경화 전에는 액상이지만 경화 후에는 고상의 탄성중합체성 생성물을 형성하여 섬유 또는 직물에 처리될 경우 부드러운 촉감 및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의 점도는 500 ~ 5000 cps 이며, 경화 온도는 120 ~ 180℃가 적당하다. 만약 경화 온도가 120 ℃ 미만이면 실리콘고무의 경화가 늦어져 제품의 표면이 끈적 끈적하게 되어 먼지 등의 부착으로 인해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180 ℃를 초과하면 부직포 내부에 실리콘고무가 스며들기 전에 경화되어 표면이 불균일하고 촉감이 딱딱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스티렌은 코팅 성형이 가능한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극성이면서 발수성을 지닌 고분자는 입모가 형성된 부직포에 35 ~ 50 g/㎡의 도포량으로 도포되는 것이 유연성 및 신축성의 손실이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내마모성을 부여하고 잔류 염료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주성분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금속설포네이트가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단위가 5 몰% 공중합된 알칼리 이용해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해성분과 상기 해성분 내에 분산 배열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도성분으로 구성된 해도형 복합섬유를 50 ㎜의 길이로 절단하여 단섬유화하고 개섬, 카딩 및 크로스 래핑 공정을 거쳐 해도형 복합 단섬유의 적층웹을 제조한 후, 이를 니들펀칭하여 해도형 복합섬유의 중량 750 g/㎡, 후도 3.0 mm, 겉보기 밀도 0.225 g/㎠의 3차원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제조된 상기 부직포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부직포 중량대비 40 중량%를 함침시킨 후 습식응고하여 복합시트를 제조하고, 이를 농도 10 %의 가성소다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해도형 복합섬유 내 해성분을 용출하여 0.3 데니어 이하의 극세사 복합시트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버핑기를 사용하여 상기 복합시트의 표면을 샌드페이퍼 320 메시로 버핑하여 표면에 입모를 형성한 다음, 염색하여 차량용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인공피혁의 표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량이 10 g/㎡이 되도록 코팅하고 이어서 점도 3,900 cps의 액상 실리콘 고무(Sylgard-184A&B, 뉴프론텍)를 그라비아 코팅기를 이용하여 도포량이 40 g/㎡이 되도록 코팅하였다.
이때, 사용되는 그라비아 코팅롤은 단위 센티미터당 150 개의 메쉬로 음각된 코팅롤을 이용하였다.
이후, 150 ℃에서 10 분간 열처리하여 액상실리콘 고무를 경화시켜 표면 코팅된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그라비아 코팅기 대신에 로터리스크린 프린터기를 이용하여 표면 코팅을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 코팅된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액상 실리콘 고무 대신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130 ℃에서 용융한 후 그라비아 코팅기를 이용하여 표면 코팅을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 코팅된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실리콘 접착제 및 액상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액상 실리콘 고무를 함침법을 사용하여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표면 코팅된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실리콘 접착제의 도포량을 21 g/㎡로 하고 상기 액상 실리콘 고무의 도포량을 51 g/㎡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표면 코팅된 인공피혁을 제조하였다.
(평가방법)
1. 내마모성
Color abrasion법(Martindale 법)(ISO 12947-2:1998(E))에 의거하여 시편을 일정하중(12kPa)으로 눌러 35,000 싸이클 회전시킨 후 마찰 부위의 칼라 변색을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로 판정하였다.
2. 강연도
Cantilever법(KS K 0591)을 사용하여 인공피혁의 강연도를 측정하였다.
3. 마찰견뢰도
KS K ISO 105-X12법에 의거하여 마찰견뢰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인공피혁을 상기의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내마모성
(급)
강연도
(㎝)
마찰견뢰도(급)
Dry Wet
실시예 1 4.5 10 5.0 4.5
실시예 2 4.5 11 5.0 4.5
실시예 3 4.0 11 4.5 4.5
비교예 1 3.0 10 3.5 2.5
비교예 2 4.5 18 4.5 4.0
비교예 3 4.5 17 4.0 4.0
상기 표 1로부터 코팅을 전혀 하지 않을 경우(비교예 1)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내마모성 및 강연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고분자를 함침하거나(비교예 2) 실리콘 접착제 및 액상 실리콘 고무의 도포량이 많아질 경우(비교예 3) 내마모성은 증가하나 강연도 특성이 급격히 나빠져 인공피혁에서 유연성이 감소하고 강직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해도형 복합사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폴리우레탄 탄성체를 함침시키고 상기 부직포에서 교락된 섬유들을 0.3 데니어 이하의 극세섬유화 되도록 용출가공한 이후에 표면에 입모(立毛)를 형성하고 염색하는 것을 포함한 인공피혁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염색 이후에 인공피혁의 표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코팅하고 비극성이면서 발수성을 지닌 고분자를 코팅하되,
    상기 실리콘 접착제를 코팅할 때에 축합형 유동성 중점도 초산형 액상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하여 5 ~ 20 g/㎡로 도포하고,
    상기 고분자를 코팅할 때에 점도가 500 ~ 5000 cps인 부가형 액상 실리콘 고무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이면서 발수성을 지닌 고분자의 도포량은 35 ~ 50 g/㎡인 것을 특징으로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KR1020130164914A 2013-12-27 2013-12-27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KR101961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14A KR101961447B1 (ko) 2013-12-27 2013-12-27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14A KR101961447B1 (ko) 2013-12-27 2013-12-27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557A KR20150076557A (ko) 2015-07-07
KR101961447B1 true KR101961447B1 (ko) 2019-03-22

Family

ID=5378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914A KR101961447B1 (ko) 2013-12-27 2013-12-27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487B1 (ko) * 2018-12-20 2020-05-27 (주)정산인터내셔널 고감성의 실리콘 스웨이드 원단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스웨이드 원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607B1 (en) * 1993-12-31 1997-06-14 Sunkyong Industry Co Manufacturing method of synthetic leather
JP3192584B2 (ja) * 1995-12-19 2001-07-30 月星化成株式会社 防汚性靴
EP1696073B1 (en) * 2003-12-15 2010-05-26 Teijin Cordley Limited Leather-like sheet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804042B1 (ko) * 2005-06-02 2008-02-18 주식회사 코오롱 마모강도가 우수한 인공피혁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557A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693B1 (ko) 인공 가죽용 섬유성 기질과 이를 이용한 인공 가죽
WO2014132630A1 (ja) 人工皮革基材、銀付調人工皮革、人工皮革基材の製造方法、及び人工皮革基材用改質剤
KR102637213B1 (ko) 카티온 염료로 염색된 입모풍 인공 피혁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62016A (ko) 입모풍 인공 피혁 및 그 제조 방법
KR100804042B1 (ko) 마모강도가 우수한 인공피혁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88596B1 (ko) 저이염(移染)성 폴리우레탄함침 스웨이드조 인공피혁의제조방법
KR101961447B1 (ko)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JP2016044375A (ja) 難燃性人工皮革基材、難燃性銀付調人工皮革及び難燃性銀付調人工皮革の製造方法
KR102664474B1 (ko) 탄력 특성이 향상된 인공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121702A (ja) 立毛調人工皮革
KR20180075906A (ko) 탄력 특성과 내마모 특성이 동시에 향상된 인공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7597A (ko)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KR100743988B1 (ko) 인공 스웨이드 제조방법
KR102645238B1 (ko) 입모 인공 피혁 및 그 제조 방법
JP3428425B2 (ja) 人工皮革
JP3752058B2 (ja) 立毛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4044068A (ja) 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55999B2 (ja) スエ−ド調人工皮革の製造方法
KR100461793B1 (ko)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KR0125111B1 (ko) 은면조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JPH11247072A (ja) 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9058924A1 (ja) 立毛人工皮革
JPS6215673B2 (ko)
KR20130079845A (ko) 이중직 직물타입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JP5226709B2 (ja) オイル調皮革様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